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h Science 1] Key points of the round of 13 for the completion of the 2025 Earth Science 1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Cheer up! It's green spring.
Key points of the round of 13 to complete the 2025 Earth Science 1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m going to upload it every Thursday and Sunday,
Why don't you listen to the first round on Monday, Tuesday, and Thursday, Friday and Saturday.
📁 Reference materials
✔️202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s completed, 2025 Special CSAT Lecture No Writing is shared
drive.google.c...
✔️ Download mock test, CSAT questions, EBS textbook pdf
Please download the textbook only for those who purchased it.
Distributing pdf files to others constitutes an infringement of the distribution right under Article 20 of the Copyright Act and may result in criminal charges and liability for damages.
drive.google.c...
✔️EBS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Jung Young-il Sam)
www.ebsi.co.kr...
📷 Photograph: Galaxy Tab S6 Lite Screen Recording
🎤 Microphone: BY-M1 (KRW 10,000, Hyun Ki-sam's PE class)
🎬 Editorial: Da Vinci Resolve
🔖Tags.
#Easy science #Earth science1 #Completion of the CSAT #Key points
#Science #Science Recorder #WhiteMago #EBS #AcademySpecial Lecture #AcademyCompletion #EarthScience1
3:50 8번의 ㄷ 선지가 딱 42배 라서 틀린건가요?? 답지에서는 식현상이 일어나는 동안 이동한 거리는 행성반지름의 42배보다 크다고 나와있어서 뭐가 맞는지 헷갈리네요 ㅠㅠ
@@와아앙-g1w 해설이 맞구요.
42r은 직선상으로 이동했을 때이고, 실제로는 원꿰도로 움직이니 더 길게 됩니다.
두 점을 찍고
직선을 그었을 때가 42r
원궤도로 그으면 42r 보다 크겠죠.
조금 더 세심하게 했어야 했는데 죄송합니다
@@힘내짜샤 답장 감사합니다
@@와아앙-g1w 아닙니다. 조금 더 신경써야 했는데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근데 아마 덕분에 이 문제 유형은 쉽게 맞출 겁니다.
힘내십시오.
근데 행성이 움직이는동안 별도 행성 반대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나요? 그럼 식현상이 일어나는 시간이 줄어들지 않나요?
@@user-hw1oh1kv3t 별과 행성이 공통 질량 중심을 줌심으로 공전한다는 말이 없기 때문에 별은 고정되어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태양계처럼 태양이 고정되어 있고, 행성이 그 주위를 공전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