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형 츄럭에선 스타터 모터,알터네이터 에서만 +에 빨강색으로 표시되고 나머지는 (99%) 까만색은 +,흰색은 -로 사용해서 굉장히 햇갈립니다 그리고 아시아,유럽은 DC 24V 여기선 아직도 DC 12V로만 사용중 그리고 유럽은 아직도 블루+,브라운- 사용중 그래서 미국 대형 츄럭에 독일제 장비가 장착되어 있으면 잔짜로 햇갈림
빨간색이 왜 더 위험한지도 모르겠네요. 전자의 흐름은 -에서 +로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 공통 접지라면 -도 위험정도는 같을 것 같은데요. 자연에서도 적색이 경고의 의미가 크긴하지만 주황이나 노랑도 있고 굳이 빨강인 이유나 유례나 관행 알려주실 것 같았는데요.
댓글에 적으신것처럼 전자는 음의 성질을 띄고있고 +극으로 이동합니다. 직류전원의 +극에는 전자가 없기때문에 다른 도체와 닿게되면 전위차가 생깁니다. 이 때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도체)에 있는 전자가 +극으로 이동하게됩니다. 그래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것이고 -극은 이 전위차가 생기지 않기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됩니다. 주황색이나 노란색이 아닌 빨간색을 사용하는 이유는 차량용 신호등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굳이 전기뿐만 아니라 생활 곳곳에서 강한 경고의 의미로 빨간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경고표시는 직관적이여야하는데 노란색 경고표시일경우 덜 위험해보이겠죠?^^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자동차 배선과 같은 실무에서 관점으로 보면, 음극은 차량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배터리 및 조명과 같은 배선 할때 - 극은 프레임 아무데나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 극은 배터리에 다이렉트로 연결이 되죠. 이유는 배선의 길이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극은 피복이 녹거나 벗겨질때 프레임에 쇼트가 안되도록 주의를 해야합니다. 분명 물리적으로 전자가 많은 - 극에서 +로 흐르지만, 이는 - 극을 손으로 잡고 +극에 대전이 되든, 그 반대이든 +,-방향에 상관없이 물리적으로 위험한건 같습니다. 따라서, 제 생각에는 배선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DC전원에서는 공통 접지를 -극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를 위험하게 취급 하는것 같습니다. - 를 왜 공통 접지로 사용하는 물리적인 이유가 있는지는 좀더 알아봐야 할것 같네요. 관행일까요? ㅋㅋ
빨간색을 위험한 표시로 사용하는건 빛의 파장 때문입니다. 빨간색은 단파장 이라서 사람의 눈에 더 빨리 인지되고 뇌까지 전달되는 속도도 다른 색들에 비해서 월등히 빠릅니다. 그래서 자동차 경고등 같은것도 빨간색 경고등이 켜지면 치명적인 위험, 주황색, 노란색은 비교적 덜 위험한 경고등으로 사용되는거지요. 자동차 후면 브레이크 등이나, 신호등도 마찬가지 이구요. 단파장의 특성 때문에 사람의 인지 속도도 빠르고, 더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이죠. 물론 신호등의 경우에 빨간색은 자연계에서 흔하게 존재하지 않는 색이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도 더 눈에 빨리 띠는 효과까지 있습니다.
이종매질에서 전자흐름인 전류 흐름방향에 따라 발열량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가장큰 이유는 아니라고 봅니다. 관행적으로 약속하는 접지 기준에서 전위차에 따라 감전이 사고 나타남으로 -를 접지 기준으로 사용함으로 당연히 전위차는 +가 더 크게 생겨 위험하다는 거 겠지요. 직류 0기준으로 +와 - 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 동일하게 위험하다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매번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병칠이횽~❤
전기일을 하게 될 1인 입니다
40대지만 전기1도모르는 초딩수준입니다. 이해할수있게 설명을 잘해 주셔서 감사!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주십니다 감사합니다 ^^~!
평생 플러스 마이너스 극도 모르고 생각없이 살아왔는데. 관심을 가지고 보니까 ㅡ 전기는 과학 기술을 접목한 예술입니다 ㆍ^^
이런 영상 너무 재밌어요:) 저번에 접지전선도 정말 재밌게 봤어요👋👋👋👋👋👋👋👋
선끼리 부딪치면. 불꽃이 파악... 튀죠. 빨갛게 위험..을. 표현하기위해
플러스가. 마이너스랑 다른. 성질..
서로 약속을 제대로.. 한 거죠.
빨강을 +로 하기고.
대표님 지식을 복사해서 제머리에 붙여넣기해주세요. 😂
대단해요 👍
미국의 대형 츄럭에선 스타터 모터,알터네이터 에서만 +에 빨강색으로 표시되고 나머지는 (99%) 까만색은 +,흰색은 -로 사용해서 굉장히 햇갈립니다 그리고 아시아,유럽은 DC 24V 여기선 아직도 DC 12V로만 사용중 그리고 유럽은 아직도 블루+,브라운- 사용중 그래서 미국 대형 츄럭에 독일제 장비가 장착되어 있으면 잔짜로 햇갈림
왜 이제야 원장님을 알았을까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사실 산업현장에선 제품,브랜드마다 색상은 다양하죠. 처음 보는 제품이면 메뉴얼을 무조건 봐야합니다. 경험상 P상은 갈색,적색,검정 N상은 청색,흰색 어느땐 검정... 뭐 사실 애매하다 싶으면 무조건 메뉴얼을 봐야할 정도로 다양 합니다. ㅋㅋ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갈훅회청 분기회로(단상)도 현장에서 색상을 맟춰줘야 하는데 백이면백 그런 현장이 없습니다.
삼성은 맞춰야합니다.
그래요 돌팔이들이 많은세상에 삼성은 원칙을. 지키는군요
부하불평형을 조절하기 쉽게 부하단도
갈흑회청을 .........
감사합니다
협력업체에서 gnd 선 색깔을 검정색이 아니라 흰색을 쓰길래, 왜 그런가 했더니 여기서 이런 디테일을 보게 되네요 ㄷㄷㄷ
ㄷ.
전선 칼라는 흑 갈 적 등 황 녹 청 자 회 백.
저항순서 입니다 ~~^^
직류의 (-)를 백색으로 정한 규정은 생각이 모자라는 사람이 정한 듯하네요
종종 일부 중국산 제품들은 플러스를 검정색선 마이너스를 빨간선으로 연결해둔 제품들도 있더군요 ㅡ.ㅡ
빨간색이 왜 더 위험한지도 모르겠네요. 전자의 흐름은 -에서 +로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 공통 접지라면 -도 위험정도는 같을 것 같은데요. 자연에서도 적색이 경고의 의미가 크긴하지만 주황이나 노랑도 있고 굳이 빨강인 이유나 유례나 관행 알려주실 것 같았는데요.
말하신대로 -에서 +로 전자가 흐르니깐요. +가 위험하죠. 전자가 들어오잔아요.
댓글에 적으신것처럼 전자는 음의 성질을 띄고있고 +극으로 이동합니다. 직류전원의 +극에는 전자가 없기때문에 다른 도체와 닿게되면 전위차가 생깁니다. 이 때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도체)에 있는 전자가 +극으로 이동하게됩니다. 그래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것이고 -극은 이 전위차가 생기지 않기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됩니다. 주황색이나 노란색이 아닌 빨간색을 사용하는 이유는 차량용 신호등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굳이 전기뿐만 아니라 생활 곳곳에서 강한 경고의 의미로 빨간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경고표시는 직관적이여야하는데 노란색 경고표시일경우 덜 위험해보이겠죠?^^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자동차 배선과 같은 실무에서 관점으로 보면, 음극은 차량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배터리 및 조명과 같은 배선 할때 - 극은 프레임 아무데나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 극은 배터리에 다이렉트로 연결이 되죠. 이유는 배선의 길이를 줄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극은 피복이 녹거나 벗겨질때 프레임에 쇼트가 안되도록 주의를 해야합니다.
분명 물리적으로 전자가 많은 - 극에서 +로 흐르지만, 이는 - 극을 손으로 잡고 +극에 대전이 되든, 그 반대이든 +,-방향에 상관없이 물리적으로 위험한건 같습니다. 따라서, 제 생각에는 배선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DC전원에서는 공통 접지를 -극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를 위험하게 취급 하는것 같습니다. - 를 왜 공통 접지로 사용하는 물리적인 이유가 있는지는 좀더 알아봐야 할것 같네요. 관행일까요? ㅋㅋ
빨간색을 위험한 표시로 사용하는건 빛의 파장 때문입니다. 빨간색은 단파장 이라서 사람의 눈에 더 빨리 인지되고 뇌까지 전달되는 속도도 다른 색들에 비해서 월등히 빠릅니다.
그래서 자동차 경고등 같은것도 빨간색 경고등이 켜지면 치명적인 위험, 주황색, 노란색은 비교적 덜 위험한 경고등으로 사용되는거지요. 자동차 후면 브레이크 등이나, 신호등도 마찬가지 이구요. 단파장의 특성 때문에 사람의 인지 속도도 빠르고, 더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이죠. 물론 신호등의 경우에 빨간색은 자연계에서 흔하게 존재하지 않는 색이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도 더 눈에 빨리 띠는 효과까지 있습니다.
하네스 업종이지만 UL선은 2C는. 흑색은 GND. 백색 +
DC +,-의 색상에 대한 이유?
L+, L-의 적색 백색
보호도체 녹색-노랑색
일반 기기들은 적색 흑색
질문은 쉬운데 고민이 필요한 내용 감사합니다.
왜 플러스가 더 위험하다고 인지되는가요? 전류는 그렇게 흐른다고 규정하지만, 반대로 전하는 흐르기에 마이너스가 위험할것 같은 직감은 틀린 것인가요?
이종매질에서 전자흐름인 전류 흐름방향에 따라 발열량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가장큰 이유는 아니라고 봅니다. 관행적으로 약속하는 접지 기준에서 전위차에 따라 감전이 사고 나타남으로 -를 접지 기준으로 사용함으로 당연히 전위차는 +가 더 크게 생겨 위험하다는 거 겠지요. 직류 0기준으로 +와 - 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 동일하게 위험하다고 봅니다.
대물상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