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식량으로 곤충이 주목 받는 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7

  • @J-Cole
    @J-Cole Рік тому +5

    PD님은 대학원생이신가보네요

  • @Factcheck1988
    @Factcheck1988 Рік тому +1

    오늘도 잘봤습니다. 교수님 최고!

    • @kimyesbio
      @kimyesbio  Рік тому

      언제나 감사합니다!

  • @dorian0623
    @dorian0623 Рік тому

    사람과 자연의 미래를 위해 한걸음 내딛어 보자는 교수님의 선구자적인 의도를 보고 적지 않게 감동했습니다 🥰
    지금까진 "언젠가 곤충을 먹는 날도 오겠지" 하는 막연한 생각만 갖고 있었지만, 나 자신을 적응시켜 보고 싶다는 마음이 이 동영상을 통해 처음 들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소진아빠
    @소진아빠 Рік тому +1

    오늘은 번데기탕에 청양고추 송송넣고 소주한잔해야겠어요 ㅎ

  • @이도-j9i
    @이도-j9i Рік тому +4

    PD님, 자발적인 참여가 아니라면
    자막에 당근을 넣어주세요.

    • @goldenbuglab
      @goldenbuglab Рік тому +2

      자발적인 댓글이 아니라면 댓글에 당근을 넣어주세요.

  • @MaerongYeeya
    @MaerongYeeya Рік тому +3

    PD분들은 날벼락이네 ㅋㅋㅋㅋ

  • @mjyoon5903
    @mjyoon5903 Рік тому +1

    식용 곤충이 영양소 성분은 최고네요~ 맛이 궁금하긴 한데 리얼 후기가 궁금합니다. 10,000명 돌파 가즈아 ~ 🔥🔥🔥

  • @pinkmomo3118
    @pinkmomo3118 Рік тому +1

    곤충이 이렇게 영양가가 좋은지 몰랐어요. 가성비도 좋네요. 외관만 좀 더 먹음직스러웠다면...

  • @ahnny5121
    @ahnny5121 8 місяців тому

    귀뚜라미 버거, 맛이 궁금해요.
    1만 명 구독자 공약 실천하셨는지 궁금하네요 ^^

  • @유승호-o7h
    @유승호-o7h Рік тому

    언뜻보기에는 식용곤충이 효율적일거 처럼 보이지만 . 관리비용이 너무 많이들어가는.. 소한마리 분량에 단백질을 얻기위해서 귀뚜라미숫자에 소음은 비행기엔지소리보다 더크다는 말도 있는

    • @kimyesbio
      @kimyesbio  Рік тому

      중요한 점을 짚어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 @김슌-r3f
    @김슌-r3f Рік тому

    구독하러왔습니다

    • @kimyesbio
      @kimyesbio  Рік тому

      환영하고 고맙습니다!

  • @2rm730
    @2rm730 Рік тому

    가격이 체감으로 느껴질 정도록 확 낮아지면 전국의 헬창은 함성 내지르면서 식용곤충을 찾을거 같아요
    식용곤충이 영양분 더 좋다는 것과 사육 비용이 적게 든다는 영상들 보고 가격을 알아봤는데... 사먹긴 가격이 좀 그렇더라구요
    저는 가격만 싸다면 식용곤충으로 갈아탈 의향이 매우매우 크게 있습니다

  • @김현정-t9m9i
    @김현정-t9m9i Рік тому

    ㅋㅋㅋㅋㅋ곤충 샘플러 시식 가즈아!!

  • @dsyi3055
    @dsyi3055 Рік тому

    넷플릭스 -씨스파라시 를 보면 2050년에는 물고기도 사라질 전망이라고 하던데 2050년에는 사람들은 식용곤충을 먹고있는 미래가 오지 않을까싶네요...

    • @3월의라이온
      @3월의라이온 Рік тому

      그 다큐 좀 편향적인 내용도 많고 근거로 삼은 2050년 멸종 논문도 저자 본인이 부정하기까지 했어요. 십수년전에 논문쓸때 상황이랑 지금은 달라진 부분도 많은데 그런걸 고려하지도 않고 논문이 사실인양 내보냈고 애초에 저자는 바다생물의 다양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걸 강조하고자 쓴 논문인데 씨스피라시는 그저 멸종을 예언한 것처럼 몰아갔다고. 또한 다큐 전반적으로 선정적인 것들로 쫘르륵 편집해서 어선들을 공격하는 모 환경단체의 정당성을 부여하는데 노력했죠. 심지어 물고기 먹지 말고 어업을 중단시켜야 한다는 극단적 주장을 하는데 이거 어디서 많이 들어본 소리같지 않나요? 극단적 비건주의자들 주장이랑 일맥상통합니다. 뭐든 적당한 선이란 게 있는데 그 다큐의 주장은 너무 극단적이었어요..
      (그렇다고 씨스피라시 다큐가 허구에 가깝다라던가 해양 생태계 보호에 그리 신경안써도 잘 돌아갈테니 걱정하지 말자는 건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김깃
    @김깃 Рік тому +1

    불쌍한 pd님들 ㅠㅠ

  • @희용o
    @희용o Рік тому +2

    잼있는데 사람들 왜 구독안하지?

  • @yhee1030
    @yhee1030 Рік тому +1

    ㅋㅋㅋ 인간유발 온난화인지 확실치조차 못한데
    그것 때문에 벌레먹으라구요??
    출연진분들이나 많이드세요.

    • @MaerongYeeya
      @MaerongYeeya Рік тому

      왜이렇게 삐뚤어졌냐
      넌 욕 좀 많이 먹을거 같은데 오래살겠다 부럽네야

  • @koyoi1231
    @koyoi1231 11 місяців тому

    킬게이츠가 추진하기 때문이죠 그가 바라는 건 중세봉건귀족의 부활입니다 벌레먹으라고 주장하는 넘들이 벌레먹을까요?? 설국열차가 그 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