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강의감사합니다. 슈퍼커패시터와 관련된 질문인데요..자전거 패달을 밟아(사람의 힘) 슈퍼캐패시터를 충전(완속)하고 일정 용량으로 충전되면 순간적으로 슈퍼커패시터의 힘으로 주행가능할까요? 예를 들면 10분정도 자전거 패달을 구르고 어떤 버튼을 누르면 10~20초 정도 슈퍼커패시터로 자동주행하는게 가능할까요?
커패시터의 기능은 전하를 저장하는 것입니다... 전하를 저장하고 부하를 통해 방전시키는 동작을 통해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리플전압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필터 회로에도 사용됩니다. TV나 일반적인 가전제품의 전원부에도 이런 용도로 사용된다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용량이 아주 큰 커패시터는 배터리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ngclassroom4812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때 남는 교류분을 리플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것을 어떻게 커패시터로 해결할 수 있는지 그 원리가 구체적으로 궁금합니다. 찾아보니, 커패시터의 전기용량을 크게하면 된다고하는데 전기용량과 리플을 제거하는것이 어떤 관계인가요?
이론 확실하게 잡아주고 실험으로 보여주기까지 해주시니 너무 이해가 쏙쏙 되네요!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자세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많이 배웁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제가 전자부품쪽에 관심이 많은데 이런 영상 많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힘을 주는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명확하게 커패시터의 성능 측정과 분석 방법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어 좋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저도 측정기와 부품을 따라 구매해서
실험을 따라해보았는데 이해가 잘됩니다
네...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제 대학 강의를 하지 않으니 교수는 아닙니다.
캐패시터 충전되는 모습등을 오실로스코프로 보여주시면서 설명을 해주시니 훨신 좋았던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궁금한 부분이 있는데요.
스위치를 LED로 연결시 왜 커패시터의 전압이 0V까지 떨어지지 않나요?
영상 19분~ 19분20초 근처에 질문하신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훌륭한 강의감사합니다. 슈퍼커패시터와 관련된 질문인데요..자전거 패달을 밟아(사람의 힘) 슈퍼캐패시터를 충전(완속)하고 일정 용량으로 충전되면 순간적으로 슈퍼커패시터의 힘으로 주행가능할까요? 예를 들면 10분정도 자전거 패달을 구르고 어떤 버튼을 누르면 10~20초 정도 슈퍼커패시터로 자동주행하는게 가능할까요?
최근에 울트라 커패시터로 배터리를 대체하는 예들이 있습니다. 페달을 밟아 전기에너지를 발생하고 적당한 충전회로를 이용 충전을 하면 말씀하신 기능이 가능할 것도 같습니다.
전해커패시터가 (-,+) 반대로 바꿔서 충전해도 되던데 방전 할때도 (-)로 방전 될수 있나요?
질문을 제가 잘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전해커패시터는 극성에 주의해서 연결 해야 합니다.
@@engclassroom4812 (+)에서 방전 될때 (-)극은 뭐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여쭤볼것이 있는데 전원이 교류일때는 캐패시터가 충전이 안되나요??
커패시터 단자 사이에 교류가 인가되면 커패시터 단자의 극성이 계속해서 바뀌므로 충전이 되지 않습니다.
충전 회로에 1k옴, 방전 회로에 470옴을 사용하신 이유가 있으신가요?? 해당 저항값을 고르신 이유가 있다면 설명 부탁드려요.. 꼭 알고 싶습니다!
반갑습니다. 저항 선택에 큰 의미는 없습니다. LED에 연결되는 저항은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므로 1k 저항을 사용하면 전류가 너무 작아서... 470ohm을 사용했습니다.
@@engclassroom4812 아아 넵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강의 고밉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전자제품에서 캐패시터의 역할이 정확히 뭔가요? 밥솥이나 TV같은 전자제품이요
커패시터의 기능은 전하를 저장하는 것입니다...
전하를 저장하고 부하를 통해 방전시키는 동작을 통해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리플전압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필터 회로에도 사용됩니다. TV나 일반적인 가전제품의 전원부에도 이런 용도로 사용된다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용량이 아주 큰 커패시터는 배터리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ngclassroom4812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때 남는 교류분을 리플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것을 어떻게 커패시터로 해결할 수 있는지 그 원리가 구체적으로 궁금합니다. 찾아보니, 커패시터의 전기용량을 크게하면 된다고하는데 전기용량과 리플을 제거하는것이 어떤 관계인가요?
@@O_OG-vb3fy 제가 올리는 영상들은 이전 영상들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전에 올린 DC Power Supply 기초라는 영상을 보시면 말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머리 속으로^^^
이해가 쉽지는 않습니다.
시정수가 왜 63.2%까지 충전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를 했을까요? 그것에 대해 찾아 보셨나요? 63.2%까지 충전회는 것은 시정수만큼의 시간이 흐른 후에 커패시터에 중전된 전압의 현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