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린 부분이 있는데 경통을 가대위에 올릴때 가대에는 두개의 나가 있습니다. 동영상에서도 보이는데요. 하는 가운데 있는 큰 검은색 손잡이 나사 하나는 작은 은색 나사입니다. 경통을 올릴때 접안렌즈를 끼우는 방향이 작은 은색 나사 방향에 올려야 나중에 별을 볼때 뒤로 흘러내리는걸 방지할수 있습니다.
조립시 나사들을 제대로 조였다면 경통이 수직으로 세워져도 움직이지 않습니다.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는 모르겠으나 조립시 나사를 잘 고정해보세요! 남중한 행성과 같은 천체를 관측할 때 경통이 하늘의 꼭대기(천정)를 보기 때문에 관측시 자세가 몹시 불편합니다. 이때 천정미러(혹은 천정프리즘)을 접안렌즈 앞에 끼우고 관측하면 보다 편하게 관측하실 수 있습니다.
틀린 부분이 있는데 경통을 가대위에 올릴때 가대에는 두개의 나가 있습니다. 동영상에서도 보이는데요. 하는 가운데 있는 큰 검은색 손잡이 나사 하나는 작은 은색 나사입니다. 경통을 올릴때 접안렌즈를 끼우는 방향이 작은 은색 나사 방향에 올려야 나중에 별을 볼때 뒤로 흘러내리는걸 방지할수 있습니다.
높이 있는 행성을 보려고 망원경을 거의 7~80도로 위로 방향을 돌리면..
아래로 내려 가는데,
원래 그런 건가요??ㅠ
조립시 나사들을 제대로 조였다면 경통이 수직으로 세워져도 움직이지 않습니다.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는 모르겠으나 조립시 나사를 잘 고정해보세요! 남중한 행성과 같은 천체를 관측할 때 경통이 하늘의 꼭대기(천정)를 보기 때문에 관측시 자세가 몹시 불편합니다. 이때 천정미러(혹은 천정프리즘)을 접안렌즈 앞에 끼우고 관측하면 보다 편하게 관측하실 수 있습니다.
무게추로 무게중심을 잘맞춰보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무게추를 결합할때 무게추 고정나사가 왜 위로가게 설치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보통 저건 편리하게 설명한거구요. 무게추의 구멍이 위와 아래가 구멍 크기가 다릅니다. 무게추를 끝까지 이용하기 위해서는 큰쪽이 아래에 오도록 끼워야하는데 그걸 저렇게 설명한거 같네요.
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