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물에 담그기 액체질소 뿌리기 수준의 급랭이 아닙니다 골프채 소재쯤되는 비정질 합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초당 수천도 속도의 급랭조건이 필요하구요 이를 위해 용융 합금을 수백-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작게 비산 시켜 초 급속 냉각된 미세분말을 얻고 이 분말을 성형 가열해서 덩어리 제품을 만듭니다. 소재가공에드는 비용은 곧 그때드는 에너지와같고 이는 가공시 발생하는 표면을 만드는 에너지와 어느정도 비례합니다. 미세분말은 그 중량당 표면적이 일반 덩어리 금속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죠 아무튼 비정질합금은 일반 덩어리 주단조재에 비해 엄청비싼게 맞습니다 그래도 골프채 가격에 원자 값이 어느 정도 차지 하는지는 잘모르겠네요 @@Dotorimook
금속은 액체 상태에서 응고를 할때, 그 금속이 가지는 특유의 원자배열(결정구조)을 형성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순금속에 다른 원소(특히 원자 크기 차이가 큰 원소들)를 첨가할수록 원자들이 제 자리를 찾아가는것이 어려워지고, 이러한 특성을 극대화하면 특정 냉각속도부터 결정을 형성하지 못하고 액체의 불규칙한 원자배열상태로 응고를 해버리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비정질 금속이라 할 수 있겠다. 특정 성분계의 비정질 합금은 일반적인 철강소재보다 5배~10배의 강도를 가지며 꿈의 소재라 불릴 것처럼 보이지만 비정질, 즉 변형이 발생하는 방식이 결정질인 금속보다는 유리에 가깝기 때문에 깨지는 성질을 가지며 열에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뭔가 특정 환경이나 목적성을 가진 분야를 제외하면 사용하기 까다로운 소재이다.
이게 그 리퀴드 메탈이라는 금속 한동안 아이폰 사면 유심빼는 핀으로 포함되었던 놈. 한때 애플이 스테인리스 대신 리퀴드 메탈로 케이스를 만들려는 시도도 했으나, 재조공정 편차도 심하고 단가도 높아 그냥 지금의 티타늄합금으로 오게됨. 뒷면이 유리가 되기전에 한동한 애플로고는 리퀴드 P탈이었다고 함.
철판에 튀기면 철판이 장주기 음파로 진동하면서 쇠구슬의 운동에너지를 소모해 버리네요. 철판이 넓적한 이유도 있고, 진동이 잘 퍼지는 성질도 있나 보네요. 이걸 역으로 하는 메커니즘의 소재로 대체하면 쇠구슬이 더 오래 튀겠네요. 진동이 짧게 퍼지다 못해 다시 판 내부에서 반사돼 오리진으로 모인다면 훌륭한 반발채가 될 것 같은데...
골프 처음치시는 어르신들이 집에서 살짝 쳐보시다가 집안 집기 대창 깨먹는경우가 많습니대
@@Mecha_Orugu님 집에있는 틀딱한테 학대당하면서 자라셨나요?
@@Mecha_Orugu모냐 이 천박한건...
@@pjh0338
그대사 망가에 나올법함!
@@Mecha_Orugu니 할비
@@Mecha_Orugu이건 정체가 뭐임ㅋㅋ
저 금속처럼 반발계수가 큰 금속을 사용한 골프채가 마구 쏟아 지다 보니 능력보다 현질러 게임이 되버림. 그래서 골프협회는 반발계수 0.83을 초과하는 고탄성 드라이버의 사용을 금지했음.
오 역시;;
자전거도 ㅋㅋ uci에서 자전거 키로수 제한함
실제로 얼마차이안남 ㅋㅋㅋㅋㅋ 스윙속도빠른사람이 치면 거의 효과없다고 봐야되고 스윙속도 60-70마일이 드라이버치면 스매쉬팩터 좋았을때 5미터 -8미터 더 나가는…. 그리고 고반발클럽은 페이스 얇게만들뿐 ….
내 말이~ 언젠가 금지 되었다는 걸 들을거 같은데~
0.83으로 규정한 이유는 아시나요?
지나가던 신소재공학과 재학생입니다. 저렇게 빠르게 식히는 방법은 비정질 glass를 만들때도 이용하며 이를 quenching이라 합니다. 감사합니다
지나가는 편의점 알바생입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마퀜칭도 있죠
다른점은 내,외부 온도를 맞춘 후 냉각시킨다는 점이 다르죠
Quenching은 거기만 쓰이는게 아니고 biology나 chemistry 에도 쓰이고 일반 상황과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동사입니다. 반응을 멈추다라고 해석하고 쓰이는거라 단순히 신소재 분야에 국한해서 quenching거리면 안됩니다
말은 이쁘게하는게 조아요@@joohyung-iy3qn
@@joohyung-iy3qn 당연히 여러곳에서 쓰이는 언어겠죠 신소재 과에서 급속 냉각을 다루는 하나의 용어만 말한건데 해깔릴게 뭐가 있죠??
담금질도 quenching이라고 하죠 용어가 그렇게 생소한 단어도 아님
골프채가 그래서 비싼거구만
그냥 급냉시킨거라 비쌀 이유가 없는데 ㅋㅋ
솔직히 거품인듯 ㅋㅋㅋ
급냉한후가 중요하지 않나@@Dotorimook
찬물에 담그기 액체질소 뿌리기 수준의 급랭이 아닙니다
골프채 소재쯤되는 비정질 합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초당 수천도 속도의 급랭조건이 필요하구요
이를 위해 용융 합금을 수백-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작게 비산 시켜 초 급속 냉각된 미세분말을 얻고 이 분말을 성형 가열해서 덩어리 제품을 만듭니다.
소재가공에드는 비용은 곧 그때드는 에너지와같고
이는 가공시 발생하는 표면을 만드는 에너지와 어느정도 비례합니다.
미세분말은 그 중량당 표면적이 일반 덩어리 금속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죠
아무튼 비정질합금은 일반 덩어리 주단조재에
비해 엄청비싼게 맞습니다
그래도 골프채 가격에 원자 값이 어느 정도 차지 하는지는 잘모르겠네요
@@Dotorimook
@@moonlight-cg4xc 가공 공정은
똑같은걸로 알아요
@@Dotorimook 전문가인가본데 직접 만들어서 팔면 이득보는거 아님? 왜안함?
Ah....! 소리가... 너무좋아....
프사 님이 그린거임?
탁 탁 탁 타 타 타타 으 이이잉/?
으..응기잇
쌋다
매미자석
문 천천히 닫히는 소리가ㅋㅋㅋ
금속은 액체 상태에서 응고를 할때, 그 금속이 가지는 특유의 원자배열(결정구조)을 형성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순금속에 다른 원소(특히 원자 크기 차이가 큰 원소들)를 첨가할수록 원자들이 제 자리를 찾아가는것이 어려워지고, 이러한 특성을 극대화하면 특정 냉각속도부터 결정을 형성하지 못하고 액체의 불규칙한 원자배열상태로 응고를 해버리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비정질 금속이라 할 수 있겠다.
특정 성분계의 비정질 합금은 일반적인 철강소재보다 5배~10배의 강도를 가지며 꿈의 소재라 불릴 것처럼 보이지만 비정질, 즉 변형이 발생하는 방식이 결정질인 금속보다는 유리에 가깝기 때문에 깨지는 성질을 가지며 열에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뭔가 특정 환경이나 목적성을 가진 분야를 제외하면 사용하기 까다로운 소재이다.
강원대 재료공학과 에서 이러부분을 해결하였습니다
@@victor-zt4se 어떤것 말씀이신지요?
불쌍한 쇠구슬은 왜 괴롭혀.
이젠 하다하다 쇠구슬감수성도 나오네
그럿다고 당신 구슬을 괴롭힐 순 없잖어
@hh9514😮
쇠구슬.. 선정이 딸이에요
@@hh9514 어어?
바운스볼 생각나네요 ㅋㅋ
그러네
이거보고 집에서 골프채 찾아본사람 있나요?↓
찾았다 나의 무한동력
@@호나우유조상님이 땡겨주냐
뒤에 비정질합금 밸트 게이를 놔두고.....@@호나우유
앞뒤로 ㅗㅜㅑ
저 쇠구슬도 비정질합금으로 만들어서 튀기는거 보고싶다.
탱탱볼 알죠? 그건 바닥이 딱딱해야 에너지가 바로 공으로 전달된겁니다. 하지만 바닥도 고무라면? 그러면 탱탱볼도 그렇게 튕기지 못하죠. 저것도 같은겁니다
@@syoungoh951 설명도 맛깔나고 배우신 분이네 굳
@@syoungoh951딱딱한 바닥에 비정질합금 쇠구슬은 좀 끌릴지도🤣
@@syoungoh951 뻐킹고수
오 그래도 보고 싶어요 눈으로 관측하면 더더 재밌을거같아요
쇠구글도 저 금속으로 만든 후에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면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하다ㅎ
오 저도 영상 보면서 이 생각
고무공을 딱딱한 땅에 튕기면 튀어오르고
고무공을 고무바닥에 튕기면 어찌될까요
양면이 둘다 탄성이 높으면 상상하시는것처럼 됩니다요
@@gege2830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ㅎ
지구1.0서버 버그나면서 다운됨
이게 그 리퀴드 메탈이라는 금속 한동안 아이폰 사면 유심빼는 핀으로 포함되었던 놈.
한때 애플이 스테인리스 대신 리퀴드 메탈로 케이스를 만들려는 시도도 했으나, 재조공정 편차도 심하고 단가도 높아 그냥 지금의 티타늄합금으로 오게됨.
뒷면이 유리가 되기전에 한동한 애플로고는 리퀴드 P탈이었다고 함.
오 비정질합금으로 채찍을 만들어서😊
아모르퍼스 합금. 단점은 온도가 올라가면 다시 결정화되면서 특성을 잃어버림.
비정질합금은 내부조직이 없어 매우 단단한데 탄성도 저리 좋은건 첨 알았네 엄청 질긴 물질이구먼
와!
탄성이 절로 나오네!
오~~ 저거 무거울까???
당구공으로 만들어보고
싶네.. 근데 일반당구공보다
20배는 비싸겠지...
와 개 신기하당 별걸 다 만드는구나
상온상압 초전도체도 쫌 부탁해
나 죽기전에 인류발전의 특이점 혜택 좀 누리고 죽자
엎드려 뻗쳐..
이게 바로골프채 충격파다
찾아보니 비정질 금속이 정질 금속에 비해 탄성률이 20~30% 작다고 나와있습니다.
추측컨데 쇠구슬이 더 잘튀는 이유는 비정질 금속이 정질금속보다 강도가 세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할머니 집 부엌 찬장 닫는 소리
대리석이나 타일에 유리구슬 떨구면 그거만큼 꿀잼 이벤트가 없는데ㅋㅋㅋㅋ
분자를 amorphous한 액체상태에서 급냉하여 vitrimer로 만들어 crystalline domaine이 없어져 crystallinity를 잃고 탄성이 높아진다.
쇠구슬을 포개?
진짜 무지한 세대가 맞네.
마지막 또롤롤ㄹ로롤ㄹ르를르르하는거 소리 미쳣다
쇠구술 저러다 미래로 가는거 아니야?
이걸로 드라이버 만들면 대박이겠는데 ?
딜도 안에 넣어서 범위 조절하면 자극 셀거같음
오도방구였다가 문닫히는 소리로...
철판에 튀기면 철판이 장주기 음파로 진동하면서 쇠구슬의 운동에너지를 소모해 버리네요. 철판이 넓적한 이유도 있고, 진동이 잘 퍼지는 성질도 있나 보네요. 이걸 역으로 하는 메커니즘의 소재로 대체하면 쇠구슬이 더 오래 튀겠네요. 진동이 짧게 퍼지다 못해 다시 판 내부에서 반사돼 오리진으로 모인다면 훌륭한 반발채가 될 것 같은데...
이제 마지막 부분 초고속카메라로 찍어줘요
이제 저걸로 연주하는 사람 나온다
아 저걸로 만들면 확실히 더 멀리 튕기겠구나
지식이 늘었다
탁구채랑 공으로도 똑같이 할수 있어요.
체육시간에 탁구공 탁구대 위에 팅기고 탁구채로 누르던거 생각나네
마지막에 소리 은근 중독성 있네
이제 이거 한동안 쇼츠에서 많이 보일 예정 ㅋㅋ
마지막 장면, 비정질합금 사이에 쇠구슬.
상 병장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이등병 같구만
아 그래서 골프할때 살짝 퍼올리기만 하는 느낌인데 디게 멀리나가는 거구나
비브라늄 얘기는 아무도 안 하네. 비브라늄뜻 자체가 탄성계수 높은 금속인데. 근데 내부적으로 흡수하도록 되어있음
뽀개면이 아니라 포개면이구만요?
저 소재로 판스프링 만들면 좋을듯
그럼 골프공도 쇄구슬로 만들어야 하는 거 아닌가
골프가 힘으로 치는게 아니었어?
와 저 위에서 한번 뛰어보고싶네요
마지막부분엔 왔다갔다 몇번을 했을까...
이정도면 목탁으로 써도 갠찮겟다
뭔가 대단한 뭔가가 나올줄알았는데 그냥 쾌락만 빨고갑니다
아흐흑 소리 쾌감쩔어
이걸로 자동차 서스팬션 만들면 픽플러스각..
ㄹㅇ 보고 싶다ㅋㅋㅋㅋㅋㅋㅋㅋ이 댓 올리고 싶네욬ㅋㅋㅋㅋㅋㅋ
방지턱 한번만 넘으면 차에서 내릴 수가 없다 ㅋㅋ
비정질합금 만들기 어렵고 비싸서 힘들어요잉
아 이래서 골프채로 맞았을때 허리가 활처럼 휘었었군....
저 특이한 맛 때문에 골프를 치는거구나
비결정질 합금이겠지......반발계수와 경도가 원자제에 비해 놀랍게 올라가지만 일정 힘 이상에서는 철사처럼 견디다 뚝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힘보다 조금 적은 힘에서 유리처럼 깨어져 버리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자연은 하나를 얻으면 보통 하나를 잃습니다
amorphous : 비정질 맞는데 뭔 ㅋㅋ
비결정질 합금을 아는데 비정질 합금을 모른다고...?? 헛배우신분이 지적을...??
동의어잖아요...이런 분들 너무 싫어..
오...에너지를 조금만 추가 할 수있다면 무한 점핑멍 가능하겠네.
무한동력은 불가능합니다. 지구에 존재하는 물질중에 탄성계수가 1인 물질도 없는걸로 압니다.
반발계수 1이상은 투입한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생기는거라 에너지보존법칙을 위배해서 불가능합니다.
@@jjaminee국어 능력부터 키우고 옵시다…
@@jjaminee 앞부분은 어디로 갖다 팔아먹었냐ㅋㅋㅋㅋ
무한은 불가능하지
@@jjaminee무한 동력이 아니라 그냥 무한히 점핑하는걸 얘기하는건데...
불균일한 상태라면 강도가 약해지지 않을까
나 이거! 알아...블레이드볼 1년 지나고 난뒤의 공 속도.
그 금속 비브라늄인가?
그렇군...
오래된 문 여는소리가 들리네요
골프가 장비빨이라는 말이 이래서 나왔구나
Liquid metal. 애플이 특허 가지고 있다고 들었음 아이폰 유심핀에 쓰이는 금속이 저 liquid metal
Amorphous metal elacity로 검색하니 비정질 금속의 비규칙적인 배열로 인해서 탄성 elongnation (신장이라는데 업계에서 쓰는 번역이 맞는지는 몰겟네요) 늘어나게 되고 그로 인해 탄성한계가 늘어가게 된다고 하네요. 새로운 지식을 얻엇다
마지막 소리 경쾌하다
야구배트를 저걸로 만들면 다 홈런이겠네
옛날 게임중에 공튀겨서 벽돌 깨는 게임있었는데
그 아래쪽에서 왔다리갔다리하면서 공튀기던 녀석이 저 물질로 만들어졌던 모양이네.
저 금속으로 임플란트를 만들면.....
저절로 씹어질까요
남자친구가 좋아하겠네..
한번 움직일때마다 세번씩 씹히는 씹사기탬
반대쪽 생니가 박살나거나 잇몸이 내려앉겠지. 생체재료는 안간 몸에 적합한 재료를 찾는거지 최강의 재료를 다 때려박는게 아님
생니랑 비슷해야 합니다 싼데비스탄
티타늄 원자재을 매일 가공 하지만 처음 알았다 ㅎㅎ
아 그래서 골프채로 머릴 때리면 위험한거구나?
골프채가 저런금속으로 만들어지는구나. 야구처럼 장비규정없나? 선수능력이 아니라 장비빨인거였네
순간적으로 냉각하면 깨지지않나?
기술 좋구만
탱탱볼이라고 하는 물질도 있습니다.
단무지배트에 쓰이는 그거임?
탄성이 높으면 충격을 흡수 해서 부딪힌 물체를 튕겨 내는 힘은 작아지지 않나?
이걸로 야구배트 만들면 사회인야구 짱먹겠다
이거 총알 탄두 바닥에 얇게 바르면 포구속도랑 사거리 엄청 늘어날것 같은데요?
찾았다 비브라늄 방패의 비밀
갑자기 뭐 부서지는 소리나길래 걱정했더니 영상소리였네 슈바꺼
하지만 하찮은 피크가 될 운명이죠
비정질인가요 비경질인가요
알루미늄 배트에 저거 바르면...
저건 또 어떻게 발견한겨... ㄷㄷ
리퀴드메탈이 참 신기함ㅋㅋㅋㅋ
그래서 골프채로 걸함있는 벤츠차 부수면 잘 부숴지는군~
탱크에 두르면 포탄도 튕기려나...
아니여
일단 포탄이 장갑을 어떻게 뚫는지 1도 모르는듯
고속주행시 바운스바운스 하며 가겠지 ㅋ
도탄
"튕겼습니다!"
총알은 튕길듯 ㅋㅋㅋ
골프가 사기 스포츠네..~
90년대 중후반에 카이스트에서 만든 탄성 금속이다
골프채에 넣는걸 카이스트에서 만든거면 카이스트가 하버드 쌈싸먹지 않았을까
아무리 봐도 슬라임블럭인데
슬라임블럭 아니냐?
이렇게 불펌해오면 되나요 ?
통통 소리가 옛날에 하던 바운스 볼이 생각나네
이렇게하면 방귀소리를 만들수 있는 거네. 😅😅😅
금속으로 방구끼는 방법
마지막 저거는 탁구공도 됨
쇠구슬이잖아 개병시나
@@sioner-03?
정지와 가까워졌을때 돌고래소리가되네
최소 수천 번에서 수만 번 상하로 튕긴 거.
매미 자석 생각나네요
이런걸로 에너지를 생산할순 없는건가?
구슬안에 에너지 발생할수있게 해서 무한동력 가능 하지 않을까여 ?
구슬도 저거로 만든다면?
마지막 소리 상당히 불쾌하네요
아..기분좋다...
너무 만족스러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