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펜톤미술학원입니다! 😀 기본적으로 제시된 소재를 관찰하는게 우선이지만, 시험장에서 실물 소재가 아니라 사진이 나오는 경우에 화질이 안좋거나 형태가 안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유리나 금속같은 기본 질감은 연습을 통해 감을 익혀 더 현실적이고 더 완성도 있게 보이게 채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론 주로 물을 많이 쓰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칠할때 화이트물감을 안 쓰는 건 아니지만 유리컵같은 투명한 재질은 묘사할때 뒤에 비치는 사물들의 색감도 살려서 묘사해야 하는데 화이트를 많이 쓰면 색이 탁하게 섞여버려서 투명한 느낌이 잘 안 살 수 있어서요. 화이트물감은 어느정도 덩어리를 칠한 뒤에 깨끗하게 묘사하거나 정리할 곳에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혹은 멀리있는 작은 투명체일 경우엔 톤다운시키려면 주제부보단 화이트를 많이 섞어주면 좋을 것 같네요. 미술입시 화이팅! 좋은 결과있을 거예요!!
J. K 그건 어디까지나 테크닉부족 문제인거 같아요 그렇게 따지면 화이트를 써도 덧칠하면 더 진하게나온답니다 붓방향과 활용, 그라기술등을 완전히 숙지한다음에 테크닉을 적절히활용해서 많이그려보는게 답일거같네요! 그리고 말하신 물부족으로인한 덧칠은 애초에 붓이 머금고있는 물이 자신이 칠하려는 부분의 넓이를 감당하지못하기 때문인데 그또한 그것을 계산할수있는 능력을 길러야할것같네요!
궁금한게 이씀다 영상 처럼 비치는게 아니라 유리 안에 물체가 있거나 바로뒤에 있는 것처럼 비치는 형상이 많이 보일 경우에는 영상만큼 톤 어둠까지 잡고 비치는 물체 올리시나요? 아니면 초벌만 살짝 잡고 비치는 물체 올리시나요? 아뉘면 아예 비치는 물체부터 칠하고 유리를 나중에 들어가시나요?
안녕하세요 펜톤미술학원입니다!☺️ 사람마다 개인차는 있지만, 이 그림을 그리신 선생님 같은 경우에는 초벌만 살짝 잡고 비치는 물체를 올리는 식으로 진행 하신다고 합니다! 이렇게 채색을 하는 이유는, 유리를 먼저 다 잡거나 비치는걸 먼저 다 잡고 그 위에 겹쳐서 올리면 톤이 서로 번지면서 섞여서 탁해질 수가 있어요. 물론 이렇게 그리려면 스케치부터 계획이 확실하게 있어야한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이번에 전구와 블럭(노랑, 빨강)으로 구도를 짜서 주제로 전구를 잡았는데요, 아무래도 너무 하얗게만 그리면 주제부인 느낌이 안 날까봐 영상에서 쓰신 것처럼 저도 색을 좀 넣어서(약간 갈색~보라톤)그렸어요. 근데 선생님이 전구같은 유리는 그렇게 그리면 투명성이 죽어보인다고 하얗게 그리는 연습을 하라고 하시더라고요. 근데 저는 그렇게 그리는 것보단 색이 들어간 게 좋은데 입시미술에서는 영상속처럼 색을 넣어서 단단하게 그리는 게 정석인가요 아니면 저희 학원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투명함을 중시하면서 하얗게 그리는 게 정석인가요?
저 선생님의 의견은 아니지만 개체마다 고유명도가 있잖아요? 예를 들어 생크림과 나무블럭이 있으면 둘 다 밝음과 어둠이 존재하지만 고유명도는 나무블럭이 더 진하잖아요 그래서 같은 어둠을 칠하더라도 고유명도가 연한 생크림이나 저런 투명한 유리컵은 생블랙까지는 찍지 않는 게 자연스러울 것 같아요 찍더라도 아주 소량만 찍는 게 좋을 듯 해요
팬톤 쌤들은 하나도 빠짐 없이 짱 잘그리심.. 따라하지도 못할 범위여서 넋 놓고 그냥 보는 중
사실 팬톤으로 옮기려했는데 실기가 일주일 남아서.. 재수하면 다시 생각해볼게요..🤣🤣
선생님 입시하는 입장에서 안 볼 수가 없네요 흑흑 너무 쉽게 너무 이쁘게 넘 감사해요ㅜㅜㅜㅜㅜㅜ
목소리 녹습니다~설명도 귀에 쏙쏙 들어와요~
전 전공이 한국환데요 마지막에 닦아서 색을 지울수있다는게 참... 부럽다는..
유리 컬러 조합 궁금해요..!
저거 그냥 유리칠하는 기본색이랑 섀도우 그린만 섞어도 저런느낌 나옴욤
6:23 누가요 왤케 뻘하게 웃기지ㅋㄱㅋㄱㄱ?
입시 끝났는데도 보게되네..
This is truly incredible work! I wish you had some english subtitles, but ayways such an amazing art! Huge fan and admirer of this
✏️ ㅁㅔ....모...... 밝음 머금으면서 칠하긔...
즐감하고 갑니다 ~♡
처음에 밑색까실때 느낌으로 까는건가요?아니면 관찰해서 까는건가요?? 자료가없을때는 어떻게 까나요??
안녕하세요 펜톤미술학원입니다! 😀
기본적으로 제시된 소재를 관찰하는게 우선이지만, 시험장에서 실물 소재가 아니라 사진이 나오는 경우에 화질이 안좋거나 형태가 안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유리나 금속같은 기본 질감은 연습을 통해 감을 익혀 더 현실적이고 더 완성도 있게 보이게 채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유리컵 칠할때 상대적으로 물을 많이 쓰는 것과 화이트를 많이 쓰는 것 중 어느것이 좋나요?? 항상 조절을 못해서 연한 금속 칠하듯이 되요ㅜㅠ
그러게요ㅜ
테테 아무래도 투명체이니까 물을많이쓰는쪽으로하는게 낫지않을까요? 화이트를 초반에 밑색 깔때 많이쓰게되면 그림이 뿌옇게되거나 말하신것처럼 양감표현이 의도한대로 나오지못할확률이커요 화이트는 맨마지막에 디테일묘사할때만 몇번찍어주시고 물조절잘하셔서 종이일어나지않게 그려주시면 더 좋은작품나올꺼에요^^
제 개인적인 의견으론 주로 물을 많이 쓰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칠할때 화이트물감을 안 쓰는 건 아니지만 유리컵같은 투명한 재질은 묘사할때 뒤에 비치는 사물들의 색감도 살려서 묘사해야 하는데 화이트를 많이 쓰면 색이 탁하게 섞여버려서 투명한 느낌이 잘 안 살 수 있어서요. 화이트물감은 어느정도 덩어리를 칠한 뒤에 깨끗하게 묘사하거나 정리할 곳에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아요. 혹은 멀리있는 작은 투명체일 경우엔 톤다운시키려면 주제부보단 화이트를 많이 섞어주면 좋을 것 같네요. 미술입시 화이팅! 좋은 결과있을 거예요!!
이규빈 그렇지만 화이트를 덜 쓰고 물을 많이 쓰게되면 처음에 가장 연한 톤을 깔 때 너무 자국이 많이 생기지 않나요?(물 적을 때 붓터치 두 번 이상하게되면 겹쳐져서 더 진하게 나오는 그거 ㅠㅠ...)
J. K 그건 어디까지나 테크닉부족 문제인거 같아요 그렇게 따지면 화이트를 써도 덧칠하면 더 진하게나온답니다 붓방향과 활용, 그라기술등을 완전히 숙지한다음에 테크닉을 적절히활용해서 많이그려보는게 답일거같네요! 그리고 말하신 물부족으로인한 덧칠은 애초에 붓이 머금고있는 물이 자신이 칠하려는 부분의 넓이를 감당하지못하기 때문인데 그또한 그것을 계산할수있는 능력을 길러야할것같네요!
유리 색은 뭐 쓰신건가요?
궁금한게 이씀다 영상 처럼 비치는게 아니라 유리 안에 물체가 있거나 바로뒤에 있는 것처럼 비치는 형상이 많이 보일 경우에는 영상만큼 톤 어둠까지 잡고 비치는 물체 올리시나요? 아니면 초벌만 살짝 잡고 비치는 물체 올리시나요? 아뉘면 아예 비치는 물체부터 칠하고 유리를 나중에 들어가시나요?
안녕하세요 펜톤미술학원입니다!☺️
사람마다 개인차는 있지만, 이 그림을 그리신 선생님 같은 경우에는 초벌만 살짝 잡고 비치는 물체를 올리는 식으로 진행 하신다고 합니다!
이렇게 채색을 하는 이유는, 유리를 먼저 다 잡거나 비치는걸 먼저 다 잡고 그 위에 겹쳐서 올리면 톤이 서로 번지면서 섞여서 탁해질 수가 있어요.
물론 이렇게 그리려면 스케치부터 계획이 확실하게 있어야한답니다!
감사합니다!
@@펜톤미술학원 감사합니다 ㅎㅎ
유리 칠할때 실물 또는 자료를 참고하면서 보고 그리나요 아니면 생각해서 그리나요?
연구작인 경우 실물 소재를 참고해서 그리기는 부분도 있고, 판단에 의해 그리는 부분도 있습니다! 참고할 실물 소재가 없는 상황에서도 그릴 수 있을 정도로 연습을 많이 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제가 이번에 전구와 블럭(노랑, 빨강)으로 구도를 짜서 주제로 전구를 잡았는데요, 아무래도 너무 하얗게만 그리면 주제부인 느낌이 안 날까봐 영상에서 쓰신 것처럼 저도 색을 좀 넣어서(약간 갈색~보라톤)그렸어요. 근데 선생님이 전구같은 유리는 그렇게 그리면 투명성이 죽어보인다고 하얗게 그리는 연습을 하라고 하시더라고요. 근데 저는 그렇게 그리는 것보단 색이 들어간 게 좋은데 입시미술에서는 영상속처럼 색을 넣어서 단단하게 그리는 게 정석인가요 아니면 저희 학원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투명함을 중시하면서 하얗게 그리는 게 정석인가요?
어디에나 정석은 없습니다! 상황에 맞게 채색을 해야 하는데, 많은 연습으로 인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그때그때 판단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
나뭇잎 채색하실때 칼붓쓰신건지 잘 모르겠어서ㅠ어떤붓 쓰셨는디 궁금해요!
칼붓 사용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보면 할 수 있을것같은데 하면 안...도...
혹시 어둠위치에 블랙을 쓰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유리라 맑게 그리기 위해 블랙을 쓰지 않는 건가요? 유리 그릴 때마다 어둠에 블랙을 찍는데 자꾸 까매져서 고민입니다ㅜㅜ
저 선생님의 의견은 아니지만 개체마다 고유명도가 있잖아요? 예를 들어 생크림과 나무블럭이 있으면 둘 다 밝음과 어둠이 존재하지만 고유명도는 나무블럭이 더 진하잖아요 그래서 같은 어둠을 칠하더라도 고유명도가 연한 생크림이나 저런 투명한 유리컵은 생블랙까지는 찍지 않는 게 자연스러울 것 같아요 찍더라도 아주 소량만 찍는 게 좋을 듯 해요
투명체 중에 유리가 한 겹으로 된 것 (ex: 유리컵, 유리판) 말고 유리가 뭉쳐 있는 (유리구슬 같은) 개체묘사 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ㅠㅠ?!
다음 소재로 참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소 덩어리 잡을때 밝고 어두운 부분이 헷갈리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전체 그림에서의 빛 방향을 미리 완벽하게 설정 하는게 중요해요!! 빛이 오는 방향을 설정해 두면 어디가 밝고 어디가 어두울지 조금 더 확실히 알 수 있을거에요!!:)
닦기 과정은 처음 봐요 저희학원은 닦기 전혀 안하고 흰색을 올리거든요 신기해요
닦고나서 그위에 좀더 작은면적으로 화이트 올리면 더 자연스러워요!!
오호
This is truly incredible work! I wish you had some english subtitles, but ayways such an amazing art! Huge fan and admirer of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