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끝'을 본다...'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발사 성공 / YTN 사이언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앵커]
    인류역사상 가장 크고 강력한 망원경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우주로 성공적으로 발사돼 순항을 시작했습니다.
    이 망원경은 우주의 기원에 관한 호기심을 풀어주는 임무를 띠고 있어서 성탄절에 인류에게 선물 보따리가 됐다는 평가입니다.
    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허블 망원경보다 성능이 100배 강력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아리안5호 로켓에 실려 우주로 힘차게 치솟습니다.
    [美 항공우주국 TV / 발사 중계 장면 : 제임스 웹(우주망원경)이 우주 탄생의 과거로 향하는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이어 27분 만에 망원경을 덮은 페어링 분리와 로켓 분리가 순조롭게 이뤄져 목표 탄도에 올랐습니다.
    웹망원경은 앞으로 한 달간 지구와 태양의 중력 균형이 이뤄지는 150만㎞ 밖 '제2라그랑주점', 즉 달과의 거리의 4배 지점으로 향합니다.
    [니콜 콜론 / 美항공우주국 천체물리학자 : 웹 망원경은 우주탄생 초기 형성된 멀리 떨어진 은하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우주 기원 파악에 근접한 셈입니다.]
    이 과정에서 테니스코트 크기의 태양 빛 차광막과 종이처럼 접힌 지름 6.5미터 주경을 펼치는 등 매우 난해한 우주 전개를 무...
    YTN 이광엽 (hkkim@ytn.co.kr)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아리안5호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science.ytn.co...

КОМЕНТАРІ • 2

  • @rheeyeha3955
    @rheeyeha3955 3 роки тому

    우주팽창이 빛보다 빨라 인간은 절대 우주 끝을 볼 수 없다는 주장도 있던데 뭐가 맞는겨 ㅋㅋ

    • @realyjy
      @realyjy 3 роки тому

      너무나 먼 거리에 존재하기에 현재의 모습이 아닌 먼 과거 우주탄생기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