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 +국내 나스닥커버드콜, 타미당7% + 나스다레버리지2배 투자방법 공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미국주식 투자자 #tqqq #QLD #SPY #JEPI #JEPQ #장기투자 #배당 ETF #고배당 ETF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 2호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개인의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 부탁드립니다."
  • Навчання та стиль

КОМЕНТАРІ • 21

  • @Cognac-dl3os
    @Cognac-dl3os Місяць тому

    와 드디어 ~~ 영상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오래오래 함께 투자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 @maple1483
    @maple1483 Місяць тому

    정말 좋은 방법이네요
    물론 투자는 본인 책임이죠

  • @시브-u6v
    @시브-u6v Місяць тому +2

    와 저도 지금 isa계좌에서 커버드콜+레버리지 투자로 계획하고 투자 기준 잡고 있었는데 참고 하겠습니다.
    국내 상장된 커버드콜 중 데일리 상품들의 위험성에 대해서 알려주실수 있으실까요??
    0dte 옵션으로 위험하다고 하는데 정확하게 뭐가 위험한지를 모르겠어요
    제가 아는 커버드콜은 일정비중 주식 일정비중은 옵션으로 파는걸로 기준이상 올랐을때는 기준세운 만큼만 먹고 그 위 상방의 수익은 제한, 내릴때는 옵션의 판매금만 먹고 주가 하락은 동일한걸로 알고 있는데
    데일리커버드콜에서의 옵션을 파는게 청산을 당하는건지...
    유튜버들 말들어보면 한달짜리는 대응할 시간이 있어서 괜찮고 데일리는 대응할 시간이 없어서 뭐 폭락한다 이러던데 자세하게 잘 모르겠네요....ㅠㅠ

    •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미국주식의럭키여행  Місяць тому +1

      솔직히 이 부분은 알지 못해서 CHAT-GPT의 도움을 받아봤습니다.제 기준으로는 지금처럼 옵션 수익보다는 기초자산흐름에 더 신경 쓰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유리하다고 느껴졌습니다.
      커버드콜에 투자하면서 느낀 점은, 무조건 기초자산이 좋아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야 옵션 수익도 안정적이고, 커버드콜 ETF 자체의 주가 가치도 잘 유지되더라고요.
      ODTE(하루 남은 옵션) 매도 전략은 프리미엄을 얻는 데 효과적이지만, 말씀하신 대로 급등/급락 상황에서는 대응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죠. 다만, 제 생각에는 옵션 전략 자체보다는 기초자산의 질이 훨씬 더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왜 타겟 데일리 커버드콜 ETF가 월 1.25%라는 높은 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는지 궁금했는데, ODTE 전략 덕분에 가능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어요. 하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더 크니까 높은 배당률로 보상하려는 구조라고 이해했습니다.
      이런 점에서 완충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ETF나 포트폴리오 분산을 고민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네요.
      사람마다 투자에 대한 관점은 다를 수 있지만, 제 경험상 큰 흐름과 핵심을 먼저 보는 게 더 도움이 된다는 걸 느꼈습니다. 이번 댓글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고 저 또한 많이 배운 하루였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eunha7159
    @eunha7159 Місяць тому

    저는 8월달부터 isa계좌로 레버리지+커버드콜전략 투자시작했는데 수익률이 좋습니다~

  • @kcc-jo6bf
    @kcc-jo6bf Місяць тому

    개인적인 궁금증인데 이렇게 투자 기준 정립하기까지 개별 투자도 하시고
    여러가지 투자도 하셨겠죠?
    혹시 그 기간이 어느 정도 되셨을까요?
    저도 결국 돌고 돌아 배당 etf + 지수 etf가 답인 거 같아서 이번에
    주식 시작 1년 안되게 깨닫고 실행하려고 합니다.

    •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미국주식의럭키여행  Місяць тому

      거의 5년차 접어들고 있고 여러종목도 투자 해보면서 소액으로 계속 경험하는중입니다.
      오늘 오후 10시에 라이브 소통 방송이 있으니 같이 소통해보시는건 어떨까요?

  • @rico-99112
    @rico-99112 Місяць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 계획성 투자 방법에서 첫 2000만원은 즉시 매수 후 이후 년도 2000만원부터 계획적 매수에 들어간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계획적 매수 타이밍에서 첫 -10% 이상 하락이 확인되면 2000만원 중 40%인 800만원 레버리지, 20%인 400만원 커버드콜 매수, 이후 800만원 + 지금까지 받고있던 배당금은 스테이
    그리고 이후 또 추가적인 도달한 기준 하락점이 오면 800만원 + 배당금에 40% 레버리지 20% 커버드콜.. 이런식으로 5년동안 반복 후 매수가 전부 끝나면 리밸런싱을 하고 이때부터 투자가 시작된다는 말이 맞을까요?
    그러면 이 투자 방법은 ISA 3년마다 300만원 세액공제는 고려하지 않고 투자하는 방식인거맞나요?

    •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미국주식의럭키여행  Місяць тому +1

      일단 저의 매수 기준은 그렇습니다.
      기준을 도달하더라도 현금을 남겨둔다. 또 기회가 오면 남은 현금을 매수한다. 입니다.
      3년 마다 200, 400만원 세액공제는 사실... 1000만원 이상 수익이 나는 순간, 절세 20만원 효과만 보입니다.
      200만원 비과세: => 200만원 비과세 제외한 800만원 분리과세 9.9% => 79만2000원
      400만원 비과세: => 400만원 비과세 제외한 600만원 분리과세 9.9% =>59만 4000원
      200만원 비과세: => 200만원 비과세 제외한 1800만원 분리과세 9.9% => 178만2000원
      400만원 비과세: => 400만원 비과세 제외한 1600만원 분리과세 9.9% => 158만 4000원
      결론 비과세 이상 넘어가면 비과세 의미는 크게 사라진다 입니다.
      그래서 이계좌는 초장기로 복리의 크기를 확실히 키우는게 낫다는 의견입니다.

    • @rico-99112
      @rico-99112 Місяць тому

      @@미국주식의럭키여행 아하..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그러면 추가 매수 이후 (3,6,12개월 본인 취향간격으로) 리밸런싱을 한다는 말씀은 다시 커버드콜 8 : 레버리지 2 처럼 맨 처음 말씀하신 비중으로 다시 조절한다는 말이 맞을까요??
      저도 지금 투자 포트폴리오로 계속 고민 중인데 이전 영상인 지수분산 포폴로 갈지 레버리지 커버드콜로 갈지 굉장히 고민이 됩니다..ㅠ

    •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미국주식의럭키여행  Місяць тому +1

      ​@rico-99112 주식과 현금을 80:20 비중으로가져가고 주식의 포트폴리오
      커버드콜과 레버리지는 본인에 취향에 따라 기준을 정하고 하시면됩니다.
      처음에는 커버드콜이 비중이 높아지지만 10년차부터는 레버리지 비중이 앞도적으로 높아질겁니다.

    • @rico-99112
      @rico-99112 Місяць тому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비율은 처음만 어느정도 정해진거고 이후는 취향껏 수정해나가면 되는거군요..
      커버드콜, 레버리지 투자 방법은 직투보다 ISA에서 운용해서 절세혜택을 최대한 누리는게 효과가 가장 좋아보이는데 이전 영상에서 엑셀로 보여주신 SPY,QQQ,QLD,SCHD.... 지수 분산보다 이 투자 방법이 나쁘지 않다고 보시는걸까요?

  • @h__-zn4sl
    @h__-zn4sl Місяць тому

    Tiger가 kodex보다 좋아요. 환율도 2배고 kodex는 지수가 아니라 qld를 따라가고..

    •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미국주식의럭키여행  Місяць тому

      TIger는 환헷지, KODEX는 환노출형 상품이죠.
      환율상황에 따라 투하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KODEX가 환헷지, TIGER가 환노출형 상품입니다.
      (잘못된 정보 정정하겠습니다.)

    • @h__-zn4sl
      @h__-zn4sl Місяць тому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반대죠. 그것만 다른게 아니기도 하고

    • @김성균-z3b
      @김성균-z3b Місяць тому

      럭키님 반대로 알고 계시네요

    •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미국주식의럭키여행  Місяць тому

      @@h__-zn4sl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2배 상품 말씀하신건 이상품 말씀하신건가요??

  • @윤종배-y9x
    @윤종배-y9x Місяць тому

    Isa계좌에서 레버리지 투자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종목쫌 알려주세요 코드번호랑

    •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미국주식의럭키여행  Місяць тому +1

      영상 초반에 커버드콜 etf 3가지, 레버리지 etf 2가지 소개했습니다.
      Isa도 레버리지 투자가능하지만
      기본 예탁금 1000만원 보유 조건이 있습니다.

  • @sejcj2
    @sejcj2 Місяць тому +1

    25년에..4천한번에넣을수있음

    • @미국주식의럭키여행
      @미국주식의럭키여행  Місяць тому +1

      맞습니다. 24년도에 개설하고 납입을 하지 않아도 이월이 가능하기 때문에 ISA계좌는 미리 개설하는것이 이점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