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분리수거는 우리가 최고! '선진 모델' 한국 취재한 프랑스 언론 [경제합시다] / KBS 2024.01.17.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57

  • @이창엽이지랖
    @이창엽이지랖 Рік тому +378

    현직 음식물수거하는 환경미화원입니다.
    제발 음식물쓰레기통에 비닐이랑 이물질 같이 버리지 마세요 ㅜㅠ

    • @hsk3035
      @hsk3035 Рік тому +41

    • @MoonAuth
      @MoonAuth Рік тому +1

      궁금한 게 있는데요, 따로 비닐 봉투에 버릴 음식물을 담은 다음 그 비닐 봉투를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넣어도 안 되나요? 그러니까 비닐이 2겹이 되는 셈이죠. 그 2겹 비닐을 찢으면 안에는 이물질이 없구요. 이래도 문제가 되나?

    • @emmarose5894
      @emmarose5894 Рік тому +27

      맞아요. 음쓰통 열릴때 보면 비닐째로 버린 사람들이 있더라구요. 왜 그러는지 몰라요. ㅡㅡ

    • @이창엽이지랖
      @이창엽이지랖 Рік тому +19

      @@MoonAuth 통으로 수거하는 곳의 원칙은 어떤 비닐도 없어야 합니다..
      이유는 통의 구조가 내부에 물빠지는 작은 통이 하나 더 있습니다.
      음식물쓰레기는 물이 포함되면 안됩니다. 수거시에는 통안에 물이 빠진 작은 통만 빼내어 수거하고 다시 넣습니다.
      비닐안에 물이 없고 음식물만 있다면 수거시에 비닐속 음식물만 비우고 비닐은 다시 통안에 넣어 드리고 있습니다.
      작업시에 비닐이 묶여있는 경우에는 어쩔수 없이 그냥 비닐째로 수거하는데 그럼 음식물처리장에 기계에는 좋지 않습니다.

    • @solremio
      @solremio Рік тому +18

      @@이창엽이지랖 죄송해요 비닐이 미끄러워 놓쳤어요...주의 할게요

  • @Kim-yq6ku
    @Kim-yq6ku Рік тому +79

    훌륭한 반면, 아직 그러지못한 국가들이 대다수라는게 안타깝네요.
    저희도 더욱 분리 잘합시다 ~!
    가끔 분리가 애매한 경우를 위해 캠페인이나 짧은교육영상 제작해주시면 좋겠어요.

  • @jason_cha
    @jason_cha Рік тому +50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동물 사료는 품질이 떨어져서 농장주들이 기피하고, 비료로 만든 것도 소금기가 많아서 문제라고 함. 일반 사료나 퇴비는 성분의 구성이 일정하지만, 음식물 쓰레기는 성분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음. 게다가 처리 과정에 비용도 많이 들어가고 있음.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 시점임.

    • @jiya02
      @jiya02 Рік тому +1

      양념은 씻어내고 버리던가 일반쓰레기로 버려야하는데 사람들이 그냥 기준점없이 마구잡이로 다 버리는 것 같음.

    • @qwertyu374
      @qwertyu374 Рік тому +3

      맞아요 곰팡이난 식재료도 음식쓰레기로 버려져서 사료로 쓰기에는 부적합할 것 같아요

    • @pilee2544
      @pilee2544 Рік тому +1

      음식물 쓰레기로 동애등에 사육하고 동애등에 유충은 닭 사료로 사용하면 좋다던데...

    • @옹달샘-z7i
      @옹달샘-z7i Рік тому

      소금기가 들어있으면 동물들이 웬만한 질병에는 강해요
      사람이든 동물이든 소금은 생명유지에 필수요소입니다

    • @ejahn9086
      @ejahn9086 Рік тому +1

      ​@@qwertyu374저도 같은생각으로 찾아봤더니 곰팡이 섞여있어도 다 문제없이 열처리?무슨처리한다고 하네요

  • @키다리아저씨-t9o
    @키다리아저씨-t9o Рік тому +36

    자원이라고는 아무것도 없는 나라라서 끊임없이 여러번 다시 쓰고 재활용하는 노력은 늘 필요하지요

  • @공용-w4z
    @공용-w4z Рік тому +45

    진짜 우리는 겁나 세세하게 분류해서 분리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im-j.y
    @kim-j.y Рік тому +11

    분리수거는 더 확실히 꼼꼼히 할필요있음..이 세상을 우리후손들에게 물러주기위한 작은 실천..몇번의 손놀림으로 지구를 지키는것이다

  • @i_land_park
    @i_land_park Рік тому +19

    우린 당연하게 하고 있는 일이 세계에서 최고의 선진국으로 인정 해주니 뿌듯하네^^

  • @범범-d3b
    @범범-d3b Рік тому +24

    우리나라도 예전 도입했을때 쉽지않았던 기억이 나네요

  • @KHKim-sz6yp
    @KHKim-sz6yp Рік тому +7

    우리나라 분리수거 잘해요
    시스템도잘되있어요
    칭찬할건합시다~^^

  • @songsunchoi1035
    @songsunchoi1035 Рік тому +9

    미국과 유럽이 이제나 시작한다니 충격이내

  • @shiahlee3083
    @shiahlee3083 Рік тому +7

    유럽거주 하면서 젤 불편했던게 음식쓰레기 처리, 재활용 분리수거 였다ㅠㅠ 거긴 재활용없어서 더 불편했다

  • @GeeHanShin
    @GeeHanShin Рік тому +6

    미국 30년살면서 한국 제일 불편했던게 음식물 분리수거였는데 다른 말로하면 미국에서는 절때로 이루어질수 없는 정책임 주변에 거지들도 분리수거를 못하는중

  • @elanjey8554
    @elanjey8554 Рік тому +2

    나 예전에 프랑스에 살았는데...... 쓰레기통이 하나임.종이 패트병 음식물쓰레기를 한둔데에 버림. 패트병과 음식물쓰레기가 뒤엉켜 있는 상황이 적응하기 쉽지 않았지만,다른 방법이 없음..그냥 그게 여기의 방식이니 따를수 밖에는.....나라가 워낙커서 매립할데가 넘쳐난다고는 하지만...버릴때마다 맘이 좀 그랬음

  • @yangheejin1004
    @yangheejin1004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정말 소위 선진국이라 불리는 미국.캐나다.영국.유럽 국가들등등에 살면서 음식물은 고사하고 일반쓰레기 분리수거 안하는거 보고 후진적이란 생각 많이함! 대한민국 최고!

  • @2023MooHyeon
    @2023MooHyeon Рік тому +2

    어차피 분리하더라도 대부분 다시 합쳐질 거지만, 일단 청소하시는 분들이 편하게 수거할수 있도록 하는게 우리 문화.

  • @잠이온다-v3j
    @잠이온다-v3j Рік тому +255

    지금도 최상위권 분리수거 문화인데 여기서 더 강화할 계획이라는게 넌센스

    • @초코아이스크림-l1u
      @초코아이스크림-l1u Рік тому +31

      너무 시민들에게 환경 관련 의무를 부여한다는 말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언제나 최고라는 것에서 만족하면 안되는 법입니다. 더욱 선진적으로 개선하고 발전시켜 누구나 본받을 만한 한국형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gongdori_b7194
      @gongdori_b7194 Рік тому +18

      수거한 음식물 쓰레기 어떻게 되는지나 알고 국뽕을 쳐 빠세요

    • @김민구-h6k
      @김민구-h6k Рік тому

      ​@@gongdori_b7194어떻게되는데 ㅂㅅ아...

    • @이창민-r9o
      @이창민-r9o Рік тому +10

      분리수거 까지만 합니다
      . 수고만요. 대부분. 묻죠..

    • @BB-te8gd
      @BB-te8gd Рік тому +21

      사실 한국에서 분리수거니 쓰레기처리니 하는것에 민감한건 무슨 환경오염 막겠다 이딴 이유가 아니라, 땅이 워낙 좁다보니 쓰레기 처리장을 세울만한곳이 어중간해서 주민들이 난리치고 일어난다는 사회적 요인과, 그걸 외국으로 배출하자니 그만큼 돈이 끝없이 들어가야한다는 경제적 요인이 큰거라

  • @jameslee4818
    @jameslee4818 Рік тому +9

    이렇게 자리 잡히기까지 초반에 우여곡절도 많았지... 하지만 우리는 결국 정착 시켰음!!
    그런데... 여기서 말입니다. 음쓰를 일반 쓰레기통에 버리는 일부 인간들과 내 집에서 나온 음쓰를 일반 봉투에 담아서 몰래 쓰레기 모아놓는 곳에 버리는 인간들...
    특히, 상가 밀집 지역에 가면 저렇게 몰래 버린 음쓰 봉투가 터져서 악취와 벌레...그러지맙시다!! 쫌~~~

  • @또남
    @또남 Рік тому +1

    진짜 저런 환경에서 일하시는 분들 대단하십니다 저 분들이 계시니 이런 시스템도 돌아가는거지

  • @newfundland
    @newfundland Рік тому +5

    사람 살기도 좁은 땅이라 분리배출이라도 안하면 매립지 문제가......

  • @youngraelee4598
    @youngraelee4598 Рік тому +2

    분리수거보다 일회용품 사용을 확 줄여야. 모든 물건을 한 번 더 사용하면 좋겠어요.

  • @Tuss2233
    @Tuss2233 Рік тому +1

    반면 쓰레기처리는 답이없는 나라다. 플라스틱 사용량은 전세계 탑3위에 속해잇고 그저 쓰레기산으로 만들어 점점 그 크기가 비대해져 여의도만하다.

  • @문정국-k5k
    @문정국-k5k Рік тому +7

    우리 나라 금촌 상가많은곳들와봐
    나지나가다 이렇게 쓰레기랑 음식물 분리 안돼 있던데 기자님들 상가쪽 새벽에 봐봐요 쓰레기장 한두군데 아님 길가다 쓰레기장 인줄

  • @normal77079
    @normal77079 Рік тому +1

    분리수거가 정착되는데 우리도 오래 걸렸음. 90년까지만해도 그냥 음쓰와 각종 쓰레기를 비료포대 같은 곳에 담아서 쓰레기차가 오면 그냥 갖다버렸음. 종량제봉투가 도입됐을때 반발이 어마어마했고 음쓰도 원래 그냥 공동으로 담아쓰는 음쓰통이 있었는데 냄새와 벌레가 어마어마해서 지금의 종량제봉투로 바뀐건데 서구 사회가 이걸 받아들이긴 힘들거임.

  • @용-z7y
    @용-z7y Рік тому +34

    주택가도 음식물수거통이 따로 있으면 좋겠어요 바로 바로 버릴수있게

    • @냠냠냠-v7q
      @냠냠냠-v7q Рік тому +2

      아무래도 관리실이 없어서 어렵죠 관리가 안 될 가능성이 커서..

    • @jiya02
      @jiya02 Рік тому +2

      그럴려면 관리하는사람 고용해야됨..

  • @DofoNa-o4z
    @DofoNa-o4z Рік тому +34

    한국은 끔찍할 정도로 좁은 토지때문에 쓰레기장을 만들수가 없어 강제로 분리수거를 하게된것이 시작이지요

    • @seoul_9584
      @seoul_9584 Рік тому +2

      안쓰이는 땅이 널리고 널린게 한국이다. 절반 이상이 한 도시에 사는 도시국가인거 모르나? 그 덕분에 세계 최고의 도시가 탄생했지만 ㅎ

    • @seoul_9584
      @seoul_9584 Рік тому

      인구밀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음. 그게 싫으면 도시를 떠나면 됨.

    • @DofoNa-o4z
      @DofoNa-o4z Рік тому +2

      ​@@seoul_9584 님은 산이 사람살수 있는땅이라고 생각함? 경사도가 있는곳은 활용할수 없는땅임 서울조차도 산이 반인데 땅이 넘친다는 소리는 참 모르고 하는 소리다 ㅋㅋ 지도는 그렇게 단순하게 보는게 아니다

    • @유진이-o3x
      @유진이-o3x Рік тому

      그래서? 니가 이나라의 님비를 아느냐? ㅋㅋㅋ​@@seoul_9584

    • @수화리
      @수화리 Рік тому +2

      노는 땅은 많음....문제는 님비현상때문에 그래요...

  • @안녕-k5p
    @안녕-k5p Рік тому +9

    음식물쓰레기 분리가 잘되는이유는 특히 아파트가 많은나라여서 단체로 음식물 분리수거가 유리하기도 한거같아요

  • @버렷뭐하러담아둬
    @버렷뭐하러담아둬 Рік тому

    잘하고 있는것같아
    기분이가 조으다
    칭찬받은것같음

  • @손명화-q3s
    @손명화-q3s 6 місяців тому

    네"음식물버릴때"진짜이물질비니루들어가지않게명심하고조심히버리겠습니다
    환경미화원분들"오늘도수고하시고항상건강하세요
    환경미화원분들"최고입니다♡♡♡😊

  • @손명화-q3s
    @손명화-q3s 6 місяців тому

    우리대한민국"국민최고
    진짜일회용"쓰는것도많이덜쓰고"뭐든지버리는것도줄이는것도최고가됩시다
    오늘힘찬하루시작하세요

  • @user-wc3cq6dq5o
    @user-wc3cq6dq5o Рік тому +1

    음식물쓰레기에 비닐봉투랑 양파껍질,흙묻은 채소뿌리,소돼지 뼈,달걀껍질 ...등 재활용이나 동물사료가 안됩니다. 그런데 그냥 같이 버리고 있어요.

  • @dokody
    @dokody Рік тому +1

    리사이클링 업체들에게 지원좀하고 연구좀 하자.

  • @chrisjohn6270
    @chrisjohn6270 Рік тому +6

    첨에 적응하기 쉽지 않을뜻~

  • @guyzaccoco8169
    @guyzaccoco8169 Рік тому +3

    그런데 프랑스는 음식물을 절대 남기지않아....

  • @Ninazzang8866
    @Ninazzang8866 Рік тому +5

    분리수거는 개인이 지킬수있는
    최소한의 예의

    • @강아지-x6s
      @강아지-x6s Рік тому

      예의 아닙니다.행정상으로 많게는 과태료300만원 대상입니다

  • @gomsiki0ify
    @gomsiki0ify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것들은 입으로만 환경보호

  • @WorldWildcats
    @WorldWildcats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 내용 볼때마다 궁금했는데...
    일단 해외에서 음쓰통이 대도시 경우에만 있고 지방은 없는 경우가 많고 해서 한국이 참 앞서는 구나 하다가 다시 생각해보니 일단 음식에 고춧가루나 마늘 같은게 안들어가고 간이 적으며 육류 소비가 많아 남은 음식 대부분을 그냥 밖에 내어 놓으면 새나 고양이가 와서 먹는 경우가 많음. 그리고 다른 재료들 예로 늙은 호박 껍질 수박 껍질 같은 것들은 가든 큰집들에 있는 거름통에 삭히는 경우 많음.. 실제 음쓰 버리는 거는 아주 딱딱한 껍질류나 닭뼈같은 것들인 데... 도시와 경우가 다르니 헷갈리네.

  • @경기종료Live
    @경기종료Live Рік тому +1

    도로표시도 기가막히게 잘해놨어

  • @user-cn7wdg5yp2f
    @user-cn7wdg5yp2f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잘됐네.. 예전에 유학할때 음식물쓰레기는 싱크대에서 다 갈아버리고,, 분리수거 없이 종이 플라스틱 등등 쓰레기 다 짬뽕해서 버릴때마다 진짜 너무 찝찝하고 죄책감들었었음.

  • @mike6151
    @mike6151 Рік тому +2

    어서와 분리수거는 첨이지??
    엄청 불편할꺼야 ㄷㄷㄷ

  • @선영이-u4x
    @선영이-u4x Рік тому

    한국 최고!

  • @brienz03
    @brienz03 Рік тому +1

    돈자랑질,비교질,의대최고질 천민자본주의에 물든
    한국을 프랑스가 뭘 배울게 있다고 개웃기네

  • @latchutvtv8331
    @latchutvtv8331 Рік тому +1

    어쩐지 뉴욕갔더니 음식물쓰레기가 쓰레기통에 뒤범벅이 되어서 버려져있더라구요 그것땜에 쥐도많은듯~ 우리기술이 널리 전파되면좋겠네요

  • @거친영혼
    @거친영혼 Рік тому

    퇴비로 만들면 뭐합니까? 제대로 사용을 안하고 있는데요. 쌓여있는 재고가 엄청 많다는 보도도 본적 있습니다.

  • @moonlight_heaven-s3g
    @moonlight_heaven-s3g Рік тому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라는 말이 그 말이 아니잖아....

  • @LifeAndWhat
    @LifeAndWhat Рік тому

    0:26 음식물 쓰레기를 동물 사료로 만든다고 설겆이 개수대 음식 거름망 주방세제 범벅이고 동물이 먹어서 안 되는 각종 이물질 있고 비닐조차 마구 이상한 성분 골고루 들어가 있는데 한국이 분리수거 잘한다고 아파트 분리수거장 가면 개판임 방송으로 철저히 하라고 몇 번이나 말해도 노답임.

  • @김종현-g7v4g
    @김종현-g7v4g Рік тому

    음식물은 검은 비닐에 싸서
    버리던데 비닐은 어떻게
    처리를 하는지ᆢ?

  • @삽지
    @삽지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아파트 주민 전용 음쓰 버리는기계에 한번씩 버리면서 안에들여다 보는데 비닐, 종이 , 호일등등 같이 버리는 인간들 많더라 미래 우리의 아이들을 위해서 이런사소한 거라도 잘지킵시다

  • @zoorooroo13
    @zoorooroo13 Рік тому

    펫트병이랑 유리병 좀 가게에서 회수하고 돈으로 일정부분 회수받으면 좋겠어요. 그럼 진짜 분리수거 사람들 열심히 할텐데

  • @billyhult77
    @billyhult77 Рік тому +1

    문제는 음식을 많이남기면서 버려지는양이많아 재활용 공장들이 포화상태라는겁니다. 공급과잉입니다.

  • @ss-sy8jo
    @ss-sy8jo Рік тому

    우리나라 가정에서는 어느정도 분리 잘하는데 업체에서 제대로 못함 음식물 쓰레기 뿐만 아니라 다른것도 분리해도 섞는게 많음 그리고 가정에서 어느정도 분리수거 한다지만 그것도 잘하는곳만 잘하지 대충 하는곳도 많음 그래서 실질적으로 업체에서도 분리하는데 한계가있는거고

  • @Brixtom1
    @Brixtom1 Рік тому

    음식물 쓰레기 = 돈 입니다.
    수거업체에서 처리업체로 가면,
    원심분리기를 통해서, 폐수+기름+슬러지로 분리합니다.
    처리비용은 지자체에서 받구요.
    슬러지는 동물 사료, 기름은 화력발전소 같은 곳으로 갑니다.
    모든게 돈이 됩니다.
    현재 시설은 조금 냄새도 나고 합니다만,
    새로운 시설, 정부쪽에서도 주목한
    경북 쪽에 하나 몇년 전에 들어선 곳은
    냄새도 안납니다.

  • @굿라이프-e4j
    @굿라이프-e4j Рік тому

    ▶ 개인이든 기업이든 국가든간에
    에 맞춰 빠르게 하면 앞서나가고
    뒤처지면 퇴보하는게 역사의 순리입니다!

  • @짱아오빠-q9y
    @짱아오빠-q9y Рік тому

    주택가 골목길을 걷다보면 일반 쓰레기봉투에 음식물 쓰레기 들어가 있는거 쉽게 볼수 있음! 우리나라의 음식물 분리수거는 통계적으로 100% 일지는 몰라도 비공식적으론 80% 안팎 일것임.

  • @san4609
    @san4609 Рік тому +3

    음식물 처리에 관한 정부의 능력 칭찬해

  • @skid631
    @skid631 Рік тому +1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에 '가장 한국적인 것이... 어쩌고'가 어울리는 말이야? 한국은 온갖 분리수거를 하라고 들들 볶아서 어쩔 수 없이 하는거지
    현실은 음식쓰레기 수거기에 그물, 뼈, 미역줄기 같은거 넣어서 고장내고 매일매일 고치러 오고 난리 부르스다. 무식한 것들 진짜 많아

  • @raynal-RDIABLO
    @raynal-RDIABLO Рік тому +3

    프랑스 혁명은 잘하는데

  • @takahashicocoro
    @takahashicocoro Рік тому

    우리나라는 음식에 무침 김치 찌개 국 나물 이런게 많아서 음식물 쓰레기가 다 젖어있고 더러움. 반찬도 여러가지를 먹어서 많이 나오고. 반면 프랑스같은 나라는 먹어봐야 빵,샐러드,고기 이런거 먹어서 남는것도 별로 없고 대게 쓰레기도 건조함.

  • @chad.k
    @chad.k Рік тому

    불완전 연소 되어 소각하는 데 다이옥신 나오고, 갈아서 버려도 될 만큼 하수 처리 시설이 제대로 안 되어 있으니
    젖은 쓰레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음식물 쓰레기라고 분리할 뿐이지.
    그 부산물은 땅에 뿌리면 염해를 일으키고, 가축에게 먹이는 건 학대다.

  • @새우깡-n7h
    @새우깡-n7h Рік тому

    한국이 단합을 할땐 잘하지...분리수거하면서 인생을 배운다...플라스틱 사용하지말아야지,음식남기지않기,비닐보면 썩으려면 몇백년이 걸려 함부러 못씀 등등...지구에 내 흔적을(쓰레기)남기고 싶지않다ㅋ 누군가는 피해를보니..

  • @kanny6317
    @kanny6317 Рік тому +1

    국제기준으로 분리수거는 굉장히 훌륭하지만 국내에서는 개판이라고 판단중 ㅋㅋㅋㅋㅋㅋ

  • @user-imfukingbuddhism
    @user-imfukingbuddhism Рік тому

    경남 진주시에서는 일반쓰레기 차량이 일쓰와 음쓰를 같이 혼합수거해갔는데, 선두주자될려면 멀었다, 줄줄 새는곳 점검좀 해라, 문제를 제기 해야 문제를 인식하는 공무원들 일좀해라

  • @cch1763
    @cch1763 Рік тому +1

    재활용 업체들이 돈을 못 버는구조 정부 보조금으로 운영돼는데
    자본주의 끝판왕 미국에서 가능할까?

  • @miosarang
    @miosarang Рік тому +3

    음식물에 소금기 빼고 코코피트랑 썪어두면 미생물이 다 분해해 줌.
    화초에 주면 엄청 잘 자람.

  • @정근이-x4c
    @정근이-x4c Рік тому

    음식쓰레기는 비료나만들지 더럽게도 ㅡ농산물마트에서 팔다남은거나 농사짓다가격때문에 갈아엎는거나 날씨때문에 상품가치떨어진거 이런것들로 사료만드는게 좋겠다

  • @미스터손-t6j
    @미스터손-t6j Рік тому

    빌라 사는데, 바로 앞에 쓰레기장이 있음 ...김치포기를 그냥 길바닥에 버리거나, 대부분 스티커 없이 버려지는 가전가구에
    갖가지 음식물 다 던지고 도망감 ....여름엔 썩은내 펄펄나고 각종 벌레에 지네가 들끓음
    치우는 사람도 너무 불쌍하더라
    이런말 하기 좀 그렇지만 동네가 좀 못살아서 그런가 시민의식이 개판인거같음

  • @주황색오렌지-d6o
    @주황색오렌지-d6o Рік тому

    돼지사료로 먹이면 돼지냄새 심해져서 요새는 기피한다는 추세던데,,, 비료로 더많이 바꿔야될거같네요

  • @YYeaf
    @YYeaf Рік тому

    재활용 페트 생산과 재수거의 사이클을 만들고 이 모델을 현지화하는 시스템을 수출해서 정부 보조금 뜯어먹는 경영모델을 생각 했었는데.
    재활용 페트, 유리, 종이 포장지를 여러 회사로 납품하고 다시 수거하고, 홍보 오지게 해서 시민인식 바꾸고 친환경 효과나 결과 보고해서 믿음 주고 정부 보조금 받아 타먹고

  • @morisoo1
    @morisoo1 Рік тому

    음식물은 모르겟고 아파트에 쓰레기 불리배출 철저히 나눠서 배출했는데 막상 수거해가는 사람들 가져가서 그냥 한꺼번에 섞어서 태운다고함. 그리고 재활용도 안된다고 뉴스에 나옴 ㅡㅡ 그후로 그냥 분리배출안합니다.

    • @라떼-s2r
      @라떼-s2r Рік тому

      경비분이나 청소하는분이 다시 분리 하십니다. 우리가 할일은 분리배출까지이니 그 기사가 100프로는 아니니 분리배출 하세요.

  • @hyekonglee4319
    @hyekonglee4319 Рік тому

    우리나라는 어릴때부터 분리수거 개념을 가르치고 있는데..일부 나라에서는 그런교육이 없나보네요..
    어릴때부터 꾸준한 교육이 필요할것 같아요.. 처음부터 잘할 순없겠죠..

  • @yungyokim8480
    @yungyokim8480 Рік тому +1

    국민들은 정말 열심히 분리배출 하지 근데 수거 하는데서 뒤섞고 수거 해갈때 그냥 일반 쓰레기랑 같이 수거해 가고 ㅡㅡ 경남인가 부산인가 터졌음

  • @joker_999
    @joker_999 Рік тому

    땅덩어리가 넓으니 아무데나 버려도 되지만 땅이좁은 우리는 안된다고

  • @알리오-z1u
    @알리오-z1u Рік тому

    정확히는 가정분리배출만, 개인분류배출만 수준이 높은거지 미국과 유럽에 비해서 재활용시스템은 거의 밑바닥임😂 외국은 재활용사업하는 업자들이 용기도 씻고 라벨제거 분리 다함. 왜? 돈이 되니까ㅋㅋㅋㅋ지금 우리가 분리배출 한 것 중 몇개나 재활용사업에 참여되었을까? 그리고 애초에 재활용가능표시는 업자끼리 편리하려고 만든거잖아😂 합성 구분하려고😂근데 그걸 왜 일반인이 하고있어😅

  • @anjfcuekqhk33
    @anjfcuekqhk33 Рік тому

    미국 갔을때 먹다 남은 음식하고 일반 쓰레기 같이 버리는데.너무 이상하고 죄책감들더라 ㅎ

  • @제주-l3s
    @제주-l3s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음식물퇴비는 소금성분이 너무 많아 퇴비로는 부적합 합니다

  • @user-TeamCarbon
    @user-TeamCarbon Рік тому

    대기오염 내연기관 앞장서서 줄이자는 넘들이 정작 저런건 이제 시작 이라니. ㅡㅡ

  • @zk7by53msp
    @zk7by53msp Рік тому +4

    한국은 가격 높게 받을려고 먹지 않는 필요없는 반찬 내놓는 식당들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너무 많은 단점도 있어요.

  • @레쓰고고
    @레쓰고고 Рік тому

    분리수거잘하나했더니 무슨 이제 겉표지떼서 버리라고하고 곧있으면 또 뭐 추가되려나?;;; 전부깨끗하게 씻어서 버리라고 하려나?;;;

  • @halfkiwi
    @halfkiwi Рік тому +10

    내가 뉴질랜드에 살때 한국보다 더 먼저 음식물 분리수거했고 비료 만드는 통까지 나눠줬었는데.. 뉴질이 먼저다

    • @flyingfan1420
      @flyingfan1420 Рік тому +2

      어디가 먼저든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 @miosarang
      @miosarang Рік тому +4

      2007년도에 나도 치치 살았는데 안했었는데요?

    • @300억부자-m9g
      @300억부자-m9g Рік тому +1

      먼저해서좋겠다 그냥 치즈나팔아

    • @gongdori_b7194
      @gongdori_b7194 Рік тому

      @@300억부자-m9g ㅋㅋㅋㅋㅋㅋㅋㅋ국뽕 부정당하니까 이 갈리냐?

    • @릴리닐
      @릴리닐 Рік тому

      ㅋㅋㅋㅋㅋ

  • @중립-m4f
    @중립-m4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K-분리수거

  • @꿀좋다-i7r
    @꿀좋다-i7r 10 місяців тому

    동물이 먹을수있는게 음식물 쓰레기 입니다. 그외 껍질, 음식 찌꺼기, 상한 음식은 버리면 안됩니다

  • @user-wook828
    @user-wook828 Рік тому

    음식쓰레이통에 비닐까지 같이 넣는 인간들도 많음 양심없게
    조개.게.양파 등 껍데기는 음식물에 버리지말자

  • @Mio_JJANG
    @Mio_JJANG Рік тому

    일단 다인종국가는 절대 단합이되질 않아서 저런정책 시행해도 따라하지 못하는게 팩트

  • @seyeul-b6p
    @seyeul-b6p Рік тому

    음식물 쓰레기는 웃기는 일. 난 독일식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요일에 모든 유기물 쓰레기를 받는다. 전지한 나무까지 포함하여 받아서 퇴비를 만들어서 거의 무료나 다름없이 판다. 크기는 비료포대인데 무게는 알지 못한다. 그렇지만 한포에 350원 정도 했던 걸로 기억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건물 옆 50센티 폭의 좁은 돌밭에도 퇴비를 통째로 몇개씩 쌓어서 꽃밭을 만든다.

  • @nayanaya
    @nayanaya Рік тому

    옛날에 서구의 음식물 분리수거를 배워야 한다고 다큐멘터리 본거 같은데, 그 나라들은 정착화 안되고 흐지부지 된거야?

  • @이정혜-k7i
    @이정혜-k7i Рік тому

    나는 음식물쓰레기를 통에 바로 안 붓고 물로 헹군 뒤에 통에 넣음. 소금기를 빼줘야 사료로 쓸 수 있음.

  • @korea-NO1
    @korea-NO1 Рік тому

    내가사는 동네가 정왕동인데 조선족들이 많아요 그런데 진짜 쓰레기 구분 안하고 버녀요 나는 조금씩나오는 음식쓰레기는 음식물 봉투에 담어 얼렸다가 해서 가득담은다음 버립니다 그런데 이조선족들은 배달음식 그대로버립니다

  • @진우-u2k
    @진우-u2k Рік тому

    봉쥬르~ 뉴클리어 플리즈

  • @빨간딸기-b5n
    @빨간딸기-b5n Рік тому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의 최대의 적은 길고양이 ...... 봉투 다 찢어놔 흩뿌려져 있어서 비오기전까지 지저분하고 여름엔 냄새까지

  • @헐-y3c
    @헐-y3c Рік тому

    그러나 우리나라 길거리 특히 시골쪽 쓰레기 몰래 버린 인간들 반성하라..몇푼이나 아낀다고 봉투에 안 넣고 시골 동산 같은 곳 잘 안 고이는곳에 쓰레기 무단투기 하냐~~

  • @피곤해-h6i
    @피곤해-h6i Рік тому

    분리수거 전에 우리는 길거리 쓰레기가 더 문제지...
    이번 여름 장마도 담배꽁초,기타등등 쓰레기로 거리에 물 차오를 예정인데... 당장 눈에 보이는거 먼저 해결 해야지 이제 국뽕 적당히 하고 마약 수준에 도달 한것 같어...

  • @一之瀬アスナ
    @一之瀬アスナ Рік тому

    국토가 좁고 인구밀도가 높아서 함부로 못 버리는 게 가장 큰 듯.

  • @eptspace
    @eptspace Рік тому

    남의 좋은 것은 빨리 받아들여서 내 걸로 만들어야지

  • @beingnotdoing3892
    @beingnotdoing3892 Рік тому

    선진국이.우리나라에게 배우니 기분은 좋네.ㅋㅋ😊

  • @sky7777
    @sky7777 Рік тому

    쓰레기도 집에서부더 분리수거 좀 잘하자,다시 일일이 분리 골라야 된다

  • @4561-g1g
    @4561-g1g Рік тому

    시골은 분리수거 개념이 없어요
    음쓰 그냥 밭에 뿌리거나 뒷동산에 버림 그럼 야생동물도 먹고 거름도 되고 좋음

  • @_Korea_No.1
    @_Korea_No.1 Рік тому

    음쓰는 괜찮은데 일반 쓰레기버릴때 규제좀 완화좀 합시다 아니 너무 복잡해요

  • @mellongmilk
    @mellongmilk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음쓰 사료용으로 만들어도 수요가 없다던데..
    양돈업자들이 음쓰 사료 먹이면 돼지에서 음쓰 냄새 나서 안팔린다고..
    좀 이해는 안가지만..
    수요가 없으면 다른 방법을 찾는게 좋을것 같음

  • @무메이kk
    @무메이kk Рік тому

    정작 우리나라는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사료, 퇴비 모두 안써서 쌓여만 가고 처치곤란인 상황 아니었나?

  • @chriskim2958
    @chriskim2958 Рік тому

    음쓰 분리수거 하는 나라에서 주차장문제는 해결 못함. 일본처럼 차고지 증명 되어야 차를 사게 만들어야 주차문제 해결 가능

    • @DofoNa-o4z
      @DofoNa-o4z Рік тому

      애초에 자동차산업 육성하려고 개나소나 차살수 있게 만들어논건데... 작년 우리나라 수출 1위가 자동차라서 차고지증명제랑 더 멀어짐

  • @oov_
    @oov_ Рік тому

    한국의 분리수거도르 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