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운지] 전기차·자율주행 등 급변하는 '모빌리티'...미래 모습은? / YT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4 вер 2023
  • ■ 진행 : 함형건 앵커
    ■ 출연 :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운지]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우리 사회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는 큰 흐름을 짚어보고 미래를 조망해 보는 비전 카페 시간입니다. 인공지능과 IT 산업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는지금 이동수단의 변화 또한 빠르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분야를 망라하는 일명 모빌리티 산업은 미래 먹거리이자 새로운 혁신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다가오는 미래, 우리의 이동수단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기고 현 주소는 어떠한지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필수]
    안녕하세요.
    [앵커]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산업 지난해 100여 년 동안 지속돼 왔는데 이 자동차 산업이 가까운 미래에는 크게 바뀔 거라면서요? 어떤 변화가 몰려오고 있는지 요약해서 설명해 주겠습니까?
    [김필수]
    예전만 해도 소비자가 자동차를 탈 때 그나마 LPG 이 정도였거든요. 그런데 최근에 들어올 때 차를 택할 때 에너지원이 뭔지 고민합니다. 그러니까 디자이나 옵션, 시스템이나 가격 같은 것은 놔두고 내연기관, 전기차, 소수차 등등 종류가 워낙 많아지고 않았습니까? 그게 벌써 피부로 느끼는 변화라고 볼 수 있어오. 그리고 아시겠지만 벌써 부터 전기차 생산하면서 내연기관차보다 30% 이상 인력을 줄여야 되거든요.
    그만큼 부품이 반으로 줄었다는 거. 그러니까 사회적 변화가 100여 년 동안 몸에 익혔는데 완전히 엔진변속기를 빼고 배터리모터가 들어가니까 1만 5000개 정도의 부품회사들은 벌써 생존에 영향을 받기 시작했고요. 또 정비업체 같은 경우에도 국내에 4만 5000개가 있는데 아마 전기차 전환이 많이 이뤄지게 되면 70%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을 하니까 일자리가 새로 생기는 것도 있지만 없어지는 일자리도 굉장히 많아서 변화가 굉장히 크다는 것. 그리고 조금 아까 말씀하신 전기차나 수소차는 지상에만 달리는 부분이 아니라 UAM 같이 도심 항공모빌리티라든지 특수한 항로라든지 불가능한 지역에 움직이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이런 것까지 등장을 하니까 시대의 변화가 눈으로 가늠하기 힘들 정도로 빨리 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전기차도 갈수록 보급이 잘 되게 되면 말씀하신 대로 기존에 자동차 공장의 설비도 재편해야 될 것이고 자동차 정비를 하시는 분의 지식과 노하우도 새롭게 재교육을 해야 되는 상황이 오게 될 거고 큰 흐름이 오고 있는데요. 자동차가 요즘에는 IT와 접목이 되다 보니까 기존의 자동차가 아니고 소프트웨어다 이런 말도 나오고 있더라고요.
    [김필수]
    예전만 하더라도 단순한 기계 부품 덩어리다,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그런데 미래 모빌리티는 모든 과학기술의 총합이다. 그래서 우리가 일명 움직이는 가전제품, 또 바퀴 달린 휴대폰, 움직이는 예를 들어서 생활공간 이런 얘기를 많이 하고 있거든요. 그런데 제일 중요한 것이 하드웨어적인 부품들은 일종의 하청기업이 만들어주는 거고 이걸 움직이는 건 결국 정신망이거든요. 알고리즘 싸움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피라미드의 꼭짓점은 소프트웨어가 지배할 것이다 이런 얘기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차 제작사도 그렇고 또 예를 들어서 현대차 같은 경우에도 SDV, 소프트웨어기반이라고 하는데 소프트웨어 기반의 자동차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선언한 이유가 소프... (중략)
    ▶ 기사 원문 : www.ytn.co.kr/_ln/0105_202309...
    ▶ 제보 하기 : 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ЕНТАРІ • 15

  • @karina-world
    @karina-world 8 місяців тому +3

    UAM의 상용화가 정말 기대됩니다😊

  • @user-ui8et8ir5f
    @user-ui8et8ir5f Місяць тому +1

    헌대차 라이다는 실패작이고 한계가 있다 빨리 테슬라 처럼 카메라통한 인공지능 주행으로 바꿔야만 성공 할수있다

  • @user-on7jx3ub9u
    @user-on7jx3ub9u 5 місяців тому

    점점기대돼고 흥분된다 이제는 인류가 사이보그가 될듯

  • @user-th3ov9cd1z
    @user-th3ov9cd1z 8 місяців тому

    싸다고 LFP 배터리 전기차 사면 무게 때문에 비싼 삼원계 배터리 전기차보다 세금 많이 내게 생겼네... 결국 부자를 위한 세금 정책

  • @user-rg1xv5lo7s
    @user-rg1xv5lo7s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속 80km에 레벨3면 그게 레벨3라고 말할 수 있나 싶다..... 뭔 장난!!
    그리고 입증 책임은 제조사가 지게 되어야 하는데,,,,, 그게 안되면 소비자 외면..... 졸라 웃기게 될 것 같은 상황 도래.

  • @romancecat4469
    @romancecat4469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주요국가중에 한국만 신차 전기차 등록수가 줄고 있는데 무슨 얼어죽을 ㅋㅋㅋㅋㅋ
    일본처럼 전기차 갈라파고스 국가가 될것이다.
    현기차와 국토부때문에

    • @user-zz2cq7us9z
      @user-zz2cq7us9z 8 місяців тому

      으이그..... 경제 관념 없는듯 ㅋㅋㅋ

    • @inhosong6470
      @inhosong6470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zz2cq7us9z저 댓글에 공감하는 건 아닌데, 당신도 왜 저 사람이 경제 관념이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적어셔야죠.

  • @user-bu5qg6dq8i
    @user-bu5qg6dq8i Місяць тому

    Lfp쓰레기라는사람도있고 좋다는뉴스도 있고 누가맞는거야 시브래

  • @user-ey7kn4xj2c
    @user-ey7kn4xj2c 8 місяців тому

    전문가는 무슨 ㅉㅉ 수지안맞아 리사이클도 안되고 이미 하이니켈보다 가격경쟁력 잃은 lfp가 상업성 좋다고 주장하는 수준ㅉㅉ lfp가 그렇게 좋으면 왜 lfp수주가 없냐? 이미 국내 셀업체가 lfp도 중국보다 더 성능좋게 내놨는데? 왜 자동차기업들은 lfp보다 삼원계쪽에 줄서서 못구해 안달일까?

    • @user-bu5qg6dq8i
      @user-bu5qg6dq8i Місяць тому

      레이도 글코 토레스도글코 곧나올캐스퍼도 lfp인데
      그렇게 쓰레기임? 걔들도 바보가 아닐텐데
      그걸쓰는거보면 잘모르겠던데

    • @user-ey7kn4xj2c
      @user-ey7kn4xj2c Місяць тому

      @@user-bu5qg6dq8i 전기차생산 하려는 업체는 많은데 부품인 배터리를 쉽게 못구하는게 현실입니다. 보통 전기차 하나 출시할때 그 준비기간이 3~5년 걸린다고 합니다. 뭐 제품질 포기하면 더 빨리 나올 수 있겠지만요. 15년전 중국은 국내셀업체들에게 보조금 지급을 안해주며 경쟁에서 불리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중국시장에 못들어오게 막고 중국기업을 육성한 결과 catl byd는 중국시장 기반으로 빠르게 커져갔고 현재 국내셀업체 배터리 생산량보다 8~10배정도 많이 생산가능합니다. 즉 전기차업체 입장에선 국내셀업체랑 먼저 계약한 놈들 우선으로 공급계약이 있다보니 국내기업 배터리는 구하기가 힘듭니다. 반면 중국기업은 현재 과잉생산되어 배터리가 남습니다. 현대기아 등등 국내셀업체랑 계약이 늦게된 전기차업체들은 국내기업 배터리를 소량 공급받거나 계약기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쓰고싶은 배터리를 공급받지 못하니 전기차 생산도 그만큼 소량생산밖에 못하는거죠. 그러니 삼원계는 고급전기차에 들어가고 저가차량은 중국배터리 쓴다는 프레임을 기업에서 만드는 겁니다. 앞으로 국내셀업체도 미국 유럽등등 생산공장 짓는거 다 짓고 수율 올라가면 배터리생산량이 어느정도 올라갈겁니다. 그때까지 쓰려는 배터리 못받고 어쩔 수 없이 남아도는 중국배터리 사용해서 전기차 팔아야되는 상황을 언플로 버티려는 전략이죠.

    • @user-ey7kn4xj2c
      @user-ey7kn4xj2c Місяць тому

      @@user-bu5qg6dq8i 성능과 가격 그리고 리사이클까지 고려한 환급성까지 이견없이 삼원계배터리가 우수합니다. 다만 생산량이 많이 않아 삼원계를 주력으로 시장장악을 못할 뿐입니다.

  • @TV-ph1tw
    @TV-ph1tw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똥통대 교수쉐이가 전기차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