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고 투명하게 채색하고 싶어? 우리가 알려줄게!! 장미, 유리컵 잘 그리는 법 🌹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49

  • @이유진-w5y3i
    @이유진-w5y3i 4 роки тому +6

    팬톤 쌤들은 하나도 빠짐 없이 짱 잘그리심.. 따라하지도 못할 범위여서 넋 놓고 그냥 보는 중
    사실 팬톤으로 옮기려했는데 실기가 일주일 남아서.. 재수하면 다시 생각해볼게요..🤣🤣

  • @호도-h9r
    @호도-h9r 5 років тому +11

    선생님 입시하는 입장에서 안 볼 수가 없네요 흑흑 너무 쉽게 너무 이쁘게 넘 감사해요ㅜㅜㅜㅜㅜㅜ

  • @villidiancho9316
    @villidiancho9316 5 років тому +7

    목소리 녹습니다~설명도 귀에 쏙쏙 들어와요~

  • @비밀-z8o
    @비밀-z8o 4 роки тому +2

    전 전공이 한국환데요 마지막에 닦아서 색을 지울수있다는게 참... 부럽다는..

  • @윤서현-z1b
    @윤서현-z1b 5 років тому +58

    유리 컬러 조합 궁금해요..!

    • @박현서-c8p
      @박현서-c8p 4 роки тому +4

      저거 그냥 유리칠하는 기본색이랑 섀도우 그린만 섞어도 저런느낌 나옴욤

  • @이유진-w5y3i
    @이유진-w5y3i 4 роки тому +8

    6:23 누가요 왤케 뻘하게 웃기지ㅋㄱㅋㄱㄱ?

  • @시은김-w1v
    @시은김-w1v 4 роки тому +3

    입시 끝났는데도 보게되네..

  • @gulendemiralp9285
    @gulendemiralp9285 4 роки тому

    This is truly incredible work! I wish you had some english subtitles, but ayways such an amazing art! Huge fan and admirer of this

  • @예린-n7n
    @예린-n7n 5 років тому +21

    ✏️ ㅁㅔ....모...... 밝음 머금으면서 칠하긔...

  • @Whitepaper_Art
    @Whitepaper_Art 5 років тому +1

    즐감하고 갑니다 ~♡

  • @조유민-t7r
    @조유민-t7r 5 років тому +7

    처음에 밑색까실때 느낌으로 까는건가요?아니면 관찰해서 까는건가요?? 자료가없을때는 어떻게 까나요??

    • @펜톤미술학원
      @펜톤미술학원  5 років тому +5

      안녕하세요 펜톤미술학원입니다! 😀
      기본적으로 제시된 소재를 관찰하는게 우선이지만, 시험장에서 실물 소재가 아니라 사진이 나오는 경우에 화질이 안좋거나 형태가 안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유리나 금속같은 기본 질감은 연습을 통해 감을 익혀 더 현실적이고 더 완성도 있게 보이게 채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소현-n7p
    @안소현-n7p 5 років тому +59

    유리컵 칠할때 상대적으로 물을 많이 쓰는 것과 화이트를 많이 쓰는 것 중 어느것이 좋나요?? 항상 조절을 못해서 연한 금속 칠하듯이 되요ㅜㅠ

    • @Oong_99
      @Oong_99 5 років тому

      그러게요ㅜ

    • @무하디
      @무하디 5 років тому +19

      테테 아무래도 투명체이니까 물을많이쓰는쪽으로하는게 낫지않을까요? 화이트를 초반에 밑색 깔때 많이쓰게되면 그림이 뿌옇게되거나 말하신것처럼 양감표현이 의도한대로 나오지못할확률이커요 화이트는 맨마지막에 디테일묘사할때만 몇번찍어주시고 물조절잘하셔서 종이일어나지않게 그려주시면 더 좋은작품나올꺼에요^^

    • @최도윤-r9k
      @최도윤-r9k 5 років тому +8

      제 개인적인 의견으론 주로 물을 많이 쓰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칠할때 화이트물감을 안 쓰는 건 아니지만 유리컵같은 투명한 재질은 묘사할때 뒤에 비치는 사물들의 색감도 살려서 묘사해야 하는데 화이트를 많이 쓰면 색이 탁하게 섞여버려서 투명한 느낌이 잘 안 살 수 있어서요. 화이트물감은 어느정도 덩어리를 칠한 뒤에 깨끗하게 묘사하거나 정리할 곳에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혹은 멀리있는 작은 투명체일 경우엔 톤다운시키려면 주제부보단 화이트를 많이 섞어주면 좋을 것 같네요. 미술입시 화이팅! 좋은 결과있을 거예요!!

    • @방구-h6u
      @방구-h6u 4 роки тому +3

      이규빈 그렇지만 화이트를 덜 쓰고 물을 많이 쓰게되면 처음에 가장 연한 톤을 깔 때 너무 자국이 많이 생기지 않나요?(물 적을 때 붓터치 두 번 이상하게되면 겹쳐져서 더 진하게 나오는 그거 ㅠㅠ...)

    • @무하디
      @무하디 4 роки тому +5

      J. K 그건 어디까지나 테크닉부족 문제인거 같아요 그렇게 따지면 화이트를 써도 덧칠하면 더 진하게나온답니다 붓방향과 활용, 그라기술등을 완전히 숙지한다음에 테크닉을 적절히활용해서 많이그려보는게 답일거같네요! 그리고 말하신 물부족으로인한 덧칠은 애초에 붓이 머금고있는 물이 자신이 칠하려는 부분의 넓이를 감당하지못하기 때문인데 그또한 그것을 계산할수있는 능력을 길러야할것같네요!

  • @hyun8272
    @hyun8272 5 років тому +1

    유리 색은 뭐 쓰신건가요?

  • @feather_vlrt
    @feather_vlrt 5 років тому +5

    궁금한게 이씀다 영상 처럼 비치는게 아니라 유리 안에 물체가 있거나 바로뒤에 있는 것처럼 비치는 형상이 많이 보일 경우에는 영상만큼 톤 어둠까지 잡고 비치는 물체 올리시나요? 아니면 초벌만 살짝 잡고 비치는 물체 올리시나요? 아뉘면 아예 비치는 물체부터 칠하고 유리를 나중에 들어가시나요?

    • @펜톤미술학원
      @펜톤미술학원  5 років тому +3

      안녕하세요 펜톤미술학원입니다!☺️
      사람마다 개인차는 있지만, 이 그림을 그리신 선생님 같은 경우에는 초벌만 살짝 잡고 비치는 물체를 올리는 식으로 진행 하신다고 합니다!
      이렇게 채색을 하는 이유는, 유리를 먼저 다 잡거나 비치는걸 먼저 다 잡고 그 위에 겹쳐서 올리면 톤이 서로 번지면서 섞여서 탁해질 수가 있어요.
      물론 이렇게 그리려면 스케치부터 계획이 확실하게 있어야한답니다!
      감사합니다!

    • @feather_vlrt
      @feather_vlrt 5 років тому

      @@펜톤미술학원 감사합니다 ㅎㅎ

  • @user-bv2tg4yf3p
    @user-bv2tg4yf3p 4 роки тому

    유리 칠할때 실물 또는 자료를 참고하면서 보고 그리나요 아니면 생각해서 그리나요?

    • @펜톤미술학원
      @펜톤미술학원  4 роки тому +1

      연구작인 경우 실물 소재를 참고해서 그리기는 부분도 있고, 판단에 의해 그리는 부분도 있습니다! 참고할 실물 소재가 없는 상황에서도 그릴 수 있을 정도로 연습을 많이 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방구-h6u
    @방구-h6u 4 роки тому +1

    제가 이번에 전구와 블럭(노랑, 빨강)으로 구도를 짜서 주제로 전구를 잡았는데요, 아무래도 너무 하얗게만 그리면 주제부인 느낌이 안 날까봐 영상에서 쓰신 것처럼 저도 색을 좀 넣어서(약간 갈색~보라톤)그렸어요. 근데 선생님이 전구같은 유리는 그렇게 그리면 투명성이 죽어보인다고 하얗게 그리는 연습을 하라고 하시더라고요. 근데 저는 그렇게 그리는 것보단 색이 들어간 게 좋은데 입시미술에서는 영상속처럼 색을 넣어서 단단하게 그리는 게 정석인가요 아니면 저희 학원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투명함을 중시하면서 하얗게 그리는 게 정석인가요?

    • @펜톤미술학원
      @펜톤미술학원  4 роки тому +1

      어디에나 정석은 없습니다! 상황에 맞게 채색을 해야 하는데, 많은 연습으로 인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그때그때 판단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

  • @user-eo6dj1gz1e
    @user-eo6dj1gz1e 5 років тому +6

    나뭇잎 채색하실때 칼붓쓰신건지 잘 모르겠어서ㅠ어떤붓 쓰셨는디 궁금해요!

  • @user-yo5jf7qh3j
    @user-yo5jf7qh3j 5 років тому +16

    보면 할 수 있을것같은데 하면 안...도...

  • @sunsun-wy8xi
    @sunsun-wy8xi 4 роки тому

    혹시 어둠위치에 블랙을 쓰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유리라 맑게 그리기 위해 블랙을 쓰지 않는 건가요? 유리 그릴 때마다 어둠에 블랙을 찍는데 자꾸 까매져서 고민입니다ㅜㅜ

    • @wrugurl
      @wrugurl 3 роки тому +1

      저 선생님의 의견은 아니지만 개체마다 고유명도가 있잖아요? 예를 들어 생크림과 나무블럭이 있으면 둘 다 밝음과 어둠이 존재하지만 고유명도는 나무블럭이 더 진하잖아요 그래서 같은 어둠을 칠하더라도 고유명도가 연한 생크림이나 저런 투명한 유리컵은 생블랙까지는 찍지 않는 게 자연스러울 것 같아요 찍더라도 아주 소량만 찍는 게 좋을 듯 해요

  • @고양이-n6s
    @고양이-n6s 5 років тому +1

    투명체 중에 유리가 한 겹으로 된 것 (ex: 유리컵, 유리판) 말고 유리가 뭉쳐 있는 (유리구슬 같은) 개체묘사 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ㅠㅠ?!

    • @펜톤미술학원
      @펜톤미술학원  5 років тому +1

      다음 소재로 참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v2tg4yf3p
    @user-bv2tg4yf3p 4 роки тому

    평소 덩어리 잡을때 밝고 어두운 부분이 헷갈리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 @펜톤미술학원
      @펜톤미술학원  4 роки тому +1

      전체 그림에서의 빛 방향을 미리 완벽하게 설정 하는게 중요해요!! 빛이 오는 방향을 설정해 두면 어디가 밝고 어디가 어두울지 조금 더 확실히 알 수 있을거에요!!:)

  • @스피커speeker
    @스피커speeker 4 роки тому

    닦기 과정은 처음 봐요 저희학원은 닦기 전혀 안하고 흰색을 올리거든요 신기해요

    • @jji4316
      @jji4316 3 роки тому

      닦고나서 그위에 좀더 작은면적으로 화이트 올리면 더 자연스러워요!!

  • @house5995
    @house5995 4 роки тому

    오호

  • @gulendemiralp9285
    @gulendemiralp9285 4 роки тому +2

    This is truly incredible work! I wish you had some english subtitles, but ayways such an amazing art! Huge fan and admirer of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