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처럼 추울 때 방귀 뀌면 입김처럼 보일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요즘은 마스크를 써서 보기 힘들지만, 추운 겨울에 사람들은 지나가면서 입김을 내뿜습니다. 그런데 체내에서 나오는 기체에는 방귀도 있습니다. 추운 겨울에 방귀를 뀌면 입김처럼 보일까요? 뒤에서 나오다 보니 쉽게 답변 못 할 겁니다.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사물궁이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모음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
    유튜브 멤버십 가입 : / @사물궁이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
    서울대학교 대기과학전공 대학원생 김중진
    : / @ksksmeteorology6503
    [기상학] 입김이 나는 이유 및 에어컨 연기 원인 / 이슬점온도 (구름이 생기는 이유)
    : blog.naver.com...
    이슬점(dew point)
    : www.scienceall...
    포화 수증기량 곡선
    : javalab.org/gr...
    ▪ 배경음악
    : Burlesque Heartache - RKVC
    : After the Soft Rains - South London HiFi
    : We March Together - Patrick Patrikios
    ▪ 애니메이션 감독 : Studio H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사물궁이 #궁금증 #호기심 #과학 #방귀 #이슬점 #입김 #입김원리 #겨울 #구름 #단열팽창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КОМЕНТАРІ • 531

  • @ksksmeteorology6503
    @ksksmeteorology6503 3 роки тому +562

    이슬점온도는 공기 중에 수증기가 얼마나 들어있는지를 알려주는 절대적인 수치입니다. 보통 안개가 낀다는 것은 이슬점온도는 그대로인데, 복사냉각 때문에 기온이 떨어져서 이슬점온도와 같아질 때 (상대습도가 100%) 생긴다고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슬점온도와 같이 공기 중에 수증기가 얼마나 있는지 알려주는 것은 절대습도와 비습 (혼합비) 등등도 있습니다.

  • @안찬엽-m6d
    @안찬엽-m6d 3 роки тому +207

    사물궁이 보면... 대학과학 논술에 문제내기 좋은게 정말 많다고 느껴져요..ㅋㅋ

  • @Sun을좋아해
    @Sun을좋아해 3 роки тому +335

    26년 살면서 절때 궁금하지 않았는데 막상 궁금하게 해주는 채널ㅋㅋ

  • @아메리카눙
    @아메리카눙 3 роки тому +140

    일요일 점심식사 중이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vvi9230
      @vvi9230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

  • @chickenmayonese
    @chickenmayonese 3 роки тому +2

    너무 유익해요.. 주제는 무익한데..

  • @사딸라-o3r
    @사딸라-o3r 3 роки тому +84

    세상에..항문의 모양까지 입모양에 비유해서 설명해 주시는 저 자상함..

  • @dffs123-s
    @dffs123-s Рік тому +1

    저도 궁금해서 검색해봤는데 덕분에 궁금증 해결!!!

  • @xml1367
    @xml1367 3 роки тому +78

    궁금증은 충분히 해결되었지만
    호와 하만 남은 우리네의 기억력ㅋㅋㅋㅋㅋㅋ

  • @fighting_lion
    @fighting_lion 3 роки тому +193

    놀랍게도 겨울만 되면 궁금했던 주제였는데
    사물궁이님이 가르쳐주시네요 ㅋㅋㅋ

    • @잔프랑코고르곤졸라
      @잔프랑코고르곤졸라 3 роки тому +2

      역겹네 ㅋㅋㅋ 궁금하대 ㅋㅋㅋ

    • @nicknamekr
      @nicknamekr 3 роки тому +4

      @@잔프랑코고르곤졸라 뭐냐 니도 개백수라 시간 낭비 조지러 들어온게 아니면 궁금해서 들어왔을 거 아님?

    • @가을-r8e
      @가을-r8e 3 роки тому +9

      대체 이게 왜 궁금한건댘ㅋㅋㅋㅋㅋㅋㅋ

  • @개재
    @개재 3 роки тому +38

    너무 과학적이예요 ㅋㅋㅋㅋ 일상의 원리들을 알수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Claymore-chobo
    @Claymore-chobo 3 роки тому +1

    악! ㅋㅋㅋㅋㅋㅋ 설사!!ㅋㅋㅋ 그래도 일단 싸면 따뜻하니깐 김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너무 더럽기에 상상도 안하는 것으로 ㅋㅋㅋ 다른이야기이지만 공항에서 열감지센서로 방귀뀌는거 찍힌영상있던데 ㅋㅋㅋ 가스뿜어지는게 정확히 찍힘 ㅋㅋ

  • @-_-j06
    @-_-j06 Рік тому +1

    겨울에 밖에서 방귀 뀌고 후다닥 달려들어왔습니다 ㅎㅎ

  • @seungcheolpark4578
    @seungcheolpark4578 3 роки тому +58

    지난 번에 이어서 항문 전문 유튜버가 되고자 시도하시는 모습 아름답습니다

  • @DolsungE
    @DolsungE 3 роки тому +13

    생각해본 적도 없었는데 강제 궁금증을 심어줬네..ㅋㅋ

  • @usersnelsp19381
    @usersnelsp19381 3 роки тому +44

    진짴ㅋㅋㅋㅋ 쓸데없이 궁금해졐ㅋㅋㅋㅋㅋ

  • @잠자는공주의숲속-p3o
    @잠자는공주의숲속-p3o 3 роки тому +43

    맨날 껴대는데 다행이네여ㅎㅎ

  • @kityk4532
    @kityk4532 2 роки тому +1

    베르누이 형님

  • @grilledonions
    @grilledonions 3 роки тому +1

    3:3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김 만들어졌댘ㅋㅋ

  • @부친개막걸리
    @부친개막걸리 2 роки тому +1

    상상도 못했다

  • @jinhookim3261
    @jinhookim3261 3 роки тому +3

    오늘도 귀여운 궁이

  • @소금돌이
    @소금돌이 3 роки тому +1

    신선한 생각이네요 ㅎㅎ

  • @user-to2d4e
    @user-to2d4e 3 роки тому +1

    정보가 있는 좋은 영상 재밌게 봤어요

  • @파묘
    @파묘 3 роки тому +6

    궁이 캐릭터가 방구 뀌고 헉 하는게 넘 웃기네요 ㅋㅋㅋ 방구 맞고 죽는건 또.. ㅋㅋㅋ

  • @James_Bang
    @James_Bang 3 роки тому

    거참 더럽게 유익하네요ㅋㅋㅋ

  • @기민시-s1s
    @기민시-s1s 3 роки тому +3

    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궁금한 줄도 몰랐던 부분을 이렇게 지식 곁들여서 설명해주시다니 웃기려는 의도가 없어보이는 담담한 목소리로 재치섞인 문장 말해주셔서 더 웃겨요… 감사합니다

  • @minseon10
    @minseon10 3 роки тому +146

    사물궁이님!! 다른 일반 빵들은 냉동실에 넣었을때 딱딱하게 어는데, 아이스크림 빵또아는 어떻게 안얼고 부드러운지 궁금해요!!

    • @해와달과그리운기억
      @해와달과그리운기억 3 роки тому +6

      초코파이 빵이 공장에서 만들때는 비스킷 이었다는데 뭐, 같은 상황은 아니지만 그런 식으로 아이스크림의 유분을 많이 흡수해서 그런거 아닐까요?🤔🤔

    • @바삭바삭-f3y
      @바삭바삭-f3y 3 роки тому +2

      헉...빵또아에 있는건 빵이 아닌걸까요..?

    • @해와달과그리운기억
      @해와달과그리운기억 3 роки тому +1

      @@바삭바삭-f3y 잘은 모르지만 부슬부슬한 느낌 없이 부드러운거 보면 빵은 맞을거 같아요 ^^

    • @dlrauddlraud6442
      @dlrauddlraud6442 3 роки тому +12

      일반 빵은 혼합액이 아니라서 증기압 차이가 없어요 아이스키림 빵또아는 설탕 용액이랑 같아서 어는점 내림 현상이 일어나요. 소금물이 더 높은 온도에서 끓은거랑 같은 원리입니다
      일반빵은 그 안의 수분

    • @JungTeddy
      @JungTeddy 3 роки тому

      @@dlrauddlraud6442 올

  • @hojunlee2366
    @hojunlee2366 3 роки тому +14

    설사가 나기전 소리없이 천천히 나가는 방구는 가능 할 지도 모른다는 것이군요

  • @BlackKingSnake
    @BlackKingSnake 3 роки тому +9

    여태 본 것 중에서 제일 웃겼다 ㅋㅋㅋ

  • @pt78k
    @pt78k 3 роки тому +1

    밥 먹으면서 보는데 방귀까지는 감안하고 봣는데 구멍까지 나올줄은...

  • @duckheechoi9868
    @duckheechoi9868 3 роки тому +28

    호(또는 후~) 할때는 단열팽창 효과도 있지만 숨의 속도가 빠르므로 압력이 낮아져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주변 공기가 합류되고 희석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날개없는 선풍기의 원리)

  • @-unknown7472
    @-unknown7472 3 роки тому +8

    이런생각은 대체 어떻게하는거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ianapung9029
    @gianapung9029 3 роки тому +2

    2:32
    아쉽다래 ㅋㅋㅋㅋ

  • @조성훈-b8k
    @조성훈-b8k 3 роки тому +1

    👍

  • @belleys82
    @belleys82 3 роки тому

    정말 사물궁이 스러운 주제!b

  • @Barbiechon
    @Barbiechon 3 роки тому

    오늘도 유용한? 정보 고맙숑니닿

  • @힘들때마다널생각해치
    @힘들때마다널생각해치 3 роки тому

    와...먼가 체계적이고 구체적이라 재밋네요ㅋㅋ 좋아요 꾸욱ㅋㅋㅋ

  • @HEATH_EDU
    @HEATH_EDU 3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썸네일에 이끌려 왔숩니다

  • @kkueongkkueong
    @kkueongkkueong 3 роки тому +106

    궁금하지 않았다는 의견이 많네?
    나만 겁나 신경쓰면서 방귀 뀐건가?ㅋㅋㅋㅠㅜㅠ
    뭐 이제 사물궁이 덕분에 신경쓰지 않고 뀔수있게됨ㅋㅋㅋ감사합니당

    • @yt_white_banana
      @yt_white_banana 3 роки тому +2

      차피 팬티랑 바지에서 걸러짐ㅋㅋㅋㅋㅋㅋㅋㅋㅋ

    • @orrot__
      @orrot__ 3 роки тому

      옛날에 sns에서 떠돌던 이런 내용의 글이 있었는데 오늘 영상을 보니 주작이었나보네

  • @Ampt-q8j
    @Ampt-q8j 3 роки тому +1

    밥 먹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 @comiro7
    @comiro7 3 роки тому +4

    썸네일부터 귀여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찬우-d5w
    @이찬우-d5w 3 роки тому +36

    오늘도 쓸데없는 잡학지식을 친절하게 그리고 자세하게 알려주시는 사물궁이.

  • @mint3892
    @mint3892 3 роки тому +1

    하~ 호~ 는 에어컨의 기본원리로도 사용되는건데 친절한 설명이네요~

  • @Supernova-926
    @Supernova-926 3 роки тому +2

    다행이다(?)

  • @JUTI_TV
    @JUTI_TV 3 роки тому +2

    0:23 눈사람이 아니었어..? ㅋㅋㅋㅋ

  • @pyw5502
    @pyw5502 3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재밌네 이번편

  • @moonyeolsparrot
    @moonyeolsparrot 3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ㅋ안궁금했는데 썸네일 보고 안들어올 수 없다

  • @MyBetterHalf_7
    @MyBetterHalf_7 3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hpark2947
    @jhpark2947 3 роки тому

    궁이 귀엽고 존경스러워 ♡ 이거 하려고 궁이캐릭터 하~하~ 랑 방귀를 몇번 했닠ㅋㅋ

  • @shoon0312
    @shoon0312 3 роки тому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 @learnigjet
    @learnigjet 3 роки тому +3

    요즘 항문얘기, 방귀얘기 재밌는거 많이 하시네요^^

  • @feverjay_1004
    @feverjay_1004 3 роки тому

    진짜졸라유익하다
    근시일에 교과서에 나올듯

  • @뚜버기-k4b
    @뚜버기-k4b 3 роки тому +1

    열라 추울땐 후~해도 입김 되던데..

  • @물초-n1d
    @물초-n1d 3 роки тому

    솔직히 궁금했는데 이런정보 좋아요

  • @잠이오지않아-i3u
    @잠이오지않아-i3u 3 роки тому +2

    언젠가는 진용진님이랑 콜라보해서 진짜 쓸데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맨날 까먹던 궁금했던거 알려주실거같아..ㅌㅋㅋ

  • @damunhana
    @damunhana 3 роки тому

    정말 멋진 주제네요

  • @hindergaten
    @hindergaten 3 роки тому

    고마워요 스피드웨건

  • @이00-d5r
    @이00-d5r 3 роки тому +4

    안심하고 방귀를 뀌어도 되겠군.ㅋㅋㅋㅋ

  • @wemoder
    @wemoder 3 роки тому +2

    그럼항문을 크게열고 설사방귀를...

  • @worldwearethe8163
    @worldwearethe8163 3 роки тому +1

    다행이다 안나오구나 김이 나온다 해도 어차피 팬티입고 바지입고있으니 시원하게 꼇는데

  • @Happiness.jasmin
    @Happiness.jasmin 3 роки тому +1

    ㅎㅎㅎ호.. 하..해본 1人

  • @whowascoughing
    @whowascoughing 3 роки тому

    작년인가 재작년에 시간에 대해서 알려주는 영상을 봤는데 없더라고요. 제 기억엔 분명 있었는데 사라진 영상.. ㅠㅠ 높은 곳에 가면 시간이 더 빨리 간다고 사물궁이님의 영상을 봤는데 헛것을 본걸까요? 아무리 찾아봐도 없어서ㅠㅠ

  • @dallo_come
    @dallo_come 3 роки тому +6

    아니, 이렇게까지 세심하게 알려주실 줄이야! 역시 ㅎㅎㅎㅎ

  • @섬혁
    @섬혁 3 роки тому +4

    3:37 누구나 할 수 있는 김(?) 만들기

  • @Mana_Mana_
    @Mana_Mana_ 3 роки тому +11

    전투기가 총알보다 빠르게 날고있는 상태에서 전투기에서 발사하면 총알은 못날아가나요?
    아니면 전투기 속도 + 총알속도 인가요?
    날아갈 수 있다하면 총알이 얼마못가서 전투기에게 잡힐 수 도 있나요??

    • @gogumapadthai
      @gogumapadthai 3 роки тому

      관성때문에 아마 전투기 속도 + 총알 속도 아닐까요?

  • @JJ-wt7vq
    @JJ-wt7vq 3 роки тому +1

    평생의 고민이 풀리네요

  • @고태원-s9s
    @고태원-s9s 3 роки тому

    오오 오

  • @ggeo-ik
    @ggeo-ik 3 роки тому +1

    덕분에 올 겨울엔 롱패딩이 아니어도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 @user-nuguseo
    @user-nuguseo 3 роки тому +1

    사물궁이님 친구라든지 가까운 사람과 있을 때면 텔레파시마냥 동시에 같은 노래 소절을 부를 때가 엄청 많은데 이거 왜 그런건가요 ?? 진짜 너무 궁금해요 ㅜㅜ

  • @chemistry2023
    @chemistry2023 3 роки тому +1

    신박한 영상이군요 ㄷㄷ

  • @닉네임-m9l2c
    @닉네임-m9l2c 3 роки тому

    아니 이렇게 유익할수가!

  • @안승원-o4p
    @안승원-o4p 3 роки тому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linkwon82
    @linkwon82 3 роки тому

    정말 ㅇ쓸모없는 지식을 고급 스럽게 배웠다 감사합니다

  • @JjangAJji_DK
    @JjangAJji_DK 3 роки тому +1

    호할때 따뜻하다 차가워진다고 하니 호하고 입가까이에 해보고 멀리해보고 하니... 진짜다. 입가까이는 따뜻하고 8센티 이상멀리에선 차다

  • @kubojuice2235
    @kubojuice2235 2 роки тому +2

    사람들이 어느샌가 무의식적으로 하 와 후 를 구분한다는게 참 신기하네요!

  • @mukapa3726
    @mukapa3726 3 роки тому

    겨울엔 차량 연비가 낮아지는데... 왜 그런건지 ... 요즘처럼 기름값비쌀땐 신경쓰이네요~

  • @q1w21
    @q1w21 3 роки тому +1

    거울에 대고 방구 뀔 때 뿌옇게 안 흐려지니까 안 생길 거라고 예상했는데
    어느 정도는 맞았네요...?

  • @peon8010
    @peon8010 3 роки тому

    덕분에 마음놓고 방귀를 뀔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마워요 사물궁이!

  • @hans1641
    @hans1641 3 роки тому +1

    이카로스의 날개 같은거 만들면 사람도 새처럼 날 수 잇나여?

  • @정장0917
    @정장0917 3 роки тому +1

    왜 매운걸먹으면 땀이날까

  • @빰빠밤-r2l
    @빰빠밤-r2l 3 роки тому

    쓸데없는 지식이지만 왠지 알고나니 마음이 편안해지는? 지식이네요 ㅋㅋㅋ

  • @주히_92
    @주히_92 3 роки тому +42

    아...지금까지 전혀 생각해본적없던 부분인데
    급궁금하게 만드는 놀라운 마술ㅋㅋㅋㅋ

  • @진킹-e7z
    @진킹-e7z 3 роки тому

    오 제목이 너무 흥미로웡...

  • @Egunaneya
    @Egunaneya 3 роки тому

    평소에 궁금했음에도 별로 알고싶진 않았지만 알게되니 시원하네 뿡

  • @recycledturtle3211
    @recycledturtle3211 3 роки тому

    하~가 호~나 후~보다 따뜻한 이유도 은근히 많이 물어보더라구요
    근데 최소 고3 화학II 내용이라 설명할 엄두가 안 납니다..ㅋㅋㅋ
    그렇다고 기초부터 차근차근 설명하면 몇 시간이 걸려요 ㅋㅋㅋㅋㅋ
    이렇게 일상적인 현상이지만 원리가 복잡한 현상은 참 설명하기 힘들죠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음펨바 효과가 있습니다

  • @do888po9
    @do888po9 3 роки тому

    캐릭터가 귀여워서 자꾸 보게된다

  • @bhs.6364
    @bhs.6364 3 роки тому +1

    2:49 따라하지마 이것들아 지금 하려는거 다 알고있어

  • @이아이디보면하루종일
    @이아이디보면하루종일 3 роки тому

    와 이거 되게 궁금했었는데 감사합니다 ㅋㅋ

  • @Hermione_Jean_Granger_0919
    @Hermione_Jean_Granger_0919 3 роки тому

    진짜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cgl9901
    @cgl9901 3 роки тому +1

    2:13 내 입김이 산란하다니 처음 알았다

  • @하찮은뱁새
    @하찮은뱁새 3 роки тому

    물속에서 사는 물고기는 소화기관에 물이 안들어가나요? 물을 마시기는 하나요?

  • @베개컵케익
    @베개컵케익 3 роки тому +1

    후... 다행이군요

  • @hhhhhhhhyyyyy-x9m
    @hhhhhhhhyyyyy-x9m 3 роки тому

    헐 호,하 입모양에 따라서 왜 온도가 다른지 궁금했는데 그이유도 나오네요 신기해!

  • @shinyeonghwan5144
    @shinyeonghwan5144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이제는 편히 뀌겠습니다(?)

  • @SW-og8zm
    @SW-og8zm 3 роки тому +1

    그림.. 갈수록 귀엽다

  • @mapin_
    @mapin_ 3 роки тому +1

    옛날에 친구가 길가다 앞에 사람 방구뀌는거 실시간으로 봤다는 말 듣고 겨울마다 신경쓰여서 방구 참았는데...ㅠ 그 친구가 구라쟁이였던거군요. 네? 뭐라구요? 설ㅅㅏ면 김이 나올 수도 있다구요?

  • @lIllIlIllIlIllI
    @lIllIlIllIlIllI 3 роки тому +3

    호 호 불거나 하 하 불면 온도가 다르게 나오는건가요 그럼?아니면 똑같이 체온대로 36도정도로 나오게 되나요?

  • @TALLGEESE32
    @TALLGEESE32 3 роки тому

    2:33 끼아악~!

  • @띱띱빵빵
    @띱띱빵빵 3 роки тому +7

    이렇게 과학적인 방귀는 처음이다...

  • @황태건-j4x
    @황태건-j4x 3 роки тому +1

    입김으로도 도넛을 만들수 있나요?

  • @폴리-r7d
    @폴리-r7d 3 роки тому

    밥먹으면서 보기좋은영상 1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