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서울캠 학과별 과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ис 2022
  • 설국티비 채널에서 전체 영상 고고 !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87

  • @user-lk9eb4fi8s
    @user-lk9eb4fi8s Рік тому +207

    설캠도 이쁜데 국캠 ㄹㅇ 공대 올블랙 과잠 걸어다니는거 완전 멋짐..

    • @user-bb7qt2su4g
      @user-bb7qt2su4g 8 місяців тому +4

      분교취급 아니누 국캠은 ㅋㅋㅋ

    • @user-yj6vz6rx5s
      @user-yj6vz6rx5s 8 місяців тому +135

      ​@@user-bb7qt2su4g이원화 된지가 언젠데; 공대 국캠에 모여있는거 보면 모름?

    • @keatonss8967
      @keatonss8967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yj6vz6rx5s이원화 된지 이제 겨우 10년 됐다 ㅋㅋㅋ 분교일 때는 걍 지잡 취급이었고. 이원화 된지 10년 지났는데도 지금도 국캠 입결 이과 건대, 문과 건동홍 수준 아님? 완전한 이원화는 아니지. 성대면 몰라도

    • @keatonss8967
      @keatonss8967 8 місяців тому +8

      @@user-yj6vz6rx5s그리고 의치한약이랑 자과대는 서울이면서 공대랑 응용뭐시기는 국캠인 거 보면 딱 모르겠냐? 법적으로만 이원화지 솔직히 행정상이나 입결상, 원칙상으로 설캠이랑 국캠은 차이 분명히 존재함

    • @user-yj6vz6rx5s
      @user-yj6vz6rx5s 8 місяців тому +1

      @@keatonss8967 제 근거가 빈약했던 것 인정합니다. 특정 과가 몰려있다고 그 학교 전체를 높게 칠 수 있는 건 아니죠. 제 취지는 국캠이 타 학원법인 분교정도는 아니라는 의미였습니다. 제 주장은 '경희대 국제캠퍼스는 행정상으로, 입결상으로 명확히 본교이며, 캠퍼스간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나 미미하다' 입니다. 정확히 기술하겠습니다.
      먼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는 행정상으로도 본교입니다. 학교 행정인지, 회사 행정인지 둘 중 무엇을 언급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으니 둘 다 답변 드리겠습니다. 2003년 이원화로 홍보하고 있던 국제캠퍼스가 사실은 분교였음이 밝혀지면서 논란을 빚게되자 학교에서는 국제캠퍼스를 다시 법적 이원화 캠퍼스로 만들기 위해 2005년부터 중복학과라 지적받는 학과들의 학과명을 바꾸거나 국제경영학과는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는 등 유사학과를 제거하였습니다. 또한 학교코드를 통합한 후 2,000여개 기업에 국제캠퍼스는 이원화 캠퍼스이며 본교라는 공문을 발송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법 개정 이후 서울과 국제 양 캠퍼스 통폐합을 승인함에 따라 2012년 3월 1일 법적 통합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경희대 국제캠은 학교행정, 회사행정 상에서 본교입니다.
      또한 입결차이도 관례대로 의치한약*(정시70%컷 90중후반대, 과탐2과목 응시로인해 후술할 예시와 비슷한 것으로 예상됨. 독자는 정시입학은 누적백분위 순이 아닌 표준점수 순임을 상기할 것)을 제외했을 때 비슷한 수준입니다. 2023학년도 기준 수시 교과 평균등급은 두 캠퍼스 모두 의치한약 제외 1점후 ~ 2점초로 비슷했습니다. 또한 정시 70%컷도 두 캠퍼스 모두 80후~90초 정도로 비슷했습니다. 오히려 누적백분위가 아닌 표준점수로 계산했을 때 이공계열 진학자의 대체적인 선택과목*(언매,미적,과탐)이 표준점수가 높은 것을 고려하면 입결상 공대의 수준이 인문대*(대체적으로 표준점수가 이공계열 지원자보다 낮은 화작,확통,사탐 선택자의 수가 더 많음)의 수준보다 높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연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으나 산업디자인, 의류디자인, 디지털콘텐츠, 환경조경디자인 등의 예술대학과 체육학과,스포츠의학가 소속된 일부 체육대학. 즉, 일부 '응용학문'대학*의 정시 70%컷은 각각 90후반 / 90초중반 정도로 서울•국제캠퍼스 정시 70컷 평균을 상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더더욱 다른 학원법인 분교처럼 캠간 입결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는 점을 한 층 더 강화함을 시사합니다. 또한 법적 이원화이후에 공대쪽으로 수험생들의 관심이 쏠리면서 입결컷이 높아졌으므로, 국제캠 합격자들 수준이 이원화 이전 분교시절보다 높고 서울캠에도 꿇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행정상, 입결상으로 경희대 국제캠은 서울캠과 비슷한 위상을 가진다는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경희대 국제캠퍼스는 행정상으로 적법하다는 점에서 본교이고, 입결상으로 서울캠퍼스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학생 수준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본교입니다. 이제 의치한약대와 자과대가 서울캠이라는 점과 원칙상으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학교의 위상이 학생의 전체적인 수준을 고려하여 정해진다는 보편적 전제하에서, 특정한 학과가 특정한 캠퍼스에 모여있음이 그 캠퍼스의 위상을 올려주지는 않습니다. 이것은 제가 첫 댓글에서 저도 실수를 한 부분인데요, 좋은 예시가 있습니다. 동국대 의대, 한의대는 동국대의 분교인 경주와이즈캠에 있습니다. 동국대 와이즈는 수시입결 평균 4후~6점대로 분포해 본캠인 서울캠과 확연히 구별됩니다. 하지만 의치한약대나 자과대가 서울캠에 있어서 서울캠의 위상이 높다는 논리를 그대로 적용시키면 의대와 한의대가가 경주와이즈캠에 있는 동국대는 경주와이즈가 서울캠보다 행정상으로, 입결상으로, 원칙상으로 더 좋은 학교라고 단언하실 수 있나요? 이 논리는 틀렸다는 점을 일깨워주려고 댓글을 다신 것 같다고도 생각이 듭니다. 학교의 위상을 따질 때에는 합격자의 전체적인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고 사료됩니다. 마지막으로 '원칙상'에 대해 말씀드리고는 싶은데.. 상술했듯 법적으로 이원화되었고, 행정절차도 적법하게 밟았는데 더 이상 어떤 원칙이 남아있는지 모르겠네요. 법 위에 다른 원칙, 자연법이나 영원법이 있다고 생각하시는 재림 아퀴나스시면 제가 할 말이 없긴 합니다. 아니면 수원캠 설립 당시에 캠퍼스를 대외비적으로 분교로 만들었음을 '원칙'으로 생각하시고 이원화가 이루어지고 학생들 수준이 평준화 되었음에도 여전히 국캠은 본교보다 못하다고 생각하시는 건 뭐 경희대 훌리를 넘어서 경희대 원리원칙주의자, 경희대 탈레반쯤이나 할 생각아닐까요? 경희대에서 코란을 따로 발급한 지는 몰랐습니다. 아무튼 그건 아니길 바랍니다.

  • @user-jz4yv8qz6k
    @user-jz4yv8qz6k Рік тому +64

    국제캠도 해주세요!!!

  • @user-vp8jx1or4b
    @user-vp8jx1or4b Рік тому +14

    정보디스플 너무 예뻐요

  • @user-be3pu4vk4b
    @user-be3pu4vk4b Рік тому +32

    헐 저도 여자지만 두분 다 너무예쁘시당

  • @user-yp2bl4ub5v
    @user-yp2bl4ub5v Рік тому +14

    사학과도 보여주세용!!!!

  • @user-cx7xk4lw1w
    @user-cx7xk4lw1w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경희대 사회학과 합격해서 갈까말까 고민중이었는데 시작하자마자 보인 사회학과 과잠이 제법 이뻐서 혹하네요 ..😂

  • @user-pd2ug2un3m
    @user-pd2ug2un3m Рік тому +7

    미디어학과는요?

  • @user-ik8ip7oxfox79
    @user-ik8ip7oxfox79 4 місяці тому +2

    한의학과 ㄹㅇ 흑사자같음

  • @user-py3fv9pg6n
    @user-py3fv9pg6n Рік тому +6

    경영학과 forever~!!

  • @user-yy6zi2gx8x
    @user-yy6zi2gx8x Рік тому +3

    정치외교 존예

  • @user-li2pt4nr1g
    @user-li2pt4nr1g 7 місяців тому

    과잠이 언제부터 생긴거예요? 저 다닐때는 못봤던건데 전 04학번입니다

  • @user-bo2ce3nn2k
    @user-bo2ce3nn2k 3 місяці тому

    국어국문은 진한 붉은색인게 진짜 "경희대" 다운 과잠이다 강렬해 보임

  • @user-wx7wk3gg9l
    @user-wx7wk3gg9l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영어영문학과는요ㅠㅠ

  • @user-yy5sn7vc7e
    @user-yy5sn7vc7e 3 місяці тому

    나 학교 다닐때 자주색 하나였다 ㅋㅋ

  • @Neomatrix0
    @Neomatrix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K가 아니라 KH로 박는구나

  • @user-od2ze3kb4t
    @user-od2ze3kb4t 9 місяців тому

    지리학과는..요ㅠㅜ

  • @bbd4518
    @bbd4518 2 місяці тому

    회계세무학과는 없나융

  • @youngjkim8244
    @youngjkim8244 4 місяці тому

    경희대학교
    과잠
    예술입니다 예술!

  • @kimincheon627
    @kimincheon627 8 місяців тому

    체육어딨어!!!!!!!!!!!!!!!!!!!!!!!!!!!!!!!!!!

  • @user-zt9mw3kx6p
    @user-zt9mw3kx6p Рік тому +1

    카키 이쁘다

  • @Qw8s0
    @Qw8s0 3 місяці тому

    😮😮😮😮

  • @gibunttag
    @gibunttag Рік тому +9

    르네상스냄새

  • @user-tz7pg1qk8z
    @user-tz7pg1qk8z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뭐 경희대는 사립대중에서는 명문이지요

  • @user_wtf946
    @user_wtf946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무역학과 과잠도 있나?

    • @Hehekuma_
      @Hehekuma_ 11 місяців тому

      무역학과 희망자로서...궁금하다

    • @campuslooksister
      @campuslooksister 5 місяців тому

      캠퍼스생활의 첫설레임으로 과잠을들수 있겠지요?

    • @user-gx9gb9cl8k
      @user-gx9gb9cl8k 3 місяці тому

      @@Hehekuma_있어요 검정색이예요 검정에 흰 로고

  • @Samuelchoi9409
    @Samuelchoi9409 10 місяців тому

    국문과 과잠은 10년 전이랑 달라진게 없네

  • @user-uz3rl2nx6x
    @user-uz3rl2nx6x Рік тому

    법학과는요?

    • @gwajegok
      @gwajegok Рік тому +1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경희대에 법학과ㅋㅋㅋㅋㅋㄲ

    • @user-jc3tc2ix1d
      @user-jc3tc2ix1d Рік тому +17

      로스쿨 있는 학교는 없지

    • @user-ej6vz3zp3v
      @user-ej6vz3zp3v Рік тому +17

      법학은 자전입니다 이제 ㅋㅋㅋㅋㅋㅋ

    • @cjs3522
      @cjs352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법학과는 아마도 08학번까지만 받고 이후로 자율전공일 겁니다.

  • @YourBigBossMan
    @YourBigBossMan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미친 국어국문학과가 한문을써? 쳐돌았네

    • @dlaudrjs10
      @dlaudrjs10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원래 거기 한문 많이들어가요
      옛날 언어 배우는곳이라..

    • @YourBigBossMan
      @YourBigBossMan 9 місяців тому +2

      @@dlaudrjs10 그게아니라 국어가 먼저고 국문학과이면 할글로 써야죠 이제는 한문 자꾸쓰니까 중공이 자기네 땅이라고 하죠

    • @user-rz2mi2ge7e
      @user-rz2mi2ge7e 6 місяців тому

      한문이 왜

    • @YourBigBossMan
      @YourBigBossMan 6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rz2mi2ge7e 중국에서 국어국문학과 과잠인데 한문으로 써놓은거 광고하면서 한국의 국어국문학과가 우리한문을 쓰고있으니 한국은 중국의속국이 확실하다
      자기네 언어놔두고 우리언어를 국어라 칭하고 있다 하지않겠습니까? 대학생들이 겉멋만 들었다 소리 듣고있음 되겠습니까 지식인으로써 할건해야죠.
      지금시대는 중국이 국가적으로 김치와 한복이 자기네꺼라 우기는 시대이다 이말입니다.

    • @yahun2024
      @yahun2024 6 місяців тому

      언어와 문자는 다른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