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초의 휴대 시계는 얼마였을까? | 타임머신으로 미래는 갈 수 있고, 과거는 못간다? 시간 측정의 역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5

  • @zapzisa
    @zapzisa  Рік тому +3

    방송에 소개된 선물 당첨자 5분께서는, 본 채널 커뮤니티란의 게시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01:26 시간을 환원/저장할 수 있나요? 🕠
    03:52 교수님 어떤 시계 쓰세요? ㅎㅎ
    06:25 ‘기계식 똑딱임’의 시작, 진자운동
    09:19 유럽에 높은 시계탑이 많은 이유
    12:13 항해에 필수였던 시계 🗺️
    15:42 휴대용 해시계
    18:15 돌림힘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묘안 - 원추형
    20:17 시계 안에 다이아몬드를? 💎
    22:12 배 한 척에 맞먹는 시계, 1달러 시계
    25:12 철도의 발전과 표준시의 탄생 🚞
    27:39 왜 하필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일까?
    32:07 타임머신 타고 과거나 미래로 갈 수 있나요?

  • @rxbk2480
    @rxbk2480 Рік тому +6

    김범준 교수님 인상도 참 좋으시고, 말투에도 겸손함이 느껴지고, 참 좋으신 분 같음.

  • @moemoekyoong
    @moemoekyoong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진행자님 말끝 흐리지않고 문장 마무리 해주시는 게 정말 좋아요

  • @신지영-d3y8p
    @신지영-d3y8p Рік тому +6

    김범준 교수님 여기서 뵙네용~~❤

  • @myth1005
    @myth1005 Рік тому +2

    빵 ㅋㅋㅋㅋㅋㅋ 교수님 출연 너무 좋아요! 😊

  • @tlopsol
    @tlopsol Рік тому +5

    물알못이지만 김범준 교수님 타임머쉰 강의는 못 참지!

  • @deney366
    @deney366 Рік тому +3

    저분 강의 참재밌던데 김범준교수님 이구나…

  • @hicetnunc3119
    @hicetnunc3119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쾌종시계라고 하던가요?
    3시, 9시 방향에애 구멍이 두 개 있어서
    한 달(?)에 한 번 정도 양쪽 태옆 감아주고..
    그 것도 시간이 잘 않맞아
    쾌종시계 추 아래 미세하게 추 길이 조절하는게 있었는데요.
    엤날 기억이 나면서
    교수님 설명이 이해 갑니다.

  • @이기용-r2c
    @이기용-r2c Рік тому +2

    정말재미있게설명잘해주셔서감사합니다

  • @용쌤일상
    @용쌤일상 Рік тому +2

    너무 짧아요. ㅜㅜ 더 듣고 싶은데...

  • @가을개나리-v3d
    @가을개나리-v3d Рік тому +2

    얼마전에 80살 우리 어머니가 밥주는 손목시계가 필요하다고 하셔서 오래된 시계판매점에 갔는데 요즘은 밥주는 시계는 아예 안나오고 배터리시계만 나온다고 합니다. 그래도 결국 창고 깊은 곳에서 하나 찾아 구매 했는데 한두달 쓰고 고장이 나더군요.

  • @sainttongpha3980
    @sainttongpha3980 Рік тому +1

    구독꾹누르고 갑니다

  • @박한빛-m9f
    @박한빛-m9f Рік тому +3

    저는 사서 읽어야지

  • @jungmunkim6011
    @jungmunkim6011 Рік тому +2

    우왕!!휴대용 해시계 사고싶당....

  • @구자경-p2j
    @구자경-p2j Рік тому +2

    김범준 교수님,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가 쓴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를로 로벨리는 시간 t 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주의 원리를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했는데, 시간 t가 진짜로 실체가 없는데 인간들이 그냥 척도를 붙인 허상인가요?

  • @user-wj8edbasket
    @user-wj8edbasket Рік тому +1

    우리가 보고듣고 모든것들이 과거

  • @yoosang81
    @yoosang81 Рік тому

    방금 말씀하신 게임을 호킹이 했었다는 이야기도 해주시면 35:40

  • @김영주-c6m
    @김영주-c6m 8 місяців тому

    해시계는 부채에 매다는게 있었다죠^^

  • @김영주-c6m
    @김영주-c6m 8 місяців тому +1

    해상시계 말이군요.

  • @자택경비원-x7d
    @자택경비원-x7d Рік тому +5

    머리와 발 사이의 시간도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차이가 난다면 고층아파트나 고산지대 사는 사람들은 훨씬 빨리 늙겠네 ㅋㅋ

    • @정정호-b8h
      @정정호-b8h Рік тому

      이 말이 표현하려는 진정한 의미는 머리와 발 사이의 시간의 차이가 아니라 이젠 몇 조분의 1초도 측정 할 수 있는 과학의
      발달에 의미를 두어야 할거라 생각됩니다. 지구 표면과 인공위성 사이에 시간이 다르게 가서 보정해 주는 것이 사실 이지만
      그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우리 일상의 시간에서는 의미 있는 시간이 아니라 생각됩니다

  • @tlopsol
    @tlopsol Рік тому

    근데...태평양 한가운데 저 선은 왜 꼬불꼬불한가요?

    • @cerori28th
      @cerori28th Рік тому

      태평양 한가운데 저 선은 왜 꼬불꼬불한지 어떻게 알 수 있죠?

  • @dongheelee434
    @dongheelee434 Рік тому +3

    고층 아파트에 살면 빨리 늙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