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소중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승리투수에서 덧붙이자면, 만약 선발투수가 리드상황에서 5이닝미만 투구하고 물러난 뒤 그 뒤 불펜이 잘 하여 동점이나 역전이 되지 않았다면, 이 때는 기록원이 판단하기에 불펜투수 중 해당 경기 승리에 있어 가장 효과적 투구를 한 투수를 지정하여 승리투수로 부여합니다. 통상 기록원이 선발투수 다음 올라온 투수가 1이닝정도만 투구하고 물러나도 그 투수에게 승리를 부여합니다. (이것을 악용(?)한 모 감독이 특정 선수 승수 몰아주고 그로 인해 그 선수는 혹사된 사례가 있었지요) 패전투수는 역전타를 맞은 투수가 아닌 자책여부 상관없이 역전 점수에 해당 하는 주자를 출루를 시킨 투수가 패전투수가 됩니다. 세이브에서 승리투수가 아니여야 한다는 의미는 프로에선 보기 힘들지만, 간혹 아마야구에선 나오는 현상으로 예를 들어 승리투수 요건을 갖춘 투수가 야수로 가고 다른 투수가 등판하여 동점이나 역전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경기 막판 세이브요건이긴하나 그 때 야수로 간 승리투수 요건을 갖춘 선수가 다시 투수로 등판하여 경기를 마무리 지어도 이 때 승리투수와 세이브를 모두 부여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홀드는 MLB의 경우, KBO와 다르게 강판당시 자신이 출루시킨 타자가 동점 또는 역전주자로 있더라도 그리고 후임투수에 의해 동점이나 역전을 당해도 홀드로 인정해줍니다. MLB가 KBO보다 홀드 요건이 느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오타 정정 - 하이 퀄리티 스타트 : 8이닝 3실점 -> 7이닝 2실점
오늘도 소중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승리투수에서 덧붙이자면, 만약 선발투수가 리드상황에서 5이닝미만 투구하고 물러난 뒤
그 뒤 불펜이 잘 하여 동점이나 역전이 되지 않았다면,
이 때는 기록원이 판단하기에 불펜투수 중
해당 경기 승리에 있어 가장 효과적 투구를 한 투수를 지정하여 승리투수로 부여합니다.
통상 기록원이 선발투수 다음 올라온 투수가 1이닝정도만 투구하고 물러나도 그 투수에게 승리를 부여합니다.
(이것을 악용(?)한 모 감독이 특정 선수 승수 몰아주고 그로 인해 그 선수는 혹사된 사례가 있었지요)
패전투수는 역전타를 맞은 투수가 아닌
자책여부 상관없이 역전 점수에 해당 하는 주자를 출루를 시킨 투수가 패전투수가 됩니다.
세이브에서 승리투수가 아니여야 한다는 의미는 프로에선 보기 힘들지만,
간혹 아마야구에선 나오는 현상으로
예를 들어 승리투수 요건을 갖춘 투수가 야수로 가고 다른 투수가 등판하여
동점이나 역전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시 경기 막판 세이브요건이긴하나
그 때 야수로 간 승리투수 요건을 갖춘 선수가 다시 투수로 등판하여 경기를 마무리 지어도
이 때 승리투수와 세이브를 모두 부여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홀드는 MLB의 경우, KBO와 다르게 강판당시 자신이 출루시킨 타자가
동점 또는 역전주자로 있더라도 그리고 후임투수에 의해 동점이나 역전을 당해도 홀드로 인정해줍니다.
MLB가 KBO보다 홀드 요건이 느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며칠전 강건의 3이닝 투구로 데뷔 첫 세이브 기록했죠 ㅎㅎ
지명타자와 지명타자 소멸에 대해 소개해주었으면 합니다!
하....씨 졸라 어렵네 한번 더봐야징
역시 야구는 참 수학적이고 이해하기 어려운 스포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