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озмір ві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увати елементи керування програвачем
Автоматичне відтворення
Автоповтор
월화수본금토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의사 선생님… 저 본이 아파요….
당신은 목이 나무로 되어있나보죠?
아니 bone이 아프다구요
@@opus1114쫌 재밌었다하.. 내가 이런 거에 웃다니..
너..는 ㅋㅋㅋㅋ
그 목이 그 목이 아니라고 얘기한 거임 쟤는
우정잉 은근슬쩍 요즘 사람인척 하는거봐
어려보여서 넘어갈 뻔했네
AI에요?
??? : 우리 이번주 본요일에 만나자
이번주 본요일은 좀 바쁘구 다음주 본욜ㄱㄱ
근본요일이죠.
옛날사람 진짜 심하다
목 아래에 선 띡 그을 때 나도 모르게 감탄사 튀어나옴ㅋㅋ
역시 경대살인마 우정잉;;
살려내라!
진짜 이쁘시다
*_획순 다 틀리네 그 와중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_*
나무목자도 틀리는데 획순은 맞추는게 더이상한거아닌가
일은 맞추셧습니다!
획순까진 봐주자 ㅋㅋㅋ
나도 보면서 획순 다 틀렸다고 생각했는뎈ㅋㅋㅋㅋ 목을 본으로 너무 자연스럽게 써서 엥? 했음 ㅋㅋㅋ
한자 시험에서 획순 없어진지 20년 된듯
잘 써놓고 획을 추가해버리네 ㅋㅋㅋ
구독한지 얼마 안됐는데 우며드네. 볼매야 볼매
우정나라 우정법에 의거하여 본요일 안건 채택되었습니다
역시 목은 본이 근본이지 암 ㅋㅋㅋㅋ
난 요즘 본요일이 별로더라 개힘듬😢
모화빙본전사왈..
이래서 세종대왕님이 한글을 창조하셨지
한글은 소리를 나타내는 말이라서 의미를 나타내는 데에는 한자보다 취약합니다. 우리말은 한자어가 많기 때문에 한자를 알 필요가 있죠.
@@반박시니가틀림-g8q맞는 말이지만 요지와는 다른 내용이네요
@@dulcet69 한글이 우수한 건 맞지만 여전히 한자를 알아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만
@@반박시니가틀림-g8q 맞아요 ㅋㅋ 그래서 요즘 문해력이 문제가 되죠
@@반박시니가틀림-g8q한자를 모른다고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지 않나요?
이 정도면 그래도 요즘 알파세대로 치면 상위10%다
마지막에 울라카노 ㅋㅋㅋ
저거 쪽팔리는 표정 찐텐인데
일주일중에 제일 빡센 본요일..본아웃와버려..
난 지금 보고도 몰랐다 ㅋㅋㅋㅋ
그래도 예상했던것보단 많이 맞췄네 뭐냐
이거 보고 나니 나무 목 기억이 안나...
목요일이 근본이군요
저희 초강력 목드는 3초 안에 물건을 붙힙니다.
수 쓸때 그래...뭐 그럴수 있어 하는데 목은.....
水도 틀렸잖아요 😂
저정도면 맞제
ㅋㅋㅋ사펑 데이비드 등짝에 있는 거 아냐?ㅋㅋㅋ
따지고보면 틀린 게 맞긴 하지만 저정도면 못 알아보지도 않고 본처럼 다른 것과 헷갈리는 정도도 아니니 그냥 눈감고 넘어가주기로 했어요~ ㅎㅎ
세종대왕만 오열할 줄 알았는데, 거북이도 오열하겠네
초중고 한자 배우고 법대 가서 한자배웠는데그 뒤로 안쓰니까 다 까먹음
근목이 있는 우정잉....
오늘도 본이 예쁜 우정잉
이제 30대인 우정잉이 MZ 딱 가운데라는 게 ㅋㅋㅋ
닉네임 모자이크 위치 절묘하네 ㅋㅋㅋㅋ
나까무라 정 화이팅
와...
저 11살인데 한자 3급 자격증 땄는데 저 안 되나요?
한끝 차이를 직접 보여주는 참된 방송인 ㅋㅋㅋ근데, 우정잉이 근본이고 진리긴 해...
시청자 왈: 너는 요즘 사람 아닌데 왜 그러녴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한자를 안쓰니까 어렸을때 배운 내 이름 한자도 까먹을뻔 ㅋㅋㅋㅋ
1부터 10까지도 써보자
근본 본을 들고와버리는 클라스
정확히는 얼하스본금토읠임.
이정도로 많이 맞춘것도 상위권 아님?ㅋㅋㅋㅋ
에이 상위권은 아니지ㅋㅋㅋ 저정도는 상식이야
요즘 20대들 어휘를 봐도 진짜 모를거같음
2000년 이후에 태어났으면 상위권될 수도? 한자 자체를 아예 안배운 애들 진짜 많던데
아무리 2000년대생 이후라도 저건 상식이 맞는데? 금일 틀린건 뭐 백번 그렇다 치는데 월화수목금토일을 틀리는 건 무식한 사람이 맞음
대댓 또또 아는거 나왔다고 ㅋㅋㅋㅋㅋ
쥬피터.. 우리말로 본성
월화수본금토일..근'본' 넘치네요ㅋㅋㅋㅋㅋㅋㅋ
자연스럽게 넘어가려다 본은 너무 튀어서 실패.. ㅋㅋㅋ
나 객관적으로 무식한데 다 맞는 줄 알고 존경했어 누나..
한자 알필요 없음 ㅋㅋ
음~~~이본주 본요일~~~
요즘 사람이 아니라 6개나 맞춘거죠?
어쩐지 근본없다 싶었는데 저기 있었네요
요즘 우정잉 심하다~~~~~ ㅋㅋ
똑똑잉
화요일 애불이나요
귀엽네
본요일에 만날 사람?
이뻐라 ㅋㅋ
대구의 자랑 대구의 딸
ㅋㅋㅋㅋㅋ 왜색이 짙은 분이었군😂
병문안 갈땐 '목죽' 이 최고지.
요즘 사람들..?
본요일이 전도되면말요일
나도 반성해야겠다
나만 모름? ㄹㅇ 화수일 말고 모르겠눈데....
눈썹문신했어요?
먼가 눈썹에 진해보이네
월화"근본"금토
일본이 일목 되는순간...일본국민 여러분~~!!제가그런게 아니라,""""우정잉""""님께서그렇다고 하십니다~~!!!!!!
정정 : 옛날 사람도 심하다
목을 따버리셨네...
오늘부터 본요일
안되겠다 방파개야 가서 왕편 좀 갖고와라
🤭
화요일은 왜이렇게 화가나있는거죠?
월화수본금토일 블리치 기술같네 ㅋㅋ
작대기 하나만 지우면 나무목이긴해
나무목도모르냐....😂
딱봐도 MZ해 보일라고 일부러 本으로 쓴거
본... 밀본인 것이냐? 잉본인 것이냐?!
42살이면 요즘사람 아니긴하지
잉정잉누나 나는 z세대지룽
화 쓰는 순서가 틀림
천자까지는 아니여도 백자는 팠는데 ㄷㄷㄷ요즘 애들은 에잉 쯧쯧
아니 이게 요즘 사람 문제인가?다 배운건데 안쓰다보니 생각이 안나는걸 어떻게해
요즘엔 안쓰니까 그만큼 몰라도 문제가 없어지는거고 결국 모르는 사람 비율이 높아지는거죠근데 아직까진 그냥 상식으로 여겨지니..ㅇㅇ
와우 본주름 왜 이렇게 많아
목요일이 근본이긴함,
일~~~본~~ㄷㄷ모스부호인가?
아니 어케 획순 맞는게 하나도 없냐 ㅋㅋㅋㅋㅋ
본을 아는데 목을 몰라...??아유 일부러 그런거 너무 티나서 킹받네 진짜....
본은 ㅋㅋㅋ 일본 글자를 넘 봣네 ㅋㅋ
요일 이름에서도 근본을 찾는 유교 어르신...
나무 목을 본으로 쓰는거 보니까 요즘 사람이네ㅋㅋ
그래도 똑똑하네
우정잉 사랑해
딤주 본욜 ㄱ ?
너넨 한자도 모르잖아 이것들아ㅋㅋㅋㅋㅋㅋㅋ
94년생인데 하나도쓸줄모른다.. 알빠여 내 일이나 잘하면돼
이래서 요즘딸피는 안돼
웃기려고 틀린거지? 그치...?아니야 사실 나도 긴가민가했어
94면 요즘사람 인정ㅋㅋ
요즘 사람들 자기이름 한자로 써보라하면 모를듯
월화수본금토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의사 선생님… 저 본이 아파요….
당신은 목이 나무로 되어있나보죠?
아니 bone이 아프다구요
@@opus1114쫌 재밌었다하.. 내가 이런 거에 웃다니..
너..는 ㅋㅋㅋㅋ
그 목이 그 목이 아니라고 얘기한 거임 쟤는
우정잉 은근슬쩍 요즘 사람인척 하는거봐
어려보여서 넘어갈 뻔했네
AI에요?
??? : 우리 이번주 본요일에 만나자
이번주 본요일은 좀 바쁘구 다음주 본욜ㄱㄱ
근본요일이죠.
옛날사람 진짜 심하다
목 아래에 선 띡 그을 때 나도 모르게 감탄사 튀어나옴ㅋㅋ
역시 경대살인마 우정잉;;
살려내라!
진짜 이쁘시다
*_획순 다 틀리네 그 와중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_*
나무목자도 틀리는데 획순은 맞추는게 더이상한거아닌가
일은 맞추셧습니다!
획순까진 봐주자 ㅋㅋㅋ
나도 보면서 획순 다 틀렸다고 생각했는뎈ㅋㅋㅋㅋ 목을 본으로 너무 자연스럽게 써서 엥? 했음 ㅋㅋㅋ
한자 시험에서 획순 없어진지 20년 된듯
잘 써놓고 획을 추가해버리네 ㅋㅋㅋ
구독한지 얼마 안됐는데 우며드네. 볼매야 볼매
우정나라 우정법에 의거하여 본요일 안건 채택되었습니다
역시 목은 본이 근본이지 암 ㅋㅋㅋㅋ
난 요즘 본요일이 별로더라 개힘듬😢
모화빙본전사왈..
이래서 세종대왕님이 한글을 창조하셨지
한글은 소리를 나타내는 말이라서 의미를 나타내는 데에는 한자보다 취약합니다. 우리말은 한자어가 많기 때문에 한자를 알 필요가 있죠.
@@반박시니가틀림-g8q맞는 말이지만 요지와는 다른 내용이네요
@@dulcet69 한글이 우수한 건 맞지만 여전히 한자를 알아야 한다는 뜻이었습니다만
@@반박시니가틀림-g8q 맞아요 ㅋㅋ 그래서 요즘 문해력이 문제가 되죠
@@반박시니가틀림-g8q한자를 모른다고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지 않나요?
이 정도면 그래도 요즘 알파세대로 치면 상위10%다
마지막에 울라카노 ㅋㅋㅋ
저거 쪽팔리는 표정 찐텐인데
일주일중에 제일 빡센 본요일..본아웃와버려..
난 지금 보고도 몰랐다 ㅋㅋㅋㅋ
그래도 예상했던것보단 많이 맞췄네 뭐냐
이거 보고 나니 나무 목 기억이 안나...
목요일이 근본이군요
저희 초강력 목드는 3초 안에 물건을 붙힙니다.
수 쓸때 그래...뭐 그럴수 있어 하는데 목은.....
水도 틀렸잖아요 😂
저정도면 맞제
ㅋㅋㅋ사펑 데이비드 등짝에 있는 거 아냐?ㅋㅋㅋ
따지고보면 틀린 게 맞긴 하지만 저정도면 못 알아보지도 않고 본처럼 다른 것과 헷갈리는 정도도 아니니 그냥 눈감고 넘어가주기로 했어요~ ㅎㅎ
세종대왕만 오열할 줄 알았는데, 거북이도 오열하겠네
초중고 한자 배우고 법대 가서 한자배웠는데
그 뒤로 안쓰니까 다 까먹음
근목이 있는 우정잉....
오늘도 본이 예쁜 우정잉
이제 30대인 우정잉이 MZ 딱 가운데라는 게 ㅋㅋㅋ
닉네임 모자이크 위치 절묘하네 ㅋㅋㅋㅋ
나까무라 정 화이팅
와...
저 11살인데 한자 3급 자격증 땄는데 저 안 되나요?
한끝 차이를 직접 보여주는 참된 방송인 ㅋㅋㅋ
근데, 우정잉이 근본이고 진리긴 해...
시청자 왈: 너는 요즘 사람 아닌데 왜 그러녴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한자를 안쓰니까 어렸을때 배운 내 이름 한자도 까먹을뻔 ㅋㅋㅋㅋ
1부터 10까지도 써보자
근본 본을 들고와버리는 클라스
정확히는 얼하스본금토읠임.
이정도로 많이 맞춘것도 상위권 아님?ㅋㅋㅋㅋ
에이 상위권은 아니지ㅋㅋㅋ 저정도는 상식이야
요즘 20대들 어휘를 봐도 진짜 모를거같음
2000년 이후에 태어났으면 상위권될 수도? 한자 자체를 아예 안배운 애들 진짜 많던데
아무리 2000년대생 이후라도 저건 상식이 맞는데? 금일 틀린건 뭐 백번 그렇다 치는데 월화수목금토일을 틀리는 건 무식한 사람이 맞음
대댓 또또 아는거 나왔다고 ㅋㅋㅋㅋㅋ
쥬피터.. 우리말로 본성
월화수본금토일..
근'본' 넘치네요ㅋㅋㅋㅋㅋㅋㅋ
자연스럽게 넘어가려다 본은 너무 튀어서 실패.. ㅋㅋㅋ
나 객관적으로 무식한데 다 맞는 줄 알고 존경했어 누나..
한자 알필요 없음 ㅋㅋ
음~~~이본주 본요일~~~
요즘 사람이 아니라 6개나 맞춘거죠?
어쩐지 근본없다 싶었는데 저기 있었네요
요즘 우정잉 심하다~~~~~ ㅋㅋ
똑똑잉
화요일 애불이나요
귀엽네
본요일에 만날 사람?
이뻐라 ㅋㅋ
대구의 자랑 대구의 딸
ㅋㅋㅋㅋㅋ 왜색이 짙은 분이었군😂
병문안 갈땐 '목죽' 이 최고지.
요즘 사람들..?
본요일이 전도되면
말요일
나도 반성해야겠다
나만 모름? ㄹㅇ 화수일 말고 모르겠눈데....
눈썹문신했어요?
먼가 눈썹에 진해보이네
월화"근본"금토
일본이 일목 되는순간...
일본국민 여러분~~!!
제가그런게 아니라,
""""우정잉""""님께서
그렇다고 하십니다~~!!!!!!
정정 : 옛날 사람도 심하다
목을 따버리셨네...
오늘부터 본요일
안되겠다 방파개야 가서 왕편 좀 갖고와라
🤭
화요일은 왜이렇게 화가나있는거죠?
월화수본금토일 블리치 기술같네 ㅋㅋ
작대기 하나만 지우면 나무목이긴해
나무목도모르냐....😂
딱봐도 MZ해 보일라고 일부러 本으로 쓴거
본... 밀본인 것이냐? 잉본인 것이냐?!
42살이면 요즘사람 아니긴하지
잉정잉누나 나는 z세대지룽
화 쓰는 순서가 틀림
천자까지는 아니여도 백자는 팠는데 ㄷㄷㄷ
요즘 애들은 에잉 쯧쯧
아니 이게 요즘 사람 문제인가?
다 배운건데 안쓰다보니 생각이 안나는걸 어떻게해
요즘엔 안쓰니까 그만큼 몰라도 문제가 없어지는거고 결국 모르는 사람 비율이 높아지는거죠
근데 아직까진 그냥 상식으로 여겨지니..ㅇㅇ
와우 본주름 왜 이렇게 많아
목요일이 근본이긴함,
일~~~본~~
ㄷㄷ모스부호인가?
아니 어케 획순 맞는게 하나도 없냐 ㅋㅋㅋㅋㅋ
본을 아는데 목을 몰라...??
아유 일부러 그런거 너무 티나서 킹받네 진짜....
본은 ㅋㅋㅋ 일본 글자를 넘 봣네 ㅋㅋ
요일 이름에서도 근본을 찾는 유교 어르신...
나무 목을 본으로 쓰는거 보니까 요즘 사람이네ㅋㅋ
그래도 똑똑하네
우정잉 사랑해
딤주 본욜 ㄱ ?
너넨 한자도 모르잖아 이것들아ㅋㅋㅋㅋㅋㅋㅋ
94년생인데 하나도쓸줄모른다.. 알빠여 내 일이나 잘하면돼
이래서 요즘딸피는 안돼
웃기려고 틀린거지? 그치...?
아니야 사실 나도 긴가민가했어
94면 요즘사람 인정ㅋㅋ
요즘 사람들 자기이름 한자로 써보라하면 모를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