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직 카메라 개발자입니다. 10년간 개발했고, 지금은 염이사님이 영상에서 아주 짧게 언급하신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너무 무임승차만 하는 것 같아 몇 글자 적어봅니다. Active Align(이하 AA)을 어려워하시는 것 같은데, AA는 쉽게 말해 센서와 렌즈를 잘 정렬하는 것입니다. 센서표면을 평면상의 X-Y축이라고 생각하면, 센서의 중심에 당연히 렌즈의 중심이 위치해야 할 것 입니다. 그리고 센서와 너무 가까워져도, 멀어져도 안되니 거리를 맞춰주는 것은 Z축이 됩니다. 이 X-Y-Z축을 잘 맞추는 것이 기본적인 AA 입니다. 그런데 카메라의 성능이 좋아지기 전까지는 적당히 기계적으로 맞춰도 영상이 잘 보였는데, 센서의 픽셀이 많아지고 작아지면서 기계적으로 맞추면 성능이 안 나오기 시작했습니다.(성능이 안 나온다는 건 영상이 또렷하지 않고 뿌옇게 보이는 것이죠) 그래서 일정한 위치에 차트를 놓고, 일정한 위치에 센서를 배치한 다음, 그 사이에 렌즈를 놓으면 처음에는 차트가 뿌옇게 보이다가 렌즈가 Z방향으로 움직이면, 또렷하게 보이는 지점이 있겠죠. 이 위치에 렌즈를 놓고 본드로 단단히 고정합니다. 즉, AA라고 하는 것은 센서를 켜고 차트를 보면서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렌즈를 놓는 행위가 Active Align 입니다. 이전까지는 Passive Align 이라고 해서 차트를 보지 않고 기계적으로 렌즈를 위치시키다가, 센서의 성능이 좋아지니 더이상 Passive Align으로는 성능을 만족할 수 없어서 AA방식이 도입됐습니다. AA를 할때, Z축이 움직이는 스텝은 미세하게는 0.002mm 스텝으로 움직여야 할 정도로 아주 작은 움직임에도 성능은 크게 변합니다. 여기서 저는 X-Y-Z 축 Align만 말씀드렸지만, 각 축의 Tilt와 Rotation까지 Align 합니다. 이는 화면에서 상-하-좌-우 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것이죠. 5개에서 6개 축을 정렬하는 Process도 각 장비 회사마다 고유한 방식이 있습니다. 그리고. Calibration은 여러 종류의 카메라를 각각 정렬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람 눈으로 설명하면, 사람은 눈이 두 개이기 때문에 멀고 가까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한 눈으로 멀고 가까움을 인식할 수 있다고 하는 건 살아온 경험에 의해서 인식하는 것입니다.) 좌측눈으로 본 것과 우측눈으로 본 것, 두개의 영상을 뇌에서 합성하여 멀고 가까움을 인식하는 것이죠. 카메라도 마찬가지 입니다. 최소 2개의 카메라를 통해 멀고 가까움을 계산해 낼 수 있는데, 1번 카메라와 2번 카메라의 각기 다른 영상을 분석하여 멀고 가까움을 알아냅니다. 그런데 2개의 카메라는 다른 영상을 보지만, 각 차량간 1번 카메라들은 같은 위치에서 같은 영상을 보고, 2번 카메라들 역시 같은 위치에서 같은 영상을 보아야 동일한 SW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겠죠. 그래서 차트를 세워놓고 다른 위치에 두 대의 카메라를 위치시킨 후 거리를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심어주게 됩니다. 이 과정이 Calibration이죠. 이 과정을 위해서는 당연히 카메라의 성능이 균일해야하는데, 이를 만족하기 위해 AA를 해서 생산한 카메라가 일정한 성능분포를 유지하도록 만드는 것 입니다. 말로만 설명한 것이 얼마나 전달력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카메라 관련해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미천한 지식이지만 아는만큼 답변 드리겠습니다. 그나저나 CJ프레시웨이는 실적도 나쁘지 않은데 왜 코로나 시절 주가까지 밀렸을까요? 마음이 많이 아픕니다.ㅠㅠ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항상감사드려요😊
매우 유익했습니다ᆢ감사합니다.
잘 보겠습니다. 😊
항상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염이사님 ❤❤❤❤
항상감사합니다 염이사님 공부합니다 ~~~
늘 감사합니다 ^^
이사님 좋은정보 감사 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항상 소중한 정보 감사 드립니다.
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 즐거운 주말 잘보내세요 !! 화이팅
오늘도 감사합니다 염블리 염이사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공부합시다~~^^
공부합니다 염이사님 주말잘보내세요 한절기 감기조심하시고 주말잘보네세요 ~^^
항상 감사 드립니다^^
좋은내용 늦더라도 꼭 시청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오늘도 잘 배웠습니다. 염 이사님 감사드려요!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열공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고맙습니다 ^^
정말 넘나감사합니다....주식을 뭔가 알고 하는게 이사님덕분에 알게되고...이렇게 하는 종목은 편하게 사고 지켜보고 수익내고하는것 같습니다...최고예요
열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자율주행도 은근히 매력이 있는것 같아요.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염이사님 ❤
감사합니다 염이사님
남은 연휴 잘 보내세요 ~
언제나 꼼꼼하고 세심한 방송 감사합니다
이사님 오늘도 감사합니다^^편한 주말 보내세욤^^
염블리님 복!!!! 받으실거예요~
감사합니다
연휴 즐겁게 보내세요 ~
감사합니다
염이사님!
항상 한결같은 염이사님 덕분에 오늘도 한발짝 전진 합니다
염이사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공부합니다
염이사님 역시!! 저의 등대세요~
자율주행 정말 귱금했는데 ㅎ 이사님덕분에 하나씩 배우니 너무 좋아요~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공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염이사님 존경합니다 열심히공부합니다 감사합니다 ❤❤❤
대면한 적은 없으나 매일매일 소통하니 가족같아요 ㅎ
늘 고맙습니다^^
언제나 감사한 마음으로 시청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염이사님 존경합니다 열공입니다 🎉🎉🎉
시청이 너무 늦었네요
방송 없으신줄요..ㅎㅎ
감사합니다
공부 잘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수고많으셨습니다 ~~
늦었지만 빼놓지 않고 시청하고 있어요. 앞으로도 많은 지도 부탁드려요~ 염이사님
이사님 덕분에 많은걸 배우고 공부하게 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하루하루 이사님과 함께 공부하면서 정말 기업, 섹터에 대하여 많은걸 알게 되어 정말 감사합니다
항상응원합니다 염이사님 화이팅입니다 건행하시고 열공합니다 🎉🎉🎉
이사님 감사합니다. 늘 한결같은 모습 보기 좋아요~~~^^
염이사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한결같은 이사님 아침영상 고맙습니다.
이사님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염시사님! 항상감사드립니다. 열공해서 꼭 성공하겠 습니다😊😊😊
이사님 감사합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항상 진심이신 이사님
휴일에 쉬지도 못하
시고.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주말보내세요 염이사님 ^^♡♡♡
감사합니다 염이사님 ❤
수고 많으셨습니다 ❤ ❤
감사합니다.
고생많으셨습니다 염이사님 덕분에 주말은 걱정없이 영상공부합니다
염이사님 감사합니다❤
이사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이사님 사랑합니다
염이사님 수고하셨습니다^^
개미들의 스승님!
항상 고맙고 감사드립니다!
염이사님!!늘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직 카메라 개발자입니다. 10년간 개발했고, 지금은 염이사님이 영상에서 아주 짧게 언급하신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너무 무임승차만 하는 것 같아 몇 글자 적어봅니다.
Active Align(이하 AA)을 어려워하시는 것 같은데, AA는 쉽게 말해 센서와 렌즈를 잘 정렬하는 것입니다. 센서표면을 평면상의 X-Y축이라고 생각하면, 센서의 중심에 당연히 렌즈의 중심이 위치해야 할 것 입니다. 그리고 센서와 너무 가까워져도, 멀어져도 안되니 거리를 맞춰주는 것은 Z축이 됩니다. 이 X-Y-Z축을 잘 맞추는 것이 기본적인 AA 입니다. 그런데 카메라의 성능이 좋아지기 전까지는 적당히 기계적으로 맞춰도 영상이 잘 보였는데, 센서의 픽셀이 많아지고 작아지면서 기계적으로 맞추면 성능이 안 나오기 시작했습니다.(성능이 안 나온다는 건 영상이 또렷하지 않고 뿌옇게 보이는 것이죠) 그래서 일정한 위치에 차트를 놓고, 일정한 위치에 센서를 배치한 다음, 그 사이에 렌즈를 놓으면 처음에는 차트가 뿌옇게 보이다가 렌즈가 Z방향으로 움직이면, 또렷하게 보이는 지점이 있겠죠. 이 위치에 렌즈를 놓고 본드로 단단히 고정합니다. 즉, AA라고 하는 것은 센서를 켜고 차트를 보면서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렌즈를 놓는 행위가 Active Align 입니다. 이전까지는 Passive Align 이라고 해서 차트를 보지 않고 기계적으로 렌즈를 위치시키다가, 센서의 성능이 좋아지니 더이상 Passive Align으로는 성능을 만족할 수 없어서 AA방식이 도입됐습니다. AA를 할때, Z축이 움직이는 스텝은 미세하게는 0.002mm 스텝으로 움직여야 할 정도로 아주 작은 움직임에도 성능은 크게 변합니다. 여기서 저는 X-Y-Z 축 Align만 말씀드렸지만, 각 축의 Tilt와 Rotation까지 Align 합니다. 이는 화면에서 상-하-좌-우 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것이죠. 5개에서 6개 축을 정렬하는 Process도 각 장비 회사마다 고유한 방식이 있습니다.
그리고. Calibration은 여러 종류의 카메라를 각각 정렬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람 눈으로 설명하면, 사람은 눈이 두 개이기 때문에 멀고 가까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한 눈으로 멀고 가까움을 인식할 수 있다고 하는 건 살아온 경험에 의해서 인식하는 것입니다.) 좌측눈으로 본 것과 우측눈으로 본 것, 두개의 영상을 뇌에서 합성하여 멀고 가까움을 인식하는 것이죠. 카메라도 마찬가지 입니다. 최소 2개의 카메라를 통해 멀고 가까움을 계산해 낼 수 있는데, 1번 카메라와 2번 카메라의 각기 다른 영상을 분석하여 멀고 가까움을 알아냅니다. 그런데 2개의 카메라는 다른 영상을 보지만, 각 차량간 1번 카메라들은 같은 위치에서 같은 영상을 보고, 2번 카메라들 역시 같은 위치에서 같은 영상을 보아야 동일한 SW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겠죠. 그래서 차트를 세워놓고 다른 위치에 두 대의 카메라를 위치시킨 후 거리를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심어주게 됩니다. 이 과정이 Calibration이죠. 이 과정을 위해서는 당연히 카메라의 성능이 균일해야하는데, 이를 만족하기 위해 AA를 해서 생산한 카메라가 일정한 성능분포를 유지하도록 만드는 것 입니다.
말로만 설명한 것이 얼마나 전달력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카메라 관련해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미천한 지식이지만 아는만큼 답변 드리겠습니다.
그나저나 CJ프레시웨이는 실적도 나쁘지 않은데 왜 코로나 시절 주가까지 밀렸을까요? 마음이 많이 아픕니다.ㅠㅠ
24년 주도주가 될 수 있겠다 싶어서 다시 영상보러 왔습니다.
모트렉스도 자율주행으로 알고 있는데 왜 말씀 안하시는지요. 모트렉스에 대해 모르신다고 하시고요 감사합니다
숫자가 찍히냐고요 그래서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고맙습니다 ^^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