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_rang0166 결국 어떤 브랜드던간에 지들딴에 프리미엄이랍시고 가치를 부여해서 더 비싸게 팔놈이 나올건 안봐도 뻔한데 그럼 그만큼 걔는 세금을 더 먹이면되는거임 그럼 결국 회사가 브랜드 가치를 통해서 높은 수익을 얻더라도 술자체가 비싸지게 되기 때문에 통합에 따르지 않는 술들의 전체 소비량은 줄어듬 (오타수정)
? 술 안마시나보네. 국산 소주 맥주 병 제각각인데. 솔직히 공병 얼마한다고 그걸 잘라서 창조경제 해버리고 마진 좀 때서 환경단체 기부하는걸로 업사이클링이라 하는건 좀 ㅋㅋㅋ 되려 저 공정비와 유통비용을 탄소비로 바꿔서 새 유리컵 탄소비랑 비교해보면 엄청난 탄소배출이 이뤄질거 같은데? 환경 생각하는건 좋지만 목적을 망각하고 수단이 폭주한 방법을 좋다고 소개하는건 아닌거같다. 애초에 여기서 댓글로 칭찬하는 양반들 중에 저 컵 가족수만큼이라도 구매하는 사람이 몇이나될까?
아예 국가가 나서서 이런 재활용 하기 힘든 컵을 다시 컵으로 만드는 사업을 해주면 좋을 것 같은데…. 그럼 더 싸게 컵을 살 수 있으니까 사람들도 쉽게 접해서 익숙해지고 당연해지면 많은 수입주류 병들을 폐기 안해도 되잖아 나라는 이런식으로 환경이 도움이 되는 사업들은 나서서 진행해주면 좋겠다
플라스틱 재활용이 더 어렵거니와 플라스틱에 와인이나 술 담으면 변질 가능성이 높아서 안담는 게 아닐까 싶네요 그 외에 대체제를 사용하기엔 와인 공장에 이미 설비가 되어있는 상황이라 교체에 돈이 더 들테고 대체제를 사용하려고 설비를 바꾸더래도 대체제의 재료 가격이 너무 비싸 제품 자체의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고 판매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겠네요
결국 기업은 어떤 좋은 수식어를 붙여도 이익을 추구하는 돈장사이고, 소비자는 기업의 가치를 보고 상품을 구매할 수는 있지만 꼭 재활용을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에서 의미를 가지면 안됨. 저런 실생활에서 쓰이게 하겠다는 재활용은 그걸 사용하는 사람이 극소수일뿐더러 저걸 만드는 다양한 방법에서 다른 방식의 환경오염이 나타날 확률이 높음, 결국 기존의 것을 오래쓰던가 아니면 재활용을 생산에서 가장 기본적인 자원을 대체하는 재활용의 방식을 추구하는 것이 옳다고 봄.
진로만 욕할건 아닌거 같은데...?? 진로 나오기 전부터 다른 회사들도 색상 다른 소주병 사용해 왔고 이번에 카스도 병 바꾸고, 그 이전엔 테라도 나옴.... 딱히 법으로 정해진건 아닌거 같으니 바꾸는건 자유겠지만... 가장 큰 회사 두 군데 모두에서 저렇게 병을 바꾸면 수거업체는 퍽 난감 할 듯...
지랄~ 개돼지가 여기도 있네ㅋㅋㅋㅋ 그래서 진로가 하늘색병을 재활용 안함? 수거해서 하잖아? 안돌려주는 업체보고 웃돈줄테니 달라고 까지 하면서 말이야~ 그리고 하늘색병 먼저 쓴건 진로가 아니라 한라산인데? 한라산도 불매임?ㅋㅋㅋ 그리고 다른 주류업체들은 주류를 전부 같은 녹색병으로 출시함? 진로 한라산보다 먼저 청하라는 이름으로 다른병에 출시했었음. 진로가 그때 시비털고 공병 안돌려주고 함? 생각이라는걸 좀 해라 개돼지야~ 한쪽말만 실은 언론하나만 보고 그런갑다 하지말고~ 오히려 재활용 못하게 공병 안돌려주고 하는 업체가 더 악질인거지.
진로는 국산인데 지 혼자 놀자너
문제의 병
같이하자고 약속해놓고 먼저 약속깨버리는 클라스..
@@youtube_ksb 뇌피셜 싸지르지말거라
이제아님 그 병 쓰는 소주 점점 나오는중
@@manduman2112 소비자들이 이쁘다고 계속 사주니깐요. 원래 모두가 약속을 했을 때 한 사람이 깨기 시작하면 다른 사람도 깨기 시작하죠.
취지는 좋은데 비싸네요
가지고 있는 머그컵 오래오래 쓰겠습니다
안버리고 오래쓰면 그게 환경보호죠
그거두 조은생각이라고 생각해용... 만약 집에서 종이컵을 사용한다면 얼마나 많은 종이를 소비하게 될지 상상이 안가네요...
맞는말입니다 ! ^^
바꾸게 될 때나 생각해보면 좋겠네요~
맞습니다
국산이지만 외래종 푸른두꺼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로
국내에서 평균을 정할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평균을 정하면 환경오염을 더욱 줄일 수 있을 것 같은데 세계적으로 통합된 A4용지 크기처럼..
수입주류는 병 모양이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인 곳이 많아서 힘들거에요. 박쥐모양이 찍혀있는 바카디, 뚜껑에 왁스가 묻어있는 메이커스마크등 너무 특이한게 많아서....
@@박영신-n1g 세제혜택 준다면 그딴거 없고 다통일 됨 물론 그와중에도 개성이고 표현의 자유 운운하는 애들은 나오겠지만 논리가 빈약해서 금새 비주류로 전락할거임
@@kimggonmer 수입으로 들어오는 술들은 워낙 가격이 있는데다가 원래부터 고급라인업인 경우가 많아서 자신의 브렌드를 차별화하는 것을 세제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할 거에요.
@@kimggonmer 그 세금을 어디서 줌?
@@a_rang0166 결국 어떤 브랜드던간에 지들딴에 프리미엄이랍시고 가치를 부여해서 더 비싸게 팔놈이 나올건 안봐도 뻔한데 그럼 그만큼 걔는 세금을 더 먹이면되는거임
그럼 결국 회사가 브랜드 가치를 통해서 높은 수익을 얻더라도 술자체가 비싸지게 되기 때문에 통합에 따르지 않는 술들의 전체 소비량은 줄어듬 (오타수정)
크랩 채널은 나레이션 하시는분을 정말 잘 선정하신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user-yp2mf6en3u 본인이세요....?
@@user-yp2mf6en3u ㅋㅋ
@ㅇㅇ ? ㅋㅋㅋㅋ
와 프사 샤샤당ㅎ
00:20 이걸 진로 하이트가 병을 멋대로 바꿔서 재활용률 확 떨어짐 ㅡㅡ
2:39 와.. 어디에 기부되었는지 까지 나오다니.. 👏👏
모든 기부 시스템이 이렇게 바뀌었으면 좋겠네요 👍👍
팩트는 저런걸 사는것보다 그냥 쓰던거 쓰는게 환경에 더 도움됨
보고있냐 진로. 생각있으면
불매하자 좀
진로 더 사먹어야 것네
@@Hi_there_1226 취기를 빌려 그말한거죠?
@@Hi_there_1226 진로 직원이냐
@@Hi_there_1226 ㅋㅋㅋㅋㅋ이런 얘들 특징 개찐따 같은데 지만 모름
@@이클립스-l6k ?
2:21 기부해봤자 얼마나 기부하겠어? 라고 생각했는데 꽤 많이 기부하는구나 ,,,하고 놀램.
2만 2천원....큰가게는 사겠고....작은가게는 장식품이고....
돈없는 사람한테는 그냥 화면의 것이네.....
음...그렇네요.
2만2천원이요? 미쳤네요.
환경코인으로 돈 벌려는 업체 같은데
아무리 기부금이 포함이 됐다지만 폐기예정인 재료로 재활용한 컵이 2만원을 넘는다니
@@krauskim7662 사실 집에서 자체적으로 만들던것이기에 원가의 대부분은 가마 사용비일듯
주둥이부 절반은 버리는 것이 아닌지, 새로운 유리컵을 만드는 것보다 업사이클링에 드는 자원과 에너지가 더 많은 건 아닌지, 경제적으로 수지타산이 맞는지 등의 몇 가지 문제만 해결된다면 지속가능할 것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유리컵 하나 2~3만원인거 보니 안맞네요.
주둥이 절번 버리더라도 이익입니다.
어차피 유리잔 만들때 소모되는 자원을 아낀다는 점
? 술 안마시나보네. 국산 소주 맥주 병 제각각인데. 솔직히 공병 얼마한다고 그걸 잘라서 창조경제 해버리고 마진 좀 때서 환경단체 기부하는걸로 업사이클링이라 하는건 좀 ㅋㅋㅋ 되려 저 공정비와 유통비용을 탄소비로 바꿔서 새 유리컵 탄소비랑 비교해보면 엄청난 탄소배출이 이뤄질거 같은데? 환경 생각하는건 좋지만 목적을 망각하고 수단이 폭주한 방법을 좋다고 소개하는건 아닌거같다.
애초에 여기서 댓글로 칭찬하는 양반들 중에 저 컵 가족수만큼이라도 구매하는 사람이 몇이나될까?
환경?? 저런 병은 갈아서 건축용이나 다른 재활용으로 해야됨.... 유리는 어짜피 모래에서 나온거라 저렇게 돈들여서 비싸게 파는건 재활용이라 볼수 없음....
극한작업 유리병 재활용 보면 유리병은 거의 100% 재활용됨....
플라스틱이나 비닐 같은거나 해결하시요
이런 업사이클링, 리사이클링 제품을 한데 모아 파는 오프라인 매장이 있으면 좋겠어요. 에코프렌들리 올리브영 같은 곳이요. 어디서 플랜카드를 재활용해 만든 지갑도 파는 걸 봤는데...
발트글라스 홈페이지 들어가니까 2만원에서 3만원이네.....ㄷㄷㄷ
ㅗㅜㅑ... 2,3만원 ㅎㄷㄷ;;
그렇게 컵에는 먼지만 쌓여간다....
그러게요.
좀쎄네 기부한다는 마음으로구입하면 모를까 좀 그렇네요
이거 보면서 생각나는건데 진로병은 솔직히
소주계의 황소개구리 아님? 교란종
사이트 들어가봤는데 확실히 비싼느낌이 있네요. 기부할 마음으로 사야할듯 싶으면서도 그냥 그돈을 100퍼센트로 기부하는게ㅋㅋ
와인 색깔 이뻐서 캔들은 진짜 이쁠듯
컵하나에 2만원대 비싼것 같지만
만든 수공이랑 환경에 기부한다고 생각하고 하나 구입해야겠네요
좋은정보 고마워요~~
유리병 재활용은 금속처럼 녹여서 다시 만들수 있는줄 알았는데 아니었네,,
유리색때문에 플라스틱처럼 색을 쉽게 못빼서 생기는 문제
저렴한 가격으로 주문제작해서 커플끼리 커플템하거나 나만의 컵으로 만들고 연예인팬들은 연예인 사진이나 글 써서 굿즈로 만들어도 좋을거 같아요!🤔
리사이클하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컵으로 다시 만들고 기부까지 하니 참 좋은 활용이네요. 예쁘기도 하구요~
구매할 수 있거나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링크도 함께 달아주셨으면 더 좋았을 듯 합니다;)
네이버에 발트글라스 쳐보세요.
과연 쉽게 구입할수 있으려나...?
아이디어가 너무 좋네요 분위기 있는 일반컵으로도 쓸 수 있을듯!
크랩 내용 넘 좋아요~~
훌륭합니다
와우~~~오 마이 갓!
너무 기발하고 멋지네요!!!
해외꺼는 좀 예쁘닌깐 유리칼로 그어서 차가운물이랑 뜨거운물 번갈가면서 톡 때어내면 유리컵으로 사용가능해요:]
아예 국가가 나서서 이런 재활용 하기 힘든 컵을 다시 컵으로 만드는 사업을 해주면 좋을 것 같은데…. 그럼 더 싸게 컵을 살 수 있으니까 사람들도 쉽게 접해서 익숙해지고 당연해지면 많은 수입주류 병들을 폐기 안해도 되잖아 나라는 이런식으로 환경이 도움이 되는 사업들은 나서서 진행해주면 좋겠다
장식용으로 안에 꾸미고 빛두면 이쁘겠당. 무드등처럼
크랩 쓰앵님 ! 여름이니 많이쓰는 에프킬라와 같은 살충제 분리수거 하는법좀 알려주세요!
유리공예 업체에 제공하면 안되나??
저런 업사이클 제품도 다시 업사이클이 가능하게 제품을 개발하면 좋겠다..
업사이클 제품들 대부분이 사용되고 나면 다시 쓰레기가 되는 현실..
와 화병 넘 좋다
오 시리얼 넘버로 확인가능해서 너무 좋다
화병으로도 만들면 이쁠듯
대개 이런것들은 기부를 내세우면서 비싼 가격으로 파는데 다 sns감성 이용한 상술들뿐
저런걸 만들고 팔기까지에 소비되는 에너지와 그냥 집에 있는 컵을 사용함으로써 소비되는 에너지랑 비교해보면 답 나오죠?
애초에 사업이랑 기부랑 연관짓는것부터 큰 모순임 ㅋ
깨진 병이나 규격 외의 병은 녹여서 다시 쓰면 되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어서...
어머! 이건 인싸템이야!
근데.. 인간이 소비 생산하는게 1000개면 재활용 해 봤자 전부 갯수가 1000개가 됨... 계속 리사이클 해 봤자 나중에 쓰레기량은... 1000개임... 고로.. 인구감소가 답임.. 걍 인구가 줄어서 소비생산을 줄이면 될 듯...
?
재활용이 안되는 공병등은 재활용분담비를 겁나 올려서 받아야지
리사이클 업사이클 사업들은 자본주의 가치를 뒤집는 것이기 때문에 생존율이 제로에 가까움. 돈이 안되니까.
그래도 반드시 해야 한다면 정부 지원금(세금) 투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지.
재활용 공장들 처럼.
디자인이 조금 더 단순해도 좋을것 같아요. 조금 아쉽다...
서서히 냉각시키면 결정이 커요. 그래서 단단하다고 보면 됨요.
어떤 온도에서 얼마나 오래 있었고 어떤 온도로 얼마나 빨리 식히느냐.
이런 사실만 알려주지말고 링크도 같이주면 얼마나 좋을까..
47:23 와 저거 진짜 이쁘다
술병은 라벨만 쉽게
제거되면 꽃병으로 쓸텐데
공병을 컵으로 만드니 버려지는 공병들은 줄일 수 있겠지만 아직은 컵을 만드는 과정에서 환경오염과 가격 면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도 시도하는것이 인상깊네요:)
넘좋은데 쪼오오끔만 더 이뻣음 좋겟넹...
해외에서 만들어 들어오는 수입공병이 재활용이 힘들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어요. 그런데 이런 수입 공병을 재활용해 컵이나 초, 화병으로 만든다니 너무 좋은 것 같아요!
제발 제조측에서 플라스틱 등등 쓰는 대신 다른 것 쓰는 방햑을 모색했으면ㅜㅠ
님이 안사먹으면 됩니다.
플라스틱 재활용이 더 어렵거니와
플라스틱에 와인이나 술 담으면 변질 가능성이 높아서 안담는 게 아닐까 싶네요
그 외에 대체제를 사용하기엔 와인 공장에 이미 설비가 되어있는 상황이라 교체에 돈이 더 들테고 대체제를 사용하려고 설비를 바꾸더래도
대체제의 재료 가격이 너무 비싸 제품 자체의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고 판매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겠네요
결국 기업은 어떤 좋은 수식어를 붙여도 이익을 추구하는 돈장사이고,
소비자는 기업의 가치를 보고 상품을 구매할 수는 있지만
꼭 재활용을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에서 의미를 가지면 안됨.
저런 실생활에서 쓰이게 하겠다는 재활용은 그걸 사용하는 사람이 극소수일뿐더러 저걸 만드는 다양한 방법에서 다른 방식의 환경오염이 나타날 확률이 높음,
결국 기존의 것을 오래쓰던가 아니면 재활용을 생산에서 가장 기본적인 자원을 대체하는 재활용의 방식을 추구하는 것이 옳다고 봄.
1:20 립이 아니고 림(rim)입니다 ㅠㅠ
좀 비싸긴한데 디자인도 좋고 의도도좋은듯
주류수입업자들이 빈병 수거를 맡아서 하는 쪽으로 법이바뀌면 좋겠네요 돈만벌고 뒷처리는 책임안지는게 이해가안되여 ㅜ
그럼 음료업체는 음료업체에서 빈병수거하냐?
그럼 또그러겠지 음료업체에서 수거한다.
ㅂㅅ아 조금한 음료병까지 수거하냐고?
바카스, 비타오백, 쥬스병등등
에휴 생각좀하고 댓글써라.
@@망치가방 그냥 그러면 좋겠다잖아요... 말 좀 곱게 하셈
감동……
다음엔 주류업체랑 손잡고 계속 만듭시다..
진로야 약속은 지키라고 있는 거야...
진로만 욕할건 아닌거 같은데...??
진로 나오기 전부터 다른 회사들도 색상 다른 소주병 사용해 왔고
이번에 카스도 병 바꾸고, 그 이전엔 테라도 나옴....
딱히 법으로 정해진건 아닌거 같으니 바꾸는건 자유겠지만...
가장 큰 회사 두 군데 모두에서 저렇게 병을 바꾸면
수거업체는 퍽 난감 할 듯...
별로 안난감함.판매한 주류도매상에서 수거해가고, 분류하다 귀찮으면 대충 분류해서 보내면 지들끼리 알아서 바꿔서 씀.
@@망치가방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래서 진로 불매해야 되는 건데 🔥 🔥
지랄~ 개돼지가 여기도 있네ㅋㅋㅋㅋ
그래서 진로가 하늘색병을 재활용 안함?
수거해서 하잖아?
안돌려주는 업체보고 웃돈줄테니
달라고 까지 하면서 말이야~
그리고 하늘색병 먼저 쓴건
진로가 아니라 한라산인데?
한라산도 불매임?ㅋㅋㅋ
그리고 다른 주류업체들은
주류를 전부 같은 녹색병으로 출시함?
진로 한라산보다 먼저 청하라는 이름으로
다른병에 출시했었음.
진로가 그때 시비털고 공병 안돌려주고 함?
생각이라는걸 좀 해라 개돼지야~
한쪽말만 실은 언론하나만 보고
그런갑다 하지말고~
오히려 재활용 못하게 공병 안돌려주고
하는 업체가 더 악질인거지.
@@뽀얀허벅지 말 존나 많다 진짜ㅋㅋ
저 글이 긴가요..? 저분이 말투를 저따위로 하셔서 그렇지 특별히 틀린말을 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나무보다 바다정화에 투자를..
몇개 갖고싶네요 ㅎㅎ.
사가지고 캔들 만들어도 좋겠다..
녹여서 재활용 할 수 있지 않나?
집에 컵이 없어서 꼭사야하는데 사는거면 당연히 괜찮은데 그게 아니라면 환경에 도움 전혀없고 피해만 주니 그냥 계세요
4분전이었네
이런 취지는 좋은거 같아요
관심갖게 어서 사이트 판매 링크 줘요
저거 무늬 없으면 좀 서고 싶다
저런거 한정판 같은거 붙이면 잘 팔리겠다
진로먹지말아야....
저런 공병들도 녹여서 유리 소재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녹이는데 사용하는 에너지는 그냥 만들어지는게 아니겠죠??
어디서 구매할 수 있는지 링크 올려주세요...
저 유리컵 어디서 사요?
환경을 생각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더해서 손잡이 달린 것도 만들어주시면 너무 좋겠습니다.
어디에서 살 수 있나요???
얼마예요 어디서사요
초록병 속쓰려 파란벙으로 통일했으면..
잘라내고 남은 윗부분(주둥이)은 어떻게 처리하나요?
환경오염 심각한데 유리병도 제대로 활용안하면 플라스틱보다 심각하게 안썩는 쓰레기일뿐.. 제발 지구 좀 생각하자.
녹여서 다시 쓰는거 아니였음?
유리컵 하나에 2~3만원? 비싸니까 20~30% 기부가 되는거지... 차라리 그걸 소비하지 않는 게 더 환경에 도움이 됨. 이미 집에 있는 유리컵들 장식용으로 수집하는 게 더 환경파괴적
제조원가는 모르겠지만...
저가격이면.....
진로 혼자 독고다이 ㅋㅋ
리사이클링이야 업사이클링이야?
2만2천원은 좀 쎈데 가격이…
1:05 화병은 화염병의 줄인말 인가?
화병=꽃병
저기어딘지 궁금하네요 좌표돔
가게에서나오는 양주병 주고싶네
근데 병의 반은 결국 버리는 거임??
예전에 이렇게 컵 만드는 유투버 있었는데 누구였지..
비싸도 예쁘고 취지좋아서 하나 사고 싶네요!!
중2라면 누구나 아는 업싸이클링
본문에 나오나 ㅋㅋ
와인병 50개 정도 버릴께 있어요
짤린부분은 버려지나??
그래서 어디서 사는건데요;
아버지 맥켈란을 딸 명분이 생겼습니다
14만톤.....ㅎㄷㄷ
그래서 얼만데요?
요즘 환경코인으로 돈벌려는 업체 많던데
합리적인 가격이라면 적극 지지하겠지만 안그런 곳도 많아서
2~3만원이라니.....
좋게 보이지 않네요.
제가 마신 위스키 브랜디 병으로 잔만들어주려나ㅠㅠ
난 외국 술병같은거 마신다음 안버리고 취미로 모으는데
두꺼비, 보고있나?
가마가 아니라 오븐에 넣으시는데여?…
그건 불순물제거할때임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