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끊김 현상 이라하는 이것!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내 컴퓨터를 맞춰줘 사연 링크 : forms.gle/ShVW...
(내컴맞 : 컴퓨터의 견적을 맞춰드리는 사연을 받습니다.) --------------------------------------------------------------------------------------------
--------------------------------------------------------------------------------------------
컴퓨터조립 17년차 저의 노하우가 살아있는 공간 고고싱 구독 하신 순간 컴퓨터 걱정이 사라집니다.
조립컴퓨터의 안좋은 인식과 수리가 힘들다 생각햇던 조립컴퓨터의 인식을 바꾸기위한 곳입니다.
시청자 참여코너
내컴퓨터를 맞춰죠 naver.me/5ba2Ow2S
(내컴맛 : 컴퓨터의 견적을 맞춰드리는 사연을 받습니다.)
문의는 카카오톡 : gocom
좀더 많은이야기는 블로그 : blog.naver.com...
근데 가끔보면 신기한게 현실을 보면 우리 눈이 표현 가능한 최대 주사율을 뇌에 띄워줄탠데 그러고 60hz짜리 폰보면 왜 역체감이 안나는지 모르겠음
어? 그러네요
오 10/30프레임 넣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빡 되네용
ㅎㅎㅎ 이해가 되셔서 다행이네요
게임 끊김현상과 렉은 영상제목에 100% 부합되지는 않습니다.
흔히 렉 걸린다는 다음과 같이 몇가지로 분류합니다
마이크로 스터터링 : 간혈적 프로그램(게임)이 드드득 끊기듯이 렉걸리는 현상으로,
흔이 프로그램(게임)의 최적화, 연산장치 상태 및 각종 장치에 대한 드라이버 상태, BIOS등으로 인해 발생
프레임드랍 : 갑작스레 주사율이 급감하는 현상으로, 통상 큰 연산량에대한 연산처리장치(CPU,GPU)의 부하로 인해 발생하며, 그 외 여러 이유가 있다
프리징 : 프레임 드랍에서 프레임이 0프레임이 되어 프로그램이 서버리거나, 메모리 문제, 프로그램 버그 문제 등에서 프로그램 자체가 정지하거나 윈도우 등 PC 자체가 연산이 멈춘 상태 등의 경우
본 영상에서 말하는 렉은 프레임 드랍과 관런되거나,
컴퓨터가 오래되어 요즘의 화려한 그래픽 처리에 부하가 생겨 프레임 자체가 저조하게 출력되는 경우가 되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렉이 생기는 이유가아니라 렉이 무엇인가잖아요.........
보편적으로 렉이생기는 이유라는 제목에 이런 내용은 0.01퍼센트도 생각안할거같아요....
그런가요? ㅎㅎㅎㅎ 말씀하시니 그런거같기도하네요
와 갑자기 화면 뭐이리 뚝뚝뚝 끈기는 느낌이 드나 했더니 165hz까지 되던게 60까지 내려가 있으니까 렉인줄 알았네 이거보고 갑자기 떠올랐네요 ㅎ
우리에 사람에 눈을 대단합니다....
240hz 사용자이면 200HZ 사용해도.
느낌입니다. 360HZ 사용자이면 240HZ
사용하면 랙 걸이다고 합니다.!
144HZ 165HZ 21HZ 총 게임하면
21HZ 차이가 보여요...!
FHD 240HZ QHD144HZ UHD 144HZ
그래픽카드 CPU 램32기가 다 좋아야 합니다.CPU i7 5700 3080ti RX6900XT
32기기 달이야 합니다.!
경험못해봐서 못느껴봤나봐요
제가 60hz모니터 쓰고있는데 게이밍모니터로 바꾸면 렉현상이 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욤 피파4 화면이 멈추는건 왜그런걸까욤? 고생하세욤
정지한거처럼 멈춤이요?
그건...그래픽카드가 헐렁해졌거나
접촉불량일 확율이80프로임
그레픽카드불리하고 먼지닦아주시고
메인보드에 입바람부로주세요
접촉부분을요~그럼될겁니다...
1두번안될수도있으니4번까지
체크하시고 보드에연결된 메모리
하드 다뺐다꼽아보세요...
게임 끊김현상이 모니터 문제임???ㅎㅎㅎ
사양이 충분한 상황에서 60hz 120hz 모니터로 써보면 60hz에서 살짝 버벅임이 느껴짐
에초에 렉이 있다면 컴사양 문제고,
모니터렉은 나만 답답할뿐 상대한텐 영향없음
근데 인게임 프레임수치와 모니터 주사율은 둘다 144로 출력되고있는데 전체화면과 테두리없는창모드에서 약간의 이질감은 왜 생기는 건가요?
전체화면이 아닌이상 거의 모든 프로그램은 60Hz로 화면을 표시합니다.
모니터가 60Hz보다 높게 출력한다면 느끼실 겁니다
음 저의 생각은 좀다른데 실제로 자원이 많이 필요한곳에 좀더 많은 자원을 넣다보니 전환전에 생기게되는 상황이지않나 생각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