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영상 잘 보구있습니다 ㅎㅎ 최저프레임이 한 게임에서 240이상 방어되면 그 게임에선 수직동기화 끄구 지싱크만 켜도 전혀상관없나요? fps유저인데 스톰님 영상을 2달째 보는데도 뭐가 젤 좋은지 아직도 헷갈립니다ㅠㅠ지싱크 수직동기화 다 키면 인풋렉이 생기는게 체감이 될정도인가요?
아놔.. 프레임캡+지싱크만 쓰다가 이틀전에 블러버스터 보면서 설정해놨는데 이 영상은 2주 전에 올라왔네요 제가 보고 설정한 글에 질문글을 스톰님이 작성하셨던 거군요 ㅋㅋㅋ 전체적으로 게임할때 필요한 것들만 딱딱 찝어서 눈높이교육 제대로 해주시네요 영상들 잘보고 구독하고 갑니다
형님 스팀에서 게임 하는거라곤 리듬 게임밖에 안하는데 리듬 게임 특정상 노트 내려오고 찢어지는 현상 일어나면 치명적인데 형이 올려주신 영상보고 찢어지는 현상은 괜찮아졌습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스팀에 디제이맥스 들어가면 v 싱크 , 30부터 시작해서 144, 240 fps 있는데 저는 모니터 해상도가 165hz 인데 어떤거를 적용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게임 속 프레임설정 240 적용해도 되는건가요? 진짜 리듬게임에서는 똥같은 옵션인거 같아요. v 싱크쓰면 내려오는게 버벅이는거 같고 판정도 별로고요. 144 ,240 둘중 정해야 하는데 궁금해서요. 형님이 알려주신 3:12 초에 나오는 곳에 3가지 항복에서 인게임 프레임 제한 있는 게임은 첫번째 인게임 프레임제한 (모니터 hz보다 낮게 ) 되어있어서 165 hz 라 144 놓고 하고 있긴합니다. 정답일까요?
hz는 무조건 높은게 좋습니다. 요즘은 제가 빡겜 하시는분들에게 360hz이상을 권장드리고 있죠. 현재 165 모니터에서 화면도 안찢어지면서 최소한의 인풋렉으로 즐겜하실려면 158-162 제한걸고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는 화면 하단에 약간 짤리는게 눈에 보이신다면 켜는게 맞고 안보이면 끄고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게임 자체에서 144 240hz 밖에 없다는건. 그 게임 자체가 240hz으로 강제로올려버리는건지 그냥 옵션상에 144와 240중에 하나 고르라고 나오는건지부터 봐야됩니다. 240hz 지원도 안되는데 올리는거라면 당연히 안되는것이구요. 165라도 게임에서 144hz밖에 없다면 144 쓰시는것도 방법입니다만. 게임에서 강제로 hz를 144로 만들어버린다면 프레임제한도 158-162가 아닌 138-141쯤으로 쓰셔야될지도 모릅니다. 설정 적용 여부를 좀 확인해봐야될 게임입니다. 모니터는 165인데 게임에서 144설정한다고 실제 모니터 hz까지 떨어져버리는것인지요
이상적인건 아닙니다. ㅡ.ㅡ; 그냥 편할려고 있는거죠. 엔비디아가 권장하는것일뿐. 수직동기 끄고 인게임 프레임 제한거는게 인풋렉에 훨씬 좋습니다. 지싱크+수직동기ON+저지연모드 울트라는 엔비디아 제어판 자체에 있는 프레임제한을 사용하는것이라. 결국 인게임 프레임제한한테는 안됩니다. 그리고 저 모드가 완벽하게 돌아갈려면 프레임이 완벽하게 고정이 되고 그 이상 성능이 나와야 울트라(렌더링 0)로 돌아갑니다. 아닌 상황에서 저모드를 쓰면 지싱크+수직동기+저지연모드 켜기+제어판 프레임제한 거는거나 똑같습니다. 엔비디아는 권장만 알려줄뿐이지 디테일한 내용은 다 빼먹죠 ㅋ
스톰님 한가지만 더여쭤볼게요. 부드러운 화면이 좋아서 1. 저지연모드만 '끄기' 로 설정 2. 수직동기화 '빠르게'로 설정 후 저지연모드 '켜기' (울트라는 반응이 느리게 느껴져요) 둘중에 하나만 골라서 쓸려고하는데 , 그나마 인풋렉이 덜먹는 설정이 어떤걸까요? 지싱크 없는 모니터이며 평균프레임 150~400나옴니다
질문있습니다~초보라서 이해가 잘 안되서요 ㅠㅠ.. 지싱크 호환되는 모니터 144Hz 모니터의 경우 게임 안에서 설정하는 주사율을 144보다 낮게 설정하라는 뜻이시죠? 그리고 수직동기화는 굳이 끌필요는 없다는 말씀이신거죠..? 수직동기를 켜기로 해야 하나요 3D 응용 프로그램 설정 사용으로 해야 하나요..? 그리고 인게임에서 주사율 설정이 없을경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프레임 제한을 하라고 하셨는데요.. 엔비디아 제어판 해상도 설정 항목에서 주사율을 모니터 사양보다 낮게 설정하란 말씀이신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루 지싱크 호환이 되는 모니터면 지싱크를 사용하는게 만족도가 큰가요...? 사용을 해야할지 그냥 끄고 할지 선택장애가...
지싱크 144hz 모니터면 게임안에 인게임 프레임제한이 있을 경우 139-141 정도 제한을 해주시면 됩니다. 지싱크 한번 써보면 없는 모니터 못씁니다. 수직동기는 온라인 대전형 게임할때는 꺼주시고 혼자 즐겜하실떄는 켜는게 낫습니다. 나머지 지식은 채널 다른 영상에서 ㅡ.ㅡ/
감사합니다. 설명 영상도 보고 아래 댓글들도 어느정도 찾아보고 질문 드립니다. LG OLED 55 C9 TV(120hz) + 지포스 3080 사용 예정입니다. 저는 1프레임을 다투는 멀티 게임 보다는 싱글 게임만 하는 스타일 입니다. 지싱크 활성화 기준으로 질문 드립니다. 질문 1. 4k + 풀옵으로 요즘 나오는 패키지 게임들(사이버펑크2077, 어크 발할라 등등)은 120 프레임 방어가 3080으로도 불가능할텐데 그럼 수직 동기화가 설정 필요 없다는 말씀이시죠? (LG OLED 55 C9 TV가 최대 120hz 입니다.) 질문 2. 지난 게임들 같은 경우는 4k + 풀옵 해도 120hz 넘어갈 수도 있으니 그럴때만 수직동기화 활성화 시켜주면 되는건가요?
지싱크 호환 티비쓰시나보군요. 1. 지싱크를 켜고 있다면 굳이 수직동기를 안키셔도 상관없습니다만. 화면 하단이 짤리는게 거슬리시면 같이 켜도 됩니다. 2. 120fps를 넘어가지 못하는 기준 역시 지싱크가 켜져 있다면 수직동기는 부가적인 옵션의 설정일뿐입니다. 지싱크가 이미 화면 부드러움에 90%이상 일을 하고 있습니다.
지싱크, 수직, 저지연 울트라로 배그 해봤는데요 모니터가 100짜린데 97로 잘 유지되다가 부캠같이 로드걸리는 상황에 상관없이 한적한 곳에서도 이따금씩 60으로 고정되서 1~2분 정도 유지되다가 다시 97로 돌아오는 현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저지연 있음인가 높음으로 하고 그냥 인게임 프레임제한으로 쓰는거로 바꿔서 쓰고 있어요 이렇게 쓰니까 그 문제 현상은 없구요 참고로 사양은 3600 + 2070s, 모니터는 삼성34인치 WQHD 해상도에요. 아직 엔비디아 드라이버에서 지싱크, 수직, 저지연울트라 기능이 완벽한게 아닌건가요? 원인을 모르겠네 ㅠ
그게 모니터 기능때문에 꼬여서 그럴수도 있고 드라이버때문에 그럴수도 있고. 오류범위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프레임 제한거는 기능이나 저지연모드 울트라로 거는거나 똑같은 기능이거든요. 근데 저거는 되고 이거는 잘 안된다고 하시니 약간 뭔가 미스테리하긴 합니다. 둘다 똑같은 프레임제한 기능이라... ㅡ.ㅡ; 아 그리고 당연히 아직 제어판에 기능들이 다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스톰튜브 답변 감사합니다!! 인게임 프레임제한은 드라이버 설정에서가 아니고 배그게임 내에서 설정했습니다. 제가 설정해본 두가지가 똑같다고 하셨는데 제한된 프레임 수 만보면 그렇겠지만 지난번 영상에서 말씀하신거에 저지연 울트라는 CPU인가? 를 거치지 않고 글카에서 모니터로 바로 뭐 이러한 차이점이 있잖습니까? 어쨋든 저지연 울트라의 이러한 점으로 불안정함이 있을수도 있고 이게 드라이버에서 커버쳐주지 못하는걸수도 있고 단순히 제 모니터가 지싱크 호환이기때문에 생기는 문제일 수도 있고 그렇겠네요 저지연울트라 쓰고 싶은데 아쉽습니다. 다음 드라이버 업뎃되면 다시 시도해봐야겠어요.
@@LAGO7210 아아 인게임이라고 써놓으셨구나 못봤네요 ㅋㅋ 요즘 눈이 맛이갓나. 지싱크on+수직동기on+저지연모드 울트라 사용시 자기모니터 hz에 맞춰진 자동 프레임제한이 걸립니다. 그거때문에 인게임에서 제한한거랑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그래서 인게임제한이 있는 게임은 저지연모드 울트라를 쓰실꺼면 수직동기는 off 해주셔야됩니다
제어판에 있는 3D설정에 수직동기는 켜기가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제어"로 두시고 게임안에서 켜고 끄고 하시면 됩니다. 저지연모드는 게임에 따라서 다르고 로드율에 따라서 좀 다릅니다. 아 그리고 뭔가 굉장히 꼬이게 설정해두셨네요. 인게임 프레임제한은 100이 아니라 120HZ모니터시면 115-117FPS 정도 제한을 하시면 됩니다. 위에 말햇듯이 수직동기는 게임안에서만 켜고 끄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꾸준히 구독중인 유저입니다 스톰님 이것과는 동떨어지는 속이 터져서 도움좀 요청해도 될까요? ㅠㅠ 사진을 첨부할 수 없어 이렇게 글로 옮깁니다...ㅜ 증상: 메모리 사용량이 너무 비정상적입니다 (윈도우10 사용중 / 시스템 메모리 총 32G) 요즘 pc사용도중(부팅후 바로 발생하는 문제는 아님) 간혹 관측되는 증상입니다(100%로 생기는 증상이 아님)
실행중인 모든 프로그램을 꺼도 순간만 낮아진후 다시 그만큼 메모리 사용량이 올라갑니다 (작업관리자에서 나오는 성능수치: 사용중 30GB , 커밋됨 70GB/75GB , 캐시됨 3.5GB , 페이징 풀 65GB , 비페이징풀 271MB) 위와같이 특히 사용중도 높거니와 커밋됨과 페이징풀 수치가 너무 비정상입니다. 이유를 모르겠으나 저와같은 유저가 더러 있는거 같습니다 저는 아무리 누설이 조금 있고 해도 32G라는 시스템 메모리를 이렇게 다 사용할 수 있다곤 생각을 안하여 근본적인 무엇이 있지 않을까 의심하여 이렇게 해결방안을 찾지 못해 도움 요청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캡쳐사진 보내드리겠습니다 ㅠㅠ(유튜브 계정으로도 이런게 되나요? 못찾아서 이렇게 글만 남깁니다)
지금 윈도우 리얼~~~~~~~~~~~~~~~맛이가있으시네요. 그거 복잡하게 백그라운드에서 어떤놈이 그렇게 잡아먹고 있는지 하나하나 살펴보실 시간에 윈도우 클린 설치하는게 가장빠른 해결법입니다. 근데 윈도우 재설치 하는게 귀찮다면 프로세스 관리자나 서비스쪽. 사용자쪽에서 어떤놈이 뒷배경에서그렇게나 먹어대고 있는지 살펴보시고 도저히 모르겟다 하시면 재설치가 가장 빠른해결법입니다 ㅡ.ㅡ/ 윈도우야 어떤거 때문에 꼬여있는지 찾아보는게 더 시간낭비인 경우가 대반수입니다. 최근 윈도우 허접 업데이트때문에 그럴수도 있고 뒷배경에 있는 악성툴바들이 그럴수도 있고
항상 포멧하면 스톰님영상 찾아보면서 조정한지 1년이 넘어가는데 이영상이 오래되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지금 엔비디아가 변한건가요 지금 엔비디아 설정 제어판엔 지싱크칸 자체가 없네요 저만그런건가요 아니면 지금은 엔비디아가 다 그런건가요??이런 영상은 1년에 한번씩은 다시 찍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스톰님이 컴셋팅에 이정표 같은 분이시라 ㅎㅎ 감사하게 잘보고있습니다 ^^
스톰님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장문주의) 2070super / 3700x(논오버) / 램 16g (3200 오버) 사용하고있으며 현재 지싱크 호환이 가능한 kxg사의 모니터를 사용중입니다. 또한 이 영상과 저지연모드 영상, 그리고 엔비디아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된 null 관련 영상의 도움을 받아 지싱크 기능을 설정하고 사용중입니다. 주로하는 게임이 배그인데 지싱크 기능을 키지 않았을때도 160~175 정도의 프레임이 나왔으나 그래도 상당히 좋은 기능이니 사용해보자 하고 여지껏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프레임이 150~156 정도로 떨어졌으나 제 눈에는 뭔가 좀더 부드러워진것 같더라구요? 헌데 지싱크는 60~100프레임정도에서만 효과가 좋으며 그 외적으로는 체감을 못할거다 깡프레임이 최고다 라는 몇몇 글들을 접하고 제 상황에 지싱크를 쓰는게 맞는건지 궁금해졌습니다. 저는 지싱크를 걸고 쓰니 뭔가 부드러워졌다고 체감은 하고있었는데ㅋㅋㅋ 혼자 똥꼬쇼한건 아닌가 싶네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싱크는 그 모니터가 지원하는 지싱크 범위내 모든프레임에 다 효과가 좋습니다. 60-100 프레임에만 효과 좋다는 애들은 눈이 애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애초에 구분도 못하는 눈을 가졌으면서 그걸 논한다는거 자체가 카더라입니다. 자기눈으로 안보이니까 "야 그거 안보여!" 라고 말하는 애들 특징입니다
스톰님 현재 사용하는 모니터가 비공식 지싱크 지원 모델인 것 같아서 지싱크 호환 표시기 설정을 키고 인게임에서 지싱크 기능이 활성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alt tab 후 다시 인게임으로 전환 할때마다 화면이 깜빡 거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는 제 모니터는 어떤 케이스로 봐야할까요? 지싱크를 불안정하게 지원하는 모델로 봐야할까요?
저 엔비디아 제어판에 G-SYNC 설정 메뉴가 없는데요. 뭐 갈아야하나요? 그리고 FreeSync 이거 한번도 사용한적 없는데요. FreeSync 이거 나오는 창 어떻게 뛰우나요? 컴퓨터는 22년도에 새로 구매했습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3060 STORM × DUAL OC D6 12GB 제가 쓰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제 모니터가 2016년도 삼성 LS24E393 모니터라서 "G-SYNC" 안 깔리는건가요?
저는 지싱크 기능이 없습니다 지싱크 호환도 없는것같습니다. 다만 AMD 프리싱크기능은 모니터상에서 지원합니다(일단 지싱크 관련 메뉴도 없고 모니터 기술 옵션도 없습니다) 모니터는 60hz지만, 임의로 75hz로 설정하여 쓰고 있고, 게임 내 프레임제한은 73으로 해둔 상태입니다 당연하지만 지싱크없이 프레임과 주사율이 어긋나다보니까 티어링현상이 너무 눈에 띄어서 불편하더라고요 그래서 질문드립니다. 제 모니터에는 프리싱크 off, on, ultra의 3가지 옵션이 존재합니다. on으로하면 완전히 없애지는 않지만, 게임에 몰입하다보면 느껴질정도는 아니기에 on으로 쓰고 있습니다. 프리싱크를 on, ultra로 하는것에 대해 인풋렉 차이가 클까요? 기분탓일수도 있지만, off로 했을때 가장 잘 반응하는것같았습니다. off로 했을때 리듬게임에서 반응하는것도 가장 좋았고요 on으로 했을때는 살짝 느낌이 달라지긴 했지만, 심하게까진 느껴지진 않았습니다 수치적으로 차이가 안난다면 그냥 기분탓이니 on으로 해놓고 쓸테지만, 수치적으로도 차이가 난다면 off로 해놓고 쓰려고 해서 질문드립니다
그래픽카드를 nvidia쓰시는지 amd쓰시는지를 안적어주셨네요;;;;; 이래나 저래나 프리싱크를 사용하는거 자체가 인풋렉 증가가 생깁니다. 수치는 모니터 hz에 따라 다 다르구요. 켜는게 약간 손해보는건 사실입니다. 대신 화면 관리가 되는것이지요. 게다가 모니터가 60-75hz라면 애초에 인풋렉이 안좋은 모니터기때문에 그것마저 켜신다면 더 마이너스 효과를 보게 되실듯합니다. 잘 타협하셔야됩니다
@@myc5189 넵 게임에 따라서 필요로 끄고 켜고 하시는게 낫습니다. 그리고 프리싱크 모니터라고 하셨는데 이 영상 설명에서처럼 지싱크 호환 메뉴가 뜨지 않는다면 아예 적용 자체가 안되고 계신겁니다. 혹시나 그걸 켜고 끄고 해서 느끼신다면 해골물입니다.... ㅡ.ㅡ; 애초에 안돌아가고 있는겁니다. 모니터가 정말 별종에 별종이라 돌아가지도 않는게 지혼자 마이너스 효과를 잃으키고 있는게 아닌이상요
@@스톰튜브 적용이 애초에 안되는건가요? 저는 일단 티어링이 확연히 줄어들었다고 느끼고 있기는 한데, 기분탓일수도 있긴 하겠네요 자세히 봐도 줄어든거같긴 하지만... 일단 모니터 모델은 삼성 S24F350입니다 계속 써보고 그래도 차이가 크다 싶으면 한번 더 질문드려보겠습니다 질문에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스톰님 모니터 벤큐 2411z 144hz 노지싱크 모니터 /그래픽 1070ti 정도구요 저사양 fps하는데 평균 프레임 150~400 왓다갓다합니다. gpu로드율 30~50프로구요.지싱크 없이 수직동기만 '빠르게' 로 설정해서 해봣는데 부드러움이 너무 좋더군요 저지연은' 켜기' 입니다. 프레임제한 139로 두고 수직동기' 빠르게' 햇을때 보다 그냥 무제한 풀어놓고하는게 게임이 정말 부드럽고 좋더라구요 . 지금 이렇게 수직동기 빠르게 해놓고 프레임제한 없이 써두괜찮을까요? 지금현재로썬 인풋렉응 크게 못느끼겟더라구요 또 수직동기 켜기 와 빠르게는 인풋렉 차이가 어느정도 날까요???수직켜니깐 프레임이 모니터주사율에 맞춰져서 생각보다 별로더군요 빠르게는 프레임이 400까진 나옵니다.
수직동기화 영상 올리기도전에 빠르기를 이미 어느정도 알고 쓰셨군요. 빠르게가 끄기 - (빠르게) - 켜기 입니다. 딱 중간 정도의? 반응력과 화면찢김 방지라고 보시면됩니다. 그리고 프레임제한 없이 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gpu 사용률 99%는 끄기로 쓰던 빠르게로 쓰던 도달하지 못하도록 막아줘야됩니다. 인풋렉 차이라~ 아마 다음 영상 올라올때 설명을 어느정도 추가할꺼 같기한데. 일단 빠르게를 쓰실꺼면 자기 모니터 주사율 보다 무조건 높에 나오는 게임들에서만 쓰시는게 효율이 좋습니다. 그이하 프레임이 나오는경우에 써보셔야 크게 의미 없구요. 인풋렉은 지싱크+수직동기on+자기 모니터 hz보다 -3정도 낮게 맞춘 상태보다 빠르게가 인풋렉이 살짝 더 구립니다. 빠르게는 프레임 터져나가는 게임말고는 안쓰시는걸 권장해드립니다. 해외에서도 빠르게는 자기 모니터의 2~3배 이상 프레임이 나오는게 아니면 별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선생님 멍청한 질문인데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디아블로2 를 하는데요. 모니터는 165hz 입니다. 그런데 지싱크 설정을 하고 게임내 프레임 제한을 160 정도주면 그래픽 카드가 미친듯이 돌아가는데 게임 내 프레임 제한을 60으로 걸고 해도 지싱크가 작동을 하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지싱크 끄고 60hz 제한 걸고 쓰는게 올바른건가요?
지싱크 듀얼모니터 사용에 대해 질문이 있어서 남깁니다 컴퓨터 사양은 라이젠 3600+ 2070super+msi박격포 맥스 조합입니다. 제가 LG 32인치 FHD 60hz + LG 32인치 32GK650G QHD 165hz(지싱크) 이렇게 듀얼모니터 주로 지싱크 모니터로 게임, 메인모니터로 사용중 + 서브모니터로 인터넷 창이나 유튜브 틀어놓는 용도로 사용중 질문1) 보여주신 엔비디아 지싱크설정메뉴에서 1번,2번은 표시 돼있는데 3번 특정 디스플레이를 설정합니다 이부분이 아예 안보이는데 없어도 지싱크 설정이 된부분인가요?.. 질문2) 듀얼모니터를 사용하면 게임할때 인풋렉에 큰영향을 주는건가요?? (유튜브영상이나 인터넷 실시간 방송을 같이 켜두면서 사용, 주로 게임 피파를 많이 합니다) 질문3) 두 모니터가 해상도가 QHD FHD도 다르고 재생빈도 144hz 60hz로 다른데 해상도라도 맞춰서 사용하는게 좋은건지 다르게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부분인지 알고 싶습니다 스톰튜브님 다른 최적화 영상이라던지 엔비디아설정을 전부다 보고 모르던 사실도 많이 알았는데 듀얼모니터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기네요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1. 네 32GK650G 모델의 경우 리얼지싱크라서 3번 안뜨는게 정상입니다. 2. 듀얼모니터 사용시 성능저하로 인한 당연히 인풋렉에 영향을 줍니다. 그러나 본인이 느끼냐 못느끼냐가 중요합니다 3. 두 모니터 해상도가 달르고 헤르츠가 달라도 굳이 맞춰서까지 쓰실 필요는 없고 60hz때문에 144hz쪽이 몇몇게임에서 강제로 60hz로 내려가는게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면서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런거때문에 둘다 똑같은 헤르츠를 쓸려는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캄솨합니다 ㅡ.ㅡ/
대표님 자문을 구하고자 질문드립니다 ㅜ 엔비디아 지싱크 설정에 들어가면 3번 특정 디스플레이를 설정합니다 라는게 아예 없어서 찝찝하네요..Ddu로 밀고 재설치해도 똑같고 dp케이블도 제대로 연결돼있는 상태이고요.. 또 제가하는 게임은 이상하게 1번 항목인 전체화면 모드로 활성화를 하면 지싱크가 안켜지고 그 아래에있는 창모드 및 전체화면모드로 활성화를 해야 지싱크가 켜집니다. 아래껄로 체크해야 인게임 전체화면을하던 창모드를 하던 지싱크가 제대로 작동하고요.. 이거는 제가 하는 게임문제겠지요??
안녕하세요 스톰형님 또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165hz(인게임 제한 162) G싱크 ON 수직동기화(끄기) 저지연 모두(켜기) 이래 사용 중인데요 (배그 기준 프레임은 140~162 왔다갔다 하는 상황) -평균 159 정도 근데 G 싱크 OFF 수직동기 OFF 저지연모드(켜기) 할때보다 부드러움은 좋은데 중간중간 렉이 발생하더라구요.. 저는 인풋렉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1인으로써 어느 설정이 맞는지 아직도 고민입니다. 긴글 읽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모두 끄기하면 140~280 배그기준 사람에 따라 달라지긴 합니다. 다 끄면 보통 180정도 평균으로 프레임나오는 상황인거같아요. (아 추가로 ELMB 기능이 있는데 이걸 키는게 좋을까요 G 싱크를 키는게 좋을까요..) 배그만 하는사람으로써 좀더 빠르게 반응하고 싶은 맘이 있습니다.
인풋렉이 중요하다 -> 모든 기능 OFF ELMB는 잔상 관련 기능이라 눈으로 화면을 봐서 미세한 잔상이 눈에 거슬리지 않으신다면 필요없습니다. 그리고 모든 기능 OFF 하고 빡겜 하실려면 GPU 사용률만 99%안찍도록 잘 맞춰주시면 됩니다. 제가 항상 강조하는 95% 이하
1. 뭐식이 포털에서 보셨나보군요. 틀렸습니다. 2. 패스트싱크는 자기 모니터 hz보다 두배이상씩 프레임이 나올때나 써먹기 좋은것입니다. 비추천입니다. 차라리 프레임제한(hz보다 -1)하고 수직동기 켜는게 낫습니다. 3. 프레임이 과도하게 나와서 화면이 끊겨나가는 현상 -> (제가 올린 피파영상 참조) 프레임제한만 걸어주시면 되고 수직동기는 켜기와 끄기만 쓰시면 됩니다. 물론 지싱크가 없는 모니터는 수직동기 없이 프레임제한을 해도 화면이 짤리는건 어쩔수 없습니다. 다만 144hz 기준 288프레임 이상이 나온다면 프레임제한을 걸고 패스트 싱크를써보는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패스트싱크라는 기능이 한국에서 유독 과장되서 알려지고 있는기능이고. b급 젼문가들이 잘 퍼트리고 있는 기능입니다. 대체적으로 우리가 쓰는 티비(60hz)에 과도한 사양의 그래픽카드를 꽂아서 쓸때 프레임이 180fps도 넘게 나오기때문에 그럴땐 패스트싱크를 한번 써보는것도 나쁘지 않은것입니다. 지싱크가 나온한은 패스트싱크 같은거 필요없습니다
@@그레그레-d5f 1. 프리싱크(지싱크호환) 144HZ 기준 139-141 프레임제한 걸고 지싱크ON+수직동기 ON/OFF 선택사항. 2. 지싱크 프리싱크도 없는 모델은 144HZ기준 143프레임제한 수직동기 ON (화면 안짤리고 부드럽게 쓰기 위한 조건) 3. 지싱크 하위호환버전이 프리싱크라는 소리는 어디서 나온소리이며 그 밑버전이 있다는소리는 또 어디서 나온소리입니까? 지싱크 리얼 -> 프리싱크 = 지싱크호환 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3개다 똑같은 기술인데 소프트웨어냐 하드웨어냐의 차이이고 관리범위가 조금씩 다르고 약간의 기술이 다를뿐이지 다 한통속입니다
@@그레그레-d5f 2번은 수직동기화라는 기술을 이해하셔야 왜 저렇게 설정하는지를 아시게 되는겁니다. 60HZ는 59제한걸고 수직동기를 켜는것이고 144HZ는 143 제한을 걸고 수직동기를 켜는것입니다. 물론 화면이 안짤리게 하고 60/144HZ에 도달을 하지 못하고 프레임이 떨어졌을때 폭증하는 인풋렉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수직동기화를 이해하지못하시면 왜 이렇게 쓰라는지 이해불가능하게됩니다. 수직동기를 끄라고 할꺼면 144FPS제한을 걸고 수직동기를 끄라고 하겠죠. 그리고 온라인게임 기준이면 일반모니터라도 144HZ면 280FPS이고 380FPS이고 더 높은 프레임으로 나오게 하고 수직동기를 끄라고 합니다.
@@스톰튜브 네 모니터 구매 했을당시 dp포트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그걸로 사용중입니다. 답답한 이유가 모든조건이 충족하는데 지싱크온이 왜 안뜨는지 모르겠습니다. 게임마다 안뜨는것도 있는건지..아님 디피케이블이 안좋은건지..프리싱크 켤때도 지싱크 켤때도 화면 깜빡거리는게 적용이 된것같은데 확인할 방법이 없네요
초보자라 영상을 봤는데도 약간 헷갈리는 게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예시) 게임: 오버 워치 모니터 144hz 엔비디아 제어판 켜고 영상처럼 지싱크 on 전체 화면 특정 디스플레이 설정 체크 3D 설정 관리에서 전역 설정은 모니터 기술 지싱크 호환 수직 동기화는 3D 응용프로그램 설정 프로그램 설정은 사용자 정의할 프로그램 오버워치 설정 수직 동기화 켜기 ---------------엔비디아 제어판 끝-------------------------------------------- 오버워치 켜고 옵션 가서 프레임 제한 141hz 설정 수직 동기화 활성화 ------------------------------------------------------------ 이게 맞나요 ???? 틀린점 있으면 알려주세요
꽤 지난영상이라 답변을 주실지는 모르겠으나...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지싱크만 켜서 사용해보는데 체감이 안되는 것 같은 느낌이 있어서요... 지싱크를 켜고 나서 프레임 제한을 거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됩니다 만은, 엔비디아 제어판의 수직 동기와 인게임 수직동기화는 켜는게 맞나요? 끄는게 맞나요?
엔비디아 제어판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1도 손대실필요 없고 게임안에서 켜고 끄고 하시면 됩니다. 지싱크를 켜놓고 있으실때 체감하실려면 화면이 빠르게 움직이는 게임이여야됩니다. 아니면 60-100프레임 사이에서 체감해보시는것도 좋구요. 지싱크에 수직동기를 켜고 끄고의 차이는 화면 하단에 짤려나가는 미흡한부분까지 더 보완해줍니다. 그게 안느껴지신다면 끄고 쓰시는게 인풋렉에는 더 좋습니다
스톰님 지싱크on + 수직동기on+프레임제한 쓰는데 배그 콜옵은 이상이없는데 다른 특정게임만 하면 화면이 깜빡입니다. 원인을 보니 엔비디아 수직동기 때문이더군요 수직동기 끄면 괜찮으나 부드럽지 않아 불편해서요 혹시 엔비디아의 수직동기 on 말고 엔비디아 3d응용 두고 인데임수직동기 on 해두 괜찮을까요??저번에 인게임수직동기는 안좋다는 얘기를들어서요. 인게임 수직동기 on 시 깜빡임 없어집니다
넵 수직동기는 엔비디아 제어판께 좋을때가 있고 게임안에 내장된게 좋을때가 있습니다. 그 두개의 차이를 느끼는분들이 아주 극히 드물죠 . 본래 게임안에 있는 수직동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때는 엔비디아 제어판에 수직동기를 써야되는데 그 원인을 모르는분들이 많습니다. 제 채널 개설후에 그 두개의 사용여부를 물어보시는 첫번째분이 되셨군요 ㅋ
스톰튜브님 지싱크 NULL모드 사용할시에 "오버워치"라는 게임 한정에서 인게임 수직 동기화를 키는게 나을까요? 인게임 수직 동기화 끄고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 동기화를 키는게 나을까요? 한 유튜버 보니 인게임 수직 동기화가 인풋렉이 더 낮다던대 어떤갑쇼 프렌임 제한은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제한 하는거 보다 인게임 에서 프레임 제한하는게 더 낫다는 해외 자료는 본 거 같습니다.
한 유튜버를 말하는거라면 배틀넌센스 말씀이신가 ㅋㅋ 단순 오차범위일뿐입니다. 프레임제한은 인게임에서 하는게 낮은거 맞고. 수직동기화는 게임내에껄 쓰는거나 제어판껄 쓰는거나 사람이 느낄수 없는 차이만 생길뿐입니다. 단지 게임내에 수직동기화가 너무 허접해서 화면 끊김이 생기거나 문제가 있을때 제어판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편입니다. 물론 인풋렉 연구소에서는 제어판 수직동기를 권장하는편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게임안에 있는 수직동기화가 눈에 보이는 수직동기만 켜지는게 아니라 숨겨진 다른기능(삼중버퍼링)같은거까지 같이 켜져버릴수도 있기때문에 제어판껄 권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3년전 게시글이지만 질문을 꼭 드리고 싶습니다. 원신 (인게임 내 프레임레이트 60, 수직동기 ON), 사용모니터 : 오디세이 G8 OLED 하는게임이 원신인데 지싱크를 켜면 오히려 게임화면이 끊기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지싱크를 끄고 하고있습니다.. 딱히 FPS게임을 하는건 없는데 지싱크는 그냥 끄고 쓰는게 좋을까요?? 모니터는 프리싱크를 지원해서 짭싱크로 쓰는 형태인데, 그냥 기능이 있는데 안쓰면 아까워서 이번에 이 영상보고 셋팅을 했던 것인데 화면이 더 끊기게 보이니 이상해서..
가끔 지싱크 호환 모니터들중에 주파수 범위가 애매한 애들이 좀 있습니다. 그 모델이 175hz 긴 하지만 48-175 일수도 있고 68-175 뭐 이런식일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상황이 벌어질수도 있구요. 그 외는 높은 hz 모니터에서 60프레임 정도의 화면으로 보면 60hz에 60fps 모니터를 볼때보다 뭔가 좀 불안정해보이는 현상들은 간혹있습니다. 그래서 60fps 원신은 끄고 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다른 모든 게임들도 60프레임으로 설정해서 화면이 똑같은지 한번 비교해보셔도 좋죠
영상 후반부에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없는 게임은 지싱크와 엔비디아 수직동기를 같이 키고 프레임제한을 하는게 좋다고 나와있는데 로아 최적화 영상에선 프리싱크(지싱크)를 키면 웬만해서 수직동기는 끄라고 설명하셨던데 어떤 것이 맞는건가요?? 로아는 인게임 프레임제한 설정이 없는걸로 압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인게임 프레임 100hz 제한이고 제 모니터는 144hz 입니다 그러면 엔디비아에서 139hz로 프레임 제한 걸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97hz 정도로 걸어야 되는건가요? 게임 옵션에서 프레임 낮추고 올릴수 없는 게임 입니다 그리고 게임내에서 수직동기 켜기 끄기가 있으면 지싱크On + 엔디비아 제어판 수직동기 응용프로그램 설정 + 인게임 수직동기 On + 저지연모드 - 울트라 이렇게 하면 되나요? 근데 제가 하는 게임이 격투 게임이라서 반응속도에 민감한데 엔디비아 설정에서 그냥 수직동기 꺼도 되나요?
hz와 fps를 구별을 잘하셔야됩니다. 비슷한거 같지만 같은 부류가 아닙니다. 인게임 제한 프레임이 100fps인건지 hz가 100인건지 부터 알아야됩니다. 대부분의 게임이 100hz를 제한하는 경우는 없기때문에 100fps 이라고 생각한다면. 139 프레임 제한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지싱크 범위안이기 때문에 게임내 수직동기가 있다면 제어판에 수직동기는 (응용프로그램제어)가 맞습니다. 손댈 필요가 없습니다. 물어보신대로 게임안에거 쓰시면 됩니다. 철권이나 격투게임 킹오바 같은애들은 수직동기 무조건 끄는게 좋습니다. 근데 화면이 짤려나가는게 보이겠죠. 그걸 개선할려면 지싱크를 켜야됩니다. 오로지 빡겜 유저라면 지싱크도 쓰지말고 수직동기도 끈 상태로 전체화면으로 하시면 최적입니다
지싱크 관련 항상 궁금했던점이 수직동기를 킨다면 인게임에 제어권을 넘기는건가 아니면 제어판에 넘기는가에 대해 의문시 했는데 직접 제가하는 동일한 게임 환경에서 벤치를 해보니 제어판 수직동기 인게임 수직동기 오차범위 내의 평균 프레임과 1%로우 프레임레이트를 보여 동일했고 오히려 제어판 수직동기가 스터터링이 일어나지 않는 환경이더군요. 물론 다른 게임에서도 이런 동일한 결과가 나올지는 모르지만 이런 식으로 하나하나 밝혀나가 최적화를 하는 재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ㅋㅋ
새벽내내 스톰님 영상보면서 공부하는데 이해하면할수록 머리가 띵해져 헷갈리는 포인트들이 많아져서 질문남깁니다 ㅜㅜ. 앞선 영상들을 쭉 보니 지싱크, 수직동기화, 저지연모드, 프레임제한등 설정에 따라 부드러움이냐 반응속도냐에 갈리는 걸 보았습니다. 근데 이러한 설정들을 엔비디아 제어판 아니면 인게임내에서 같은 설정인데 다른 곳에서 설정한다고 해야할까요?? (ex 수직동기화)이렇게 설정하는 곳에 따라 차이가 있을까요?? 있다면 최적의 세팅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게임은 오버워치, 배그 위주로 하구요. 모니터는 LG27GN750 240hz에 adaptive sync입니다. 추구하는 건 인풋렉과 끊김없음의 절충점을 찾고싶습니다. 마지막 한가지 더 여쭤보고싶은건 모니터의 자체 설정 또한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나요?? 아니면 그냥 냅둬야하나요?? 제가 사용중인 모델이 adaptive sync에 응답속도 또한 설정가능한 모델인데 이걸 건드려줘야하나요?? 최적의 설정을 찾고싶습니다. ex) 엔비디아 제어판 G Sync on, 모니터 adaptive sync on / 인게임 수직동기화 off / 저지연모드 켜기 / 모니터 응답속도 빠르게 / 인게임 프레임제한 237 이런식으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ㅜㅜ + DAS 모드라고 이것도 인풋렉과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ㅜㅜ 도와주십쇼
형님 지난번 지싱크 관련 영상에서도 그렇고 보여주신 표로 볼 때는 지싱크 켰을 때 수직동기를 끄든 켜든 인풋렉이 똑같은 거 같은데 특별한 경우 아니면 끄기를 추천하시는 거 같아서 헷갈립니다ㅠ 원래는 지싱크 사용 안하고 쓰다가 최근에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 켜기 저지연모드 켜기 이렇게 사용중인데 착각인지 몰라도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만 꺼놨을 때보다 에임에 미묘한 떨림이 있는거 같은데 관련이 있을까요? 그리고 반응 중요한 게임만 하는데 수직동기를 끄는게 나을까요?
이럴수가 제 채널 1년이나 구독하신분이 피파 최적화 영상 부분을 제대로 못보셨군요. 피파4는 전체화면 최적화 사용중지 체크 하셔야됩니다. 제가 설명에도 적어놨고 고정댓글로도 적어놨습니다. 그리고 이런 설정으로 쓸때 피파는 경기화면이 아닌 그 세레모니 화면이나 다른 줌 화면 나올땐 화면이 느려지거나 빨라지는건 정상입니다.
눈이 정말 예민해서 피시방 .친구집 컴 . 저희집 컴 번갈아 쓸때마다 정말 적응이 안됬습니다. 프리싱크 인풋랙 응답속도 등 많은 공부하고있는데 정말 도움많이 됬습니다. 궁금한게있는데.. 프리싱크와 지싱크중 어떤게 인풋랙을 덜 올리는 건가요? 만약 좀더 칼같이 제 마우스에 감기는 걸 원한다면 둘다 끄고 게임을 해도 좋을까요? 알아보고있는 모니터가 인풋랙이 5ms인데 이정도면 칼같은 화면 기대해도 되는걸까요?(응답속도는 1ms gtg 입니다)
@@스톰튜브인풋렉 그런거 처음들어서 모르겠는데 말 그대로 키보드나 마우스로 인풋했을 때 값이 낮을수록 모니터에 빨리 적용되는 건가요? 응답속도 비슷한건가요? 그리고 수직동기화는 그래픽카드가 지정한 프레임 만큼 일하도록 제한하는 건가요? 옛날에 fps는 무조건 수직동기화 끄라고 알고 있었고 지금까지 모든 게임에 수직동기화를 끄고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최대 프레임 144에 고정하고(모니터 144) 사용했는데 별로 안 좋은 방법인가요? 영상 다 시청했는데 지싱크 켜고 수직끄라 했다가 지싱크 수직 다 켜고 저지연모드 울트라 쓰면 된다고 하는데 무슨 차이인지 모르겠어요. 울트라 하면 전기 더 나갈 것 같아서 안 쓰고 싶은데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버튼식으로 “144” 다음 바로 “72” 가 있으면 지싱크 포기하고 144하는게 맞나요?
진짜 지싱크가 아닌 어댑티브 싱크 사용 하는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표시기 체크했고 동영상에 보여준 똑같은 게임으로 예측되는 니드 포 스피드 히트를 받아서 해봤는데 왼쪽에 안뜨고 오른쪽 위 꼭대기에 지싱크라고 뜨는데 정상 맞나요?? 그외로 로스트 아크도 원래 왼쪽에 뜨는걸로 알고 있는데 오른쪽 위 꼭대기에 지싱크 표시가 뜨니까 적용이 된건지 모르겠네요...
짭싱크 on+수직동기화on+인게임 '모니터 최대프레임-8' 프레임제한+hdr on+windows hdr calibration 앱 보정+인게임 hdr보정+인게임 리플렉스 on&boost+저지연모드 '켜기' 이렇게 설정했는데 제 모니터가 s27ag520으로 165hz인데 인게임 프레임제한 162로해도 157~8 고정적으로 나오길래 그냥 157로 프레임제한했습니다 궁금한게 리플렉스 on+boost면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저지연모드는 꺼야될까요? 아니면 켜도 상관없을까요?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 영상보고 거의 그대로 따라서 설정은 했는데 추가로 잘못된게 있는지도 궁금하네오 찢어짐 없는 부드러운 화면을 선호하고 인풋렉 적을수록 당연히 좋지만?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이해했는데 제가 하는 게임에서 프레임 리미트가 60, 144 이런식으로밖에 없어서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139로 설정하고 수직동기 켜고 저지연 모드 켜기로 했습니다. 이럴 경우 인게임 설정에서는 수직동기를 on으로 해야하나요 off로 해야하나요? 제가 하는 커뮤니티에서는 엔비디아에선 수직동기 켜고 게임에선 끄라던데 맞나요?? 그리고 유튜브 채널 찾게 된게 그래픽카드 고주파음때문인데.. 그래픽카드 로드율이 80정도밖에 안되는데도 좀 납니다. 접지는 다 돼있는거 같습니다. 2060super에 650w라 파워문제도 아닌거같습니다. 그래픽카드 as도 1회 받았는데 gta5, 포르자호라이즌4 등 고사양 게임에서만 이러네요 ㅠㅠ
지싱크를 잘사용하기 위해선 139-141로 제한을 하신후 하시면 되고 수직동기는 게임내 수직동기와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동기를 도토리키재기이고 게임에 따라서 뭐가 더 좋고 안좋고는 완벽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는 이상 아무도 알수가 없습니다. 엔비디아 제어판에껏이 무조건 좋은건 아닙니다. 대체적으로 외계인 사이트에서 추천하는게 엔비디아 제어판껏이긴 합니다만. 그것도 특정게임에서 완벽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는 이상 뭐가 더 좋은지는 미지수구요. 고주파는 집안에 전자장치들에 의해서거나 전기접지로 인해 생기는게 대반수인데. 그게 다되어있는 상황에서도 나는건 그냥 100% 제품 문제입니다. a/s 받아도 그 모델 자체가 고주파에 취약하게 만들어진 제품의 경우는 뽑기로 계속 교체 받으셔야됩니다. 아니면 정말 그게 제품탓인지 본인집에 탓인지 알고 싶으시면 그 그래픽카드를 다른집에 꽂아보시거나 본체를 그대로 들고 다른집 가서 꽂아보시면 됩니다 ㅡ.ㅡ; 고주파라는게 본체안에있는 보드와 파워와의 조합때문에도 간혹 재수없게 발생되기도 하기때문에 여러가지 다 테스트 해보셔야됩니다만. 그냥 말로만 들어봐서는 제품 제조공정때문에 생긴 종특 고주파는 뽑기운으로 교체를 계속 해보시는거 말곤 그다지..... 고주파는 진짜 자기집 탓일수도 있으니 그것도 제가 말한대로 다른집가서 테스트해보시는수밖에 없습니다.
롤 최적화 영상에선 인게임 프레임 제한을 걸지말라고 하셨는데 여기선 인게임 프레임 제한을 걸어줘야 한다고 말씀하셔서 어떤게 맞는걸까요? 롤 최적화 영상은 별도로 롤 클라이언트에 수직 동기 응용 설정(게임 내 옵션을 따라감), 게임 내에선 수직 동기를 꺼서 롤 클라에서만 별도로 저렇게 돌아가게 하는건가요?
염치 없지만 영상과 관계 없는 질문 하나만 드려도 되나용 서든 워존 배그 다하는데 서든할때는 어쩔수 없이 종횡비 + gpu를 사용하고 워존이나 배그할때는 스톰튜브님 추천대로 스케일링 없음 +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데 이걸 게임 할때마다 바꿔 써야 하는데 이게 모니터 수명이나 그래픽카드 수명에도 영향이 있을까요?? 매번 도움 얻고 있지만 염치없이 또 도움의 한말씀 부탁드립니다!
요즘에 보고 배우는게 많아서 구독하고 항상 잘 챙겨보겠습니다 😍
캄솨합니다 ㅡ.ㅡ/
넵 ~~
이거 지인들한테 설명해주느라 답답했는데 이렇게 다 정리해서 올려주시니 정말 좋네요. 구독 박고 갑니다!!
영상 한번 보라고 하세요 ㅋ 최대한 쉽게 설명드릴려고 해놨습니다
늘 영상 잘 보구있습니다 ㅎㅎ 최저프레임이 한 게임에서 240이상 방어되면 그 게임에선 수직동기화 끄구 지싱크만 켜도 전혀상관없나요? fps유저인데 스톰님 영상을 2달째 보는데도 뭐가 젤 좋은지 아직도 헷갈립니다ㅠㅠ지싱크 수직동기화 다 키면 인풋렉이 생기는게 체감이 될정도인가요?
240방어가 되고 온라인 게임에서 반응속도가 중요하다면 수직동기 끄는게 낫지만 gpu 사용률 99%를 안찍게 만들어야됩니다. 그리고 240이상 나와도 270쯤이라면 그냥 225-237 선에서 지싱크 돌리면서 쓰는게 낫습니다. 240hz라서 물어보시는거죠? 240hz 는 225이상 고정 프레임 방어되면 수직동기 켜도 차이 못느끼실껍니다
리얼지싱크모니터이용중이고 모니터165헤르치이용중입니다 평균140-150프레임나오는데요 사람많은곳에선 100-110정도까지 프레임이 떨어집니다 게임은 배그하고있습니다 수직동기를켜고하는게 낫나요?끄는게낫나요? 수직동기를키면 마우스를 휙휙 돌렸을때 확실히 움직임이 부드러운게 느껴집니다 어떤게좋은지 추천부탁드립니다
정말 감사 합니다.오늘 모니터 괜찮은거 사서 지싱크 설명 해주신대로 수직동기화랑 프레임 제한 맞추니깐 아주 부드럽습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우 축하드립니다! 드디어 제대로 쓰고 계시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G SYNC 모니터가 아니라 저지연모드 관련 영상 다시 봐야겠네요.
오늘도 좋아요로 시작합니다.
지싱크 아닌 모니터는 온라인에 반릉성이 중요한게임만 gpu 사용률만 95%이하로 쓰시거나 모니터hz 안에서 쓰시는게 가장좋습니다 ㅡ.ㅡ/
아놔.. 프레임캡+지싱크만 쓰다가 이틀전에 블러버스터 보면서 설정해놨는데 이 영상은 2주 전에 올라왔네요 제가 보고 설정한 글에 질문글을 스톰님이 작성하셨던 거군요 ㅋㅋㅋ 전체적으로 게임할때 필요한 것들만 딱딱 찝어서 눈높이교육 제대로 해주시네요 영상들 잘보고 구독하고 갑니다
게이머분들에겐 딱 필요한 부분만 알려주는게 최고에요. 어디 뭐 공학도 되실분들도 아니고. 개발진도 아니고. 쓸때없이 유식한척 떨면서 뭐 기술이 어쩌니 저쩌니 ~~~~~ 입 터는거밖에 안되죠 ㅋ. 그런 유식한척 떠는분들은 유튭에 널렸으니 굳이... ㅡ.ㅡ/
이야..질문 진짜 많네요. 스톰님 고생하십니다 ㅎㅎ
영상하나 새로올리거나 고쳐서 올리면 기존에 채널들러서 뭐있는지 안보던분들이 새영상이라고 보니 또 질문이 우르르 터지네요 ㅡ.ㅡ;
@@스톰튜브 영상 주제와 관련돼서 예상되는 질문들이 있으면 고정댓글에 링크를 걸어 두시는건 어떨까요?? 만들어놓은 영상 조회수도 올릴겸 ㅎㅎㅎ
+ dp케이블 써야 지싱크든 free싱크든 쓸 수 있습니다.hdmi로는 작동이 안 돼요:)
0:50 자막 켜고 보는데 아주 훌륭한 자막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으앜 그걸 어케 찾으셨네요 ㅋㅋㅋㅋㅋ
@@스톰튜브 ㅋ 모니터 교체하면서 스피커도 바꾸려고 잠시 떼놓고 자막 켜놓고 보다가 보게 됬네요 ㅋㅋㅋㅋ 번창 하십시요
형님 스팀에서 게임 하는거라곤 리듬 게임밖에 안하는데 리듬 게임 특정상 노트 내려오고 찢어지는 현상 일어나면 치명적인데 형이 올려주신 영상보고 찢어지는 현상은 괜찮아졌습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스팀에 디제이맥스 들어가면 v 싱크 , 30부터 시작해서 144, 240 fps 있는데 저는 모니터 해상도가 165hz 인데 어떤거를 적용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게임 속 프레임설정 240 적용해도 되는건가요? 진짜 리듬게임에서는 똥같은 옵션인거 같아요. v 싱크쓰면 내려오는게 버벅이는거 같고 판정도 별로고요. 144 ,240 둘중 정해야 하는데 궁금해서요. 형님이 알려주신 3:12 초에 나오는 곳에 3가지 항복에서 인게임 프레임 제한 있는 게임은 첫번째 인게임 프레임제한 (모니터 hz보다 낮게 ) 되어있어서 165 hz 라 144 놓고 하고 있긴합니다. 정답일까요?
hz는 무조건 높은게 좋습니다. 요즘은 제가 빡겜 하시는분들에게 360hz이상을 권장드리고 있죠. 현재 165 모니터에서 화면도 안찢어지면서 최소한의 인풋렉으로 즐겜하실려면 158-162 제한걸고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는 화면 하단에 약간 짤리는게 눈에 보이신다면 켜는게 맞고 안보이면 끄고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게임 자체에서 144 240hz 밖에 없다는건. 그 게임 자체가 240hz으로 강제로올려버리는건지 그냥 옵션상에 144와 240중에 하나 고르라고 나오는건지부터 봐야됩니다.
240hz 지원도 안되는데 올리는거라면 당연히 안되는것이구요. 165라도 게임에서 144hz밖에 없다면 144 쓰시는것도 방법입니다만. 게임에서 강제로 hz를 144로 만들어버린다면
프레임제한도 158-162가 아닌 138-141쯤으로 쓰셔야될지도 모릅니다.
설정 적용 여부를 좀 확인해봐야될 게임입니다. 모니터는 165인데 게임에서 144설정한다고 실제 모니터 hz까지 떨어져버리는것인지요
@@스톰튜브 잘못적었네요. 게임속 옵션에서 초당프레임속도 이거말했던거였습니다. 165hz모니터라 v싱크 ,30,60,144,240fps 이거중에 165hz라 144 fps이거 적용하는게 맞는거죠? 답변주신거 같이 지싱크 키고 수직동기화 끄고 엔비디아 프로그램설정에서 디맥 추가해서 141 제한걸고 했는데 잘됩니다. 감사합니다. 형님 구독 알람설정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번창하세요^^*
@@깐부할배-s7z 게임안에 초당프레임속도라면 게임안에서 자체적으로 프레임제한이 존재한다는 말씀이신듯한데요!? 무슨게임인지 말씀해주셨으면 더 답변이 쉬운데. 프레임제한은 외부에서 해주는거보다 게임안에껄 먼저 쓰시는게 인풋렉에 훨씬 좋습니다.
그게임에서 그게 인게임 프레임제한으로 30 60 144 240 으로 나오는거라면 144로 맞추시고 외부에서는 프레임제한 거시면 안됩니다. 더 손해봅니다.
165hz에 144그대로 쓰시고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는 화면 하단만 보고 켜고 끄고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재가 필요한 내용만 쏙쏙 잘 알려 주시네요 ^^
제 채널에 영상 있는거 안찾아보시는분들도 있으시더라구요 ㅡ.ㅡ/
감사합니다~ 나중에 지싱크 모니터사용하게되면 영상 참고하겠습니다~
나중에 모니터 구매하실때는 필수로 지싱크 호환이나 지싱크 모델로!!!!!!! ㅡ.ㅡ/
2:21초에 화면깜빡임을 저도있는데 없앨수없을까요.. ㅠㅠ 보시면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G synk 있었는데 이트까지 안씀ㅋㅋ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ㅎ
이런.................필수 기능을 안쓰고 계셨다니. 그 좋은걸
엔비디아 공식채널에서 발표한 가장 이상적인 저지연 모드 울트라 세팅이 지싱크on +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동기on + 저지연모드 울트라 입니다 이렇게 해놓으면 인게임이건 제어판이건 프레임 제한같은건 안하셔도 됩니다 수직동기화가 걸리기 때문에 알아서 프레임 조정 됩니다. 저지연모드 켜기로 했을 경우 지싱크on + 수직동기off + 인게임 or 제어판 프레임 제한(보통 모니터 주사율 -2~-3) 하시면 됩니다
이상적인건 아닙니다. ㅡ.ㅡ; 그냥 편할려고 있는거죠. 엔비디아가 권장하는것일뿐. 수직동기 끄고 인게임 프레임 제한거는게 인풋렉에 훨씬 좋습니다. 지싱크+수직동기ON+저지연모드 울트라는 엔비디아 제어판 자체에 있는 프레임제한을 사용하는것이라. 결국 인게임 프레임제한한테는 안됩니다.
그리고 저 모드가 완벽하게 돌아갈려면 프레임이 완벽하게 고정이 되고 그 이상 성능이 나와야 울트라(렌더링 0)로 돌아갑니다.
아닌 상황에서 저모드를 쓰면 지싱크+수직동기+저지연모드 켜기+제어판 프레임제한 거는거나 똑같습니다. 엔비디아는 권장만 알려줄뿐이지 디테일한 내용은 다 빼먹죠 ㅋ
스톰님 한가지만 더여쭤볼게요.
부드러운 화면이 좋아서
1. 저지연모드만 '끄기' 로 설정
2. 수직동기화 '빠르게'로 설정 후 저지연모드 '켜기' (울트라는 반응이 느리게 느껴져요)
둘중에 하나만 골라서 쓸려고하는데 ,
그나마 인풋렉이 덜먹는 설정이 어떤걸까요?
지싱크 없는 모니터이며 평균프레임 150~400나옴니다
1번에서 자세하게 안적으셔서 비교가 불가능합니다. 수직동기 ON인지 끄기 인지
@@스톰튜브 1번에서 수직동기 '끄기' 후 저지연 '끄기' 입니다. 답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비싼모니터사놓고 지싱크 이제야 키고씁니닼ㅋㅋㅋㅋㅋㅋㅋㅋ
답글이 엄청 빠르시네영..ㄷ 주연테크 x25f 240hz gtx1080ti hdmi 연결입니당!!
유익한 영상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보고 있습니다.제가 본게 맞다면 모니터가 60Hz에 지싱크를 지원하지 않는 모델인데 게임할때 수직동기화 옵션을 켜는 게 쾌적하겠죠?프레임도 60이하로 제한하는 게 맞을테구요.
60이면 정신건강상 수직동기켜고 60프레임 고정으로 쓰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간혹 움직임이 너무 무겁게 느껴지실때만 수직동기off
질문있습니다~초보라서 이해가 잘 안되서요 ㅠㅠ..
지싱크 호환되는 모니터 144Hz 모니터의 경우 게임 안에서 설정하는 주사율을 144보다 낮게 설정하라는 뜻이시죠? 그리고 수직동기화는 굳이 끌필요는 없다는 말씀이신거죠..? 수직동기를 켜기로 해야 하나요 3D 응용 프로그램 설정 사용으로 해야 하나요..? 그리고 인게임에서 주사율 설정이 없을경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프레임 제한을 하라고 하셨는데요.. 엔비디아 제어판 해상도 설정 항목에서 주사율을 모니터 사양보다 낮게 설정하란 말씀이신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루 지싱크 호환이 되는 모니터면 지싱크를 사용하는게 만족도가 큰가요...? 사용을 해야할지 그냥 끄고 할지 선택장애가...
지싱크 144hz 모니터면 게임안에 인게임 프레임제한이 있을 경우 139-141 정도 제한을 해주시면 됩니다. 지싱크 한번 써보면 없는 모니터 못씁니다.
수직동기는 온라인 대전형 게임할때는 꺼주시고 혼자 즐겜하실떄는 켜는게 낫습니다.
나머지 지식은 채널 다른 영상에서 ㅡ.ㅡ/
@@스톰튜브 아 지싱크가 그정도로 좋은가 보군요 써봐야겠습니다 ㅎㅎ 자꾸 질문만 올려드리고 죄송하네요...
저는 롤을 하고 있는데 롤은 144 보다 낮은 설정이 120 이더라구요 그럼 120으로 설정해야겠네요
@@creo485 롤 최적화 영상은 제가 따로 만들어둔게 있습니다. 144라면 120 쓰셔도 되긴 됩니다
안녕하세요 찐 지싱크 쓰는데
3:10초에 두번째항목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없는게임에 해당되는데
지싱크on+수직동기on은 했고 모니터가 165헤르츠면 몇프레임 제한 거는게 좋고 저지연모드는 켜기로 해놓아야 되나요?? 끄기로 해놓아야 되나요??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없으면 저지연 모드 울트라로 해주시면 알아서 제한되서 잘 돌아갑니다
@@스톰튜브 좀더 세분화 된 세팅을 하고싶어서 그런데
지싱크on+수직동기on+프레임160제한+울트라모드 이렇게 하면 될까요??
@@제리-i6x 그렇게 수동으로 하실꺼면 저지연 울트라가 필요 없구요. 켜기로 해놔도 됩니다. 울트라로 해도 상관은 없으나 자동프래임 제한 수치보다 수동으로 더 낮게 맞춰서 쓰시면 됩니다
@@스톰튜브답변 감사합니다 종합해보면 수동으로 쓸거면 지싱크on+수직동기on+프레임제한 더낮게+저지연모드 켜기로써도 상관없다란 말씀이시죠??
@@제리-i6x yes
감사합니다.
설명 영상도 보고 아래 댓글들도 어느정도 찾아보고 질문 드립니다.
LG OLED 55 C9 TV(120hz) + 지포스 3080 사용 예정입니다.
저는 1프레임을 다투는 멀티 게임 보다는 싱글 게임만 하는 스타일 입니다.
지싱크 활성화 기준으로 질문 드립니다.
질문 1. 4k + 풀옵으로 요즘 나오는 패키지 게임들(사이버펑크2077, 어크 발할라 등등)은 120 프레임 방어가 3080으로도 불가능할텐데 그럼 수직 동기화가 설정 필요 없다는 말씀이시죠?
(LG OLED 55 C9 TV가 최대 120hz 입니다.)
질문 2. 지난 게임들 같은 경우는 4k + 풀옵 해도 120hz 넘어갈 수도 있으니 그럴때만 수직동기화 활성화 시켜주면 되는건가요?
지싱크 호환 티비쓰시나보군요.
1. 지싱크를 켜고 있다면 굳이 수직동기를 안키셔도 상관없습니다만. 화면 하단이 짤리는게 거슬리시면 같이 켜도 됩니다.
2. 120fps를 넘어가지 못하는 기준 역시 지싱크가 켜져 있다면 수직동기는 부가적인 옵션의 설정일뿐입니다.
지싱크가 이미 화면 부드러움에 90%이상 일을 하고 있습니다.
@@스톰튜브 답변 감사합니다^^
저 삼성 C27RG50 NVIDIA G-SYNC compatible 모니터인데 왜 2:07 처럼 세번째 항목이 뜰까요??
compatible. 가 호환 입니다. 정식 지싱크가 아니구요. 그래서 3번 항목이 뜨는겁니다
가끔 팩트까지 후려갈기는거 보면 웬만한 전문지식을 넘어섰는데
혹시 예전에 컴퓨터관련 일을 하셨었는지 궁금합니다.
컴퓨터만 전문적으로 27년쯤 해서 그런거 같습니다 ㅡ.ㅡ/
와;
지싱크, 수직, 저지연 울트라로 배그 해봤는데요 모니터가 100짜린데 97로 잘 유지되다가 부캠같이 로드걸리는 상황에 상관없이 한적한 곳에서도 이따금씩 60으로 고정되서 1~2분 정도 유지되다가 다시 97로 돌아오는 현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저지연 있음인가 높음으로 하고 그냥 인게임 프레임제한으로 쓰는거로 바꿔서 쓰고 있어요 이렇게 쓰니까 그 문제 현상은 없구요 참고로 사양은 3600 + 2070s, 모니터는 삼성34인치 WQHD 해상도에요. 아직 엔비디아 드라이버에서 지싱크, 수직, 저지연울트라 기능이 완벽한게 아닌건가요? 원인을 모르겠네 ㅠ
그게 모니터 기능때문에 꼬여서 그럴수도 있고 드라이버때문에 그럴수도 있고. 오류범위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프레임 제한거는 기능이나 저지연모드 울트라로 거는거나 똑같은 기능이거든요. 근데 저거는 되고 이거는 잘 안된다고 하시니 약간 뭔가 미스테리하긴 합니다. 둘다 똑같은 프레임제한 기능이라... ㅡ.ㅡ; 아 그리고 당연히 아직 제어판에 기능들이 다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스톰튜브 답변 감사합니다!! 인게임 프레임제한은 드라이버 설정에서가 아니고 배그게임 내에서 설정했습니다. 제가 설정해본 두가지가 똑같다고 하셨는데 제한된 프레임 수 만보면 그렇겠지만 지난번 영상에서 말씀하신거에 저지연 울트라는 CPU인가? 를 거치지 않고 글카에서 모니터로 바로 뭐 이러한 차이점이 있잖습니까? 어쨋든 저지연 울트라의 이러한 점으로 불안정함이 있을수도 있고 이게 드라이버에서 커버쳐주지 못하는걸수도 있고 단순히 제 모니터가 지싱크 호환이기때문에 생기는 문제일 수도 있고 그렇겠네요 저지연울트라 쓰고 싶은데 아쉽습니다. 다음 드라이버 업뎃되면 다시 시도해봐야겠어요.
@@LAGO7210 아아 인게임이라고 써놓으셨구나 못봤네요 ㅋㅋ 요즘 눈이 맛이갓나.
지싱크on+수직동기on+저지연모드 울트라 사용시 자기모니터 hz에 맞춰진 자동 프레임제한이 걸립니다.
그거때문에 인게임에서 제한한거랑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그래서 인게임제한이 있는 게임은
저지연모드 울트라를 쓰실꺼면 수직동기는 off 해주셔야됩니다
@@스톰튜브 아 그럼! 지싱크 on + 수직 off + 인게임제한 + 저지연 울트라 라는 새로운 선택지가 생겼네요 한번 시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AGO7210 넵 그게 제가 늘 권해드리는 방식입니다. 그 상태에서 저지연모드만 켜기나 울트라로 써보라고 하죠~
안녕하세요 프리싱크 호환 모니터 쓰는데 지싱크 쓰면은 화면 깜빡임이 실제로 있는데 이런경우 쓰는게 좋나요 쓰지 않는게 좋나요 주로 배그 합니다 그리고 Nvidia에서 수직동기 키는것과 끄는것 프레임 차이 있나요?
오늘도 좋은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항상 건강유의하셔서 좋은 정보 많이 부탁드립니다..오늘도 시청료는 좋아요 ~꾺~ ^_^v
전에 올린거 내용 0.0001% 추가해서 다시 올려드린거에요 ㅋㅋ ㅡ.ㅡ/
@@스톰튜브 그래도 이 영상 만드시느라 열일하셨겟습니까.정말 항상 고마운 마음으로 시청하고있습니다..정말 감사드립니다 ^_^ v
덕분에 비싼모니터 올바르게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자기가 가진 장비를 최대한 활용해서 잘쓰는게 최고의 사용법이죠 ㅡ.ㅡ/
안녕하세요 지싱크 검색하다가 스톰튜브님 영상 보고 따라했는데 이게 제대로 한건지 한번만 봐주실수있나요?
제 모니터는 오버클럭시 최대 120hz 주사율을 지원합니다 (34GK950G)
모니터 주사율 - 120hz
엔비디아 제어판 - 지싱크 활성화 (전체화면)
엔비디아 제어판 3D설정 - 수직동기 켜기
엔비디아 제어판 3D설정 - 저지연모드 끄기
어쌔신크리드 오리진 인게임설정 - 수직동기 끄기
어쌔신크리드 오리진 인게임설정 - 초당 화면재생? 120hz
(초기값은 60 이었고 제가 임의로 숫자를 넣을순없었습니다)
어쌔신크리드 오리진 인게임 설정 - 프레임제한 100hz
(이부분은 100hz가 최대치였고 마찬가지로 인의로 숫자입력은 불가했음)
위 셋팅대로 설정했는데 지싱크가 모니터주사율 내에서 제대로 작동하게끔 설정이 되어있는지
한번만 보시고 지적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어판에 있는 3D설정에 수직동기는 켜기가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제어"로 두시고 게임안에서 켜고 끄고 하시면 됩니다. 저지연모드는 게임에 따라서 다르고 로드율에 따라서 좀 다릅니다.
아 그리고 뭔가 굉장히 꼬이게 설정해두셨네요.
인게임 프레임제한은 100이 아니라 120HZ모니터시면 115-117FPS 정도 제한을 하시면 됩니다.
위에 말햇듯이 수직동기는 게임안에서만 켜고 끄시면 됩니다
이거 질문할랬더니 이미 있네 ㅋㅋㅋㅋ 역시 대단하십니다
질문 사전 차단 ㅡ.ㅡ/ 흐흐
스톰님 저번에 라이브에서 g싱크 비공식 지원 모니터에서 발생하는 밝기 변화 증상 문의드렸었는데 해결방법이 없다고 해서 안쓰려다가 혹시 몰라서 다시 찾아봤는데 cru라는 프로그램으로 쉽게 고칠 수 있더라구요! 참고하세요!
cru로 쓰는방식은 모니터 성능ㄹ 조금 더 포기하고 억지로 쓰는 수준이라... 그럴바에 끄고 쓰시는게.. 그건 지싱크에 목말라계신분들이 억지로라도 쓰는법인.. 물론 본인이 만족하신다면야 ㅡ.ㅡ;
작업관리자 프로세서 우선순위에 대한 인풋렉도 실험해주세요!
인풋렉 영향은 없고 우선순위자체가 전체화면 돌릴때 필요없는 기능입니다 ㅡ.ㅡ/
지금까지 꾸준히 구독중인 유저입니다 스톰님 이것과는 동떨어지는 속이 터져서 도움좀 요청해도 될까요? ㅠㅠ
사진을 첨부할 수 없어 이렇게 글로 옮깁니다...ㅜ
증상: 메모리 사용량이 너무 비정상적입니다
(윈도우10 사용중 / 시스템 메모리 총 32G)
요즘 pc사용도중(부팅후 바로 발생하는 문제는 아님) 간혹 관측되는 증상입니다(100%로 생기는 증상이 아님)
실행중인 모든 프로그램을 꺼도 순간만 낮아진후 다시 그만큼 메모리 사용량이 올라갑니다
(작업관리자에서 나오는 성능수치: 사용중 30GB , 커밋됨 70GB/75GB , 캐시됨 3.5GB , 페이징 풀 65GB , 비페이징풀 271MB)
위와같이 특히 사용중도 높거니와 커밋됨과 페이징풀 수치가 너무 비정상입니다. 이유를 모르겠으나 저와같은 유저가 더러 있는거 같습니다
저는 아무리 누설이 조금 있고 해도 32G라는 시스템 메모리를 이렇게 다 사용할 수 있다곤 생각을 안하여
근본적인 무엇이 있지 않을까 의심하여 이렇게 해결방안을 찾지 못해 도움 요청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캡쳐사진 보내드리겠습니다 ㅠㅠ(유튜브 계정으로도 이런게 되나요? 못찾아서 이렇게 글만 남깁니다)
지금 윈도우 리얼~~~~~~~~~~~~~~~맛이가있으시네요. 그거 복잡하게 백그라운드에서 어떤놈이 그렇게 잡아먹고 있는지 하나하나 살펴보실 시간에 윈도우 클린 설치하는게 가장빠른 해결법입니다.
근데 윈도우 재설치 하는게 귀찮다면 프로세스 관리자나 서비스쪽. 사용자쪽에서 어떤놈이 뒷배경에서그렇게나 먹어대고 있는지 살펴보시고 도저히 모르겟다 하시면 재설치가 가장 빠른해결법입니다 ㅡ.ㅡ/
윈도우야 어떤거 때문에 꼬여있는지 찾아보는게 더 시간낭비인 경우가 대반수입니다. 최근 윈도우 허접 업데이트때문에 그럴수도 있고 뒷배경에 있는 악성툴바들이 그럴수도 있고
항상 포멧하면 스톰님영상 찾아보면서 조정한지 1년이 넘어가는데 이영상이 오래되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지금 엔비디아가 변한건가요 지금 엔비디아 설정 제어판엔 지싱크칸 자체가 없네요 저만그런건가요 아니면 지금은 엔비디아가 다 그런건가요??이런 영상은 1년에 한번씩은 다시 찍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스톰님이 컴셋팅에 이정표 같은 분이시라 ㅎㅎ 감사하게 잘보고있습니다 ^^
제어판은 일단 변한게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도 2021년 버전으로 올려드릴까 생각중이기도 합니다. 신기능 추가된게 한두개 있긴하지만 지싱크 메뉴 역시 똑같습니다. 안나온다면 본인 컴퓨터 설정에 뭔가 문제가 생기신듯합니다
@@스톰튜브 헐;; 포멧하고 다시받은건데 뭐가 문제지;; ㅠㅠ 일단 포멧을 다시해봐야겠네요 암튼 스톰님영상은 교과서 같은영상이 많아서 참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까까뭉이 아마 모니터에 프리싱크가 꺼졌다던가? 그럴일은 없지만. 여튼 정상작동된다면 지싱크메뉴는 떠야됩니다. 저 메뉴가 앞으로 변할일도 없을껍니다 아마
외계인이나 프로게이머급이나 지싱크 끄라는 소리는 약간 비꼬는 식인거에요? 별로 차이없다는 소리죠?
0.001~0.01초? 에도 환장하신다면 끄시는걸 추천한다는 소리였습니다 ㅡ.ㅡ/ 그리고 지싱크 기능의 그 부드러움에 적응 못하시는분들에게도 하는말입니다. 화면이 부드러워진건데 인풋렉이 증가했다고 착각하시는분들
@@스톰튜브 모니터 Hz가 높을수록 지싱크ON+수직동기화ON와 지싱크on+수직동기화OFF의 인풋렉 차이는 줄어듭니다. 써주신 설명 부분에서 수직동기 on이랑 off 중 누가더 적나요
@@lispepa7377 240hz 모니터는 지싱크on+수직동기on 한거랑 off한거랑 사람이 구분하기 힘듭니다. 물론 200-225fps이상 나와야되는 기준이구요.
당연히 0.001초라도 빠르게 쓸려면 똑같은상황이라도 수직동기는 off하는게 낫습니다.
스톰님 배그할건데 3:13 여기 보기 첫번째로 하면되겠죠? 혹시 저렇게 설정하고 인게임 설정에서 수직동기도 켜야하나요??
배그같이 반응성이 중요한 온라인 게임은 수직동기 켜면 손해봅니다 끄세요
스톰튜브StormTube
스톰튜브 너무 유익하네요ㅠㅠ 감사합니다
혹시 배그할때 144프레임 완벽방어 안되는데
저지연모드 끄는게 더 유리할까요??
@@aasksjs 배그는 되도록이면 켜시 추천드립니다 프레임 방어와ㅜ상관없이요 ㅋ
스톰튜브StormTube
넵 감사합니다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문의 드립니다.
(배그기준)
현재 셋팅 지싱크on+제어판 수직동기off+인게임 수직동기off 입니다.
화면 부드러우며, 맵에따라 프레임차이 있습니다. 현재 인풋렉을 줄이고 싶으며, 화면은 부드럽고 빠릿했으면 합니다.
인풋렉이 심할경우 지싱크만off 합니다.(부드러움 지싱크on덜함+화면은 지싱크on보다 빠릿빠릿 인풋렉 없음)
지싱크 사용시...
1. 지싱크on +제어판 수직동기on+인게임 수직동기on 해야하나요? 아니면 인게임 수직동기off해야하나요?
2. 지싱크off시에는 제어판 수직동기off해야하는게 맞는건가요?
1. 제어판 수직동기는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곤 건드리는게 아닙니다.
2. 지싱크 off는 제어판 수직동기 off/on과 관계 없습니다
아~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스톰님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장문주의)
2070super / 3700x(논오버) / 램 16g (3200 오버) 사용하고있으며 현재 지싱크 호환이 가능한 kxg사의 모니터를 사용중입니다. 또한 이 영상과 저지연모드 영상, 그리고 엔비디아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된 null 관련 영상의 도움을 받아 지싱크 기능을 설정하고 사용중입니다. 주로하는 게임이 배그인데 지싱크 기능을 키지 않았을때도 160~175 정도의 프레임이 나왔으나 그래도 상당히 좋은 기능이니 사용해보자 하고 여지껏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프레임이 150~156 정도로 떨어졌으나 제 눈에는 뭔가 좀더 부드러워진것 같더라구요? 헌데 지싱크는 60~100프레임정도에서만 효과가 좋으며 그 외적으로는 체감을 못할거다 깡프레임이 최고다 라는 몇몇 글들을 접하고 제 상황에 지싱크를 쓰는게 맞는건지 궁금해졌습니다. 저는 지싱크를 걸고 쓰니 뭔가 부드러워졌다고 체감은 하고있었는데ㅋㅋㅋ 혼자 똥꼬쇼한건 아닌가 싶네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싱크는 그 모니터가 지원하는 지싱크 범위내 모든프레임에 다 효과가 좋습니다. 60-100 프레임에만 효과 좋다는 애들은 눈이 애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애초에 구분도 못하는 눈을 가졌으면서 그걸 논한다는거 자체가 카더라입니다. 자기눈으로 안보이니까 "야 그거 안보여!" 라고 말하는 애들 특징입니다
@@스톰튜브 오 감사합니다ㅠ ㅠ 한가지만 더 여쭙자면 지싱크 지원범위와 모니터의 주사율은 같은 것인가요?
@@에프케이제이 아뉴 다릅니다. 모니터마다 달라요
1. 지싱크, 프리싱크 둘 중 지싱크가 더 좋은건가요?? 2. 둘다가능하면 지싱크를 키는게 낫겟죠???
3. 프리싱크를 키는건 모니터 자체설정에서 프리싱크켜기만 하면되는건가요??완전컴맹입니다ㅠㅠㅠ존경스러워요
1. 지싱크 프리싱크 둘다 같은 기술입니다.
프리싱크 켜면 지싱크 호환 켜집니다.
3. 지싱크 호환을 쓸려면 모니터 자체 메뉴에서 프리싱크 관련 옵션은 항상 켜두시라는점
@@스톰튜브 감사합니다ㅠㅠ
스톰님 현재 사용하는 모니터가 비공식 지싱크 지원 모델인 것 같아서 지싱크 호환 표시기 설정을 키고 인게임에서 지싱크 기능이 활성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alt tab 후 다시 인게임으로 전환 할때마다 화면이 깜빡 거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는 제 모니터는 어떤 케이스로 봐야할까요?
지싱크를 불안정하게 지원하는 모델로 봐야할까요?
특정 게임에서 알트탭 전환후에 깜빡임 발생하는거 그거 게임이랑 지싱크 충돌오류입니다. 그런 버그들은 드라이버 업데이트되면서 대부분 고쳐지는편입니다. 그러나 모든게임에서 그런다면 모니터 지원의 한계이구요
하라는대로 체크는다했는데 엔비디아제어판 수직동기화를 반드시 켜기로해야 지씽크가 작동이되는건가요?
아니요 제어판 수직동기는 응용프로그램제어로 쓰시면 됩니다. 지싱크는 수직동기화와 관련없이 기본으로 작동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엇 이영상 다시올리시네요?ㅋㅋㅋ
넵 질문이 너무 많이 나오는 3번 항목에 대한걸 그냥 추가해서 새로 올렸습니다. 중간에 그림도 한장 바꿨구요. 알고보니 논란이 될만한 그림이더라구요 ㅡ.ㅡ;
질문하나하겠습니다. 전지금 지싱크 on 엔비디아 제어판수직동기화 off 저지연모드 켜기 사용중인데 제어판 수직동기화 on하는게 off하는거보다 더 효과있나요??
@@소리나무의 아뇨 수직동기는 어디서든 켜는게 인풋렉에 손해봅니다. 물론 세부적으로 설명들어가면 복잡해지지만
게임내에서 켜든 밖에서 켜든 인풋렉 손실은 생깁니다
영상에서는 지싱크켜고 수직동기 켜고 사용하라고하셨는데 그럼 그냥 지금처럼 지싱크 키고 수직동기끄고 사용하면 되나요..?ㅎㅎ
@@소리나무의 지싱크를 완벽하게 쓰기 위해선 수직동기도 같이 켜라는 말이에용. [완벽] 이라는 전제하에. 그러니 수직동기는 끄고 쓰세요
수직동기화 끄면 화면갈라지고 발열과 전력소비도 올라가고 미세한 고주파도 발생합니다 카드 수명에도 좋지못해서 비추입니다
저 엔비디아 제어판에 G-SYNC 설정 메뉴가 없는데요. 뭐 갈아야하나요?
그리고 FreeSync 이거 한번도 사용한적 없는데요.
FreeSync 이거 나오는 창 어떻게 뛰우나요?
컴퓨터는 22년도에 새로 구매했습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3060 STORM × DUAL OC D6 12GB 제가 쓰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제 모니터가 2016년도 삼성 LS24E393 모니터라서 "G-SYNC" 안 깔리는건가요?
이젠 선좋아요 후시청... 믿고보는 스톰튜브
팩트만 알려드려야쥬. 딱 필요한 지식의 팩트~!
저는 지싱크 기능이 없습니다 지싱크 호환도 없는것같습니다. 다만 AMD 프리싱크기능은 모니터상에서 지원합니다(일단 지싱크 관련 메뉴도 없고 모니터 기술 옵션도 없습니다)
모니터는 60hz지만, 임의로 75hz로 설정하여 쓰고 있고, 게임 내 프레임제한은 73으로 해둔 상태입니다
당연하지만 지싱크없이 프레임과 주사율이 어긋나다보니까 티어링현상이 너무 눈에 띄어서 불편하더라고요
그래서 질문드립니다.
제 모니터에는 프리싱크 off, on, ultra의 3가지 옵션이 존재합니다.
on으로하면 완전히 없애지는 않지만, 게임에 몰입하다보면 느껴질정도는 아니기에 on으로 쓰고 있습니다.
프리싱크를 on, ultra로 하는것에 대해 인풋렉 차이가 클까요?
기분탓일수도 있지만, off로 했을때 가장 잘 반응하는것같았습니다.
off로 했을때 리듬게임에서 반응하는것도 가장 좋았고요
on으로 했을때는 살짝 느낌이 달라지긴 했지만, 심하게까진 느껴지진 않았습니다
수치적으로 차이가 안난다면 그냥 기분탓이니 on으로 해놓고 쓸테지만, 수치적으로도 차이가 난다면 off로 해놓고 쓰려고 해서 질문드립니다
그래픽카드를 nvidia쓰시는지 amd쓰시는지를 안적어주셨네요;;;;; 이래나 저래나 프리싱크를 사용하는거 자체가 인풋렉 증가가 생깁니다. 수치는 모니터 hz에 따라 다 다르구요. 켜는게 약간 손해보는건 사실입니다. 대신 화면 관리가 되는것이지요. 게다가 모니터가 60-75hz라면 애초에 인풋렉이 안좋은 모니터기때문에 그것마저 켜신다면 더 마이너스 효과를 보게 되실듯합니다. 잘 타협하셔야됩니다
@@스톰튜브
그래픽카드는 1060 6gb(존버)입니다
역시 그런가요
귀찮더라도 배그할때는 키고, 리듬겜할때는 끄는게 낫겠네요
@@myc5189 넵 게임에 따라서 필요로 끄고 켜고 하시는게 낫습니다. 그리고 프리싱크 모니터라고 하셨는데 이 영상 설명에서처럼 지싱크 호환 메뉴가 뜨지 않는다면
아예 적용 자체가 안되고 계신겁니다. 혹시나 그걸 켜고 끄고 해서 느끼신다면 해골물입니다.... ㅡ.ㅡ; 애초에 안돌아가고 있는겁니다. 모니터가 정말
별종에 별종이라 돌아가지도 않는게 지혼자 마이너스 효과를 잃으키고 있는게 아닌이상요
@@스톰튜브 적용이 애초에 안되는건가요?
저는 일단 티어링이 확연히 줄어들었다고 느끼고 있기는 한데, 기분탓일수도 있긴 하겠네요
자세히 봐도 줄어든거같긴 하지만...
일단 모니터 모델은 삼성 S24F350입니다 계속 써보고 그래도 차이가 크다 싶으면 한번 더 질문드려보겠습니다
질문에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yc5189 네 아마 일시적으로 헤깔리신듯합니다. 애초에 프리싱크 모니터는 amd 그래픽카드를 쓰지 않는한. 절 대 로 작동 안됩니다.
안녕하십니까 스톰님 모니터 벤큐 2411z 144hz 노지싱크 모니터 /그래픽 1070ti 정도구요
저사양 fps하는데 평균 프레임 150~400 왓다갓다합니다. gpu로드율 30~50프로구요.지싱크 없이 수직동기만 '빠르게' 로 설정해서 해봣는데 부드러움이 너무 좋더군요 저지연은' 켜기' 입니다.
프레임제한 139로 두고 수직동기' 빠르게' 햇을때 보다 그냥 무제한 풀어놓고하는게 게임이 정말 부드럽고 좋더라구요 .
지금 이렇게 수직동기 빠르게 해놓고 프레임제한 없이 써두괜찮을까요?
지금현재로썬 인풋렉응 크게 못느끼겟더라구요
또 수직동기 켜기 와 빠르게는 인풋렉 차이가 어느정도 날까요???수직켜니깐 프레임이 모니터주사율에 맞춰져서 생각보다 별로더군요 빠르게는 프레임이 400까진 나옵니다.
수직동기화 영상 올리기도전에 빠르기를 이미 어느정도 알고 쓰셨군요. 빠르게가
끄기 - (빠르게) - 켜기 입니다. 딱 중간 정도의? 반응력과 화면찢김 방지라고 보시면됩니다.
그리고 프레임제한 없이 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gpu 사용률 99%는 끄기로 쓰던 빠르게로 쓰던 도달하지 못하도록
막아줘야됩니다.
인풋렉 차이라~ 아마 다음 영상 올라올때 설명을 어느정도 추가할꺼 같기한데.
일단 빠르게를 쓰실꺼면 자기 모니터 주사율 보다 무조건 높에 나오는 게임들에서만 쓰시는게 효율이 좋습니다.
그이하 프레임이 나오는경우에 써보셔야 크게 의미 없구요.
인풋렉은 지싱크+수직동기on+자기 모니터 hz보다 -3정도 낮게 맞춘 상태보다
빠르게가 인풋렉이 살짝 더 구립니다.
빠르게는 프레임 터져나가는 게임말고는 안쓰시는걸 권장해드립니다.
해외에서도 빠르게는 자기 모니터의 2~3배 이상 프레임이 나오는게 아니면 별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스톰튜브 감사합니다!!늘 응원합니다!!
선생님 멍청한 질문인데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디아블로2 를 하는데요. 모니터는 165hz 입니다. 그런데 지싱크 설정을 하고 게임내 프레임 제한을 160 정도주면
그래픽 카드가 미친듯이 돌아가는데 게임 내 프레임 제한을 60으로 걸고 해도 지싱크가 작동을 하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지싱크 끄고 60hz 제한 걸고 쓰는게 올바른건가요?
hz는 절대로 건드리지 마시고 프레임 제한만 해서 쓰시면 됩니다. 80-120 정도 내려서 쓰시면서 팬돌아가는 소리에 적응해보세요. 60으로 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스톰튜브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싱크 듀얼모니터 사용에 대해 질문이 있어서 남깁니다
컴퓨터 사양은 라이젠 3600+ 2070super+msi박격포 맥스 조합입니다.
제가 LG 32인치 FHD 60hz + LG 32인치 32GK650G QHD 165hz(지싱크) 이렇게 듀얼모니터
주로 지싱크 모니터로 게임, 메인모니터로 사용중 + 서브모니터로 인터넷 창이나 유튜브 틀어놓는 용도로 사용중
질문1) 보여주신 엔비디아 지싱크설정메뉴에서 1번,2번은 표시 돼있는데
3번 특정 디스플레이를 설정합니다 이부분이 아예 안보이는데 없어도 지싱크 설정이 된부분인가요?..
질문2) 듀얼모니터를 사용하면 게임할때 인풋렉에 큰영향을 주는건가요??
(유튜브영상이나 인터넷 실시간 방송을 같이 켜두면서 사용, 주로 게임 피파를 많이 합니다)
질문3) 두 모니터가 해상도가 QHD FHD도 다르고 재생빈도 144hz 60hz로 다른데 해상도라도 맞춰서 사용하는게 좋은건지
다르게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부분인지 알고 싶습니다
스톰튜브님 다른 최적화 영상이라던지 엔비디아설정을 전부다 보고 모르던 사실도 많이 알았는데
듀얼모니터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남기네요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1. 네 32GK650G 모델의 경우 리얼지싱크라서 3번 안뜨는게 정상입니다.
2. 듀얼모니터 사용시 성능저하로 인한 당연히 인풋렉에 영향을 줍니다. 그러나 본인이 느끼냐 못느끼냐가 중요합니다
3. 두 모니터 해상도가 달르고 헤르츠가 달라도 굳이 맞춰서까지 쓰실 필요는 없고 60hz때문에 144hz쪽이 몇몇게임에서 강제로 60hz로 내려가는게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면서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런거때문에 둘다 똑같은 헤르츠를 쓸려는 사람들이 꽤 있습니다.
캄솨합니다 ㅡ.ㅡ/
3:08초에 엔비디아 수직동기를 3D 응용 프로그램 설정 사용을 하고 인게임에서 수직동기를 켜도 되나요?
네 제어판에서 수직동기는 만질필요가 없습니다.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주연테크 라는 회사에서 x25f 라는 240hz 모니터를 사용 중입니다. 모니터 회사에서는 지싱크 호환이라 하던데 다른 영상에서도 지싱크는 켜지던데 저는 엔비디아에 없는데 혹시 무슨 문제신지 알 수 있을까요?
혹시 hdmi로 연결하셨습니까
@@스톰튜브 네네
@@경민맨-cw9tx1mo4e 지싱크는 99%가 dp 포트 입니다
오..지싱크 접수완료
지싱크가뭔지도모르다가 스톰님 영상보고 프리싱크들어간240hz 유디아 엣지 fm3 27사서쓰는데 매우만족함
지싱크 한번 써보시면 이제 일반 모니터 못쓰십니드아
@@스톰튜브 마즘요ㅋㅋ스톰님 영상 좋아요 다눌렀는데 반갑습니다 만 수십번들었어욕ㅋㅋㅋㄱㄱㅋㅋㅋㅋㅋ노이로제걸릴뻔ㅋㅋㅋ
대표님 자문을 구하고자 질문드립니다 ㅜ
엔비디아 지싱크 설정에 들어가면 3번 특정 디스플레이를 설정합니다 라는게 아예 없어서 찝찝하네요..Ddu로 밀고 재설치해도 똑같고 dp케이블도 제대로 연결돼있는 상태이고요..
또 제가하는 게임은 이상하게
1번 항목인 전체화면 모드로 활성화를 하면 지싱크가 안켜지고
그 아래에있는 창모드 및 전체화면모드로 활성화를 해야 지싱크가 켜집니다. 아래껄로 체크해야 인게임 전체화면을하던 창모드를 하던 지싱크가 제대로 작동하고요.. 이거는 제가 하는 게임문제겠지요??
리얼 지싱크 모니터면 3번은 원래 안뜨구요. 창화면과 전체화면에서 그게 돌아간다면 그 게임이 리얼 전체화면이 아닌 다른종류의 전체화면일수도 있습니다. 어떤게임인지 안적어주셧으니...
@@스톰튜브 배그 레이싱게임 철권 겟앰프드 이렇게 하는데 겟앰프드만 그렇습니다 ㅎㅎ
찐g싱크360hz 모니터에 인게임 최대 프레임이 300이면 수직동화화끄고 g싱크만 켜는게 인풋렉에 효과적인것이죠? gpu는 4090 fhd기준입니다
안녕하세요 스톰형님 또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165hz(인게임 제한 162) G싱크 ON 수직동기화(끄기) 저지연 모두(켜기)
이래 사용 중인데요 (배그 기준 프레임은 140~162 왔다갔다 하는 상황) -평균 159 정도
근데 G 싱크 OFF 수직동기 OFF 저지연모드(켜기) 할때보다 부드러움은 좋은데 중간중간 렉이 발생하더라구요..
저는 인풋렉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1인으로써 어느 설정이 맞는지 아직도 고민입니다.
긴글 읽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모두 끄기하면 140~280 배그기준 사람에 따라 달라지긴 합니다. 다 끄면 보통 180정도 평균으로 프레임나오는 상황인거같아요.
(아 추가로 ELMB 기능이 있는데 이걸 키는게 좋을까요 G 싱크를 키는게 좋을까요..)
배그만 하는사람으로써 좀더 빠르게 반응하고 싶은 맘이 있습니다.
인풋렉이 중요하다 -> 모든 기능 OFF
ELMB는 잔상 관련 기능이라 눈으로 화면을 봐서 미세한 잔상이 눈에 거슬리지 않으신다면 필요없습니다. 그리고 모든 기능 OFF 하고 빡겜 하실려면 GPU 사용률만 99%안찍도록 잘 맞춰주시면 됩니다.
제가 항상 강조하는 95% 이하
마지막에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없는 게임 - 부분에 엔비디아 제어판 프레임 제한(모니터 Hz보다 낮게)
아 프레임제한이 제어판에서 안보이시나보군요. 그거 엔비디아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해주셔야 뜹니다.
그리고 60HZ모니터의경우는 수직동기를 켜서 쓰실꺼면 58-59 제한거는게 의미가 있지만
수직동기 안쓰시는분들은 58 59 거는게 의미가 없습니다.
@@스톰튜브 답변 고맙습니다 지싱크+수직동기 켜고 RTSS로 59로 제한 걸어서 쓰는게 낫겠네요 저지연 모드는 켜기
@@qdbkpqdbkp 넵 맞습니다 그렇게 쓰시면 수직동기화 단점이 보완이 인풋렉도 손해 안보면서 쓰실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상잘보고있습니다!
궁금한게있어서 쫌길게 질문드립니다 각종커뮤니티 사이트에서도 참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내용이고 아직까지도 저도 도저히 해답을모르겠어서요 최대한줄여서 질문하겠습니다
1. 프리싱크쓰고있는데 엔비디아설정에서 페스트싱크도 같이켜주는게 더좋다던데 맞는건가요?(144hz기준)
2.지싱크나 프리싱크 가없다면 페스트싱크라도 켜줘야하는건가요?
(144hz기준)
3. 너무 저사양게임의경우
(예: 3060으로 스타를하는경우)
아무것도 걸지않은 순정상태에서는
프레임이 과도하게나오게되고
그로인해 스터터링 , 티어링 , 알수없는오류(끊김같은) 가 발생될수도있다는걸 어디서본적이있는데 그럴경우는
프레임제한 + 패스트싱크 를 적용해야하는건가요? (144hz기준)
1. 뭐식이 포털에서 보셨나보군요. 틀렸습니다.
2. 패스트싱크는 자기 모니터 hz보다 두배이상씩 프레임이 나올때나 써먹기 좋은것입니다. 비추천입니다. 차라리 프레임제한(hz보다 -1)하고 수직동기 켜는게 낫습니다.
3. 프레임이 과도하게 나와서 화면이 끊겨나가는 현상 -> (제가 올린 피파영상 참조)
프레임제한만 걸어주시면 되고 수직동기는 켜기와 끄기만 쓰시면 됩니다. 물론 지싱크가 없는 모니터는 수직동기 없이 프레임제한을 해도 화면이 짤리는건 어쩔수 없습니다.
다만 144hz 기준 288프레임 이상이 나온다면 프레임제한을 걸고 패스트 싱크를써보는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패스트싱크라는 기능이 한국에서 유독 과장되서 알려지고 있는기능이고. b급 젼문가들이 잘 퍼트리고 있는 기능입니다.
대체적으로 우리가 쓰는 티비(60hz)에 과도한 사양의 그래픽카드를 꽂아서 쓸때 프레임이 180fps도 넘게 나오기때문에 그럴땐 패스트싱크를 한번 써보는것도 나쁘지 않은것입니다.
지싱크가 나온한은 패스트싱크 같은거 필요없습니다
@@스톰튜브
그럼 결론적으로
1.프리싱크쓰는 모니터는 프레임제한 만 139로 걸고 사용하면되나요?
2.지싱크도 프리싱크도없는모델은
프레임제한 139에 수직동기를키고하라는 말씀이신건가요?
3. 지싱크 하위호환버전이 프리싱크말고 또있는걸로아는데
(가짜지싱크) 저희집모니터는 amd프리싱크 지원모델입니다
그럴경우도 엔비제어판에서 지싱크설정 키고 사용되나요? 그래픽이 amd가아닌데 지원이되는건지궁금해서요
그리고 굳이성능을비교한다면
지싱크 > 프리싱크 > 가짜지싱크
가맞나요?
@@그레그레-d5f 1. 프리싱크(지싱크호환) 144HZ 기준 139-141 프레임제한 걸고 지싱크ON+수직동기 ON/OFF 선택사항.
2. 지싱크 프리싱크도 없는 모델은 144HZ기준 143프레임제한 수직동기 ON
(화면 안짤리고 부드럽게 쓰기 위한 조건)
3. 지싱크 하위호환버전이 프리싱크라는 소리는 어디서 나온소리이며 그 밑버전이 있다는소리는 또 어디서 나온소리입니까?
지싱크 리얼 -> 프리싱크 = 지싱크호환 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3개다 똑같은 기술인데 소프트웨어냐 하드웨어냐의 차이이고 관리범위가 조금씩 다르고 약간의 기술이 다를뿐이지 다 한통속입니다
@@스톰튜브 감사합니다
근데 2번은 좀의아하네요 수직동기화는 144가정말완벽하게 방어되지않으면 스터터링은 어쩔수없는데 2번설정은좀 의아했네용 143제한에 수직동기는 끄라고하실줄알았습니다
@@그레그레-d5f 2번은 수직동기화라는 기술을 이해하셔야 왜 저렇게 설정하는지를 아시게 되는겁니다.
60HZ는 59제한걸고 수직동기를 켜는것이고 144HZ는 143 제한을 걸고 수직동기를 켜는것입니다. 물론 화면이 안짤리게 하고 60/144HZ에 도달을 하지 못하고 프레임이 떨어졌을때 폭증하는 인풋렉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수직동기화를 이해하지못하시면 왜 이렇게 쓰라는지 이해불가능하게됩니다.
수직동기를 끄라고 할꺼면 144FPS제한을 걸고 수직동기를 끄라고 하겠죠. 그리고 온라인게임 기준이면 일반모니터라도 144HZ면 280FPS이고 380FPS이고 더 높은 프레임으로 나오게 하고 수직동기를 끄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스톰튜브님. 몇일전부터 지싱크관련 정보를 찾아보고 있는데요. 이유는 제가 구매한 모니터가 Lg 지싱크 컴패터블?? 호완가능한 모니터인데 모델은 27GL650F-B 입니다. 사용하고있는 그래픽카드는 지포스 2070슈퍼구요 드라이버는 최신버전입니다. 모니터에서 프리싱크를 켜고 드라이버 제어판에서 지싱크 설정도 완벽하게 했습니다. 잘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어서 지싱크 호완 표시기를 켰는데 그 어디에도 지싱크온 표시가 없습니다. 혹시나 해서 이것저것 만지며 게임에 접속해도 안보이네요. 모니터 주사율은 144이며 게임 프레임은 아무리 잘쳐줘도 100왔다갔다 합니다. 프레임때문인가 싶어 게임내 설정가능한 60고정으로 해봐도 마찬가지구요. 대체 뭐가 문제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dp 케이블로 연결하셧어요?
@@스톰튜브 네 모니터 구매 했을당시 dp포트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그걸로 사용중입니다. 답답한 이유가 모든조건이 충족하는데 지싱크온이 왜 안뜨는지 모르겠습니다. 게임마다 안뜨는것도 있는건지..아님 디피케이블이 안좋은건지..프리싱크 켤때도 지싱크 켤때도 화면 깜빡거리는게 적용이 된것같은데 확인할 방법이 없네요
@@bbkbn3661 그러실땐 엔비디아공식사이트에 지싱크 확인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거 써보세요. 시계 추 돌아가는 프로그램입니다
@@스톰튜브 아아 그런게 있군요. 집에가서 한번 찾아볼게요. 근데 지싱크온이 안뜨는 사례가 있는건가요?? 어제 네이버 구글 퀘이사 다 뒤져봐도 저같은 경운 없더라구요
@@bbkbn3661 거의 다 떠야 정상이긴합니다 ㅡ.ㅡ; 지싱크 범위 오류가 있는게 아닌한은
초보자라 영상을 봤는데도 약간 헷갈리는 게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예시) 게임: 오버 워치
모니터 144hz
엔비디아 제어판 켜고 영상처럼
지싱크 on
전체 화면
특정 디스플레이 설정 체크
3D 설정 관리에서
전역 설정은
모니터 기술 지싱크 호환
수직 동기화는 3D 응용프로그램 설정
프로그램 설정은
사용자 정의할 프로그램 오버워치 설정
수직 동기화 켜기
---------------엔비디아 제어판 끝--------------------------------------------
오버워치 켜고 옵션 가서
프레임 제한 141hz 설정
수직 동기화 활성화
------------------------------------------------------------
이게 맞나요 ????
틀린점 있으면 알려주세요
네 수직동기화 켜시는거보니 빡겜 유저는 아니신가보군요. 144hz.라면 수직동기화 켜고 138~141쯤 맞추는거 맞습니다. 지싱크 유저 기준
@@스톰튜브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빡겜으로 하려면 위 처럼 설정 후
엔비디아 제어판 3d설정 프로그램설정 오버워치 수직 동기화 끄기
오버워치 게임 옵션가서
수직동기화 비활성
이렇게하면 빡겜 모드 맞나요?
@@apelclsla 빡겜 하실려면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합니다. 수직동기 끄기는 기본이고. 지싱크는 되도록 켜는것이고. 본인 컴퓨터에서 나오는 최대 성능을 활용하고 그래픽카드 사용율을 95%이하로 맞춰서 프레임제한을 하시면 됩니다
애초에 엔비디아제어판에서 왼쪽에 디스플레이버튼이 없는데 이게 어떻게된건지모르겠어요.. DP포트로 사용중인데도 보이질않아요;;;
혹시 듀얼 모니터 사용중이시거나 설정 자체가 이미 꼬이신거 같긴 합니다. ddu로 날려보시고도 안나온다면 윈도우가 어딘가 꼬여있을 문제일가능성도 있구요
@@스톰튜브 네 감사합니다
꽤 지난영상이라 답변을 주실지는 모르겠으나...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지싱크만 켜서 사용해보는데 체감이 안되는 것 같은 느낌이 있어서요...
지싱크를 켜고 나서 프레임 제한을 거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됩니다 만은,
엔비디아 제어판의 수직 동기와 인게임 수직동기화는 켜는게 맞나요? 끄는게 맞나요?
엔비디아 제어판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1도 손대실필요 없고 게임안에서 켜고 끄고 하시면 됩니다. 지싱크를 켜놓고 있으실때 체감하실려면 화면이 빠르게 움직이는 게임이여야됩니다. 아니면 60-100프레임 사이에서 체감해보시는것도 좋구요.
지싱크에 수직동기를 켜고 끄고의 차이는 화면 하단에 짤려나가는 미흡한부분까지 더 보완해줍니다. 그게 안느껴지신다면 끄고 쓰시는게 인풋렉에는 더 좋습니다
스톰님 지싱크on + 수직동기on+프레임제한 쓰는데 배그 콜옵은 이상이없는데
다른 특정게임만 하면 화면이 깜빡입니다.
원인을 보니 엔비디아 수직동기 때문이더군요 수직동기 끄면 괜찮으나 부드럽지 않아 불편해서요
혹시 엔비디아의 수직동기 on 말고 엔비디아 3d응용 두고 인데임수직동기 on 해두 괜찮을까요??저번에 인게임수직동기는 안좋다는 얘기를들어서요. 인게임 수직동기 on 시 깜빡임 없어집니다
넵 수직동기는 엔비디아 제어판께 좋을때가 있고 게임안에 내장된게 좋을때가 있습니다. 그 두개의 차이를 느끼는분들이 아주 극히 드물죠 . 본래 게임안에 있는 수직동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때는 엔비디아 제어판에 수직동기를 써야되는데 그 원인을 모르는분들이 많습니다.
제 채널 개설후에 그 두개의 사용여부를 물어보시는 첫번째분이 되셨군요 ㅋ
@@스톰튜브 ㅎㅎ네 그리고 궁금한게 수직동기 빠르게 쓰는건 어떤가요?? 인풋렉 괜찮습니까??
@@shootheadbro 빠르게는 켜기와 끄기 중간입니다. 켜기로 쓸려니 인풋렉이 너무 오르고. 끄기를 쓸려니 티어링(화면짤림)이 생기고. 해서 애매하게 중간쯤을 잡아줄려고 만들었습니다.
근데 해외에서도 빠르게는 자기 모니터 hz에 두배이상 프레임 나올 성능 아니면 권장하지도 않습니다.
@@스톰튜브감사합니다!
인게임 수직동기화는 안쓰는게 좋나요? 저지연도 요새 겜들은 NVIDIA Reflex Low Latency 라고 항목이 인겜내에 따로잇더라구요ㄷㄷ
지싱크호환가능한 모니터를 구매하려하는데, 그럼 설정에 프리싱크 설정기능이 무조건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현재모니터엔 없어요.)그리고 지싱크를 켰을 경우에는 수직동기는 따로 켠다거나 설정을 안건드려도되는건가요?
네 지싱크 호환 모니터는 거의 대부분이 메뉴에 프리싱크 항목 있습니다. 지싱크 켯을때 수직동기 켜고 끄고 여부는 더 배우셔야 ㅡ.ㅡ;
@@스톰튜브 아 일단 엘지모니터로 지싱크되는거 사야할것 같습니다. 수직동기는 끄고 지싱크 켜볼게요!!
타르코프는 이상한게 지싱크를 켜면 티어링이 생기고 안키면 정상이네요 ㄷㄷ 발적화에 지싱크 적용이 제대로 안되는듯
그래서 타르코프 최적화좀 해달라는분들이 있으신거 같습니다 ㅋ
스톰튜브님
지싱크 NULL모드 사용할시에 "오버워치"라는 게임 한정에서
인게임 수직 동기화를 키는게 나을까요?
인게임 수직 동기화 끄고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 동기화를 키는게 나을까요?
한 유튜버 보니 인게임 수직 동기화가 인풋렉이 더 낮다던대 어떤갑쇼
프렌임 제한은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제한 하는거 보다 인게임 에서 프레임 제한하는게 더 낫다는 해외 자료는 본 거 같습니다.
한 유튜버를 말하는거라면 배틀넌센스 말씀이신가 ㅋㅋ 단순 오차범위일뿐입니다. 프레임제한은 인게임에서 하는게 낮은거 맞고. 수직동기화는 게임내에껄 쓰는거나 제어판껄 쓰는거나 사람이 느낄수 없는 차이만 생길뿐입니다. 단지 게임내에 수직동기화가 너무 허접해서 화면 끊김이 생기거나 문제가 있을때 제어판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편입니다.
물론 인풋렉 연구소에서는 제어판 수직동기를 권장하는편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게임안에 있는 수직동기화가 눈에 보이는 수직동기만 켜지는게 아니라 숨겨진 다른기능(삼중버퍼링)같은거까지 같이 켜져버릴수도 있기때문에 제어판껄 권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 그래픽카드는 GTX960인데 다른 분의 영상 보니까 G싱크는 GTX10시리즈부터 된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러면 저는 저지연모드만 활용하는 게 좋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넵 지싱크는 1000부터만 됩니다. 저지연모드는 지싱크와 상관없이 쓸수 있고 켜기로 쓰시면됩니다
@@스톰튜브 아이고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3년전 게시글이지만 질문을 꼭 드리고 싶습니다.
원신 (인게임 내 프레임레이트 60, 수직동기 ON), 사용모니터 : 오디세이 G8 OLED
하는게임이 원신인데 지싱크를 켜면 오히려 게임화면이 끊기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지싱크를 끄고 하고있습니다..
딱히 FPS게임을 하는건 없는데 지싱크는 그냥 끄고 쓰는게 좋을까요??
모니터는 프리싱크를 지원해서 짭싱크로 쓰는 형태인데, 그냥 기능이 있는데 안쓰면 아까워서 이번에 이 영상보고 셋팅을 했던 것인데
화면이 더 끊기게 보이니 이상해서..
가끔 지싱크 호환 모니터들중에 주파수 범위가 애매한 애들이 좀 있습니다. 그 모델이 175hz 긴 하지만 48-175 일수도 있고 68-175 뭐 이런식일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상황이 벌어질수도 있구요. 그 외는 높은 hz 모니터에서 60프레임 정도의 화면으로 보면 60hz에 60fps 모니터를 볼때보다 뭔가 좀 불안정해보이는 현상들은 간혹있습니다. 그래서 60fps 원신은 끄고 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다른 모든 게임들도 60프레임으로 설정해서 화면이 똑같은지 한번 비교해보셔도 좋죠
감사합니다 왠지 말씀주신 그런 현상들 같습니다. 다른 콘솔 게임들도 지싱크를 끄는게 훨씬 더 화면이 부드럽습니다.. 저는 그냥 끄고 해야겠네요 ㅎㅎ @@스톰튜브
엔비디아 제어판에 지싱크가 안뜨는데 무슨 문제인지 아시나요?
영상 후반부에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없는 게임은 지싱크와 엔비디아 수직동기를 같이 키고 프레임제한을 하는게 좋다고 나와있는데 로아 최적화 영상에선 프리싱크(지싱크)를 키면 웬만해서 수직동기는 끄라고 설명하셨던데 어떤 것이 맞는건가요?? 로아는 인게임 프레임제한 설정이 없는걸로 압니다!
각 게임들과 영상들마다 왜 그렇게 써야되는지 설명을 하는 편이고 자막에도 잘 보시면 이유를 설명해놨습니다.
온라인 게임은 지싱크를 되도록 켜고 수직동기를 끄는게 이득입니다.
fps 온라인은 상황에 따라 지싱크도 끄고 씁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인게임 프레임 100hz 제한이고 제 모니터는 144hz 입니다 그러면 엔디비아에서 139hz로 프레임 제한 걸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97hz 정도로 걸어야 되는건가요? 게임 옵션에서 프레임 낮추고 올릴수 없는 게임 입니다
그리고 게임내에서 수직동기 켜기 끄기가 있으면 지싱크On + 엔디비아 제어판 수직동기 응용프로그램 설정 + 인게임 수직동기 On + 저지연모드 - 울트라 이렇게 하면 되나요?
근데 제가 하는 게임이 격투 게임이라서 반응속도에 민감한데 엔디비아 설정에서 그냥 수직동기 꺼도 되나요?
hz와 fps를 구별을 잘하셔야됩니다. 비슷한거 같지만 같은 부류가 아닙니다. 인게임 제한 프레임이 100fps인건지 hz가 100인건지 부터 알아야됩니다. 대부분의 게임이 100hz를 제한하는 경우는 없기때문에 100fps 이라고 생각한다면. 139 프레임 제한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지싱크 범위안이기 때문에
게임내 수직동기가 있다면 제어판에 수직동기는 (응용프로그램제어)가 맞습니다. 손댈 필요가 없습니다. 물어보신대로 게임안에거 쓰시면 됩니다.
철권이나 격투게임 킹오바 같은애들은 수직동기 무조건 끄는게 좋습니다. 근데 화면이 짤려나가는게 보이겠죠. 그걸 개선할려면 지싱크를 켜야됩니다.
오로지 빡겜 유저라면 지싱크도 쓰지말고 수직동기도 끈 상태로 전체화면으로 하시면 최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잘봤습니다. 제가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마지막에 말한대로 설정하여 짭싱크를 사용한다면 인게임에서의 수직동기화 및 프레임제한은 모두 끄고 사용해야하나요?
지싱크 관련 항상 궁금했던점이
수직동기를 킨다면 인게임에 제어권을 넘기는건가 아니면 제어판에 넘기는가에 대해 의문시 했는데
직접 제가하는 동일한 게임 환경에서 벤치를 해보니 제어판 수직동기 인게임 수직동기 오차범위 내의 평균 프레임과 1%로우 프레임레이트를 보여 동일했고 오히려 제어판 수직동기가 스터터링이 일어나지 않는 환경이더군요.
물론 다른 게임에서도 이런 동일한 결과가 나올지는 모르지만 이런 식으로 하나하나 밝혀나가 최적화를 하는 재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ㅋㅋ
네 잘 연구하셨네요. 게임에 따라 게임안에 수직동기가 괜찮을때도 있고 안에께 불안할땐 제어판껄 써보는게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스톰님~ 질문이있어 적어봅니다
모니터는 좋은모니터가아니라 165hz 어댑티브싱크 지원 모니터입니다 프리싱크라고 적혀있던데 자세히는 어댑티브싱크 인듯싶습니다
현재하는게임은 스타랑 스팀싱글게임들 위주입니다
지싱크on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수직동기on 인게임에선 수직동기off 이렇게 사용해도 문제없을까요?
아그리고 모니터가 165hz인데 프레임제한을 144로 걸어놔도 될까요?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동기는 건드리지마시고요. 한군대만 쓰시면 됩니다. 165라도 144 걸어도 됩니다
@@스톰튜브 지싱크키고 수직동기는 인게임 제어판둘다 꺼도될까요그럼? 아침부터 답변감사합니다♡
새벽내내 스톰님 영상보면서 공부하는데 이해하면할수록 머리가 띵해져 헷갈리는 포인트들이 많아져서 질문남깁니다 ㅜㅜ.
앞선 영상들을 쭉 보니 지싱크, 수직동기화, 저지연모드, 프레임제한등 설정에 따라 부드러움이냐 반응속도냐에 갈리는 걸 보았습니다. 근데 이러한 설정들을 엔비디아 제어판 아니면 인게임내에서 같은 설정인데 다른 곳에서 설정한다고 해야할까요?? (ex 수직동기화)이렇게 설정하는 곳에 따라 차이가 있을까요?? 있다면 최적의 세팅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게임은 오버워치, 배그 위주로 하구요. 모니터는 LG27GN750 240hz에 adaptive sync입니다. 추구하는 건 인풋렉과 끊김없음의 절충점을 찾고싶습니다.
마지막 한가지 더 여쭤보고싶은건 모니터의 자체 설정 또한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나요?? 아니면 그냥 냅둬야하나요?? 제가 사용중인 모델이 adaptive sync에 응답속도 또한 설정가능한 모델인데 이걸 건드려줘야하나요?? 최적의 설정을 찾고싶습니다.
ex) 엔비디아 제어판 G Sync on, 모니터 adaptive sync on / 인게임 수직동기화 off / 저지연모드 켜기 / 모니터 응답속도 빠르게 / 인게임 프레임제한 237
이런식으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습니다 ㅜㅜ
+ DAS 모드라고 이것도 인풋렉과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 머리가 지끈거립니다... ㅜㅜ 도와주십쇼
지싱크 on + 모니터 어댑티브 on + 인게임 수직동기화 off + 저지연모드 켜기 + 모니터응답속도 빠르게 nono. 잔상없는 타협점 + 인게임 프레임제한 225 + gpu 사용률 95%이하 + 모니터 인풋렉관련기능은 무조건 on
@@스톰튜브 정말 감사합니다!! ㅜㅜ
@@스톰튜브모니터 응답속도 빠르게는 왜 Nono인가요?
@@최선규-e6o 어차피 지싱크 켜먼 거의 모든모니터가 응답속도 잠김니다. 혹여나 안잠기는 애들중 응답속도가 최대빠르기로 갈수록 역잔상이 터지는 애들이 대부분이구요
지싱크온 수직오프로 썼는데 수직동기화 키고 써봐야겠네요
지싱크 on + 수직동기 on 하면 하단에 짤려나가는거까지 막을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간의 인풋렉 증가가 있다는점. 그 하단 짤려나가는거 보기 싫으시면 on
안녕하세요 같은모니터 사용중입니다 모니터설정에서 Adaptive-syns 기능이 있는데 이 기능을 켜면 주사율 및 응답속도 설정이 안되는데 끄고 쓰는게 좋나요??주로 하는게임은 피파온라인 입니다 게임할때 뭐가 유리한지 너무 궁금하네요ㅜ답변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빡겜 유저시면 그것도 끄시고요. 즐겜 유저시면 켜고 지싱크 켜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유익하게 보고있는 시청자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제모니터가 한성2757c커브드 144hz 프리싱크 지원 모니터 사용중인데요 지싱크사용하면 화면 떨림 티어링현상이 심해서 해결 방법이 없나요 다른 유툽채널에서 해결책이라고 한거 다해봐도 증상은 그대로네요 그냥 끄고 사용해야 할까요?
그 모니터가 지싱크가 제대로 돌아가는지부터 해보셔야됩니다. 국내 중소기업 모니터들은 지싱크 호환이라고 붙여놓긴 했어도 제대로 작동안되는거 많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지싱크를 잘써보실려면 모니터 프리싱크 on + 제어판 지싱크 on + 수직동기 on까지 하고 써보세요
@@스톰튜브 네 감사합니다
역시 엔비디아 수직동기화 켜기로 몇개월동안 잘쓰고있는데 인풋렉 그런거 1도 안느껴지는거 사실 입니다. 마우스 포인터 향상을 끄라니 수직동기화를 끄라니 이방성필터링 x16으로하라니 이런것들은 전 그런말 안믿고 스톰님 말씀대로 했습니다 결과는 뭐 배그할때 전혀 인풋렉차이 못느끼겠습니다.오히려 수직동기화를 킨게 더 깔끔하고 게임하기 좋던데요 ! ㅎ qhd165hz 모니터 써서그런가 ㅎㅎ;; 손가락 반응속도에서 진적은 있어도 인풋렉차이로 졌다는 느낌은 못받았으니깐요 ㅎㅎ;; 나름 배그 6000 점 전시즌 찍고 최다킬은 19킬정도 한입장에서 수직동기화는 항상 켜놓고 하는데 역시 스톰님 말씀처럼 초인이 아니라 구분 불가 입니다 ㅎㅎㅎ
수직동기화는 hz가 높을 모니터일수록 더 보통사람이 느끼기 힘들쥬. 144hz에 수직동기 켠겨보다 240hz에 수직동기 켠게 더 인풋렉 증가수치가 낮기때문에 어차피 60hz 쓰는사람들이 수직동기 켜면 격하게 차이가 느껴지지만 144부터는 수직동기 켜도 144프레임근처대를 유지한다면 인풋렉 차이 심~~~~~~~하게 잘 못느낍니다 ㅡ.ㅡ/
@@스톰튜브 맞아용 ㅎㅎ 수직동기화 인식도 스톰님 덕분에 싹바꼇습니당 ㅎㅎ 항상 좋은영상 보고 올바른 지식을 알게되어 감사합니당 ㅎㅎ
지싱크 얼티메이트 Lg34gp950g (찐싱크 최신버전?) 모니터 사용중인데 인게임 프레임 제한은 엔비디아 수직동기화 키면 안해도 된다는 글을 봐서 뭐가 맞나요 다들 의견이 달라서 너무 헷갈리네요 ㅠㅠ
배그유저입니다 모니터는 240hz 지싱크호환 모니터 이지만 본체는 3300x 1660s 라서 240hz 방어를 못합니다 평균프레임은 159프레임 정도 나오면 지싱크on 수직동기off 인게임프레임제한 156정도 걸면 맞게 설정되는건가요? 추가로 저지연모드 켜기로 하면 좋을까요?
아니면 배그 게임하면서 프레임 100퍼 고정되는 수치를 찾아서 지싱크설정을 해야할까요?
형님 지난번 지싱크 관련 영상에서도 그렇고 보여주신 표로 볼 때는 지싱크 켰을 때 수직동기를 끄든 켜든 인풋렉이 똑같은 거 같은데 특별한 경우 아니면 끄기를 추천하시는 거 같아서 헷갈립니다ㅠ
원래는 지싱크 사용 안하고 쓰다가 최근에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 켜기 저지연모드 켜기 이렇게 사용중인데 착각인지 몰라도 지싱크 켜고 수직동기만 꺼놨을 때보다 에임에 미묘한 떨림이 있는거 같은데 관련이 있을까요? 그리고 반응 중요한 게임만 하는데 수직동기를 끄는게 나을까요?
지싱크 on 상태에서 수직동기 켜면 눈콥만큼의 인풋렉 증가는 있습니다. 그 수치는 모니터 스펙에 따라 조금씩 또 다르고.
화면 떨리는거나 부드러운게 먼저면 지싱크+수직동기 꼭 켜야됩니다.
중요한 게임할때만 인풋렉을 위해 수직동기 끄고하세요~ 온라인 fps같은것들
@@스톰튜브 감사합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저는 lg24gl600f 144hz모니터 사용중이라 모니터자체에 프리싱크기능을 켜 엔비디아에서 지싱크호환으로 사용중입니다
영상에서 말씀해주신것처럼 지싱크호환상태(게임중 모니터상단에 g-sync라고 뜸) 에서 수직동기off 프레임139로 제한걸어서 사용하면 배그는 이상없이 잘돌아갑니다
하지만 피파4실행시 같은조건에서 수직동기off시 게임내 공을 주고받으면서 화면전환이 빨라지는경우 화면이 끊기는듯한 잔렉이 발생합니다
전체화면 최적화중지 체크는 안한상태이고 마찬가지로 엔비디아에서 139프레임으로 제한한 상태입니다.
혹시나해서 수직동기를on상태로 바꾸니 끊기는듯한 잔렉이 사라진느낌입니다. 그래서 현재수직동기on상태로 쓰고있긴한데 조금 찝찝해서요..
(화면은 부드러워졌지만 인풋렉영향을 미치지않을지..)
피파4게임자체의 문제일까요? 아니면 제가 잘못설정한 부분이 있을까요?
이럴수가 제 채널 1년이나 구독하신분이 피파 최적화 영상 부분을 제대로 못보셨군요. 피파4는 전체화면 최적화 사용중지 체크 하셔야됩니다. 제가 설명에도 적어놨고 고정댓글로도 적어놨습니다.
그리고 이런 설정으로 쓸때 피파는 경기화면이 아닌 그 세레모니 화면이나 다른 줌 화면 나올땐 화면이 느려지거나 빨라지는건 정상입니다.
@@스톰튜브 피파4인게임 내 브이싱크기능이있는데 끄기설정하고 앤비디아에서도
수직동기off 저지연모드켜기로 설정하면 되나요?
스톰님 지금 지싱크 컴패티블 모니터 144에 9900k 52배수 2080ti 쓰는데요 벤큐 쓰다 어지러워서 지싱크 144로왔습니다 배그유저고요 인게임 138제한에 지싱크on 수직동기 제어판 인게임 둘다 off 저지연 울트라로 쓰는데 맞게쓰고있는건가요 ? 수직동기랑 저지연 뭘로 설정해야하는지 헷갈려서요 스톰님 영상은 다봤어요
인게임은 139-141 정도 쓰시면 되고 138도 상관없습니다. 제어판 지싱크 on 수직동기 (응용프로그렘제어). 게임안 수직동기 off. 저지연모드 켜기(또는 울트라)로 쓰시면 됩니다. 그 상황에선 저지연모드를 켜기로 두나 울트라로 두나 똑같으니 둘중 아무거나 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스톰튜브님 윈도우11부터는 전체창모드(테두리없는창) 전체화면 이 두 모드가 프레임 차이도 없고 전체창모드를 윈도우도 밀어주고 다이렉트도 밀어준다고 하는데 팩트체크 부탁드립니다!
우와 일일히 댓글까지 달아주시고 고생하시네요..엔비디아 제어판 프레임 제한(모니터 hz보다 낮게)라고 적어주셧는데 모니터 hz가 170인 경우에는 얼마나 낮게 제한을 걸어두어야 할까요?
170에 지싱크면 163~165 정도가 적당하겠죠~ 지싱크가 아니라면 당연히 또 달라진다는점
안녕하세요 올리시는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모니터에 지싱크 + 오버드라이브 설정 이 좋나요
Mprt2 기능을 쓰는게 좋나요
Mprt2를 키면 지싱크를 사용할수가 없어서
둘중하나만 고르면 어떤게 좋은지 잘모르겠습니다.
지싱크 + 오버드라이버 쓰세요. mprt는 응답속도만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화면 부드럽게 만드는거랑은 다릅니다
@@스톰튜브 감동이네요 제 첫댓글에 답변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매번댓글남겨도 다른분들 답변듣기 힘들거같아서 안남겼는데 스톰튜브님 덕분에 좋은 기억생겼네요 . 감사해요! 다른것들 질문있으면 남길게요.
눈이 정말 예민해서 피시방 .친구집 컴 . 저희집 컴 번갈아 쓸때마다 정말 적응이 안됬습니다. 프리싱크 인풋랙 응답속도 등 많은 공부하고있는데 정말 도움많이 됬습니다.
궁금한게있는데.. 프리싱크와 지싱크중 어떤게 인풋랙을 덜 올리는 건가요?
만약 좀더 칼같이 제 마우스에 감기는 걸 원한다면 둘다 끄고 게임을 해도 좋을까요? 알아보고있는 모니터가 인풋랙이 5ms인데 이정도면 칼같은 화면 기대해도 되는걸까요?(응답속도는 1ms gtg 입니다)
지싱크 모니터라면 프리싱크를 켜야지만 그게 지싱크로 작동됩니다.
물론 지싱크가 인풋렉이 좋냐 프리싱크가 좋냐? 라고 물어보신다면 프리싱크가 인풋렉이 대체적으로 좀 더 낮은 결과들이 나와있습니다. 프리싱크+amd 그래픽카드를 쓰셔야되는것이죠
그외 엔비디아를 쓰신다면 프리싱크를 켜도 어차피 g싱크로 돌아갑니다. 똑같은 원리의 기능이라 그렇습니다. 칼같은 반응을 좋아하신다면 지싱크도 끄셔야됩니다.
인풋렉이 요즘 모니터치고 평균이 5ms면 조금 높은편이네요. 디스플레이리뷰에서 보셨는건가? 대체적으로 요즘 모니터들은 2~5ms 3-5ms 요런식입니다만. 최저가 2~3이라면 괜찮습니다. 평균이 5ms라면 찔금 말이 다르구요.
그리고 마우스에 깔끔한 반응을 원하신다면 응답속도보다는 HZ를 높은걸 사셔야됩니다 240hz에 마우스도 2000hz이상 쓰시는게 낫습니다
@@스톰튜브 240hz에 인풋랙이 낮은걸 가려면 비용이 너무 세서 어쩔 수 없을 것 같네요 ㅜㅜ .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이때까지 수직동기화는 프레임을 60으로 고정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잘못 알고 있던 건가요?
그리고 짭싱크키고 수직동기화 끄면 싱크가 적용이 안되나요? 꼭 둘 다 켜야하나요?
이 부분이 햇갈리네요.
네 수직동기화가 60에 고정시키는건 먼 아주 먼 옛날 60hz 모니터만 있을때 이야기입니다. 짭싱크 켜고 수직동기화 꺼도 지싱크 적용됩니다. 다만 그 모니터 hz 범위 안에 있어야됩니다
@@스톰튜브인풋렉 그런거 처음들어서 모르겠는데 말 그대로 키보드나 마우스로 인풋했을 때 값이 낮을수록 모니터에 빨리 적용되는 건가요? 응답속도 비슷한건가요? 그리고 수직동기화는 그래픽카드가 지정한 프레임 만큼 일하도록 제한하는 건가요?
옛날에 fps는 무조건 수직동기화 끄라고 알고 있었고 지금까지 모든 게임에 수직동기화를 끄고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최대 프레임 144에 고정하고(모니터 144) 사용했는데 별로 안 좋은 방법인가요?
영상 다 시청했는데 지싱크 켜고 수직끄라 했다가 지싱크 수직 다 켜고 저지연모드 울트라 쓰면 된다고 하는데 무슨 차이인지 모르겠어요.
울트라 하면 전기 더 나갈 것 같아서 안 쓰고 싶은데 인게임 프레임 제한이 버튼식으로 “144” 다음 바로 “72” 가 있으면 지싱크 포기하고 144하는게 맞나요?
진짜 지싱크가 아닌 어댑티브 싱크 사용 하는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표시기 체크했고
동영상에 보여준 똑같은 게임으로 예측되는 니드 포 스피드 히트를 받아서 해봤는데
왼쪽에 안뜨고 오른쪽 위 꼭대기에 지싱크라고 뜨는데 정상 맞나요??
그외로 로스트 아크도 원래 왼쪽에 뜨는걸로 알고 있는데 오른쪽 위 꼭대기에 지싱크 표시가 뜨니까
적용이 된건지 모르겠네요...
드라이버 버전에 따라 지싱크 표시 디테일이 달라져서 그렇습니다
짭싱크 on+수직동기화on+인게임 '모니터 최대프레임-8' 프레임제한+hdr on+windows hdr calibration 앱 보정+인게임 hdr보정+인게임 리플렉스 on&boost+저지연모드 '켜기'
이렇게 설정했는데 제 모니터가 s27ag520으로 165hz인데 인게임 프레임제한 162로해도 157~8 고정적으로 나오길래 그냥 157로 프레임제한했습니다
궁금한게 리플렉스 on+boost면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저지연모드는 꺼야될까요? 아니면 켜도 상관없을까요?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 영상보고 거의 그대로 따라서 설정은 했는데 추가로 잘못된게 있는지도 궁금하네오
찢어짐 없는 부드러운 화면을 선호하고 인풋렉 적을수록 당연히 좋지만?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리플렉스 지원하면 리플이 상위 버전이라 그거 쓰시면 되고 제어판에 뭘 설정해놨던 무시되니까 냅두셔도 됩니다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이해했는데 제가 하는 게임에서 프레임 리미트가 60, 144 이런식으로밖에 없어서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139로 설정하고 수직동기 켜고 저지연 모드 켜기로 했습니다. 이럴 경우 인게임 설정에서는 수직동기를 on으로 해야하나요 off로 해야하나요? 제가 하는 커뮤니티에서는 엔비디아에선 수직동기 켜고 게임에선 끄라던데 맞나요??
그리고 유튜브 채널 찾게 된게 그래픽카드 고주파음때문인데.. 그래픽카드 로드율이 80정도밖에 안되는데도 좀 납니다. 접지는 다 돼있는거 같습니다. 2060super에 650w라 파워문제도 아닌거같습니다. 그래픽카드 as도 1회 받았는데 gta5, 포르자호라이즌4 등 고사양 게임에서만 이러네요 ㅠㅠ
지싱크를 잘사용하기 위해선 139-141로 제한을 하신후 하시면 되고 수직동기는 게임내 수직동기와 엔비디아 제어판 수직동기를 도토리키재기이고 게임에 따라서 뭐가 더 좋고 안좋고는 완벽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는 이상 아무도 알수가 없습니다. 엔비디아 제어판에껏이 무조건 좋은건 아닙니다. 대체적으로 외계인 사이트에서 추천하는게 엔비디아 제어판껏이긴 합니다만. 그것도 특정게임에서 완벽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는 이상 뭐가 더 좋은지는 미지수구요.
고주파는 집안에 전자장치들에 의해서거나 전기접지로 인해 생기는게 대반수인데. 그게 다되어있는 상황에서도 나는건 그냥 100% 제품 문제입니다. a/s 받아도 그 모델 자체가 고주파에 취약하게 만들어진 제품의 경우는 뽑기로 계속 교체 받으셔야됩니다.
아니면 정말 그게 제품탓인지 본인집에 탓인지 알고 싶으시면 그 그래픽카드를 다른집에 꽂아보시거나 본체를 그대로 들고 다른집 가서 꽂아보시면 됩니다 ㅡ.ㅡ;
고주파라는게 본체안에있는 보드와 파워와의 조합때문에도 간혹 재수없게 발생되기도 하기때문에 여러가지 다 테스트 해보셔야됩니다만. 그냥 말로만 들어봐서는 제품 제조공정때문에 생긴 종특 고주파는 뽑기운으로 교체를 계속 해보시는거 말곤 그다지.....
고주파는 진짜 자기집 탓일수도 있으니 그것도 제가 말한대로 다른집가서 테스트해보시는수밖에 없습니다.
@@스톰튜브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고주파는 정말 답이 없군요..
@@김정후-j9f 제가 쓰는 xl2740벤큐도 70만원자리 고주파 똥 모니터입니다. 날고 기어도 못고치고 부품을 3~4번 바꿨는대도 발생합니다 ㅋ 이런건 제품자체의 실패작이죠. 물론 뭐 다른집가서 테스트는 아직은 안해봤습니다만. 접지 콘센트까지 써서 별에별짓 다 해봤지만 종특입니다.
180Hz 모니터를 사용중입니다
지싱크 + 수직 동기 (켜기) + 저지연 (울트라) + 최대 프레임 속도 (끄기) 이렇게 사용하고 있는데
저지연을 끄면 180 프레임이 나오고 울트라로 설정하면 171 프레임이 나오는데 정상인가요?
넵 정상입니다
gtx만 적용되나요? rtx는 안되나요?
1000시리즈 이상 다 지원됩니다
@@스톰튜브 답글 감사합니다.
인풋렉 상관없는 aaa게임은 지싱크 on 수직동기 on 저지연 울트라 해서 쓰고 인풋렉 반속 중요한 fps는 지싱크 on 수직동기 off 저지연 울트라 해서 쓰면 되나요
예스 잘 이해하셨습니다. 아 근데 뒤에 fps게임에 지싱크 on. 수직동기 off. 저지연 울트라는. 일단 울트라는 작동 안됩니다만. 쓰셔도 상관없습니다.
지싱크 on + 수직동 off + 저지연 울트라로 쓰게되면
저지연모드가 "켜기"로 돌아갑니다. 여튼 약간 설명하면 복잡해지지만
물어보신대로 쓰셔도 됩니다.
롤 최적화 영상에선 인게임 프레임 제한을 걸지말라고 하셨는데 여기선 인게임 프레임 제한을 걸어줘야 한다고 말씀하셔서 어떤게 맞는걸까요? 롤 최적화 영상은 별도로 롤 클라이언트에 수직 동기 응용 설정(게임 내 옵션을 따라감), 게임 내에선 수직 동기를 꺼서 롤 클라에서만 별도로 저렇게 돌아가게 하는건가요?
지싱크를 제대로 쓸려면 제한을 걸어야되구요. 롤은 지싱크가 딱히 필요없는게임이라 안걸어도 됩니다
염치 없지만 영상과 관계 없는 질문 하나만 드려도 되나용 서든 워존 배그 다하는데 서든할때는 어쩔수 없이 종횡비 + gpu를 사용하고 워존이나 배그할때는 스톰튜브님 추천대로 스케일링 없음 +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데 이걸 게임 할때마다 바꿔 써야 하는데 이게 모니터 수명이나 그래픽카드 수명에도 영향이 있을까요?? 매번 도움 얻고 있지만 염치없이 또 도움의 한말씀 부탁드립니다!
아니요 전혀 영향없습니다. 그런기능 자주쓴다고 모니터보드 나가면 모니터보드만들 가치도 없는 회사구요 ㅋ 서든은 왜 디스플레이 나두시고 gpu쓰시는건지 궁금하긴하메요
스톰님 프레임이 들쑥날쑥하는 게임에서는
지싱크를 끄는게 인풋렉이 더 적을까요 아니면 지싱크를 키는게 더 적을까요
글카가 옛날 꺼라 GPU 사용률은 90~100%정도로 씁니다...
지싱크 호환모델인데 지싱크를 켜니 모니터가 깜빡거리네요;; 킬지 말지 너무 고민되네요
견디실수잇으시면 켜도 됩니다. 본인선택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