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평 빈 공장에서 일년내내 수확하는 실내수직농장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grograce : www.grograce.s...
    Priva : www.priva.com/

КОМЕНТАРІ • 84

  • @planthugs
    @planthugs  2 місяці тому +6

    - grograce : www.grograce.store/
    - GroGrace인스타그램 : instagram.com/grograce_sg/?hl=en
    - Priva : www.priva.com/

  • @traveler2029
    @traveler2029 2 місяці тому +35

    싱가포르 친환경 화력발전소가 진짜 탐나던데...배울점이 많은 나라입니다.
    범죄자들에게 강력한것 같던데 태형이 존재하는👍

  • @gilot1024
    @gilot1024 2 місяці тому +50

    ceo가 핵심이네요.. 성공요인은...저런 애너지넘치는 리더가 있어야 성공합니다.

    • @garden238
      @garden238 Місяць тому +4

      36억이 있어야 시도를 하죠

    • @Imlik-zo8ol
      @Imlik-zo8ol Місяць тому +2

      역시 ceo도 이쁘고 쭉빵해야 식물도 잘자람 ㅋㅋ

  • @CHOICE2030
    @CHOICE2030 Місяць тому +5

    저분 열정이 100% 성공 비결인듯 보고만 있어도 에너지가 나네요

  • @saveyou21
    @saveyou21 Місяць тому +17

    양곡법이 아니라 이런 혁신으로 국가를 부흥하게 하고 국민들을 건강하게 해야한다!!

    • @파티세르
      @파티세르 Місяць тому +3

      양곡법을 왜하는지 왜 필요한지나 알고 떠드는지 궁금하군!!!! 당신 말대로하면 의무군역은 엄청난 돈 낭비니까 직업군인으로 현재 군인수1/100로 줄이고 미사일 핵무기만으로 국방예산 확줄이면 국방력 졸라 강력해지는건가??? 머리를 가지고 글을 쓰길

    • @mirrorgeuljam
      @mirrorgeuljam 5 днів тому

      양곡법은 식량안보의 기본입니다.

  • @dbagro
    @dbagro Місяць тому +4

    전 세계에 농장을 짓고 싶다는 대표님, 응원합니다.

  • @garyjung2114
    @garyjung2114 Місяць тому +11

    상당히 열정과 매력이 넘치는 분이시네요

  • @팔만주
    @팔만주 Місяць тому +1

    대단합니다 한번 도전해보고 싶네요

  • @알콩달콩-w6q
    @알콩달콩-w6q 3 дні тому

    으아 멋지다
    우리도 하고있는걸로 알고는 있는데~~ 여긴 엄청나네요

  • @정다성감
    @정다성감 2 місяці тому +9

    영상 감사합니다. 신기하네요 귀농의신 응원합니다

  • @양의열-l4d
    @양의열-l4d Місяць тому +5

    외국은 수경업이진짜 발달 엄청잘됬네

  • @qw-p1z
    @qw-p1z Місяць тому +1

    우리나라 채소 재배기 십년전에 나왔는데 그 원리량 비슷 하네요.

  • @-emotionalletter-
    @-emotionalletter- Місяць тому

    와! 단점은 있군요. 돈 돈이여요. 투자비용이 충분하다면 국토가 작은 우리나라에 꼭 맞네요.

  • @어나더레벨-r5l
    @어나더레벨-r5l Місяць тому +3

    판매가 가장 중요 하지.

  • @jeong-k3q
    @jeong-k3q Місяць тому +2

    일류 먹거리 기적이고 전인류가 앞으로 해야할 직접 키워 먹어야 하니까요
    건식수경이라 창의적 천재네요 근데 좀 걱정되는게 물을 안 갈아준다니 고인물이 녹조라떼 될까 무서운데요 유기물과 박테리아 생태계 형성은 희망적인데요 약간의 오염물질 들어가면 고인물은 순식간에 다 오염
    빗물 탱크는 한달에 한번 물때 빡빡 밀고 청소해야될듯요 물때가 독가스처럼 강력 무서운데요

    • @정연이-u7t
      @정연이-u7t Місяць тому +1

      저 led등이 살균작용을 하는듯...

    • @Africa_ToTo
      @Africa_ToTo Місяць тому

      LED 살균이 의외로 강력해서요...

  • @moonheecho3654
    @moonheecho3654 2 місяці тому +7

    대단하네요!

  • @nokiz3594
    @nokiz3594 Місяць тому +4

    싱가폴이나 홍콩 마카오 같은 곳들에 아주 좋은 시스템이네요.
    땅은 좁고 소득수준은 높고....대부분 수입으로 해결하는 나라들
    한국을 보자면 곳곳에 남의땅이나 국유지 짜투리 몇평에도 농사를 짓죠....
    경작안하는 논 밭도 많고. 산에 감나무 밤나무 안따고 놔두는 곳들 천지죠.
    농담삼아 얘기하는데 감철에 청도가서 버린 감만따서 팔아도 돈된다고...

    • @양의열-l4d
      @양의열-l4d Місяць тому +2

      감널려있기도하고 감소비도안됨 ㅋㅋㅋ 감먹는사람들도 드물기도함

    • @MCJS4440
      @MCJS4440 Місяць тому

      앞으로 자연재해 비율이 올라갈텐데 아무데나 지어서는 망하는 지름길임 저런 창고형 재배지가 필수인시대임 곧

    • @nokiz3594
      @nokiz3594 Місяць тому +1

      @MCJS4440 ? 자연재해 비율이 올라갑니까? 요즘은 홍수 가뭄도 없는데 연례행사 었는데
      4대강 사업 이후에 특히 많이 줄었는데
      공장형 팜이 장점이 뭐 그렇게 있고 경제성이 있나요? 수입하는게 훨 싸게 치는데

    • @MCJS4440
      @MCJS4440 Місяць тому +1

      @@nokiz3594 홍수가 없시유? 여름만 되면 태풍 홍수로 농산물가격이 요동을 치던디 남들은 힘들게 사는디 그짝 지역은 운좋게 편하게 사는감네유
      대기업이 스마트팜으로 찔끔찔끔 진출 노려보는거보면 수입이랑 경쟁 되는 부분이 있어서 그러것지유 뭐 두고보면 알지안것소? 어차피 지방은 젊은노동력 씨가 말라서 농업이고뭐고 소멸할틴디

    • @nokiz3594
      @nokiz3594 Місяць тому

      @MCJS4440 홍수? 집이 떠내려가는게 홍수지 ㅋ 농산물 며친 오르면 며칠 안먹으면 그만인데

  • @suhyunkim3581
    @suhyunkim3581 Місяць тому +1

    저기도 한국처럼 농업 닫혀있어서 그런거임. 같이 경쟁한다면 공장형은 일반재배농장 못따라감.

  • @abk3322
    @abk3322 Місяць тому

    에너지 비용이 얼마나 나오는지요?

  • @보물찾기-w9k
    @보물찾기-w9k 2 місяці тому +9

    저렇게 재배되는 야채는 먹어도 영양가면이나 주의해야되는 부작용 그런건 없나요?!?.........

    • @kukikoda13
      @kukikoda13 2 місяці тому +13

      수경재배 상추가 영양가면에서 노지 상추와 차이 난다는 그런건 그냥 속설입니다
      제가 취미 삼아 수경재배를 오래 해왔는데 지인들 나눠주면 도대체 이런 상추는 어디서 사냐고
      백화점 가야 살 수 있냐고 그럽니다
      오히려 수경재배 딸기 같은 경우는 노지 딸기에 비해 영양가가 더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 @보물찾기-w9k
      @보물찾기-w9k 2 місяці тому +1

      @kukikoda13 답변 땡큐요~^^

    • @탐라도민
      @탐라도민 Місяць тому

      ​@@kukikoda13영양은 떨어질 수 밖에 없죠
      땅에 있는 다채로운 영양분으로 키운거랑, 수경재배용액으로 키운 영양분이랑 다르죠
      그리고 애초에 비료산업이 증가하면서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무기질, 비타민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비료산업이 발전하면서 식물이 충분한 영양분을 흡수시키지 못했지만, 크기만 비약적으로 커져서 해당 현상이 생겨버린겁니다
      수경재배 채소는 신선한 채소의 맛으로 먹어야지, 충분한 영양까지 제공하진 않습니다
      중금속에서 자유로운 장점도 있긴 합니다

  • @namhyun1111
    @namhyun1111 2 місяці тому +11

    한국은 법부터 바꿔야하네요..어떤 스마트팜 운영하시는 분이 댓글을 달았는데 바닥에 시멘트를 공구리를 치면 불법이라서 ...저렇게 올리지 못한다고 들었어요
    실컷 귀농하라고 스마트팜하라고 투자금 대출해놓고 맘에안들면 불법건축물로 바꿔버림..

    • @kim_jin_hong
      @kim_jin_hong Місяць тому

      개발제한구역 내의 비닐하우스 이야기하는거 아닌가요? 그럼 개발제한구역 외에서 하면되는데? 모든 지원을 다받아놓고 그럴까요?

    • @namhyun1111
      @namhyun1111 Місяць тому

      @@kim_jin_hong 스마트팜 보령시 , 코리아휠이라고 검색해보시면 뉴스를 보실 수 있습니다.

  • @뉴튼
    @뉴튼 Місяць тому +4

    제주도에 서식하는 저로선 여기에서 해보고 싶네요^^ 바람으로 전기도 만들면서...

  • @김재형-z5o
    @김재형-z5o Місяць тому +1

    대힌민국은 힘들지…

  • @goowol9949
    @goowol9949 Місяць тому +1

    너무 좋네요 ㅎㅎ 근데 음식을 다루면서 위생모,위생복 안입는건 좀 ..불결해 보입니다.

    • @천성은-z4d
      @천성은-z4d Місяць тому +1

      음식이 아니라 채소를 키우는 것이라 위생모, 위생복은 필요하지 않아요.

    • @goowol9949
      @goowol9949 Місяць тому

      @ 한국은 음식이라 보고 다 입고 쓰고합니다. 특히 수경은

  • @독신귀족-q7v
    @독신귀족-q7v Місяць тому +2

    한달에 200평에서 1.5톤 생산이라는데 2024년 12월 현재 4키로 상추 한박스 경매 평균가 1만원.
    답 나오죠? 1.5톤 이라고 해봐야 4키로 박스 400박스 400만원 가지고 답 나오겠습니까? 에너지 비용 고사하고 인건비도 못 뽑죠

    • @firstsparring
      @firstsparring Місяць тому

      그래서 저부가가치 작물 말고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해야 한다고 말한듯...

    • @karlla1220
      @karlla1220 Місяць тому +2

      왜자꾸 저런시설에서 상추를 키워요... 비싼 야채 허브류가 얼마나 많은데

  • @두두파파-q3i
    @두두파파-q3i 2 місяці тому +21

    쟤네는 난방비가 안들잖아..ㅜㅜ

    • @syb8259
      @syb8259 2 місяці тому +1

      하지만 더 비싼 냉방비가 들죠

    • @두두파파-q3i
      @두두파파-q3i 2 місяці тому +2

      @@syb8259 냉방이 효율 더 좋은데요?..

    • @MCJS4440
      @MCJS4440 Місяць тому +1

      @@두두파파-q3i 그건 니가 사는 나라 전기요금이 ㅈㄴ 싸니깐 그런거고 딴나가 가보면 전기요금보고 기절하겠네 ㅋㅋㅋ

    • @Eunpyeong-w2b
      @Eunpyeong-w2b Місяць тому

      아니 그러니까 기존 평지에 농사 짓는 농가는 난방비 안 드냐고, 규모 좀 있는 하우스는 난방비로만 수천만원 나와 어렵다는 뉴스 많이 봤는데

    • @두두파파-q3i
      @두두파파-q3i Місяць тому +1

      @@Eunpyeong-w2b 쟤네는 난방비 세이브 한걸로 기타 다른 장치 돌리는 전력으로 이용한다는걸 설명한건데. 뭔 얘길 하고싶으신거임?

  • @jerrykim-999
    @jerrykim-999 Місяць тому

    따뜻한 나라에서 일단 가능…

  • @세계영농경영1인자
    @세계영농경영1인자 2 місяці тому +5

    답은 기본에 있습니다😊😊😊

    • @MCJS4440
      @MCJS4440 Місяць тому

      밭은 누가 갈고? 지방 젊은 사람들이 이제 씨가 마를텐데? 수도권에 스마트팜 단지나 지어놔야 일손이 있을까 말까지

  • @meguru420
    @meguru420 Місяць тому

    기후로 인해 난방이 필요없어서 비용이 안들고 비가 많이 와서 물도 공급이 비용이 적게 드네 ,,, 좋은 환경이다, 한국은 비닐하우스에서 해야한다 그래야 임대료 안들고 온도도 햇빛을 이용할수있다

  • @korea-ldy250-hropc-pattern.
    @korea-ldy250-hropc-pattern. Місяць тому

    😀

  • @personal_account_
    @personal_account_ 2 місяці тому +2

    근데 저러면 배지
    종류가 암면 같이 한번 마르면 골치아파지는 종류는 쓸 수 없겠네요?

    • @kukikoda13
      @kukikoda13 2 місяці тому

      저기서도 우레탄 스펀지 배지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 @seaname1
    @seaname1 2 місяці тому +3

    난방비 걱정이면 발전소나 데이터센터 옆에 있어야겠네요. 거기에 폐열이 진짜 많으니.

    • @강강중강약-y4g
      @강강중강약-y4g 2 місяці тому +2

      비트코인 캐면서 하면 되겠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독신귀족-q7v
      @독신귀족-q7v Місяць тому

      그런곳은 땅값이 비싸서

  • @zmghd
    @zmghd 2 місяці тому +2

    수경재배 장점 클린하고 깔끔하고 좋다. 단점 고장이 났을때 내가 아무리 오래 이 일을 햇어도 손쓸 방법이 잘 없다. 기계 전문가가 와야 한다. 그리고 상추는 하루만 기계가 멈춰도 상품 가치가 없을정도로 쭉....쳐져버린다. 다행인건 1달말 지나면 원상 복귀가 된다. 문제는 하루만에 상추가 말라 죽을수 있다.

    • @firstsparring
      @firstsparring Місяць тому +2

      자영업 형태로는 불가능하고 결국 기업형으로 해야만 가능하다는 이야기군요. 24시간 언제든 기술자를 수급해야 하니께

  • @juwanhong4225
    @juwanhong4225 Місяць тому

    한국은 채소값이 쌀때 너무 싸서...

  • @hun0200
    @hun0200 Місяць тому

    도전해보고싶다

  • @yhc5212
    @yhc5212 Місяць тому

    나 이거 팰월드에서 봤다ㄷㄷ

  • @doorenbos94
    @doorenbos94 2 місяці тому +2

    한국에서도 가능할까요??

    • @bonbon6576
      @bonbon6576 Місяць тому

      투자비 회수만 문제 삼지 않는다면...

  • @aoa_art_of_architecture5322
    @aoa_art_of_architecture5322 Місяць тому +1

    싱가폴은 도시국가입니다. 우리나라처럼 농경지가 많지 않죠. 우리나라는 경기도만해도 텃밭이 매우 많습니다.

  • @simjoo23
    @simjoo23 2 місяці тому +2

    싱가폴같은 고소득국가에서도 손익분기점이 쉽지 않구나

  • @hyunjungkim5494
    @hyunjungkim5494 2 місяці тому +3

    시설비용이 만만치가 않네요

  • @DGLee7229
    @DGLee7229 Місяць тому

    한국 대부분 시설비용 유지비용이 커요, 가격이ㅡ올라가면, 싼 중국산 수입해 올 생각부터 해요. 시민들 개념이 농약이 치던 안치던 모양만 봐요. 안전한 판로가 ㅠㅠ 선진국에서 제조업을 안하는 이유랑 같음. 유지,설치,운영 비가 너무 큼. 그에 비해 농작물들의 이익이 너무 적음... 어느세월에......

  • @eschowww
    @eschowww 2 місяці тому +6

    고작 상추기우는데 뭔 비싼장비가 저리 많냐 수지타산 안맞겠네

  • @노련한놈
    @노련한놈 2 місяці тому

    처음시작부터 밑밥 깔고 가네 "전세계 90% 이상이 [비윤리적] 관행농법을한다" ㅋㅋㅋ 내껀 무조건 좋당께롱~

    • @kukikoda13
      @kukikoda13 2 місяці тому +3

      비윤리적이라는 표현이 좀 그렇긴 하네요
      그게 안되면 작물을 키울 수가 없는데 말이죠
      유기농 유기농해도 유기농도 독한 약만 안쓸뿐 쓸건 다쓰는데 말이죠

  • @외로운사냥꾼
    @외로운사냥꾼 5 днів тому

    130평은 더되보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