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모듈 덮개를 알루미늄 대신 MPPO를 쓰는 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1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199

  • @cnh8778
    @cnh8778 6 місяців тому +53

    차쌈이라는 유튜버 영상을 지난 몇일간 쭉 봤는데 의도성을 가지고 대조군을 동일하게 제시하지 않고 본인이 유리한 방향으로 인지편향 될수있도록 선동하기위한 논문을 긁어오는 경향이 많습니다.
    일례로 LFP NCM 배터리 비교 관련된 영상에서는
    1. LFP 설명에서는 저온 특성에 대한 그래프를 제시
    2. NCM배터리 설명에서는 저온특성 그래프는 제외하고 제조사별 하계/동계 비교간에 주행거리가 얼마나 감소하였느냐? 라는 퍼센테이지만 보여주는식.
    ( 전기차에서 동계에는 당연히 히터를 가동하니 감소하는것이 당연한것인데 저런식으로 유리한 정보만 가져와서 날조)
    3. NCM배터리의 저온특성 그래프도 제시를 하여 LFP배터리와 그래프상 비교를 해주면 동일한 비교군 대조가 간단하게 보여질것임
    4. 또한 동일 기온 조건과 동일 차종의 LFP모델과 NCM모델의 효율차이를 비교하면 대조군 완성
    (이 또한 완충상태에서 동일시간, 동일거리 주행한 이후 완충전 금액이 얼마만큼 지불되는지 비교하면 간단함에도..)

  • @제레미크락숀
    @제레미크락숀 6 місяців тому +50

    이래서 무식한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 무섭다고 하는거임

  • @우리썬
    @우리썬 6 місяців тому +67

    어그로 끌거나 안티현기해서 돈 벌려고 하는 사람들은 시장의 한계가 있습니다. 절대 구독자의 한계가 존재합니다. 이런 채널들은 어느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들은 절대 안봅니다. 똑똑한 사람들에 대해 반감이 있는 미성숙한 인간들이 많이 보는 것 같더라구요. 팩트로 후둘겨패도 좀비처럼 일어나서 개소리를 하더라구요. 안티는 자기 자신을 좀먹고, 자기 자신의 가벼움을 증명하는 증거입니다. 자존감도 높고 어느정도 사는 사람들은 안티할 시간조차 없기 때문입니다. 남을까서 돈을 버는 사람들처럼 하찮은 사람은 없습니다.

  • @리리wf5xnjj
    @리리wf5xnjj 6 місяців тому +22

    ㅋㅋㅋㅋㅋ 상남자는 절대 아닌게 마지막 영상에 선생님 말이 다 옳습니다 라면서 현기차 불난거 올리고 정신승리로 마무리 ㅋㅋㅋㅋ

  • @HGwannabe
    @HGwannabe 6 місяців тому +104

    차쌈인지 보쌈인지, 플라스틱이라고 하면 그냥 지네 애들 장난감 만드는 플라스틱인 줄 아는 듯.

    • @donbu-ahn
      @donbu-ahn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M16이나 k2도 플라스틱으로 만듬.

    • @Gomdong
      @Gomdong 6 місяців тому

      원래 이종격투기 배운 애들중에 생각 꼬인 찌질이들 개많음 ㅋㅋㅋㅋ

    • @dogzombie7619
      @dogzombie7619 6 місяців тому

      @@donbu-ahn 탄창부터 총구까지 플라스틱 인가요?

    • @mochikun9937
      @mochikun9937 6 місяців тому +3

      @@dogzombie7619 총열덮개부분(제일뜨거운부분) 미필이신가요?

    • @roks0308
      @roks0308 6 місяців тому

      ​@@donbu-ahn 글락도 플라스틱이죠

  • @pim950
    @pim950 6 місяців тому +40

    요새는 전투기 캐노피도 플라스틱인데, 요즘 플라스틱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모르는 인간들이 너무 많아요.

  • @호세냥이가족
    @호세냥이가족 6 місяців тому +47

    차쌈은 안녕 했어요. 그리고 알고리즘에 안보이게 채널차단 혹시모를 아이에게도 추천차단 했습니다. 어린이 유해채널 신고 인생에서 서로 볼일 없을듯

  • @gjba410
    @gjba410 6 місяців тому +11

    무식해서가 아니라 악의를 가지고 의도적으로 전기차시장을 혼란에 빠트리는 자들은 엄히 처단해야 합니다.

  • @4k4kstrollman6
    @4k4kstrollman6 6 місяців тому +27

    친환경에 난연에 가공쉽고 절연성도 띈다? 제품제조에 있어서 투자력이 충분한 제조사 입장에선 써야만 할 소재네
    이러니 샌디먼로 같은 엔지니어들이 E-GMP의 bsa를 극찬한거지.

  • @아조씨랑친구할래
    @아조씨랑친구할래 6 місяців тому +33

    선동하는 유튜버도 문제지만 거기에 휘둘려서 놀아나는 시청자도 답답하기 그지없다... 전문가,현업종사자들의 말은 싹무시하고 자극적인 말만 따라다니니 ...

    • @빨붕
      @빨붕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조씨랑친구할래 100중에 80명은 원숭이라니까요 원숭이도 댓글 너무 쉽게 다는게 문제죠 뭐

  • @Ddyu0007
    @Ddyu0007 6 місяців тому +31

    이시간에 올리는게 신기한데 이시간에 보는 저도 웃기네요 ㅋㅋㅋㅋ

    • @whyissueTV
      @whyissueTV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ㅎㅎ 이른 저녁에 잠들었더니, 새벽에 깨버렸습니다.

  • @Shuriev
    @Shuriev 6 місяців тому +25

    플라스틱이 훨씬 유리한게 확실하군요.
    역시 공학자 과학자가 아닌사람이 나대면 이상하니 판단 나올때 까지 기다리는게 답이었어 ㅋㅋㅋ

  • @지글이-p7l
    @지글이-p7l 6 місяців тому +39

    진짜답답한게 차쌈인치 뭔 팔이인지 저짝은 한부분만 띡 구글링해서 긁어와서 번역기돌려서 올리면 이짝에선 한참 설명하고 얘기해도
    저짝은 또 띡 드르륵 딸깍 ㅡㅡㅋ

  • @lagardena8551
    @lagardena8551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이게 바로 전문성있는 컨텐츠 인거지

  • @DarakCho
    @DarakCho 6 місяців тому +13

    요즘 최고가 부품은 전부 카본 결합 화합물 = 플라스틱 입니다.
    알미늄 자전거와 카본 자전거 가격차이 검색만 해봐도...

  • @MatthewMSong
    @MatthewMSong 6 місяців тому +19

    KS 표준에도 플라스틱 난연 기준이 있습니다. KS M 3015 :열경화성 플라스틱 일반 시험 방법의 6.24(내연성, A/B/C 방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완성품 별로 따로 정해진 난연기준이 있기도 합니다.(예: 전력 케이블 피복의 난연 기준 등)
    UL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수출을 염두해서 그렇습니다. 그냥 국내 내수전용이라면 KS기준만 해도 되지만, 수출을 고려할 경우에 UL 시험 성적은 많은 국가에서 개별 국가의 시험을 통과한 것과 동일한 지위를 주는 경우가 있어서 확보해 놓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사용하려는 고객/기업 입장에서도 개별 국가 기준 찾는것보다 글로벌 인증 기관인 UL 기준과 자국 품질 기준만 알고 있는 게 편하고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현기차는 AEC(Automotive Electronics Council: 미국 자동차 전장부품 위원회) 기준 시험도 거칩니다. 이 AEC에도 인증 기준으로 Q100, Q200 등이 있으며 그 안에는 당연히 난연성/(열내구성)시험도 있습니다.(예 AEC Q200-001). 물론 AEC는 배터리에 대한 인증은 아니고 다른 전자부품 인증이지만, 타부품이라도 적용되는 인증 기준 정도는 충족하는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u.k221
    @u.k221 6 місяців тому +13

    어차피 그 인간 대학원은 경영 대학원이고 학부는 금오공과대입니다.

  • @네코-u2r
    @네코-u2r 6 місяців тому +24

    그넘은 다른데는 알루미늄 쓰는데 왜 현대만 프라스틱 쓰냐 원가 절감 기술력 부족이다 이말인듯

  • @yumyumlol-o7r
    @yumyumlol-o7r 6 місяців тому +15

    여기 아직 녹는점 이런거 이야기 하는 상황 파악 못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팩트를 알려주겠습니다. 알루미늄의 녹는점이 얼마인지 MPPO의 녹는점이 얼마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화재 났을때의 배터리 셀의 온도가 중요합니다. 알루미늄 덮개의 온도가 100도가 되면 보호를 받고 있는 내부의 셀도 100도가 됩니다. 하지만 MPPO 덮개가 100가 되면 내부 보호받고 있는 셀의 온도는 1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즉, 커버가 몇도에 녹는가가 중요한게 아니라, 덮개 재질이 내부 셀의 온도 변화에 얼만큼 영향을 주냐가 중요합니다.

  • @madeun
    @madeun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Winters84
    @Winters84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진짜 완벽한 정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challesyani7956
    @challesyani7956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귀에 쏙쏙 들어 오는 설명 감사합니다

  • @eondeoggilbigrock
    @eondeoggilbigrock 6 місяців тому +30

    ??? : 아니야 빼에액!!! Meb가 더 안전하다!!!
    이러고 지 욕한사람 고소한답디다. 뭔 사람이 찌질해서야...
    깔끔히 찌그러지는게 지 신상에 좋은데...

    • @허황-c3i
      @허황-c3i 6 місяців тому +7

      거의 마지막에 쓰는 수법들인데 벌써 쓰다니... ㅋㅋㅋ

  • @허황-c3i
    @허황-c3i 6 місяців тому +6

    오 문과출신이지만 무슨말인지 이해하기 쉽네요 ㅋㅋ

    • @지평선-x
      @지평선-x 6 місяців тому

      글쵸..그런데 그쪽 댓들 중에는 이쪽은 어렵게만 설명한다..그쪽이 쉽고 간단명료하니 정답이란 식의 댓도 있더라고요..😂😂😂
      예를 들어 12×12는 2는 두 번 곱해 44.
      1은 하나니 한 번 곱하면 1. 이래서 144. 이런 식으로 말도 안되는 근본없는 공식 대입해서 이게 쉬우니 답이다!! 라는 느낌이었어요..휴..😅😅😅

  • @Fabio-kim
    @Fabio-kim 6 місяців тому +7

    기계공학과 출신으로써 열변형온도 190도 가지고 난리치는거 보고.... 할말을 잃었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

  • @청라-f4f
    @청라-f4f 6 місяців тому +5

    👍👍👍👏

  • @ujgt2873
    @ujgt2873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인간들이 플라스틱쪼가리라고 까는게
    1100도에서 5분 30초 태워도 반대쪽은 200도도 오르지 않는다
    배터리모듈 기술력차이
    현기가 오히려 최신기술 복합적이고 비용 많이들인 고가 질좋은 거고
    독일자동차가 오히려 옛날 구닥다리 단순한 저가 질낮은 거고
    그인간은 반대로 해서 어그로 끌고 조회수땡겨
    에이 설마 현기가 독일회사보다 좋을리가 있어? 이런 심리 이용해서.
    시대가 바뀌었다.

  •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6 місяців тому +9

    ㅋㅋㅋ 아 미치겠다. 현피??
    아인슈타인이 링의 제왕이었나? 무슨 공학을 주먹으로 하나? 때려눕히면 자기 이론이 이기게 되는겨? ㅋㅋㅋ
    더군다나. 쇠형이 더 쌜거 같음. 몸 좋음. 왜잇슈님 덩치 모르나? 맨날 화면 귀퉁이에 쪼맨하게 나와서 귀욤짓 하니까 만만하다 생각했는가 보다 ㅋㅋ

  • @djcjrnsllink
    @djcjrnsllink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쓰레기 하나 때문에 이런거까지 공부해서 전기차를 타야 하다니...

  • @seungyonglee309
    @seungyonglee309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번주 라이브는 sne배터리데이 리뷰 어떨까요? 전고체 얘기가 많이 나오던데 이슈님의 리뷰가 궁금하네요.

  • @antliel
    @antliel 6 місяців тому +10

    ㅊㅆ아
    그렇게 금속이 좋으면 소방대원 방화복을 금속으로 하면 되겠네...?
    이게 말이 된다고 생각함? ㅋㅋㅋ

  • @smith5993
    @smith5993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이정도면 그냥 차 좋아하는 일반인이 어줍잖은 상식으로 유튜브로 돈벌고 싶어서 채널 만든거 아닙니까? ㅋㅋㅋㅋ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상식도 아니라는게 문제죠^^

  • @지잡대대코더
    @지잡대대코더 6 місяців тому +8

    모 커뮤에서 재료공학 출신이라면서 그분을 빠는애도봄 대학때 뭘배운거지

    • @허니랑
      @허니랑 6 місяців тому

      혹시 t거기요?저도 본거 같아서

  • @justinkim148
    @justinkim148 6 місяців тому +7

    현기를 제외한 다른 회사는 상식적인것조차 못하는 수준이군요. 현기 화이팅.

  • @expertisyou3354
    @expertisyou3354 6 місяців тому +1

    폴리 모시깽이🎉 이런 설명이 없었다면 생각만해도 혼돈 난리 부루스겠어요~~
    폴리 모시깽이 너무 강력한 단어입니다.

  • @남기성-y2m
    @남기성-y2m 4 місяці тому

    이 소재는 어디서 구매 할수 있나요?

  • @레인메이커-j2o
    @레인메이커-j2o 6 місяців тому

    벌레 하나때문에
    여러분들이 고생이 많네요.😅

  • @palmarium92
    @palmarium92 6 місяців тому

    애초에 공학적 지식이 없어도 알 수 있는게 단순 화재예방을 넘어서 화재가 확산되지 않는게 중요한 패키징에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소재가 열전도율 낮은 소재보다 안전하고 좋다고 주장하는건 고등학교 수준의 지식에도 못미친다는 증거인데 그 병s은 왜이렇게 주제를 모르고 설쳐댈까

  • @gaegeuji
    @gaegeuji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오우 오우 !!!!

  • @jong-sukjeong3652
    @jong-sukjeong365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잘 배우고 갑니다요...ㅎ

  • @hjctohj8370
    @hjctohj8370 6 місяців тому

    가격 말씀 하셨는데 수지 비중을 비교 안하셨네요

  • @harrislawrence5250
    @harrislawrence5250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열변형이랑 난연이랑 뭔차이냐 질문하니 대답안함 ㅋㅋ

    • @ujgt2873
      @ujgt2873 6 місяців тому

      삼성 메모리사업 파운드리사업 구분도 못하는 사람.
      딱 그런 수준끼리 모여서 믿고

  • @Travel_over_sea
    @Travel_over_sea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녹는점과 부드러워 지는 지점은 고등학생때 이미 배웠던거 같은데 말이죠;;

  • @fermata5882
    @fermata5882 6 місяців тому

    궁금한게 있어요!
    자동차용 12볼트 시동용 배터리도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던거 같은데 여기도 MPPO소재 쓰이는건가요?
    여긴 플라스틱 아닌가..?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거긴 산성에 강한 내부식성 플라스틱일거입니다. 안에 들어있는게 황산이라 ㅡㅡ

    • @fermata5882
      @fermata5882 6 місяців тому

      @@lovecats353 답변 감사합니다!
      12볼트 배터리에는 황산이 들어있나보네요ㄷㄷ
      저들이 플라스틱으로 헛소리 하길래 궁금해서 질문 드려 봤네요
      생각보다 많이 쓰이고 있는데 말입니다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1

      ​@@fermata5882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생각보다 많이 쓰이고 여러종류가 있죠,,,,좀 특이한특성이 있는것중 정전기는 안생기는데 통전이 돼는 플라스틱도 있어요.

  • @alskdjdieng
    @alskdjdieng 6 місяців тому +6

    차세대 egmp에도 플라스틱 유지한다고 생각하면되죠?
    메탈소재로 가면 원가 절감한다고 생각하면 되는거맞죠?

    • @karisam91
      @karisam91 6 місяців тому

      네. 알루미늄이 더 싸요. 성형도 쉽고. 그걸로 안쓰는 이유가 있는 겁니다. 불이 번지지 말아야 해요.

  • @Protein_isgood
    @Protein_isgood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엥? 제 댓글이 삭제가 된 건가요...?

    • @Protein_isgood
      @Protein_isgood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반박의견이 모 동호회에 올라와 공유합니다.
      “mPPO는 EP 중에서 내열성이 뛰어난 소재가 아닙니다.
      그리고 비결정 수지인 mPPO에 녹는점이 어디있나요?
      플라스틱의 물성을 평가할때는 당연히 HDT/DTUL을 사용해야죠.
      주워들은 단어를 아무렇게나 늘어놓는다고 공학적으로 옳은 말이 되는게 아닙니다.”

    • @Protein_isgood
      @Protein_isgood 6 місяців тому

      @@SkyKeeperH2유튜브에 의해 삭제됬나 봅니다.

    • @Protein_isgood
      @Protein_isgood 6 місяців тому

      @@SkyKeeperH2안티라서 이러는건 아닙니다 ㅠㅠ

    • @yumyumlol-o7r
      @yumyumlol-o7r 6 місяців тому

      @@Protein_isgood mPPO는 알루미늄보다 내열성이 뛰어난 소재 입니다. 이걸 반박하고 싶다면 그 들이 우상숭배하는 폭스바겐이 알루미늄 말고 mPPO보다 뛰어난 내열성을 가진 플라스틱을 쓰면 되는 거죠.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가 않죠... 그래서 현기가 더 우수하다는 겁니다. 그리고 문제는 그쪽 사람들은 HDT를 녹는점으로 해석을 한다는 것 입니다. MPPO의 열변형 온도 190도라는 것은, 실제로 190도가 되면 흐믈흐믈 해진다는게 아닙니다. 일반 대기압의 17배의 힘을 가하여 MPPO가 0.25mm정도 휘게 하기 위해 주어야 하는 온도가 190도라는 겁니다.

    • @이상민-g5k
      @이상민-g5k 6 місяців тому

      모든 물질은 고체액체기체 의 상태가 있지않나.
      물질마다 그 지점의 차이가 있을뿐 다 있는걸로아는데
      찾아보니 뚜렷한 녹는점이 없을뿐이지 광범위한 온도로 녹는다고합니다.
      그래서 본 영상 소스인 라이브에서 범위로 표현해놓으셨습니다.

  • @뜬다
    @뜬다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오 ul94에대해 다시공부하게되었어요
    그런데 *쌈 영상은 "mppp GF 10%"에대해 이야기하고있고 난연성은 HB 인데 왜 V0에 대해 말씀하시나요? 그니까”mppo GF 10%“물성표는 HB등급이라 나와있어도 난연성 V0가 나올수 있나요?....
    v0가 가능하면 그냥 표기에 "mppo GF 10% FR v0" 되어 있는걸로 알아서요
    그리고 국내법규의 난연등급이 있는걸로 아는데 mppo재료로 국내 난연시험 진행하면 어느정도 나올까요?

    • @whyissueTV
      @whyissueTV  6 місяців тому +27

      @@뜬다 잘못알고계시는군요.
      HB는 수평시험입니다.
      V는 수직시험이구요.
      당연히 두개는 다른시험이므로 두가지를 다 통과한다면,HB이면서 V0일수도 있는겁니다.
      그리고 난연시험은 다 UL로 합니다.
      섬유나 뭐 다를쪽은 다른게 있는거 같은데,
      플라스틱은 다 UL입니다.

    • @뜬다
      @뜬다 6 місяців тому +2

      @@whyissueTV 오 감사합니다
      구글 검색
      5VB→V-0→V-1→V-2→HB
      난연 등급인줄 알았어요
      HB가 가장 낮은 등급
      아니군요 수직 수평이구나

    • @smilewoong
      @smilewoong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뜬다 오 저도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csk1078
      @csk1078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뜬다생각하시는게 맞습니다. 기본적으로 테스트 시편이 수평인 상태에서 불꽃에 견디는 정도랑, 수직으로 세우고 그 아래에서 불꽃을 붙여 견디는 것을 생각했을 때, 수직 시험이 가혹할 수 밖에 없어요. 따라서, HB < V-2 < V-1 < V-0 < 5VB 순으로 난연성이 좋아요...
      참고로, mPPO의 비중이 1.03 ~ 1.3x (GF 30 정도) 됩니다. 알루미늄이 2.3 정도이니, 대략 알루미늄의 1/2 수준으로 가볍습니다. 당연한 얘기지요.
      수분흡수율(치수 안정성)도 GF 섞지 않은 일반 등급 기준으로는 0.5~0.8% 수준(0.005~0.008)으로 비보강 PC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 @m18377h
    @m18377h 6 місяців тому +2

    MPPO의 녹는점은 몇도인가요?

    • @소욕지족-u5g
      @소욕지족-u5g 6 місяців тому +1

      190도 알루미늄 660도

    • @melon_milk94
      @melon_milk94 6 місяців тому +16

      ​​@@소욕지족-u5g 8:39 열변형 온도가 190 도 이것을 이해 못하는건 지능의 문제?

    • @MR-se6sm
      @MR-se6sm 6 місяців тому +8

      @@소욕지족-u5g 모르면 답변을 하지말아야지

    • @소욕지족-u5g
      @소욕지족-u5g 6 місяців тому +1

      @@melon_milk94 녹아야 변형이 되지 아이큐 80만 되도 이해 할텐데 쯧

    • @이상민-g5k
      @이상민-g5k 6 місяців тому +10

      ​​​@@소욕지족-u5g 영상에 softening 포인트라고 떡하니 구분해놨는데. 수준ㅋㅋ
      결합구조가 완벽히 무너져야 녹는다고 말하는거지ㅋㅋ
      너같은 애들도 이해할수있게 비교해줄게
      두사람이 서로 손을 꽉잡고 있는거랑 꽉잡고 있다가 적당히 힘을빼서 잡는다고
      그게 손을 놓는다고 말하는거냐? 여전히 잡고있는거지ㅋㅋㅋ

  • @bboguni
    @bboguni 6 місяців тому

    현실주정 우물안개굴이채널이자나

  • @jj-zd2vl
    @jj-zd2vl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 그리고 열전도율에 대해선 안정적이라도 결국 플라스틱은 충격에 약한건 사실인데 알루미늄도 두껍게 안깔면 안정적이진 않지만 원가절감많이한 id4에 비해서도 모듈이 충격에 부실한건 사실아니겠습니까. 현기 배터리팩 소재가 뭔진 모르겠지만 배터리 재활용하는 업체의 유튜브 보면 팩이 단단해 보이지만서도 사고난것들보면 팩이 찌그러거나 구멍이 생기고 모듈에 데미지가서 열폭주가 생기던데 모듈도 단단한 재질로 두껍게 만들어야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1

      0.5t 이하로 만들어진 알류미늄판이면 그놈이 그놈임니다,,,,주먹으로 쳐도 구브러지고 토치로도 구멍이뚤리는데 뭔 안전성이 있어요

    • @yumyumlol-o7r
      @yumyumlol-o7r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뇨. 배터리 셀을 충격으로 부터 방어 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을 쓰면 안되고 플라스틱을 써야 합니다. 왜냐면 알루미늄(금속)은 충격을 상쇄 하지 않고 받은 충격을 고스란히 내부로 진동파로 전해줍니다. 쉽게 말해서 외부에 알루미늄에 충격을 가하면, 그 알루미늄이 보호하고 있는 배터리 셀에 진동파로 고스란히 전해지기 때문에 배터리셀은 진동파에 의해 파손이 되고 폭발 합니다. 플라스틱은 받은 충격을 진동파로 발산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의 배터리 셀을 더 잘 보호할 수 있습니다.
      결론. 알루미늄은 충격을 받으면 그 충격 에너지에 의해 자신이 파손되는 것을 내부 배터리 셀에게 전가하여 배터리 셀이 파손됨. 플라스틱은 충격 받으면 그 에너지를 오로지 자신이 받아 자신이 데미지를 받고 그 대신 내부 배터리 셀에게는 충격 에너지가 전가 되지 않음.

    • @jj-zd2vl
      @jj-zd2vl 6 місяців тому

      @@yumyumlol-o7r 것도 플라스틱이 두꺼워야 해당되는거 아입니까... 얇은거 하나 붙여놓고 진동파고 나발이고 무슨 의미가 있는지요

    • @yumyumlol-o7r
      @yumyumlol-o7r 6 місяців тому +1

      @@jj-zd2vl 플라스틱이던 알루미늄이던 얇게 써야 하고, 같은 두깨 대비 충격시 플라스틱이 알루미늄보다 진동자수가 적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 에너지를 내부로 진동에너지로 방출 하는게 훨씬 적습니다. 즉, 알루미늄은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자신이 파손 되지 않는 대가로 외부의 에너지를 내부 배터리 셀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내부 배터리 셀을 파괴 합니다. 플라스틱은 외부 충격 에너지를 고스란히 프라스틱 분자 구조 변형으로 가게 하여 충격 에너지가 배터리 셀로 전가되는 것을 막는 것 입니다.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이해하면 왜 금속은 내부 맞닿는 보호 대상을 제대로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를 잘 못하는지 이해를 할수 있습니다.

    • @jj-zd2vl
      @jj-zd2vl 6 місяців тому

      @@yumyumlol-o7r 그렇군요..
      그럼 왜 폭바나 벤츠의 경우는그 두껍게 만드는 것인지요. 그리고 테슬라는 원통형을 쓰는데 원통형은 얇게 안만드는 걸로 알아요 그것들은 왜그런지 알수 있을까요.

  • @1FZER
    @1FZER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네이버 카페에 국립소방연구원실험 보고자료가지고 열폭주나면 플라스틱 의미없다 라고하는데 이건 어떻게된건가요?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8

      에초에 열폭주가 안나니 무의미하지

    • @Gk00099
      @Gk00099 6 місяців тому +8

      배터리에서 열폭주 뭐시가 난다면
      알루미늄이고 뭐고 바로 사라지니까요?...

    • @antliel
      @antliel 6 місяців тому +9

      배터리 발화가 났다고 치고
      알루미늄이건 MPPO이건 언젠가는 뚫립니다
      근데 그 뚫릴 때 까지의 시간을 지연하고자 난연 소재를 쓰는 것이고
      얇은 알루미늄은 순식간이 열이 전도되어 녹아 버리고
      MPPO는 제법 견딘다는 거죠
      그걸로 사람이 탈출 할 시간을 벌어준다는 겁니다

    • @yumyumlol-o7r
      @yumyumlol-o7r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배터리 열폭주는 지금까지 일어난 적은 없지만, 만약에 일어난다고 치면, 오히려 알루미늄 소재는 더위허머합니다. 왜냐면 하나의 배터리 팩에서 열폭주가 일어나면 온도가 순식간에 수백도오 올라갈 것이고, 열 전도가 매우 뛰어난 알루미늄 벽을 통해서 수백도의 온도가 바로 옆의 배터리 팩으로 전달 됩니다. 그러면 순시기간에 하나의 팩에서 시작된 수백도의 온도가 알루미늄에 의해서 전기차 전체 배터리에 전달되어 큰일 납니다.

  • @tntjin3
    @tntjin3 6 місяців тому

    질문이 있어 여쭙습니다.
    일단 ev9 or 모델y 고민자입니다.
    크기나 안락함 사이즈 등등 ev9가 마음이 더 가는데 지지난주인가 평택 ev6 연석사고로 열폭주 사망 사건으로 맘이 편치 않아 여기저기 찾아보다 요즘 패킹소재로 여러이야기들이 오가네요.
    결론적으로 소비자 입장에서 mppo gf10 v0가 알루미늄 대비 더 안전하다고 판단이 가능할까요?

    • @무거운다람쥐
      @무거운다람쥐 6 місяців тому

      차를 사려는 건지 이미 결론을 지어 놓고 이야기를 듣고 싶은건지는 모르겠으나.. 모델 S와 Y 배터리가 다른데 알루미늄케이싱이 적용된지는 모르겠고 두께에 따라 소자가 버티는 인장 강도가 차이가 날 텐데 3배는 또 무슨 이야기 인지 모르겠네요. 배터리 보호와 인장강도는 또 뭔 관계인지 모르겠고. 그냥 맘가는데로 사세요..이미 머리속이 너무 많은 정보로 혼란해져서 어떤 이야기를 해도 결정에 도움이 안될 듯 합니다.

    • @무거운다람쥐
      @무거운다람쥐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리고 고물상도 아니고 재료 단가를 무게로 산정하나요? 이거원 어디서 이런 교묘하게 뒤틀린 정보를 퍼트리는지 궁금하네요

    • @tntjin3
      @tntjin3 6 місяців тому

      ​​@@무거운다람쥐잘알지도 못하는 정보라 그냥 구글링과 내용을 보다보니 오해 소지있는 내용은 삭제했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냥 마음가는데로 가야겠네요.
      인장강도는 열처리된 알루미늄이 260Mpa로 참고했었습니다. 아무튼 감사합니다

    • @무거운다람쥐
      @무거운다람쥐 6 місяців тому

      @@tntjin3가족 모두가 만족하는 차를 사세요. 전기차 안전에 확신이 없으면 내연차로 가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 @들개-q9n
      @들개-q9n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건 고민은 해봐야 끝이 없을겁니대
      그냥 내연차 추천드려요, 전기차 보다는 화재율도 높고 대부분 전소 되지만
      그간 잘 타왔잖아요 고민하지 마시고 속편한 내연차 사시는데 맘편하실듯
      그래도 고르라면 전 ev6 입니다
      차는 일단 안락하고 편해야 제값을 한다고 보기에
      테슬라는 주행느낌이 너무 날것 그대로라 별로 였어요
      친구차 였고 2년만에 아이오닉5로 가더군요
      패밀리카는 편한게 최고임

  • @Circus-d7n
    @Circus-d7n 6 місяців тому +5

    현대 기아가 세계 최고 영업 이익을 내는 기업인데, 다른 제조회사보다 비싼 재질을 자동차 부품으로 썼다?
    일단 이거부터 신뢰가 가지 않네요.
    그리고 mppo가 그렇게 안전한 소재인데 다른 제조회사들이 채용을 안하고 현대만 했다? 이건 왜그런걸까요?

    • @goyomim5728
      @goyomim5728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신뢰가 없으면 현기차 사지마라 뭐 타고 다닐수도 있겠네

    • @yumyumlol-o7r
      @yumyumlol-o7r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왜냐면 현기는 세계 최고 영업 이익을 내는 기업이기 때문에 그러한 원가 절감을 하지 않고 과감하게 MPPO를 채용한거죠. 돈이 남아 도니까요. 하지만 폭스바겐은 지금 자금력에 발등에 불떨어진 상황이라 기술 개발 투자비 까지 줄인 마당에 자동차 부품에 원가절감이 매우 절실하여 전기차 배터리 모듈에 MPPO를 안쓰고 알루미늄 쪼가리나 쓰면서 원가해서를 최대한 아껴야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알루미늄을 쓴것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까지 해서도 안되니 결국 지금와서 돈 아끼는걸 포기하고 현기의 BSA를 쓰기로 한겁니다.

    • @ckkim-py5yd
      @ckkim-py5yd 6 місяців тому +6

      그게 의문이고 반박하려면 님이 아니란 근거를 들고와서 반박을 하셔야하지 않겠어요? 뭐 애들처럼 다 떠먹여 달라는건 아니실거잖아요?

  • @박이사-f6x
    @박이사-f6x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단순 명료하게 답해라.
    너들 해봤어.
    연탄불에 두종류 올려봐라.
    바보들의 행동

    • @ckkim-py5yd
      @ckkim-py5yd 6 місяців тому +4

      단순 명료하게 답해라.
      너들 해봤어.
      연탄불(연탄이 아직 있나?)에 두 종류(MPPO와 알루미늄) 깔고 배터리를 올려봐라. 어느 쪽이 먼저 터질지..
      이걸 직접 해봐야 알겠다면 멍청이

  • @코고고-h4z
    @코고고-h4z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 편파 유튜버 오토기어와 같은 회사식구 ㅋㅋㅋㅋㅋ

    • @Rhdmsdl
      @Rhdmsdl 5 місяців тому

      @@코고고-h4z ㅋㅋㅋㅋㅋㅋ 웃기네요.
      위 영상에대해 반박좀 해주세요 공학자님이시면 더 좋겠네요

  • @yisurin78
    @yisurin78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번에 차쌈님 영상 올라온거에는 영상주제로 쓰인 소재는 불이 위로 막 피어오르던데 금속배터리팩은 안그러니까 금속배터리팩으로 해야한다는 의견이 아닐까요? 전 문외한이라 여쭤봅니다.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8

      그건 베터리에 과부하걸어서 불을 붇이고 소화액 실험하는영상아닌가요?
      뭐 에초에 0.5t짜리 알류미늄이면 불나오는 순간 뚫림니다

    • @ckkim-py5yd
      @ckkim-py5yd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차쌈이가 열 폭주를 주장하며 그 영상을 올렸는데 문제는 애초에 그 영상은 열 폭주를 실험하는게 아니라 강제로 열 폭주를 일으키고 소화시키는 소화실험 영상이고 열 폭주를 위해 몇 개소의 셀 이나 모듈에 강제 발화를 시켰는지 등 실험 정보가 없습니다. 열 폭주를 실험한다면 사고 조건을 가정하여 특정 부위에 충격을 주거나 특정 위치에 외부 화재, 또는 특정 셀이나 모듈에 직접 화재를 일으켜 인접한 모듈로 전이되어 열 폭주가 일어나는 과정을 실험하는 게 타당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모듈이 금속으로 되어있다 가정하고 그 영상에서와 같은 화염이 발생되면 안전할까 라는 부분인데 그 정도 화염을 금속으로 싸서 내부에 가둔다면 폭발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군대에서 쓰는 수류탄에 들어 있는 화약의 양은 200g 정도라고 합니다. 그 화약을 꺼내서 불을 붙이면 "뻥" 터지는 게 아니고 화르르 타 버립니다. 그런 화약을 강철 몸체에 넣고 지연신관을 장착한 게 반경 수십미터 쓸어버리는 수류탄입니다. 배터리모듈을 금속으로 하면 과연 더 안전할지 생각해볼 게 많을 것 같습니다.

    • @이상민-g5k
      @이상민-g5k 6 місяців тому +6

      애초에 그 상황이 되려면 배터리팩을 밀고들어와서 모듈까지 데미지가 가야됩니다ㅋㅋ
      EGMP는 단조방식이라 겁나 튼튼해요
      근데 그게 박살나서 불이날정도면....음 사람은...?

    • @yisurin78
      @yisurin78 6 місяців тому

      @@lovecats353 소화액의 성능을 검사하는 실험은 아닌거같고 일부로 과부하를 주는건 맞는거같슴다.

    • @들개-q9n
      @들개-q9n 6 місяців тому +6

      해당 업체는 소화 관련업체로 알고있고 그 실험 목적자체가 ​불을 내는 실험이라 그것만 보고 난연소재에 따른 화재현상의 차이로 이해하면 안됩니다 목적자체 불 지르는게 목적이라
      이걸로 문제가 된다면 내연기관 연료통에 불지르고 이거봐라 위험하니 내연기괜 문제다 라고 하는 것과 다를게 없죠 @@yisurin78

  • @변강실-e5s
    @변강실-e5s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오토대전 관전중인데~서로 많은 비방은 안했으면 합니다.실수가 있으면 바로잡고 몰랐으면 알면되는거고~ㅋㅋㅋ 어쨋든 오토대전때문에 원래는 안풀으셨을 좋은지식 많이 배워갑니다.

    • @얼음장사
      @얼음장사 6 місяців тому +9

      서로 비방은 안했으면 한다는 말은 여기서 하실게 아니라 자기가 뭔말 하는지도 모르는 저쪽 채널 가서 하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ㅎㅎ

    • @antliel
      @antliel 6 місяців тому +7

      비방은 저기서 먼저 한참 전부터 했습니다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여긴 비방이 아니라 팩트로 승부합니다 ㅡㅡ

  • @Kostryukov-Mihal
    @Kostryukov-Mihal 6 місяців тому +2

    Iccu 리콜 랬는데도 완속 되다말다 한다 아어!!! 제발 iccu나 교체해줘라!!!

    • @이상민-g5k
      @이상민-g5k 6 місяців тому

      리콜하실때 오류코드 검출되셨나요?

    • @yumyumlol-o7r
      @yumyumlol-o7r 6 місяців тому +6

      그건 님이 쓰고 있는 충전기를 교체 해야 함.

    • @ckkim-py5yd
      @ckkim-py5yd 6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걸 왜 여기다 요구하나요? 현대차 서비스센터에 요구를 하는게 당연하고도 상식적이지 않을까요?

    • @무거운다람쥐
      @무거운다람쥐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완속 충전기가 후진거에요. 충전기 교체 추천드려요.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충전기를 바꿔라,,,좀,,,,리콜했다는건 님충전기가 문제가 있다는거임

  • @호준-n1d
    @호준-n1d 6 місяців тому

    내 귀가 막귀인가, 동영상 봤는데 프라스틱이라고 안하고 Stay max fr 하고 glass fiber 30프로 섞어서 만든 몰딩이라고 하는데

    • @STS-x8b
      @STS-x8b 6 місяців тому +3

      @@호준-n1d 좀 더 들어보면 플라스틱이라고도 함. 모델명도 보여주는구만

    • @whyissueTV
      @whyissueTV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그게 플라스틱입니다. 그리고 플라스틱이라고 하는데요?

    • @goyomim5728
      @goyomim5728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러니깐 플라스틱소재에 glass fiber 30% 넣어 물성치를 올렸다는 뜻임
      쇠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탄소를 넣듯 플라스틱도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첨가물을
      넣음 그게 glass fiber 30%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6

      이분 플라스틱의 개념부터 모르는거같다 ㅡㅡ

  • @teahoney1560
    @teahoney1560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그럼 현재 지속적으로 보여지고 있는 현기전기차의 열폭주 화재는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아무리봐도 타 브랜드와 확연한 차이가 있는데요. 혹은 단순 불이 잘붙는다 아니다의 문제만 가지고 이야기 할 부분이 아니라 강도까지도 함께 생각해봤을때 플라스틱의 강도가 낮기 때문에 불이 그렇게 쉽게 붙는걸까요? 지금의 포인트는 단순히 난연이다 아니다의 문제만은 아닌거 같고 현기차의 배터리팩에 문제가 있다는 건데 한쪽에서 난연이라 괜찮다 라고 주장하면서 이쪽에만 이야기가 포커스가 맞춰지고 있는것 같은데요. 가장 중요한 문제는 그 케이스 소재가 파우치형배터리를 보호하기에 적합하냐의 부분인것 같구요. 보여지는 양상들은 아닌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게 사실이구요. 여러 실험영상을 통해서 많이 봤지만 ncm배터리가 충격에 의해 폭발하며 불이 붙는건 기정사실이기에 그 플라스틱의 강도가 알루미늄등 금속재질보다 좋은지 그래서 충격으로부터 더 잘 보호할수 있는지가 첫번째 포인트이고 두번째 포인트가 연쇄적 열폭주를 막기위한 녹는점, 열 전도율 등의 성질이 우수한지이고 세번째 포인트는 (이건 저의 궁금증) 하나의 배터리가 충격으로 열폭주를 일으켰을때 열폭주에 의한 화재가 더 인근 배터리에 영향을 줄지 폭주로 인한 물리적 충격이 더 영향을 주게 되는지 등의 부분인것 같습니다. 어찌됐거나 현재 현기차는 베터리셀은 안전하지 않은것 같아요. 그걸 부인하면 안될것 같구요.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14

      열폭주가 아님니다 ㅡㅡ...에초에 열폭주가 난적이 없습니다 현제 국내에서 egmp에서 열폭주가 일어난건은 0입니다

    • @kyaheroify
      @kyaheroify 6 місяців тому +9

      잘못됨 배터리 있는곳에 불이 붙었지만 배터리 열폭주 없이 진화 됨. 그리고 불이 났을때 열 전도가 중요한거지 배터리까지 열이 붙어 열폭주가 시작됐다가 중요한게 아님 화재를 막으려면 열 전도를 낮추는게 핵심

    • @얼음장사
      @얼음장사 6 місяців тому +1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열폭주 열폭주 아주 징그럽네요~

    • @wakeupn0ww
      @wakeupn0ww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그놈의 열폭주.. 배터리내 발화 자체가 없었는데 뭔;;

    • @ckkim-py5yd
      @ckkim-py5yd 6 місяців тому +3

      화재가 일어나면 소방서에서 화재조사를 하고 화재 원인, 화재 경과, 화재에 의한 피해 등 공식적인 화재조사 결과를 발표하잖아요. 그 조사 발표에서 "배터리 열 폭주"라고 발표한 화재가 몇 건이나 되는지요. 뉴스나 유튜브는 불만 나면 "3초 만에 800도" 와 같은 열 폭주라고 마구 영상을 만들지만 어차피 비 전문가가 짧은 영상 잠깐 보고 부족한 정보를 바탕으로 만드는 거라 그걸 그대로 사실로 받아들일 수는 없는 것이고요. 때문에 공식기관인 소방서 화재조사 발표가 가장 중요한데 님이 주장하는 그 모든 것들의 근거가 공식적인 발표에 부합하는지부터 확인이 필요할 것 같아요.

  • @요한묵시록
    @요한묵시록 6 місяців тому +3

    근디 왜 스쳐도 불붙는거임? 설계미스인가?

    • @1557T1-h
      @1557T1-h 6 місяців тому +2

      현존하는 최강의 플라스틱이라
      설계 미스일리 없습니다.
      여기 댓글들 보면 ㅎㄷㄷ 하네요 그냥

    • @lovecats353
      @lovecats353 6 місяців тому +8

      아,,,,100키로이상으로 때려박는게 스치는거구나,,,,님도 한번 스치게 맞아보실레요?

  • @다까끼-f4u
    @다까끼-f4u 6 місяців тому +5

    근데 현대껀 mppo gf10이잖아요
    Gf30이 아니라

    • @허황-c3i
      @허황-c3i 6 місяців тому +24

      맥락파악 못하는건지 목적이 뚜렷한건지 ㅋㅋ

    • @antliel
      @antliel 6 місяців тому +10

      GF10 이어도 알루미늄 쪼가리보단 오래 견딥니다

  • @카마카미
    @카마카미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말로 하지 말고, 우리가 실제로 비교 연소실험을 해서, 코를 납작하게 하죠. 뭘 어렵게 설명하나요? 알미늄이 MPPO 보다 먼저 타는걸 실제로 보여주면 되는데,,,, 그냥 합시다. 봐주지 말고.

    • @whyissueTV
      @whyissueTV  6 місяців тому +38

      @@카마카미 이미 샌디먼로님 채널에 3년전 영상에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구멍이 났고, MPPO는 안났죠.
      그리고 하겠다던건 저쪽인데요?

    • @자세히알아보기-o1c
      @자세히알아보기-o1c 6 місяців тому +22

      그쪽에서 하라고해요.. 뭘.. 여기서 굳이

    • @얼음장사
      @얼음장사 6 місяців тому +11

      우리 라는 단어로 위장해서 오토기어와 왜있슈티비 부추기지 마시고 지가 뭔말 하는지도 모르는 멍청한 저쪽 채널 가서 하자고 하세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