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달전에 이영상을 보고 이번 겨울에 시도해야지 하다가 어제 벨크로테이프 사다가 온집안 창문을 완전봉쇄 시켰습니다. 집 자체가 단열도 안되어있는 집인데 거기에다 창까지 너~어무 커서 가운데는 2중으로 겹치게 시공했더니 체감이 확됩니다 웃풍이 심해 냉기가 돌던 방에 여전히 냉기가 있긴 하지만 확실히 웃풍이 잡히다보니 체감온도는 크게 상승했습니다 원래는 두꺼움 암막커튼이나 방한커튼을 사려고 했는데 작년에 사놓은 뽁뽁이가 많이 남아서 다행히 큰돈을 아낄수있었네요 사장님 덕분에 겨울을 따듯하게 보낼수있을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신박한 아이디어네요! 지금까지 수차례 집안에 뽁뽁이 붙여봤는데 몇 해 지나면 유리에 붙여둔 뽁뽁이 비닐이 부서지고 가루 날리고 붙였던 자리에 이물질 남아서 제거하기 전에는 재시공도 힘들고요~ 그래서 2년 정도만 사용할 계획으로 벨크로 이용하여 시공하면 편리할 듯합니다. 중간에 환기를 위해 뜯어내었다 다시 부착할 수 있고 열차단 확실한 건 덤이고~
저희집 같은 경우 아래쪽 창틀이 거의 없이 그냥 바닥에 붙어있는 수준입니다. 그래서 바닥쪽은 테잎도 잘 안붙는 시멘트?같은 재질이고 창틀이 좌우위쪽만 있다보니 아래쪽에 붙이려면 꺽어서 붙여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 대한 팁이 있을까요? 창문이 좌우로 여는게 아니라 위쪽만 당겨서 여는 형태이다보니 이렇게 생겼네요..
뽁뽁이의 효과는 뽁뽁이 내부 공기층이다. 밀폐공기는 일반적으로 단열효과가 있다. 뽁뽁이를 창에 직접 붙이지 않고 비디오 설명처럼 붙이면 창과 뾱뽁이 사이의 밀폐 공기층으로 1차 단열이 되고 뾱뽁이 내부의 공기층으로 2차 단열이 되어 단열효과가 배가되는 것이다. 뾱뾱이는 아니나 요즘은 방풍망이라는 설치가 용이한 제품도 나와 있다.
이게 알고리즘으로 왜 떴는지는 모르지만 저 공사를 한다고 몇년 전에 10미리였나 꽤 두꺼운걸로 집안에 창문들이 큰데 다 공사를 했습니다. 지금은 창문 틈막이랑 스펀지로 다 막아놓고 그냥 보일러 돌립니다. 에어캡 즉, 뽁뽁이도 창문이 작아야 그나마 쓸만해요 자기집 창문이 크다 그러면 비추천합니다.
창틀과 창문 틈으로 스미는 공기는 차단효과가 있습니다. 콘크리트벽에 단열벽지를 함께 시공하면 더 효과적이며 실제로 촬영한곳이 집 세탁실인데 창문만 커버했음에도 하기전과 온도차가 느껴지고 심지어 보일러 동파방지기능도 자동실행되는 횟수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효과는 분명합니다.
👍👍👍최고같아요.
한번도 안붙여봐서 많이 검색하다 보게 되었어요.
마스킹테이프
마스킹테이프 위에 벨크로 붙이는 건 좋은 아이디어네요!!
좋은거 배워갑니다.
올 겨울 한 번 써먹어봐야겠네요.
마스킹 테이프
먼저 벨크로 암수 미리 붙여두는 것
둘 다 넘 좋은 팁이네요!
이렇게 하려고 고민 중인데 온도가 달라진 게 보이니 확신이 생기네요. 참고가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몇달전에 이영상을 보고 이번 겨울에 시도해야지 하다가 어제 벨크로테이프 사다가 온집안 창문을 완전봉쇄 시켰습니다.
집 자체가 단열도 안되어있는 집인데 거기에다 창까지 너~어무 커서 가운데는 2중으로 겹치게 시공했더니 체감이 확됩니다
웃풍이 심해 냉기가 돌던 방에 여전히 냉기가 있긴 하지만 확실히 웃풍이 잡히다보니 체감온도는 크게 상승했습니다
원래는 두꺼움 암막커튼이나 방한커튼을 사려고 했는데 작년에 사놓은 뽁뽁이가 많이 남아서 다행히 큰돈을 아낄수있었네요
사장님 덕분에 겨울을 따듯하게 보낼수있을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번 영상 보고 저히집 창문에 벨크로로 붙였는데요~ 창문에만 붙였을때보다 깔끔하고 오히려 넓어보이고 따뜻하고 너무 좋았어요
좋은정보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사업도 더 번창하시고 올해도 좋은 정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새해복많이 받으세요
굳이 방풍 비닐을살필요없고 뽁뽁이로. 되는군요.. 벨크로. 제거하기힘든단점을 마스킹테이프먼저붙히고 하는것도 꿀팁이네요. 뭐니뭐니해도 뽁뽁이 재단을잘하시네요..
이 영상은 아니고 2019년 영상보고 따라했는데 효과 엄청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화면도 어둡고 효과에 대한 명확한건 보여드리고 싶어 재촬영 해봤는데 역광은 초보에겐 너무어렵네요 ㅎㅎ 도움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새해복많이 받으세요
확실히 외관을 신경안쓰면 가장 좋은 창문 단열 방법같네요
잘배우고갑니다😊
와 꿀팁이네요 마스킹 테이프 먼저 발라주고 위에 양면테이프 바르는 팁 너무 감사합니다
저희 신랑이 예민해서 바람이 쬐금이라도 느끼면 춥다 난리치는 성격이라 겨울만 되면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니었어요
요 방법대로 함 해봐야 하겠어요 이번 겨울은 마니 춥다고 하니깐여~~ 좋은팁 감사해요~~
와이프에게 안아달라는 신호를 보낸건데 이런 솔루션을?
네에~~남편분 따뜻해서 좋으시겠네유~~ㅋㅋ
농담이었어요~^^
뽁뽁이가 문제가 아니라 신랑 성격 개조가 시급하네요
지금까지 만성철물 대표 벨크로 최성엽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와... 대박입니다.. 확장형 집이라 창문에서 오는 냉기가 엄청 심한데 올 겨울 꼭 시공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집에 마스킹테입, 벨크로, 뽁뽁이가 남아도는데 이제야 이영상을 보는군요. 너무 감사합니다.
신박한 아이디어네요!
지금까지 수차례 집안에 뽁뽁이 붙여봤는데 몇 해 지나면 유리에 붙여둔 뽁뽁이 비닐이 부서지고 가루 날리고 붙였던 자리에 이물질 남아서 제거하기 전에는 재시공도 힘들고요~
그래서 2년 정도만 사용할 계획으로 벨크로 이용하여 시공하면 편리할 듯합니다. 중간에 환기를 위해 뜯어내었다 다시 부착할 수 있고 열차단 확실한 건 덤이고~
와.. 겨울에 뒷베란다가 겨울왕국되는데 올겨울은 힘들고... 가을쯤 도전해봐야겠네요!
열화상카메라로 보여주시면서 설명해주시니 너무 좋습니다!!
옛날에 제가 어머니집에 해드렸던 방식이네요 ㅎㅎ 다만 저는 마스킹테잎처리없이 바로 벨크로붙였는데 마스킹테잎 전처리 꿀팁이네요 ㅎㅎ
뽁뽁이 외관 상관 없으면, 창문 단열은 이것이 최고의 방법~!!!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이런 똑똑한 방법이 있었다니 왜 이제야 봤을까... 감사합니다. 오늘 바로 실행해 봅니다.
좋은 방법입니다.
저렇게 쉽게 탈착이 가능하니 공기 순환 시키는 데는 도움이 되겠네요.
오.. 붙인쪽 끈적이때문에 꺼려졌었는데.. 마스킹테이프라니.. 한번 찾아보고 시도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이방법대로 했더니 집이 웃풍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따수워짐 복받으세요 너무 도움되는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간도 많이 안걸리고 효율이 높은 방법입니다
단점 하나 냉기를 어느정도 잡는대신 습기가 찰것입니다
오~~~센스쟁이님~♥
감사해요🤗
오...바로 따라 해야겠어요
아니 이걸 이제야 봤네요!ㅠ 마스킹테이프로 먼저 작업하는거 너무 꿀팁ㅠㅠ 감사합니다!!
올겨울은 따숩게 지낼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조만간에 꼭 써먹어야겠습니다. 구독 좋아요 했어요~
꼼꼼한 영상 감사합니다^^♡
우아!!! 별생각없이 봤는데 정말 좋은 방법인거 같아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몇년전부터 자꾸 세탁기가 어는데ㅠㅠ.. 그쪽에 꼭 시도해볼께요.. 감사합니다
전에는 그냥 물뿌려서 창문에 붙이는 식으로 작업하면서도 과연 이게 효과있을까 의문스러웠는데.. 마스킹 테잎과 벨크로 테잎.. 좋은 팁 얻어갑니다..
마스킹테이프 먼저 붙이면 뗄 때 벨크로에 테이프까지 붙어서 한 번에 주르륵 다 떨어지더라구요...ㅠㅠ 벨크로 접착력이 훨씬 더 강해서요. 끈끈이 남을 각오 하고 그냥 붙이는게 좋을 지도 모르겠어요
그러게요..ㅋㅋ 마스킹테이프 그냥 떨어지네요 떨어지는거 붙잡고 그냥 뗍니다 월세원룸 내집도 아닌데 이정도 불편은 감수해야겠네요 ㅋㅋ
오 찍찍이 + 뾱뾱이 조합 최고네요
벨크로보다 더 좋은건 자석테이프요! 대박이에요 ㅋㅋ
마스킹테잎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잘배웠습니다
대박 꿀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한번 해봐야겠네요
소중한댓글 감사드립니다. 새해복많이 받으세요
마스킹 테이프...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와 이방법 짱인데요 양면 테이프
안 떨어지고 살이
되버리거든요~ 너무 감사해요~~👍👍
감사합니다. 애기 따수하게 해줘야겟네요
창틀이 1개거나 작으면 유용하겟네요...
샤시 전체 하려면....벨크로테입만 해도 가격 맘만치 않을듯 ㅠㅠ
이렇게 붙이면 창문틈 사이에 충진재(가래떡)은 따로 안넣어도 괜찮을까요?
창문뽁뽁이+충진재+창틀뽁뽁이 이렇게 세가지 모두 하는것과 창틀뽁뽁이만 하는것이 차이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충진재는 넣지 않으셔도 충분하지만 완벽한 차단을 원하시면 충진재까지 시공하여 냉기를 2차 차단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오늘 구독자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스킹테이프와 벨크로 사이에 오공본드 바르는걸 추천합니다. 비닐 뗄때마다 벨크로 접착부가 같이 떨어지는걸 막아줄겁니다.
혹시 제거 할때 본드가 마스킹테이프와 창틀 혹은 벽에 묻지 않을지 궁금하네요
@@허참-n3i 제가 해보니 벨크로 테이프가 추운날엔 바로 떨어지더라구요. 그래서 본드 바르니 잘 붙어있구요.. 떼어낸 적 없지만 마스킹 테이프를 붙이셨으니 본드는 벽에는 안묻겠죠
와 마스킹이랑 벨크로 부착방법은 진짜 꿀팁이다
작은창문만추천드립니다 5년전에 햇는데 큰창은 비추입니다
그리고 하이샤시만 추천드리며 콘크리트에하시면 떨어집니다
내가 원하던 방법 감사합니다 😊😊😊
꿀팁 공유 감사합니다~ 뽁뽁이 창문에도 붙이고 창틀도 막으면 냉기 차단 완벽할것 같네요 ㅎ벨크로 테이프 없이 마스킹 테이프 만으로는 안되나요?
너무 좋은 팁 감사합니다. 혹시 베란다 통창 같은 엄청 큰 부분을 커버할때도 좋은 방법 있을까요??
여름에 올수리된 집으로 이사왔는데 겨울되니 바람이 술술들어와서 해볼러고요
여러가지보다가 이방법이 제일좋아서,
벨크로테잎을 사려고 하니,
마스킹테이프위에는 잘안붙는다고 해서 보류했는데요.
6:27 뻣뻣한면 부드러운면이라고 표현하셨는데 울퉁불퉁한쪽이 부드러운 면인가요?
저희집 안방도 저방법으로한후 커텐쳐놓구 봄에보니 온도차이로 습기가 차있어서 창틀벽쪽으로 곰팡이가 펴서 그다음부터는 안하게 되더라구요. 봄될때까지 제대로 확인하지않은 제 불찰도 있습니다.
좋은팁이네요
한번씩 환기가 필요하겠네요
@@김남경-b3g저희집은 환기를 해도 생기더라구요 ㅜㅜ
마루의 넓은 창문은 난방비 절약 어찌해야 좋을지 추천 부탁드려요.
뽁뽁이가 훨씬 단열효과 좋군요.
창문형 뽁뽁이를 추천합니다.
저희집 같은 경우 아래쪽 창틀이 거의 없이 그냥 바닥에 붙어있는 수준입니다. 그래서 바닥쪽은 테잎도 잘 안붙는 시멘트?같은 재질이고 창틀이 좌우위쪽만 있다보니 아래쪽에 붙이려면 꺽어서 붙여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 대한 팁이 있을까요? 창문이 좌우로 여는게 아니라 위쪽만 당겨서 여는 형태이다보니 이렇게 생겼네요..
창에 손잡이가 볼록 나와 있는 창이면 어떻게 붙어야 할까요???
뽁뽁이가 좋을지....pvc 제품이 좋을지도 궁금하네요
참조은 방법이라생각됩니다 저도 자재주문 해놨네요 ~ 작년에 가래떡으로 실패
마스킹 테이프가 잘 떨어지면 어떻게 하나요? 대체제품이 있을까요?? 아님 마스킹 테이프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3M 제품이 제 경험상 가장 잘 붙습니다. 또한 날이 추어지면 어떠한 제품의 부착방식의 제품들은 차가운 단면에 부착이 어렵습니다. 드라이기로 표면을 따듯하게 한 뒤 부착해주는 방법도 좋습니다.
저희집은 요즘같은 날씨에는 한낮에 해가들면 21~22도까지 오르고
해가지면 16~18도로 급격히 떨어집니다.
뽁뽁이를 붙여도 한낮에 열을 듬뿍받을수 있을까요?
마스킹 테이프 엄청난 꿀팁이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근데... 투명뽁뽁이는 아직 없는지요? 밖을 못보니 답답해서요.
뽁뽁이의 효과는 뽁뽁이 내부 공기층이다. 밀폐공기는 일반적으로 단열효과가 있다.
뽁뽁이를 창에 직접 붙이지 않고 비디오 설명처럼 붙이면 창과 뾱뽁이 사이의 밀폐 공기층으로 1차 단열이 되고 뾱뽁이 내부의 공기층으로 2차 단열이 되어 단열효과가 배가되는 것이다.
뾱뾱이는 아니나 요즘은 방풍망이라는 설치가 용이한 제품도 나와 있다.
안녕하세요 따라 해보려고 하는데 마스킹테이프 벨크로 테이프 50mm 25mm 있는데 어떤 게 나을까요? 뾱뾱이가 특별하게 무거운 건 아니니 25mm로 해도 될까요? 아니면 그래도 이왕이면 50mm가 나을까요?
좋은 정보 진짜 감사드립니다!! 좋아요 구독 댓글 가유
도숨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다만 얼굴이 어둡게 나오는건 쉽게 뒤에 빛이 너무 강해서 상대적으로 어둡게 나오는거에요 촬영기에 플레쉬를 다는것도 좋을거에요
촬영 초보라ㅜ 셋팅을 잘못했나봐요 말씀 감사드립니다.
저도 내일 저녁 퇴근하고 시도하기위해 테이프류 주문완료 했습니다!! ㅋ
붙이는 뽁뽁이 설명서를 보면 부드러운면이 창문의 접착면이라고 되어 있던데, 위의 영상에는 반대로 부드러운면이 실내측으로 가라고 되어 있네요 상관없을까요???
붙이는게 아니라 상관없을것같긴해요
좋은 방법이라 생각되어 재료를 검색해 보았는데... 밸로크 테입의 가격이 m당 2000원 이라 싸지 않네요.
혹 추천해주시는 제품이 있습니까?
뽂뽂이가 25천원인데 밸로크 테입 금액이 97천원 이네요
오~~~
진짜 머리 좋으시네요
감사합니다~
단열이 뽁뽁이가 더 잘 되나요 pvc 방풍막이 더 잘 되나요?
마스킹테이프도 시간오래지나면 끈적이 남아요
그런데 나중에 마스킹테이프는 깔끔하게 제거되나요??
x테이프 마스킹테이프만 붙이면 안되나요 선생님
겨울지나고 마스킹테이프떼세요
끈적이 늘러붙어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예전부터 나와있는 방법인데 마스킹테입 먼저 붙이는건 업글 버젼이네요 ㅎ
밸크로 하니간 창클에 붙인 종이테이프가 전부 뜯겨 나가던가 아님 밸크로 접찾부분이 다 뜯겨져서 그냥 포기했는데
표면을 드라이기나 히팅건 등으로 따듯하게 해준 뒤 마스킹테이프를 부착하면 떨어짐이 적어집니다.
10년전부터 이 방법을 여럿 사용해봤는데...
베란다쪽은 괜찮지만
방안에 창문에는 비추합니다..
환기를 아무리 잘 시켜도 웃풍이 심한집은 보일러틀고 자는 시간에
물방울 맺혀서 물 떨어집니다....
ㅡㅡ땀..
맞아요 외부 온도 차이로 습기가 맺히고 창틀 실리콘에 곰팡이 생겨요~
안과 바깥에 동시에 붙이면 결로가 덜 생길거 같은데 이건 어떨까요?
마스킹 테이프로 하면 뒤처리도 깔끔하니 우리집도 해야겠네요. 잘 보고 갑니다.
괜찮은방법같습니다.
뽁뽁이는
햇빛에 산회되어버립니다.
요새ㅜ이중렉산이 니오죠
간단히 부착하면됩니다.
뻣뻣한 면이 냉기를 차단하는 쪽으로 가야되는 이유가 있을까요?
부드러운 면과 차이가 나나요?
큰차이는 없으나 제조사에서 안내하는 사항입니다.
이건 열화상으로 보니까 효과차이가 심해보이지만 창틀은 직접적으로 냉기가 들어오는거고 유리창은 복사 냉각 이라고 해야하나 효율면에서 냉기 차단이 훨신 효과 크다 생각됨요
전부 필요한게 뭔가요
마스킹테프
벌크로테프
뽁뽁이 이게 전부인가요
이게 알고리즘으로 왜 떴는지는 모르지만
저 공사를 한다고 몇년 전에 10미리였나 꽤 두꺼운걸로 집안에 창문들이 큰데 다 공사를 했습니다.
지금은 창문 틈막이랑 스펀지로 다 막아놓고 그냥 보일러 돌립니다.
에어캡 즉, 뽁뽁이도 창문이 작아야 그나마 쓸만해요 자기집 창문이 크다 그러면 비추천합니다.
뽁뽁이 말고도 유리창문에 붙이는 자외선차단 겸용 투명 단열시트의 효과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우선 댓글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차량 썬팅효과처럼 UV의 차단효과는 일부분 입증이 된것으로 알고 있지만 빛에의한 열 유입과 손실은 체감될정도의 효과는 없는것으로 판단됩니다. 겨울철 실내온도의 손실은 창틀과 문 틈사이로 차가운 공기의 유입이 가장 큰 이유이기 때문입니다.
@@mansungTV 답변 감사합니다 -
영상 잘보았어요 뽁뽁이와 마스킹테이프 구매할수 있나요
좋은방법이네요
감사합니다 ㅠㅠㅠㅠ
양면테이프를 두번붙이는것인가요 선생님
양면테이프는 뽁뽁이 테두리에 1회 부착합니다.
사용하시는 열화상카메라 정보 좀 알수 있을까요?
베란다 창문 자체에 뽁뽁이 붙이는건 별로이려나요 ㅜㅜ 베란다 거실 사이 샷시가 너무 부실해서 거기로 바람이 다 들어오네요
인터넷에 스폰지가래떡 검색해보세요 틈새를 막는건 그게좋긴한데 제가 통으로 막은이유는 가래떡은 환기가 아예 불가합니다.
이렇게 붙인채 로 집 매매 내놓으면 집 안 팔리 더라구요 ㅋㅋㅋ
이편한세상인데 집안쪽으로 샷시 손잡이가 돌출되어 있는 형태라 시공 불가능ㅠㅠ
저렇게 창틀을 통으로 붙이면 결로가 안생기나요?
적당한 환기가 필요합니다.
이미 콘크리트 벽 전체가 시퍼렇게 온도가 낮네요. 창에서 새는 바람을 막는 것이라면 그게 효과가 있을 것 같은데 뽁뽁이로 바람을 막을 수는 없지않은가요.
창틀과 창문 틈으로 스미는 공기는 차단효과가 있습니다. 콘크리트벽에 단열벽지를 함께 시공하면 더 효과적이며 실제로 촬영한곳이 집 세탁실인데 창문만 커버했음에도 하기전과 온도차가 느껴지고 심지어 보일러 동파방지기능도 자동실행되는 횟수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효과는 분명합니다.
@@mansungTV 그렇군요. 찍찍이 폭도 있고 하니 기압차가 큰 날이 아니고 집 샷시가 전체적으로 품질이 좋다면 효과가 있긴 하겠네요.
@@sclee1805 저희집 샷시는 준공당시 끼워진 샷시이며 1998년 준공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