납땜하는방법 아주 쉬워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65

  • @달빛Boy
    @달빛Boy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납땜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은 당연히 좋은 장비 좋은 재료 쓰는게 맞지만,
    그게 아니라 1년에 한번 쓸까 말까한 사람들은 그냥 인터넷 택포 4~5천원 짜리에 허접한 납 1~2천원 짜리 사서 한번 때우고 버리는게 좋습니다. (물론 관리 여하에 따라 더 사용할수는 있겠지만.. 전 장시간 방치해두니 아무리 닦고 갈아도 산화 되서 부식 되더군요.)

  • @kran6834
    @kran6834 Рік тому +27

    전선에 납땜을 할때는
    전선 끝에 연선에 인두기를 댄뒤
    납을 인두기에 대는게 아니라 연선에 대고 납을 위로 빠르게 올려주면서 납땜하는겁니다
    그렇게 해야 정확한 납땜과 함께 피복이 녹지 않습니다

    • @useryh-1244
      @useryh-1244 10 місяців тому

      가는 전선은 그리 납땜하나 굵은 전선은 안됨... 피복 녹는것 ?? 수축 튜브 씌우면 끝 .....

    • @kran6834
      @kran683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yh-1244 굵은 전선도 됩니다
      고주파 인두기가 아닌 일반 인두기 사용하신다면 몰론 열 전도가 느려서 그렇게 생각하실 순 있지만
      전선의 위쪽에서 납땜해서 붙는다고 생각하시고 끝에서 했을땐 땜이 안된다고 생각하시면
      이미 위에서 납땜하신것도 겉으로보기엔 납땜이 된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위에 살짝 얹혀있는 상태의 냉납상태일수 있으며
      그렇게 작업시 오래 진동이 많은 환경이나,
      온도의 변화가 심한곳에선 추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강형진-f6m
      @강형진-f6m Місяць тому

      메뉴얼적인 방법인데
      실제로는 잘 안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인두팁 | 모재 | 납 배치해서 땜 하면 납까지 열전도가 제대로 안돼서 모재만 뜨거워지고 납은 안녹는일 허다합니다
      영상처럼 두개 동시에 가열하고 1~2초 정도만 더 갖다대고 있으면 냉납도 없고 전선 및 기판 손상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영상에선 인두를 너무 빨리뗀건지 영상 신경쓴다고 대충한건지 모르겠지만 전선이 납물 안으로 더 파묻혔어야 됐는데 그게 부족하네요

    • @kran6834
      @kran6834 Місяць тому +1

      @@강형진-f6m 실제로도 잘 됩니다
      산업용 PCB수리만 4년차입니다
      이전 설계 제조로만 3년 더 되고요
      일반 단순 온도조절 방식인두기나 그냥 가열방식 인두기의 경우는 잘 안될수 있습니다.
      고주파 인두기로 온도 적절히 설정해서 해주면 잘 됩니다
      전선의 종류의 영향을 받는 경우 송진을 활용해주면 잘 됩니다

    • @강형진-f6m
      @강형진-f6m Місяць тому

      @@kran6834 일단 열전도가 되는게 매우 중요해서 송진이 많이 도움되고 액상화된 납이 전선에 이미 도포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칼팁으로 면적 넓게 열전도 시켜주던가요
      그냥 쌩납 모체에 대고있어봐야 잘 안된다는 얘깁니다
      그냥 동시에 대고았는게 훨씬 효율도 좋고 불량날 일도 없는데 굳이 불편하게 할 팔요는 없는거죠
      물론 모재가 두껍다거나 해서 열이 충분히 오르지 않은 상태에서 동시에 갖다대는 경우는 당연히 불량이 발생하겠지요

  • @미소.킹
    @미소.킹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초보자 입니다
    송진이나 약품 기타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초보자에게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 @jajag
      @jajag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최대한 송진이나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납땜하시는게 좋습니다 아무래도 몸에 좋은 물질이 아니라서 ... 연습을 많이 하시면 납땜은 잘된답니다.. 일단 인두기는 성능이 좋은 제품 사용하시구요

  • @차일환-f8d
    @차일환-f8d Рік тому +4

    장비탓은 아니라지만 제가 납땜하면 한참을 대고 있어야 하는데 말이죠^^;; 그것도 붇고 안붇고가 반반 이라서요 똥손은 어쩔수가 없다는ㅜㅜ 잘보고 갑니다

    • @juliocesarchavez4184
      @juliocesarchavez4184 Рік тому +2

      저도그래요

    • @ifog2319
      @ifog2319 Рік тому +2

      첫째가 비싼 인두기보다 2~3천원짜리도 팁에 납이 자연스럽게 퍼지면서 녹아 붙어야 합니다. 그만큼 팁관리가 중요하고
      둘째는 모재에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이물이 존재 하면 납이 붙지 않습니다. 잘 긁어 내든지 아니면 페이스트를 바릅니다.
      마지막으로
      납땜은 모재가 가능한 짧은 시간에 인두와 같은 온도에 도달 하는게 가장 중요 합니다. 그 방법으로 모재에 팁을 꾹누르며 온도를 높이거나 아니면 납을 녹이며 모재와 팁의 매개로 활용해 열전도율을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로
      비싼 인두일수록 모양과 디자인이 중요한게 아니라
      차가운 모재에 팁이 접촉 했을때 모재 온도는 오르면서 팁의 온도는 모재의 온도로 식는데, 인두의 설정 온도로 빠르게 복귀하는게 비싼 인두의 정체 입니다.
      따라서 요령만 생기면 궂이 웰라 같은 값비싼 인두기는 없어도 불편하지 않습니다.

    • @hmjeon8609
      @hmjeon8609 6 місяців тому +1

      플럭스를 사용해 봐요.

  • @김성준-b2b
    @김성준-b2b Рік тому +3

    주석납 융점온도는 240도이구요 무연납은 270도입니다.
    온도를 너무올리면 인구촉에 산화막이 생겨 납땝이 잘 안되고 닦아내기도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칼로긁어내면 인두촉이 녹아없어집니다.
    급기야는 재생약품을 쓰던지 버려야 해요.

  • @김경천-b3c
    @김경천-b3c 29 днів тому +1

    좋은강의 ㄱㅅ 합니다.

    • @jajag
      @jajag  27 днів тому +1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dleorb910_StellarStellar
    @dleorb910_StellarStellar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케스터 200 번대에...유연납 용융점 90도 짜리가 있었는데 유연납은 납 연기 흡입기만 있으면 좋은 선택인것 같아요.

  • @모든-e2s
    @모든-e2s Рік тому +4

    온도를 높이든지, 납이 잘녹는 연납이든지
    온도조절기능 있는 인두기가 비싸든지,
    연납이 아니면 비싸든지, 조합이 된다면
    쉽게 접근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 @태풍도사-q7f
    @태풍도사-q7f Рік тому +3

    납땜은 무조건 장비발입니다
    납땜기가 아무리 좋아도 납이 안좋으면 꽝
    반대로 납이 아무리 좋아도
    납땜기 거지같으면 꽝
    두가지 충족하면 기술인데
    동네 바보아닌이상 다 잘한다
    이거보시고 납땜 안되시는 분은 무조건 바꾸세요 ㅎㅎ

  • @JW-wq7vq
    @JW-wq7vq 4 місяці тому +1

    저것이 납땜이 잘됬다??.. 아닌데요??.. 확실하게 철판에 있는 납속에 전선을 담가 넣어야 됩니다 ... 언젠가는 떨어져요 ㅡ,.ㅡ

  • @XD-je2en
    @XD-je2en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선 납땜 시에는 피복이 녹는것을 조심하여야 하고 단순 연선을 단선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 하는 것이라면 전용 커넥터 시중에 많으니 그거 사용하시는게 훨씬 낫습니다. 전선 땜 팁을 벗겨진 전선의 연선 부분을 플럭스에 찍어준 뒤 가볍게 납을 먹여주면 납이 플럭스타고 알아서 전선 전체로 먹습니다~

  • @이쁜미니곰
    @이쁜미니곰 5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크나우스
    @크나우스 Рік тому +2

    370도는 장비마다 납종류마다 다틀립니다.
    감으로 익히시고 본내용은 참고만 하세요.
    개인마다 다 틀려요. 저는 280~300도 씁니다.
    납이 대상물에 3초정도에 달라붙는게 좋지않나 싶습니다.

  • @user-ejaepapa
    @user-ejaepapa Рік тому +3

    자작꾼님 인두팁이 탐나네요 ㅎ ㅎ 제가 구입한 인두기는 기본팁이라 작은 제품에 납땜하기가 힘들거 같네요!

    • @user-secret90
      @user-secret90 Рік тому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인두팁도 팔아요

    • @user-ejaepapa
      @user-ejaepapa Рік тому +1

      @@user-secret90 감사합니다 알리를 한번도 이용안해봐서요
      이참에 한번 이용해 봐야겠네요!

    • @PCBmaker
      @PCBmaker Рік тому +1

      우리나라에는 아림 이라는 유명하고 오래된 회사가 있는데 지금도 있는지 모르겠네요 ..

  • @પબભપનુૂપ
    @પબભપનુૂપ Рік тому +11

    솔직하게 말해서 납땜의 99%는 장비빨인듯합니다. 다이소표 싸구려납에다 싸구려인두기쓰다가 t12하고 메이커유연납 쓰니 대충대충해도 매우 작녹고 잘붙네요

    • @kyokuanemon
      @kyokuanemon Рік тому +1

      와 진짜요? 인두기만 좋은거쓰고 다이소납 사용했는데 납 바꿔바야겠네요

  • @namhansunghyen
    @namhansunghyen Рік тому

    참고 )
    남땝을 할때 납을 빨리 넣으면 납똥이 튑니다
    이게 피부에 닿으면 화상 생길 수 있습니다
    저도 알고 싶진 않았지만 그렇더라구요

  • @user-sm5wb2ks5n
    @user-sm5wb2ks5n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선에 납이 않달라붙고 인두기에 납이 똥그라리 똥으로 떨어지는데요. 뭐가 문제죠?

    • @jajag
      @jajag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인두기의 온도와 납산문제이기도 합니다

  • @꾹꾹-y7n
    @꾹꾹-y7n Рік тому +3

    저렇게 납땜은 노노..전선이 대상에 붙은다음 전선이 보이지않을만큼 납땜하는거임

  • @dreamfactory79
    @dreamfactory79 Рік тому

    인두기 온도,용량과 납 성분,녹는점이 중요함... 일반 인두에 싸구려 납 쓰면 절대 영상처럼 안됨

  • @tayoni800
    @tayoni800 4 місяці тому

    2미리정도 좁은곳은 어떻게 납뗍하나요?백업수은전지 작업해야하는데요 ㅜ

  • @user-ejaepapa
    @user-ejaepapa Рік тому +3

    안녕하세요 자작꾼님!
    인두를 구입하니 페이스트도 같이 들어있던데 꾼님 영상에는 페이스트 사용하시는 모습이 안보이시던데 사용안해도 상관없나요?

    • @namhansunghyen
      @namhansunghyen Рік тому +1

      페이스트면 그 노랑색 무언가를 말씀 하시는건가요?
      만약 그거라면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끔 납땜이 잘 안되거나 혹은 납땜기 끝부분을 청소 하기위해 사용합니다
      다만 많이 사용한다 해서 좋은것은 아니고
      그냥 조금조금식만 납땜기에 묻인다음 사용합니다

  • @이성욱-lsw
    @이성욱-lsw Рік тому +1

    배리~ 굿!!! 잡...ㅎㅎ

  • @딥상어동-d3d
    @딥상어동-d3d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혹시 5핀 납땜 하는법 알려주실수 있어요?

    • @jajag
      @jajag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5핀을 어디다가 납땜을 하시는건지요

    • @딥상어동-d3d
      @딥상어동-d3d 10 місяців тому

      @@jajag5핀이 잘 빠저서 ㅜㅜ 다시 납땜 하는거요

  • @PCBmaker
    @PCBmaker Рік тому +4

    납은 물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 물의 물성으로 수평이 잡힙니다 . 이제 납땜만 39년이 되었네요 ..

    • @jajag
      @jajag  Рік тому +2

      좋은말씀 감사드려용^^*

  • @이현-d4g
    @이현-d4g Рік тому +5

    명필은 붓을가리지않는다고~~~는개뿔 인두기좋네요~~~

    • @hmjeon8609
      @hmjeon8609 6 місяців тому

      알리에서 3-4만에 구할수 있는 저렴한 인두

  • @digan-cv4cs
    @digan-cv4cs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붙여주세요듣다보니 그 스퀴시 더 켓밈이 떠오른다..

  • @jordankim3337
    @jordankim3337 Рік тому +3

    내실력이 문제가 아니라 5천원짜리 인드기가 문제였네

  • @백일홍-e9c
    @백일홍-e9c Рік тому +1

    감사드립니다 제가 ❤❤

    • @jajag
      @jajag  Рік тому +1

      제가 감사하죠

  • @최종학한국전남
    @최종학한국전남 Рік тому +1

    잘보고 배운것 같은데 왜 자꾸 까먹는지 ㅠㅠ
    자작꾼님 댁에 한번 방문해서 다시 배워야 할것 같네요

  • @서서볼일보는뵨간쇠

    중학교때 기술시간에 배우는것 아닌가유 ㅋ기

  • @shs892
    @shs892 2 місяці тому +1

    납땜하는 방법이지 인두하는 방법이 뭐냐.

  • @fffffffffff-o3k
    @fffffffffff-o3k Рік тому +1

    납이 안녹아요...

  • @myungdalkim6586
    @myungdalkim6586 Рік тому +1

    ㅋㅋㅋ 욕밨다..
    위대한거 가르켜 준다고 욕밨다.

  • @서광복-d1s
    @서광복-d1s Рік тому +2

    잘 배우고 갑니다^^

  • @spearo001
    @spearo001 Рік тому +1

    저 납을 사봐야겠내요^^

  • @김영택-g7p
    @김영택-g7p Рік тому

    장비가 일 다한다는

  • @신봉봉
    @신봉봉 Рік тому +1

    잘보구 갑니다...

  • @SuperJamesdean87
    @SuperJamesdean87 Рік тому +2

    핵심을 모르네

  • @ever0615
    @ever0615 Рік тому

    화상주의

  • @블랙쉐프-y9z
    @블랙쉐프-y9z Рік тому +1

    베리굿

  • @user-jvhuvuyvjhgjhkjhkgkjhg
    @user-jvhuvuyvjhgjhkjhkgkjhg Рік тому +1

    영상봤을때 저래납땜하면 금방 떨어진다

    • @jajag
      @jajag  Рік тому

      안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