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안전]감전을 싫어하는 연고맨이 알려주는 감전의 원리와 네가지 요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감전은 왜 발생하는 걸까요?🤔
    전기안전공사와 함께 감전사고 발생 원인과
    사고예방을 위한 행동요령에 대해 알아봐요!💥
    ​​ #한국전기안전공사 #연고맨 #콜라보
    ▶한국전기안전공사 홈페이지 : www.kesco.or.k...
    ▶한국전기안전공사 블로그 : blog.naver.com...
    ▶한국전기안전공사 페이스북 : / kescomiri​​
    ▶한국전기안전공사 인스타그램 : / ​

КОМЕНТАРІ • 13

  • @yonkoman_
    @yonkoman_ 3 роки тому +3

    으으 감전 싫어~~!

  • @짬뽀-s6c
    @짬뽀-s6c 2 роки тому

    무섭지만 꼭 알아두어야 할 정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imjjin91
    @imjjin91 2 роки тому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 @na_byul_ha
    @na_byul_ha 2 роки тому +1

    세상에서 젤루 무서운게 감전 ㅠㅠ 저한번 당하구 울었습니당;;

  • @iamlight_salt
    @iamlight_salt Рік тому

    더쉽게 쇼츠로 제작해주세요 ㅎㄷㄷ

  • @석영미-d7q
    @석영미-d7q Рік тому

    너무 감사 합니다. 제가 궁금한게.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ᆢ. 전 3층 다가구 원룸. 3층에. 살고 있습니다. 형광등에서. 연기가 나고 형등등 불빛 밑에 있으면. 엄청. 머리통이. 따 갑다는걸. 계속 느끼고. 피부에 노출이 되도. 따 갑습니다. 그래서. 전 전기에. 대해서 너무. 모르지만. 형광등을. 모두 다 제거해. 버렸습니다. 그리고. 검정 테이프로. 전선을 다. 꼼꼼히. 감아 놨는데도. 어디선가. 감전이. 오는것 같습니다. 특히. 몸에. 상처가. 자고 일어나면. 생겼어요. 이마에. 여러번. 생기고. 등쪽도. 생기더라구요. 손등또한. 생기더라구요. 다들 제가. 자면서. 부딪 쳤거나. 자면서 긁었다고 이야기를. 하는데. 전 정말. 아닙니다. 흉터가 이마에. 여러군데. 생겼어요. 상처가. 다 낳고 보면. 이마에 딘 상처가. 남더라구요. 아무도. 안믿어서. 지금는. 혼자서. 매일 퇴근하고. 돌아오면. 머리. 오른쪽 위 에가 자꾸 따갑고. 일 하는. 식당 주방에서도 계속. 따갑습니다. 벌써 6년전부터. 시작된것. 같습니다. 창현. 노래방에. 음식을. 보낸 후. 부터. 시작된것 같습니다. 손 가락도. 무언가가 갑자기 쏜 느낌을. 여러번. 받습니다. 이상하게도. 손 가락에 한번씩 아빴던 곳에. 자꾸 무언가 쏘는. 느낌을 받고. 또한. 팔 꿈치 ㆍ무릎ㆍ발 가락 ㆍ옆구리ㆍ등등. 무언가 쏘우면. 아픈 느낌을. 계속 받아요. 또한. 눈에도 무언가가. 쏘우면. 따끔한. 느낌을. 받습니다. 벌써. 이사를. 몇번 했는데도. 똑 같습니다. 오늘도. 손 가락이. 아파서. 병원에 가서 주사를 맞고. 왔어요. 선생님 이런게. 감전 인가요. ~?? 혼자서 살면서. 전기에 대해서 전혀 아는게. 없어서. 궁긍 합니다. 선생님. 도와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꾸벅요~~^^

  • @happydoodoo
    @happydoodoo 3 роки тому +2

    감전사고 너무 무서워요 ㅠㅠ

    • @kescomiri
      @kescomiri  2 роки тому +1

      전기안전수칙을 꼭 지켜서 감전사고를 대비하세요! 😆

  • @안정선-y3z
    @안정선-y3z 2 роки тому

    고무와 콜크만 전기, 전자파를 차단한다 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가장 기본적인 교육일것인데 잘못 가르쳐 주고 있는데 다른것은 잘하는지 염려된다.

  • @라소니-p5e
    @라소니-p5e Рік тому

    연고맨님 궁금한게 있는데요
    가공전선을 한손으로잡고
    발이 땅에 닿으면 전기가 흐르는데
    자동차 밧데리 +극을잡고 발이 땅에 다으면 전류가 왜 안흐르는지요

    • @MoMo-sc1zg
      @MoMo-sc1zg 9 місяців тому

      자동차 밧데리는 DC 12V 또는 24V로 안전전압입니다. 한국은 30V 미만은 안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인체 감전의 우려는 없지만 +극이 -극과 닿으면 스파크와 열로 화상 입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죠.

    • @limjh39
      @limjh39 3 місяці тому +1

      여기서 말하는 우리 가정에서 쓰는 전기는 교류이고. 자동차 밧데리에서 나오는 전기는 직류전원이기 때문예요.
      자동차 밧데리의 전압이 교류전압에 비하면 매우 낮기 때문에 만져도 사람이 전류를 느끼지 못하는 거죠. 하지만 최근에 나온 차량들은 거의다 인버터가 탑재가 되어서, 가정에서 처럼 220V 전압 콘센트가 달려서 나오기에, 거기서 나온 전선 구리부분에 손이나 몸이 직접 닿으면 감전이 되기에 조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