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경우라면 어쩔 수 없긴 하겠네요. ㅇㅅㅇ;; parit SSD는 생체별(중국 바이오스타)처럼 성능은 그닥이어도 이엠텍 유통이라 그런 듯 싶습니다. 제이씨현(기가바이트)이나 msi(제이씨현 A/S 위탁)같이 개판치는 고객응대도 없고, 소비자 응대에선 워낙 좋은쪽으로 소문이 자자한 회사가 이엠텍인지라...
지금 이 댓글을 보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cpu 보조전원 맞습니다. 그래픽 보조 전원은 4+4핀이나 8+4핀이 아닌 6+2핀 형태로 나오니까요. 혹시나 cpu 보조전원과 그래픽 보조 전원을 서로 맞바꿔도 상관 없나 싶어서(일부 전문가분들은 어이가 없을 수도 있지만 저로서는 그냥 4+4핀은 cpu, 6+2핀은 vga라고만 알고 있었고 선 배열 같은 거는 잘 모르고 있었는지라..ㅎㅎ)두 보조 전원을 비교해 보니까 선배열이 완전히 다릅니다. 사각형과 육각형? 배치 모양도 다르고, 걸쇠?를 위로 잡을 때 CPU 보조전원은 8핀 기준으로 위쪽에 노란색 선(12V 선) 4개, 아래쪽에 검은색 선(GND 선(접지 선)인 걸로 압니다.) 4개가 연결되어 있는 반면, 그래픽 보조 전원은 6핀 기준으로 위쪽에 검은색 선 3개(8핀일 경우 옆에 검은색 선 1개 추가), 아래쪽에 노란색 선 3개(8핀일 경우 옆에 검은색 선 1개 추가)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4+4핀 혹은 8+4핀 보조전원은 절대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이 아닙니다.
음... 저도 일러 하는 사람이지만.. 웹툰 정도는 스케치업, 포토샵, 선 보정 프로그램등 가벼운 프로그램만 사용해서 딱히 독특하게 맞출 필요 없이 일반 게이밍 컴터정도에 (살짝 색상 타는분들은 그래픽카드 종류만 좀 바꾸고) 모니터에 투자 하시는게 좋습니다~ 주기적으로 색상 보정만해주면 오케이
컬러풀...진성 중국발 업체입니다. 중국발이라고 성능이나 내구성 이런거 전혀 꿀리지 않습니다. 자금이 여의치 않아서 중고 컬러풀 760 6만원에 업어와서 사용중인데 생각외로 괜찮습니다. 대놓고 중국제 그래픽이고도 해서 선입견도 있고 이제껏 기가바이트나 MSI사용해와서 업어오면서도 좀 걱정되긴 했습니다만 괜한 기우였습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샤오미 같은 제품들 이후 대륙의 실수(?)로 보고있습니다.
CPU보조파워가 VGA보조파워라고 하신분이 누군지 모르겠지만요 4+4로 되어있는건 cpu 6+2 로 되어있는건 vga 둘다 합이 8핀이라 헷갈리는 모양이네요 그리고 억지로 꽃았다간 큰일납니다 그리고 또 같은거라면 파워 제조사에서 따로 명칭을 인쇄할리가 없죠 제대로 똑바로 꼿으라고 몰렉스에 표기를 해두었습니다
cpu보조전원은 4+4형태의 8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은 2+6형태의 8핀이라 구분이 어렵지 않아요. . . 간혹 양자를 거꾸로 갓다 꼽으시는 분들 계신데 이러면 쇼트가 터져서 메인보드 부터 그래픽 카드까지 싸그리 날려 먹은 수 있으니 처음 조립하시는 분들은 조심하셔야 해요. . .이게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는게 애초에 부품제조사들이 조립의 편의를 위해 각 포트 간에 일적한 규격을 약속하고 부품 제작하기 때문에 번지수가 맞지 않는 포트에는 핀은 꼽을 수 없게끔 설계도어 나오므로. . .번지수가 틀린 포트에는 핀은 넣고 싶어도 못넣는 게 일반적이에요. . .다만 간혹 꼽히지도 않는 걸 힘으로 억거지로 꾸역꾸역 꾸겨넣어서 참사를 부르는 분들이 간혹 계신데. . .이러시면 곤란하고. . 좀 힘 줬는데 안꼽힌다 싶으신 핀은 꼽을 번지수를 잘못 찾은거라 생각하시고 다시 확인해 보셔야 해요. . .그냥 컴터 처음 조립하시는 분들 참고하시라고 몇자 적어 봅니다. . .
팰릿은 게인워드랑 갤럭스(구 갤럭시)를 산하에 둔 그래픽 카드 제조 회사로 알고 있어요. 컬러풀은 중국에서 1~2위 하는 그래픽카드 제조사라도 들었구요. 파워렉스는.... 허허... 저도 첫 조립 PC파워가 파워렉스 블랙Q 였는데 소음이 심해서 쿠거 파워로 갈아탔네요... 그나저나 렉스3 시리즈는 말이 좀 많은 걸로 알고 있었는데..... 흠...
메인보드 I/O 쉴드입니다...왜 다냐고 할게 아니라 조금만 생각해보시면 답나옵니다ㅎㅎ io 부분 보호해주기도하지만 대부분 이뻐보이라고합니다. 추잡한 io 부분이 보이지마라구.. 그리고 그 쉴드가 pci 슬롯까지 내려오는 이유가 뭐냐면요. 그래픽 카드 끼울때 메인보드 손상을 방지해주기도합니다...기초적인걸..ㅠㅠ 생업이신데 공부 하세요!ㅋㅋ
PALIT GFS-SSD (240GB) 제품이네요. TLC인줄 알았더니 MLC 3D-NAND 를 사용한 제품이고 Phison S3111-S11 컨트롤러를 사용했네요. 스팩은 읽기 560, 쓰기 480MB/s, 200만시간 보증 오랜만에 보는 MLC제품인듯 합니다. 리뷰를 보면 Micron 3D-NAND를 사용했다고 하는데 이후 바뀔수도 있을것 같고.. 밴치마크 성능을 보면 준수한편에 나쁘지 않은것 같네요~
컬러풀을 모르고 있다는게 신기할 정도네요.컬러풀은 전통적으로 ATI(현재의 AMD) 그래픽 카드 제조에 탁월한 제조사로 꼽혔습니다(not Nvidia)또한 파워렉스 뻥 파워 어쩌구 하는 사건은 여론에 질타를 받아 마땅하지만 그 사건 하나로 국내 유일한파워 생산업체가 쓰레기가 되고 똥물을 뒤짚어 썼다는건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FSP 좋아하시는데... FSP는 전통적으로 고주파 심하기로 유명합니다.마이크로닉스 파워? 예전 부터 그냥 평타 이상은 치는 파워였습니다.히로이찌 파워 하면 매니아들 사이에서도 탑5안에는 항상 들었던 파워였지만? 현재는 국내에 판매하는 지도 모르겠네요.세븐팀 파워는 슈플 이전에도 괜찮은 파워 였는데 뻥파워 운운하는 분들중 몇분이나 알고 있을까요.씨소닉이나 커간지는 워낙 고가니.. 거론할게 못되고..벤치마크를 볼때 소비자도 그만큼 똑똑한 눈높이를 가지고 있기를 바랍니다.일게 벤치마크에 불과 한 글 하나에 국내 유일한 파워 제조사가 공중분해 되었다는건 생각해볼 문젭니다.언젠가 고장 나는 푸품이 있기 마련이고 차라리 as기간이나 as품질을 중요하게 따질 필요가 있습니다.as 때문에 고생한 분들은 공감하실 겁니다. 그런 점에서 볼때도 파워렉스의 몰락은 참으로 안타깝습니다.cpu와 램 빼고는 그냥 비슷한 가격이면 차라리 as가 어떤지를 눈여겨 보세요.
Palit SSD는 그래픽 하는것과 전혀 상관없슴을 알려드립니다. 아마존에도 검색이 안되는 제품 이네요. 그래픽하는데 관건은 CPU, Ram 용량, 그리고 좋은 그래픽 카드입니다. SSD는 뭐 일반적인거면 되죠. GTX 1050이면 그래픽용 치고는 좋은 사양은 아닌데요... 개인적으로 보드는 MSI가 단순 심플하고 젤 좋은듯....Asus는 값만 비싸죠... 드자인하는데 케이스는 전혀 상관없죠... power supply 에 4핀+4핀은 보드쪽으로 들어가는 여유분인듯.... 그래픽카드 선은 주로 3핀+1핀으로 되어있죠...
국내에는 펠릿 자체 브랜드로 유통하는건 저도 저 SSD가 처음 보는 것 같네요. 대부분 이엠텍 유통으로 이엠텍 상표로 유통되다보니... SSD로는 유명하진 않은데 요즘 이상하게 그래픽 카드 회사들이 SSD 제품을 많이 내놓더라구요. galax이나 zotac 에서도 ssd 판매하는 것 보면요... ssd가 이득이 많이 남아서 그런건가 싶네요. ㅎㅎ
개인적으로 선정리는 아쉽네요.. 메인보드로 나오는 선들이 타이트하게 당겨져서 뒷면으로 고정되면 이쁜데 ssd자리때문에 겹쳐서 전체적으로 지저분해보이고 전면 블루 쿨러 두개 흐름을 막는것처럼보입니다. 24핀은 중간 구멍 사타선들도 중간 구멍 파워는 아래 구멍 이렇게했으면 더 깔끔했을것같아요
'에즈락은 참 특색있게 생겼어 바이오스가..컬러풀하게 '
역시 아재개그 하면 허수아비님이 최고ㅋㅋㅋ
다시 컴퓨터 방송으로 돌아온 허수아비
사알짝 조금만 배껴볼까?♥ 음~ 예쁜 것 같네♥
3:51
천진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안되!!
파워렉스;;
파워가 많이 아쉽지만 그쪽 요구라니 어쩔 수 없긴 하겠네요.
딴 거야 모르겠지만 파워는 아무거나 막 쓰면 부품 골로 보내기 딱 좋아서리;;
카톡으로,, 부품리스트를 쭈~~욱 찍어서 보내주셔서,, ^^
그런 경우라면 어쩔 수 없긴 하겠네요. ㅇㅅㅇ;;
parit SSD는 생체별(중국 바이오스타)처럼 성능은 그닥이어도 이엠텍 유통이라 그런 듯 싶습니다.
제이씨현(기가바이트)이나 msi(제이씨현 A/S 위탁)같이 개판치는 고객응대도 없고,
소비자 응대에선 워낙 좋은쪽으로 소문이 자자한 회사가 이엠텍인지라...
Hawaiian의 게임영상 스토리지 파워렉스 그렇게 나쁘진 않아요 고사양 작업만 하지 않고 사무용같은거로 간단한 작업만 하면 막 거르고 그정도까지는 아니라 봅니당
참고로 파워렉스 350w 짜리 4년째 잘 사용중인 사람입니다 ㅎㅎ
사찰오빠 파워의 정격출력이 문제가 아니라 파워렉스 브랜드의 파워 자체가 안정성에서 많이 떨어져용...
현이도 쩝... 물론 총알이 충분하시다면 마닉이나 FSP를 저도 추천드립니다
깜빡깜빡 하실때 마다 너무 귀여워요
palit ssd...
10년 된 컴퓨터 업글할 때 120GB짜리 6만원 이하짜리 찾다가 우연히 보여서 산 건데
저렴하게 사서 잘 쓰고 있어서 만족 중
팰릿이면은 그래픽카드중에 제트스트림으로 유명한 업체 스스디네요. 컬러풀은 중국쪽에선 나름 유명한 그래픽카드 제조업체입니다. 다나와에서 최대한 저렴하게 맞춰보겠다고 하신 거 같은데 과연 효과있을지는...
+보드 선정이유는 아마 단순히 흰색 깔맞춤 할려고...?
최우윤 보드 선정은 아마 주변기기들 때문에 확장성이 좋은 보드를 쓰신게 아닐까요? 그림작업이 이것저것 장비가 많아서
3:02
와 국경일도 일하시네 ... 부지런하십니다...
제가보기엔 부팅속도가 빠른건 램이 8GB 듀얼채널로 16GB 구성하고 h110보드 상위인 b250으로 카비레이크 주호환 보드라 그런거 같네요.
물론 허수아비님의 깔끔한 조립과 바이오스세팅도 한몫했지만요ㅋㅋ
고생하셔습니다
대단하신 영감 ㅋㅋㅋㅋㅋ
palit사 알고보면 우리에게 친근한 회사입니다. 예전부터 거진 OEM형태로 수입되어서 이름을 알고 있는 경우가 드물긴 합니다.
이엠텍의 xenon시리즈가 PALIT제품입니다.
산하 브랜드로 GALAX,GAINWARD를 가지고 있습니다.
목소리가 왠지모르게 끌린다..
오오 제품설명 수정하셨군요 반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 제가 댓글 다 답을 달지는 못해도 다 읽어는 보고 있어서요,, 항상,,(o^▽^o)
허수아비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화면에 안보일거 같으면 글 뒤에 검은 배경 넣는것도 추천드려요 특히 제품소개에는 넣으셔도 괜찮을거같아요 뒷 배경 신경쓰이시면 투명도 조절하셔도 되구요 ㅎㅎ
저 SSD 회사 크게 유명한 회사는 아니네요. 그리고 컬러풀은 되게 유명한 그래픽회사입니다!
컬러풀,,, 자체가 회사 이름인가요??
저는 통 사용해 보지 않은 회사라,,
허수아비 컬러풀 자체가 회사이름입니다. 중국쪽 기업인데 가성비및 성능도 나름좋아서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합니다.
이대규 가성비는 괜찮은데 국내에는 1060 외에는 많이 안쓰죠
윤도선 1060보단 1080 1070이 더유명해요
찬욱 park 이번에 1080ti가 초대박멋있죠 ㅋㅋ한번보세요
크 영상 역행중인데 귀에 쏙쏙들어오는게 계속 보게되네요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역시믿고보는허수아비님 굿굿
역시나 연구소 보드... 기대를 저버리지 않죠
대도서관이 네이버 메인에 나왔어요 대단하신 양반이에요 ㅋㅋㅋㅋㅋㅋ
선댓글 후감상!!
50만 가즈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요즘 보면서 많이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보고갑니다
대도서관님을 양반이라고 부르시는 분은 허수아비님 밖에 없을겁니다... 역시 갓수아비..
허수아비님 영상좀 팍팍올려주세요 현기증나요 ㅋㅋ~
허수아비님 응원합니다 ㅋ 저의 컴퓨터계의 맨토입니다 ㅎ
그 돌
그 공룡
그 색상
완벽하다
디자인 예쁘네요
지금 이 댓글을 보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cpu 보조전원 맞습니다. 그래픽 보조 전원은 4+4핀이나 8+4핀이 아닌 6+2핀 형태로 나오니까요.
혹시나 cpu 보조전원과 그래픽 보조 전원을 서로 맞바꿔도 상관 없나 싶어서(일부 전문가분들은 어이가 없을 수도 있지만 저로서는 그냥 4+4핀은 cpu, 6+2핀은 vga라고만 알고 있었고 선 배열 같은 거는 잘 모르고 있었는지라..ㅎㅎ)두 보조 전원을 비교해 보니까 선배열이 완전히 다릅니다. 사각형과 육각형? 배치 모양도 다르고, 걸쇠?를 위로 잡을 때 CPU 보조전원은 8핀 기준으로 위쪽에 노란색 선(12V 선) 4개, 아래쪽에 검은색 선(GND 선(접지 선)인 걸로 압니다.) 4개가 연결되어 있는 반면, 그래픽 보조 전원은 6핀 기준으로 위쪽에 검은색 선 3개(8핀일 경우 옆에 검은색 선 1개 추가), 아래쪽에 노란색 선 3개(8핀일 경우 옆에 검은색 선 1개 추가)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4+4핀 혹은 8+4핀 보조전원은 절대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이 아닙니다.
더운데 일을너무열심히 하시네요..
언제나 화이팅 하세요~~~
시피유 보조파워는 4+4=8로해서 들어가는데 그래픽카드 보조파워는6+2로 들어갑니다
글픽 다 엔비디아에서 만들어주는데 성능이야 비슷비슷하죠 칼라풀을 비롯한 저가 브랜드들이 저가인 이유가 전원부 안정성이랑 방열구조가 딸려서 그래요.
그리고 스팩이 딸리는만큼 브랜드가 프리니엄 이미지도 없어서 브랜드값이 없는정도?
컴 많이 쓰시거나 소음에 민감하면 브랜드값주고도 프리미엄가는게 좋아요
대도서관을 대단한 양반이라고 말할 수 있는 그는 도덕책
보호필름을 손님보다 먼저 뜯으시는 허수아비 당신은 도덕책.....
ㅋㅋ 허수아비님도 대도서관님을 아시네요 ㅋㅋ
아. 그럼요,, 제가 유튜브를 시작하게된 계기중에 대도서관님에 대한 뉴스들이 큰 역할을 ,,
헐..... 보호 스티커를 손님보다 먼저 뜯으셨어.... ㄷㄷㄷㄷㄷ
허수아비님 목소리는 40대 아재목소리인데 얼굴은 그렇게 늙지않으셨네요
음... 저도 일러 하는 사람이지만.. 웹툰 정도는 스케치업, 포토샵, 선 보정 프로그램등 가벼운 프로그램만 사용해서 딱히 독특하게 맞출 필요 없이 일반 게이밍 컴터정도에 (살짝 색상 타는분들은 그래픽카드 종류만 좀 바꾸고) 모니터에 투자 하시는게 좋습니다~ 주기적으로 색상 보정만해주면 오케이
빠르시네요
대도서관 ㅋㅋㅋㅋㅋ
멋지신 분이네
구독자 7만이 코앞이네요~
오예 허수아비님 ㅎㅇ요!!!
컬러풀...진성 중국발 업체입니다. 중국발이라고 성능이나 내구성 이런거 전혀 꿀리지 않습니다. 자금이 여의치 않아서 중고 컬러풀 760 6만원에 업어와서 사용중인데 생각외로 괜찮습니다. 대놓고 중국제 그래픽이고도 해서 선입견도 있고 이제껏 기가바이트나 MSI사용해와서 업어오면서도 좀 걱정되긴 했습니다만 괜한 기우였습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샤오미 같은 제품들 이후 대륙의 실수(?)로 보고있습니다.
선댓후감상 입니다 ㅋㅋㅋ
이아저시는 컴돌이중에서도 사기는 안치시겠네
오 안녕하세요 또 보네요 ㅋ
저 케이스 가격대비 이뻐요 저케이스 제 친구 해줄때도 저케이스 썼는데 편해여
CPU보조파워가 VGA보조파워라고 하신분이 누군지 모르겠지만요
4+4로 되어있는건 cpu 6+2 로 되어있는건 vga 둘다 합이 8핀이라 헷갈리는 모양이네요
그리고 억지로 꽃았다간 큰일납니다 그리고 또 같은거라면 파워 제조사에서 따로 명칭을 인쇄할리가 없죠 제대로 똑바로 꼿으라고 몰렉스에 표기를 해두었습니다
요즘 느끼는데 확실히 예전보다 선정리가 많이 깔끔해졌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리고 감사합니다
곧있음 구독자70000명 이네요 미리 축하드려요!
허수아비님 안녕하세요
시.공.조. 아
시.공.조. 아
1:50 대 에서 자막 실수가 있었네요 ! ㅋㅋㅋㅋㅋ 매우 작은 실수 ~ 시간을 시가 ㅋㅋ .. 그래도 이정도는 문제가 없기에 ... 항상 화이팅 하세요 ! 항상 즐겨 보고 있습니다 .
cpu보조전원은 4+4형태의 8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은 2+6형태의 8핀이라 구분이 어렵지 않아요. . . 간혹 양자를 거꾸로 갓다 꼽으시는 분들 계신데 이러면 쇼트가 터져서 메인보드 부터 그래픽 카드까지 싸그리 날려 먹은 수 있으니 처음 조립하시는 분들은 조심하셔야 해요. . .이게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는게 애초에 부품제조사들이 조립의 편의를 위해 각 포트 간에 일적한 규격을 약속하고 부품 제작하기 때문에 번지수가 맞지 않는 포트에는 핀은 꼽을 수 없게끔 설계도어 나오므로. . .번지수가 틀린 포트에는 핀은 넣고 싶어도 못넣는 게 일반적이에요. . .다만 간혹 꼽히지도 않는 걸 힘으로 억거지로 꾸역꾸역 꾸겨넣어서 참사를 부르는 분들이 간혹 계신데. . .이러시면 곤란하고. . 좀 힘 줬는데 안꼽힌다 싶으신 핀은 꼽을 번지수를 잘못 찾은거라 생각하시고 다시 확인해 보셔야 해요. . .그냥 컴터 처음 조립하시는 분들 참고하시라고 몇자 적어 봅니다. . .
메인보드,메모리,하드 빼고 다 처음보는 기종인데..
삼집사 cpu는?
세무룩 아 cpu 존재감을 까먹었네요
삼집사 Palit은 이엠텍에서 수입해서 판매중인 XENON시리즈 그래픽카드 원 제조사에요
CH-KkK 아하
CH-KkK Parit인데요
펠릿은 이엠텍 슈젯 즉 슈퍼제트스트림을 받아오는 회사입니다. 제논시리즈는 펠릿 hv시리즈는 겔럭시oem제품인걸로 압니다. 한때 1080슈젯에서 논란이 있었죠. 펠릿도 좋은회사입니다. 컬러풀 중국에서 오는 친구죠, 웨이코스에서 현제 유통중이고 국내유통사 한곳에서 컬러풀 메인보드도 받아온다는 소식도 있었죠, 댓글읽어보니 컬러풀,파워렉스 안좋다하시는 분들이 있으신데 컬러풀,파워렉스도 나름 괜찮고 좋은 브랜드입니다.
컬러풀이라는거 웬지 그런 느낌이더라고요.. 웨이코스 스티커가 어색하게 붙어있는게.. 유통만 하는 느낌..
의외로 성능이 좋은 놈들이라니. 다행이네요.. 휴..^^
허수아비 1070 1080쪽으로 가면 x-top,u-top친구들이 나름 가성비좋게 나와서 평도 괜찮습니다.물론 1060쪽도 잘나옵니다. 허수아비님도 기회가 되시면 컬러풀 그래픽카드도 이제 다뤄보시는게 좋을거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컬러풀 메인보드는 마이크로닉스에서 유통하겠다고 했었죠
팰릿은 게인워드랑 갤럭스(구 갤럭시)를 산하에 둔 그래픽 카드 제조 회사로 알고 있어요.
컬러풀은 중국에서 1~2위 하는 그래픽카드 제조사라도 들었구요.
파워렉스는.... 허허... 저도 첫 조립 PC파워가 파워렉스 블랙Q 였는데
소음이 심해서 쿠거 파워로 갈아탔네요...
그나저나 렉스3 시리즈는 말이 좀 많은 걸로 알고 있었는데..... 흠...
Parit이라는 곳은 그래픽카드를 만드는곳입니다. 음.. 좀 쉽게 설명하자면 한국에 이엠텍 그래픽카드 잇죠? 이엠텍이 이름을 좀 바꿔서 Parit라는 회사에서 수입하여 판매하는걸로 압니다 ㅎㅎ
미니 Palit 입니다
제 컴 본체 케이스랑 메인보드가 같네용 하지만 조립할때 선을 잘못 정리하면서 했는데 허수아비선생님 영상을 보면서 선정리하면서 재조립해봅니당 감사해요! 언제나 좋은 지식을 쌓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영상 좋아요! 많이많이 눌러주세용
그고성능 그래픽카드가와 씨퓨가 필요한 이유는 포토샵 일러스트 외 등 많은 프로그램들이 RAM
을 포함하여 그래픽 카드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씨퓨가 않좋으면 획 하나하나에 급발진과 딜레이가....
보드에 보호 와샤를 끼우면 안됩니다... 그건 접지 부분이라 와샤없이 결착 해야합니다... 보드 나사끼우는 부분을 잘 보시면 납이 둘려저있을꺼에요.... 접지 부분이라 그렇게 하는겁니다... 와샤로 접지를 막음 컴 전기 충격이 올경우에 컴 다런 부품들 까지 손상이 옵니다...
음~ 예쁜 거 같네
단아하시네요 ㅋㅋㅋㅋㅋㅋ
이 아제 말투가 친근감 이있어ㅋ
아오 알람떠서 오려했는데 수락산 불나서 지금 집밖에 나와있네여
13년도에 사서 지금까지 쓰고있는 컴이 파워렉스라서 안정성 좋은 줄 알았는데 오늘 댓글을 보니 꼭 그런것만은 아닌거 같네요....
파워회사들도 많고 그중에 유명한것들이지만 너무 이쪽으로만 치우지는것은 좋지않다고 생각해요...
실제로 찾아보면 좋은 회사들도 많구요,,
컴맹질문
메모리카드
왜 16기가 하나로 않고
굳이 8기가 두개를 꼽는가요?
@@sajaehyuck
아하
그랬군요 감사합니다.
선댓후 감상!
메인보드 I/O 쉴드입니다...왜 다냐고 할게 아니라 조금만 생각해보시면 답나옵니다ㅎㅎ
io 부분 보호해주기도하지만 대부분 이뻐보이라고합니다. 추잡한 io 부분이 보이지마라구..
그리고 그 쉴드가 pci 슬롯까지 내려오는 이유가 뭐냐면요.
그래픽 카드 끼울때 메인보드 손상을 방지해주기도합니다...기초적인걸..ㅠㅠ
생업이신데 공부 하세요!ㅋㅋ
PARIT SSD 개인적으로 추천드립니다
PALIT GFS-SSD(240GB)제품이 MLC방식이더라구요. 그런대 wd green이나 sandisk plus랑 가격차이 2~3천원 밖에 차이안나요
학원같은곳이면 대량으로 할거라서 그런가 상당히 가성비 제품이 눈에 보이네요
허수아비님 저건 저 하햔색 부분은 io패널쪽 정전기 방지를 한다고 합니다
그런가요..?... 그런데 너무 방해되요 ㅠㅠ.. 확 떼버리고 싶은.
참 신기한거 저거랑 같은 보드지만 라이젠용인 asrock b350m pro4는 저 정전기 가드가 안달려있죠 왜 라이젠용은 안달아주는지 참
cpu 보조전원 맞습니다. ㅎㅎ
우리집 컴 케이스다!!!
PALIT GFS-SSD (240GB) 제품이네요.
TLC인줄 알았더니 MLC 3D-NAND 를 사용한 제품이고 Phison S3111-S11 컨트롤러를 사용했네요.
스팩은 읽기 560, 쓰기 480MB/s, 200만시간 보증 오랜만에 보는 MLC제품인듯 합니다.
리뷰를 보면 Micron 3D-NAND를 사용했다고 하는데 이후 바뀔수도 있을것 같고.. 밴치마크 성능을 보면 준수한편에 나쁘지 않은것 같네요~
강의 잘보고 있읍니다위의 사양 SSD PARIT 제품 오타 같아요네이버 검색해도 안나와서 영상을 세밀히 살펴본결과 PALIT로 검색하니 정보 나오네요바쁘셔서 그러신것 같은데 수고 하세요
컬러풀을 모르고 있다는게 신기할 정도네요.컬러풀은 전통적으로 ATI(현재의 AMD) 그래픽 카드 제조에 탁월한 제조사로 꼽혔습니다(not Nvidia)또한 파워렉스 뻥 파워 어쩌구 하는 사건은 여론에 질타를 받아 마땅하지만 그 사건 하나로 국내 유일한파워 생산업체가 쓰레기가 되고 똥물을 뒤짚어 썼다는건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FSP 좋아하시는데... FSP는 전통적으로 고주파 심하기로 유명합니다.마이크로닉스 파워? 예전 부터 그냥 평타 이상은 치는 파워였습니다.히로이찌 파워 하면 매니아들 사이에서도 탑5안에는 항상 들었던 파워였지만? 현재는 국내에 판매하는 지도 모르겠네요.세븐팀 파워는 슈플 이전에도 괜찮은 파워 였는데 뻥파워 운운하는 분들중 몇분이나 알고 있을까요.씨소닉이나 커간지는 워낙 고가니.. 거론할게 못되고..벤치마크를 볼때 소비자도 그만큼 똑똑한 눈높이를 가지고 있기를 바랍니다.일게 벤치마크에 불과 한 글 하나에 국내 유일한 파워 제조사가 공중분해 되었다는건 생각해볼 문젭니다.언젠가 고장 나는 푸품이 있기 마련이고 차라리 as기간이나 as품질을 중요하게 따질 필요가 있습니다.as 때문에 고생한 분들은 공감하실 겁니다. 그런 점에서 볼때도 파워렉스의 몰락은 참으로 안타깝습니다.cpu와 램 빼고는 그냥 비슷한 가격이면 차라리 as가 어떤지를 눈여겨 보세요.
파워렉스는 OEM쪽은 괘나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는데 개인리테일용은 약간뻥파워(구라스팩)이란 이미지도 있거 예전사건도 일어난적이 있으니... 컬러풀은 중국그래픽제조사로 중국제치고는 꽤나 좋은품질을 자랑합니다. 물론 중국제치고는요....
Palit SSD는 그래픽 하는것과 전혀 상관없슴을 알려드립니다. 아마존에도 검색이 안되는 제품 이네요. 그래픽하는데 관건은 CPU, Ram 용량, 그리고 좋은 그래픽 카드입니다. SSD는 뭐 일반적인거면 되죠. GTX 1050이면 그래픽용 치고는 좋은 사양은 아닌데요... 개인적으로 보드는 MSI가 단순 심플하고 젤 좋은듯....Asus는 값만 비싸죠... 드자인하는데 케이스는 전혀 상관없죠... power supply 에 4핀+4핀은 보드쪽으로 들어가는 여유분인듯.... 그래픽카드 선은 주로 3핀+1핀으로 되어있죠...
펠릿 그래도 인지도있는 회사에요 ㅠㅠ 한국에서는 포카리 시리즈를 수입해서 글카로 유명하죠 슈퍼제트스트림 군이 펠릿에서 만든 글카에요 ssd도 있는지는 몰랐는데 이영상보고 알았네요 ㅎ
ㅋㅋ진짜 솔직하시다 "안이쁘따고!!"
칼라풀 꽤 유명한 브랜드에요!! 이번 컴퓨텍스에도 나왔고. 중국쪽인것 같긴 하지만 밑을만한 브랜드는 맞습니다!
플라스틱은 저쪽이 안 예뻐서 달아났어요
일러스트, 포토샵.. 뭐 페인터 정도만 할거면 넉넉한 사양이네요.. 원래 맥을 쓰기는 하지만.. 저도 디자인을 접은지 십수년이 지났지만 부럽네요
파워렉스 그래도 가성비 따졌을때 괜찷은 회사인듯 합니다 컬러플은 뭐 아주 유명하지는 않아도 괜찮은 가성비에 인지도 있는 회사이고요 ssd 회사는 저도 처음들어보는 곳이네요
palit 은 그래픽 카드 제조사로 더 유명합니다. 이엠텍 유통 제품중에 현재 스톰 듀얼, 제트스트림이라고 붙은 1000번대 그래픽 카드들은 다 palit 제조 입니다.
컬러풀은 중국제조 국내 웨이코스 유통 그래픽 카드이구요.
좀 특이한 조합들이긴 하네요. ㅋㅋ
음,, 그런가요 parit 이라는 브랜드 자체를 처음 들어봐서,,, 그게 뭔가 했네요.
스펙을 보니 그리 나쁜거 같지는 않은데. ssd 쪽으로도 유명한 회사인가요??
국내에는 펠릿 자체 브랜드로 유통하는건 저도 저 SSD가 처음 보는 것 같네요. 대부분 이엠텍 유통으로 이엠텍 상표로 유통되다보니...
SSD로는 유명하진 않은데 요즘 이상하게 그래픽 카드 회사들이 SSD 제품을 많이 내놓더라구요.
galax이나 zotac 에서도 ssd 판매하는 것 보면요...
ssd가 이득이 많이 남아서 그런건가 싶네요. ㅎㅎ
벌써 7만명 구독자시네요..........
썸네일보고 또 io페널 실드에 끼시는줄 알았네...
그래픽카드 보조전원 아니구여 CPU 보조전원이 맞습니다;; 그분이 착각하신듯
PALIT이라는 글카 스스디 제조회사인데 이엠텍에서 유통하는 제품입니다 PALIT하면 어색한데 글카중에 제트스트림 이라는 이름이 들어가는 글카가 PALIT 껍니다
허수아비님 혹시 컴퓨터 기본 구조같은거 강좌해주실수 있으세여??
그 강좌 듣고 영상 보면 영상 이해하는데 더 수월할것 같아서요 ㅎㅎ
저도 공감 ㅎ
안녕하세요 ^^
개인적으로 선정리는 아쉽네요.. 메인보드로 나오는 선들이 타이트하게 당겨져서 뒷면으로 고정되면 이쁜데 ssd자리때문에 겹쳐서 전체적으로 지저분해보이고 전면 블루 쿨러 두개 흐름을 막는것처럼보입니다.
24핀은 중간 구멍
사타선들도 중간 구멍
파워는 아래 구멍
이렇게했으면 더 깔끔했을것같아요
그러게요.. 진짜, 어디 용산가서 좀 배워와야 하나..
(´-ω-`)
우리 허수아비 아조씨는 선이 편안하게 사람은 불편하게(?)주의자라서 그런걸수...더
파워렉스 5년 넘게 쓰고 있는데, 소음도 적고 안정적으로 잘 버텨주고 잇습니다.
보급형급에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요.
사람들이 잘 모르는 괜찮은 부품 회사들이 많죠~
댓글에 파워렉스 이야기가 많은데 당최 왜그러는건가요??
저도 잘쓰고 있는 파워인데..
예전에 사건이잇어서
박재현 뻥워렉스 소비자 통수
직원 돌려서 댓글 알바시켰어요
문제없는 거면 댓글 알바 시킬일이 없을텐데..
심심한자막러 직원돌려서 댓글다는건 대부분 그렇죠
파워렉스가 뻥파워요? 흠... 예전엔 인식 좋았던거같았는데
허수아비님 언제나 즐겁게보고있는 구독자입니다 조립컴퓨터를 살려고하는데 사고난후 조립까지는할수있는데 바이오스 셋팅과 윈도우 까는법을 모르겠습니다 윈도우7 을어떻게설치하는지 바이오스 셋팅은 어떻게하는지 또 조립끝나고 PC를 돌릴려면 또 무엇을해야하는지 자세하게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메인보드는 아수스 110껄 쓸껍니다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허수아비님...ㅠ아 그리고 ssd에 윈도우를 깔거라서요 ssd에윈도우 까는법도 알려주세요...
따끈따끈
허수아비씨는 다 좋은데
선정리를 정말 못하시는거같아요..ㅋㅋ
IT 커뮤니티에서 업체에서 선정리 이래왔다 올리면 다들 한마디씩 하고갈거같네요
쿨엔조이나 기글 hw배틀 같은곳에 유저들 컴퓨터 보시고(시감)..선정리 해보세요 분명 도움될겁니다,
1900년대나 2010년도까지는 허솹씨 선정리 스퇄이 맞을지도 몰라요, 하지만 요즘은
컴퓨터에 감성을 담을수있게 관련제품 과 튜닝 케이스가 잘나와서 선정리를 정말 잘해줘야해요
선정리만 부족한게 아닌데...ㅠㅠ
오 일러스트 학원에서 요청한거라 저도 그림을 한번그려보고싶은걸 원했는데 보고 저도 한개 장만..(돈이됀다면)
허수아재의 궁시렁 스킬의 끝을 보여주는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