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정수 - 새로운 타파 기술 들어갑니다~ 너무나 유명한 함정수에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жов 2023

КОМЕНТАРІ • 65

  • @user-fc8vh4tu7y
    @user-fc8vh4tu7y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잘 배웠습니다

  • @lannyx2675
    @lannyx2675 7 місяців тому +19

    구라안치고 진짜 알맹이가 쏙쏙 설명해줌 여기서 몇개배워서 실전에서써먹으니까 사람들 정신못차림

  • @user-gu9bk6us4r
    @user-gu9bk6us4r 7 місяців тому +3

    휴일인데도 좋은 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user-ob4dl9il9n
    @user-ob4dl9il9n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감사합니다
    만명
    십만명 빨리 되기를 기원합니다~~

  • @user-jz7nu3wp2m
    @user-jz7nu3wp2m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 @user-ii4ot6wk3t
    @user-ii4ot6wk3t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강의 감사합니다ᆢ많이 올려주세요ᆢ😊😊❤❤❤❤❤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user-kp6bw1yo8m
    @user-kp6bw1yo8m 6 місяців тому +1

    해설도 잘하시고 목소리가 듣기에 정말 편합니다. 최고에요 ~^^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6 місяців тому

      도움이 되는 강좌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lorenzosong7898
    @lorenzosong7898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바둑퀸님 탱큐.

  • @user-km9gr3wq6h
    @user-km9gr3wq6h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함정수의 함정수네요.
    이런 디테일을 몰라서 맨날 당했네요^^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파이팅!!

  • @user-yy3gj7qb4u
    @user-yy3gj7qb4u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근데 급단계에서는 대부분 밑으로 빠졌을때 끊긴 한점을 포기하거나 모르는 사람들은 3점을 잡혀버리더라고요. 예전에 학원 다닐때도 밑으로 빠지는게 무조건 정수로 배웠었는데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6 місяців тому

      손따라 두게 되는 것이 함정 같아요.. ^^ ㅎㅎ

  • @smith.3138
    @smith.3138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잘봤어요. 그럼 흑백 양화점을 두었을때 흑이 날일자걸침은 5프로 승률떨어지면.. 흑으로서는 어딜 두는게 좋은가요? 1번이 삼삼칩입일것 같고 2번은?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7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걸침 자체가 승률이 떨어지진 않아요~ 삼삼하고 거의 비슷하니까 두실 수 있고요~ 흑이 삼삼 파는 수가 5% 정도 떨어집니다. 흑은 걸쳐만 놓고 손 빼고 두는 것을 추천해요!

    • @smith.3138
      @smith.3138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dg7dn3zj7n어디선가 걸친후 협공하면 삼삼칩입이 최선이라고 설명을 봤는데 .. 그건 중앙으로 탈출하는 것보다 최선이다라는 뜻이군요....그럼 본 그림에서 걸쳤는데 협공하면 손빼고 어디 두는게 최선인가요? 😂😂

  • @user-bj2cg4ky7f
    @user-bj2cg4ky7f 7 місяців тому

    처음들어왔습니다.프로님 누구신지요?강의가 맛갈스럽고 깔끔합니다.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7 місяців тому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기사 권효진 8단입니다.

  • @Hunting-cheetah
    @Hunting-cheetah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중국룰의 바둑에서 백이 원래 약간 유리한 상태로 시작하는데 걸치고 3,3은 백의 약간 유리로 정리되면 상호 호각의 결과라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저는 간명하기 때문에 초기 배석에서는 이 정석을 무척 즐겨쓰는데요. 잘 못된 정석 선택일까요?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7 місяців тому

      질문 감사합니다. ^^ 간명해서 두기는 편하지만 승률은 약간 떨어져요~ 여러가지 수법들을 익히셔서 다양하게 사용해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

  • @user-pp6rb4wj1h
    @user-pp6rb4wj1h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궁금한게 있는데 퀸 사범님은 프로출신이신지😊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5 місяців тому

      ㅎㅎ네~ 나름 현역이랍니다. 권효진 8단이에요~

  •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질문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타파법 중 이 영상에 소개된 2선으로 느는 수 말고도, 2선 젖혀 이은 다음 (백이 젖혔던 돌을) 끊는 게 아니라 붙이는 수도 제시됐었거든요? 백이 2선으로 내려서 차단하는 게 무리여서 그냥 잇거나 호구로 받아야 하는데, 흑이 한 칸 뛴 곳을 찌르는 수를 굳이 미리 둔 꼴이라서 백이 손해라고 그랬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설명해주신 대로 끊는 쪽이 더 좋아보이긴 하는데요, 그래도 혹시 제가 언급한 옛 타파법 2안은 ai가 뭐라고 말하는지 궁금합니다.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 수도 가능합니다~ 좋은 수에요. 그런데 제가 보여드린 배석에서는 흑이 축이 유리하기 때문에~ 끊는 수가 더 통렬해요!!

    •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dg7dn3zj7n 아하, 감사합니다.

  • @user-yc4ko5ff7r
    @user-yc4ko5ff7r 5 місяців тому

    조금만천천히내용좋습니다

  • @user-zt2zf8hl6b
    @user-zt2zf8hl6b 6 місяців тому

    6:05 책에도 저모양이 흑에게 유리하다라고 우기고 동영상강의에도 저렇게 두라고 한 적이 많은 유명한 수 였지만 인공지능 나오면서 평가가 뒤바뀌었죠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6 місяців тому

      ㅎㅎ 말씀처럼 거의 대부분 바뀐 것 같아요~

  • @babywolflove
    @babywolflove 3 місяці тому +2

    13:53 에서 백이 축이 불리한거 아닌가요?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3 місяці тому +1

      그렇네요 백이 축이 불리합니다. 세세하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babywolflove
      @babywolflove 3 місяці тому +1

      @@user-dg7dn3zj7n 혹시 축이 나빠도 백이 둘만한 장면인가요? ㅈㅅ 초보라서 😭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3 місяці тому +1

      축이 나빠도 백이 좋아요~ 나오면 2선으로 호구쳐서 싸울 수 있습니다~ 백이 좋네요~~

    • @babywolflove
      @babywolflove 3 місяці тому +1

      @@user-dg7dn3zj7n 단수치고 호구치는거 말씀하시는 거군요 ❤ 자세한 설명 너무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 @user-en4jd8fo6u
    @user-en4jd8fo6u Місяць тому +1

    바둑 완전 초보인데, 14:23 이때 장면에서 흑이 유리한게 맞나? 의문이 들어요. 제가 너무 초보라 그렇겠지만 그냥 모양대로 보면 백이 함정수를 두고 정수대로 대응하면 결국 좌변의 백의 모양을 잘 키운 모양새 같은데요. 실전에서 보면 큰 모양에 압박감을 느낄 것 같아요. 그런데 AI는 5퍼정도 흑이 유리한걸로 나오니 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왜 정해의 마지막 장면에서 흑이 유리한거에요?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Місяць тому

      승률상 5%면 아주 근소한 차이에요. 사람이 느끼기 힘든 정도이고요. 프로들도 잘 모를 정도로 미세한 차이입니다. ^^
      결과는 기풍에 따라서 호불호가 있을 것 같아요

    • @user-en4jd8fo6u
      @user-en4jd8fo6u Місяць тому

      @@user-dg7dn3zj7n 아하 그렇군요... 전 흑을 잡으면 백이 모양이 큰게 부담되고 잘 깰 자신이 없는데.. 훅 모양은 그리 크지도 않은데 백돌이 하나 들어와 있어서 엄청 신경 쓰일거 같아서 백두고 싶은 장면이었어요. 저 흑 한점은 못잡는 거겠죠? 냅두면 어디 하나 쭉쭉 들어가서 알토란같이 다 파먹을꺼 같아요 ㅠㅠ

  • @user-pz1js3ot1b
    @user-pz1js3ot1b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주 실전적이고 유용한 강의라 요새 바둑 승률 대폭 상승중. 곧 타이젬 6댜 승단할 듯

  • @user-fr6jk6ps1x
    @user-fr6jk6ps1x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누나 설명짱 이름도 알고싶어라😊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프로기사 권효진입니다

  • @user-fr3qq9fb1s
    @user-fr3qq9fb1s Місяць тому +1

    11'27"에서 검은 돌로 장문을 씌었을 때 흰돌 로 오른쪽으로 나와서 흠집을 내면
    흑돌 로 막아야 할 것 같은데 마지막 흰돌 이후에 대처법이 궁금합니다.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Місяць тому

      해당 장면에서~ 백이 찌르면 막아서~ 결국 1선을 넘어야 하는데요~ 좌측 백 돌을 흑이 다시 끊었을 때 백이 아주 곤란해집니다~~ 자세하게 감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fr3qq9fb1s
      @user-fr3qq9fb1s Місяць тому

      마지막 백돌 놓기 전에 장문 오른쪽을 뚫으면 백이 막아야 할 것 같은데 그때 지금처럼 백돌이 막으면 우측 흑돌
      4점 은 잡히지 않나요?

    • @user-fr3qq9fb1s
      @user-fr3qq9fb1s Місяць тому

      흑 이 막아야 할 것 같은데( 오 타)

    • @user-fr3qq9fb1s
      @user-fr3qq9fb1s Місяць тому

      외곽 흑돌 을 살리려면 안 에 내점 을 포기 해야 할 것 같은데???

  • @user-ze4bp1fh4g
    @user-ze4bp1fh4g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받두뀐님은 누구세요?
    프로신가요?

  •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음.. 제가 소장하고 있는 함정수 백과에 보면, 함정수는, 상대방이 정확히 받으면 건 쪽이 망하는 꼼수와 달리, 상대방이 정확히 받아도 본전, 잘못 받으면 망하는 수라고 돼 있던데 어떤가요?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7 місяців тому

      함정수는 상대가 제대로 받을 경우 리스크가 있죠. 그런데 정도의 차이인 것 같아요. 육대사정도로 나쁠 순 있겠으나 막상 그 정도면 근소한 차이이기 때문에 둘만하다고 느끼는 거죠. 상대를 함정에 빠뜨려 망하게 하거나 실패할 경우 약간 손해다라고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7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dg7dn3zj7n 아하, 감사합니다. 😍

  • @user-pw4ni1bk9x
    @user-pw4ni1bk9x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런데 I.D가 바둑 Queen 인데.. 최정?

    • @user-dg7dn3zj7n
      @user-dg7dn3zj7n  7 місяців тому

      ㅎㅎㅎ 최정이 아니라서 송구합니다.

  • @user-uq7rq6xm8s
    @user-uq7rq6xm8s 3 місяці тому +1

    내용은 좋은데 진행방법은 달리 해야할 듯~ 먼저 정해를 먼저 말하고 그후 여러 변화도를 보여주심이 좋을 듯. 이게 뒤바꿔 강의하니 혼란이 옴.

  • @user-fx5is6ye1d
    @user-fx5is6ye1d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개족같은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