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이성계의 아부지 이차춘은 언제 돌아가셨나 태상왕이 상왕이라고 그런데 왜 같은 곳에 두 사람이 동시에 있니. 조정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 @박승대-w3u
    @박승대-w3u Місяць тому +2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김희성-f6v
    @김희성-f6v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새요 선생님 몸도 안좋은대 열정이 대단 하십니다

    • @너와단둘이서
      @너와단둘이서  Місяць тому

      네 걱정해 주어 고맙습니다. 빨리 해복해야지요.

  • @선희-z4w
    @선희-z4w Місяць тому +1

    병원먼저 가시죠 몸이회복 하시고 하셔도 저히는 기다릴수잇는대. 걱정입니다

    • @너와단둘이서
      @너와단둘이서  Місяць тому +1

      좋아지고 있어요. 돈들어가 잖아요 조크 입니다.

    • @절대평형
      @절대평형 Місяць тому

      @@선희-z4w 병 얻을려고 병원가나요?
      농담입니다.

  • @Justice1234-t1o
    @Justice1234-t1o Місяць тому +2

    태종실록 상 태종 기준 상왕은 2대 정종, 태상왕은 태조이성계임.

  • @Justice1234-t1o
    @Justice1234-t1o Місяць тому +1

    서강은 2개 있음. 고려국 기준 서강은 송도의 예성강으로 낙양 북부 황하구간. 조선국 기준 서강은 한강의 서북부인 섬서성 순양현 구간임. 세종실록상 서강은 한수의 서강 즉, 위 순양 구간일 것임.

  • @Justice1234-t1o
    @Justice1234-t1o Місяць тому +1

    이자춘 사망일은 1360년이요. 정말 뭘 대단히 착각하고 계신듯. 건강 챙기는 것이 급선무임다.

  • @절대평형
    @절대평형 Місяць тому +1

    태상왕은 할아버지고 상왕은 아버지이가 일반적이지만 영락제의 경우에는 태상왕이 아버지고 상왕이 2째형입니다.
    원사에 의하면 당시 영락제의 2째형은 명조선 황제이고 3째형은 티무르제국의 황제였습니다.

    • @너와단둘이서
      @너와단둘이서  Місяць тому +1

      조선은 유래 없는 호칭의 나라 입니다. 현대로 따지면 아버지를 할아버지라 부른다. 우리의 조상은 바보네요.

    • @절대평형
      @절대평형 Місяць тому

      @@너와단둘이서 영락제가 아버지를 태상황이라 칭한 것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바로 전왕이 형이고 그 직전이 아버지가 왕이었으니 아버지가 태상황이라 칭한 것이 무엇이 문제이겠는지요?

    • @Justice1234-t1o
      @Justice1234-t1o Місяць тому

      고려 수도 송경, 만월대, 곡령(송악산), 예성강을 각​ 정확히 비정했어요. 이멜 주소 적어 두시면 공유할게요.@@절대평형

    • @Justice1234-t1o
      @Justice1234-t1o Місяць тому

      3째형이 티무르제국 몇대 황제이고 그 이름은 뭐죠? 꼭 알려주세요

    • @너와단둘이서
      @너와단둘이서  Місяць тому

      @@절대평형 뭔 소리 하는 지 모르겠네요. 실록의 기록 이방원 기록인데. 이 방원이 왕인데. 상왕이 있고 태상왕이 있는데. 이상하지요. 상왕과 태상왕이 똑 같은 사람인가. 근데 어떻게 상황이 태상왕을 돌보고 곁에 잔다고함.

  • @Justice1234-t1o
    @Justice1234-t1o Місяць тому

    벽란도는 최근 정확히 비정함. 낙양이 송도이고 그 서북부인 황하변 동관현 동관도구임. 조읍포는 그 북쪽 섬서성 조읍현임. 아침 조, 고을 읍의 조읍임. 중국지도 찾아 보세요.

  • @Justice1234-t1o
    @Justice1234-t1o Місяць тому

    5월, 6월로 차이나는 이유는 음력, 양력이어서 환산한 때문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