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람들은 이게 어려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2 тис.

  • @hoonji_310
    @hoonji_310 2 роки тому +193

    아 맞나에 아 진짜를 대입하니까 너무 확 와닿는다 ㅋㅋㅋㅋㅋㅋ

    • @김민재-t7x6o
      @김민재-t7x6o 2 роки тому +6

      이거 맞음. ㅋㅋㅋㅋㅋㅋㅋ 서울 사는 부산 사람이고 어릴 때 일정기간 경기도서 자라서 이쪽 저쪽 말 다 익숙한데 아~ 맞나? = 아~ 진~짜? 똑같은 의미.

    • @안은비-b1e
      @안은비-b1e 2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응. 진짜야 내가 팩트체크 다 했어

  • @부사닝
    @부사닝 2 роки тому +646

    이거 진짜 공감가는게 부산에 살고 있다보니, 서울에 볼일 보러가거나, 여행갔을 때 사투리가 그냥 배어있어서 자연스럽게 나옴ㅋㅋㅋㅋㅋ

    • @Creative_Moon
      @Creative_Moon 2 роки тому +4

      알아들을수 있으면 문제 없습니다. 😊

    • @삐레-q9l
      @삐레-q9l 2 роки тому +14

      서울가서 대화하면 맨날 티비에서 듣던 말투들이 서울말이라서 내가 구사하는 말투가 어색한것처럼 느껴질때가 있던데 나만 그런가..

    • @부사닝
      @부사닝 2 роки тому +4

      @@삐레-q9l 저도 중딩때 수학여행으로 롯데월드 갔다가 비슷하게 느꼈어요ㅋㅋㅋㅋ
      지금은 적응되었지만, 서울여자분들 이야기하시는거 톤이 높아서 귀를 찌른다해야하나? 그게 좀 괴로웠지만요ㅋㅋ

    • @부사닝
      @부사닝 2 роки тому +2

      @@Creative_Moon ㅇㅈ합니다!!👍

    • @이름없음-u6c
      @이름없음-u6c 2 роки тому +2

      어차피 외계어인지 한국어가 맞는지 도저히 구별이 안되는 사투리 단어만 아니면 의사소통 지장없음 그냥 현지에서만 쓰는 단어만 안쓰면 됨

  • @너구리-t5y
    @너구리-t5y 2 роки тому +418

    내나라길래 뭐지 싶다가 설명듣고 내가 발음을 잘못 알고있었나하고 충격받고 있었는데 대구경북은 매나 맞았구나. 친절한 자막 감사합니다. 출생의 비밀급의 충격을 받고 멘붕에 빠져있었어요

    • @거상맨
      @거상맨 2 роки тому +54

      어쩐지 저도 대구사람인데 내나라는 말을 쓰나? 매나아닌가 했는데 정보 감사합니당

    • @아참-d4r
      @아참-d4r 2 роки тому +15

      저도 이때까지 매나라고 썼는데 맞춤법 틀린줄 알았네요ㅋㅋㅋㅋㅋ

    • @더벅머리-x9s
      @더벅머리-x9s 2 роки тому +4

      저도저도!!! 내나나 매나나 매나지

    • @IiliIIililIli
      @IiliIIililIli 2 роки тому +24

      @@거상맨 매나 내나 이런건 여자들이 좀 발음이 귀여워서 자연스럽게 쓰는거같고
      남자들은 잘 생각해보면 잘 안씀.. 거의안씀..
      매나 내나 -> 마카 쓰는사람도 있고 보통은 "거서 거" 임. 추임새로 쓸때는 "마." 고

    • @abxjsjcnjencnf
      @abxjsjcnjencnf 2 роки тому +36

      매나 or 맹~
      ex) 그거나 그거나 매나 똑같다
      그거나 그거나 맹~ 똑같다

  • @엘르-q5o
    @엘르-q5o 2 роки тому +602

    부산사투리중에 컬쳐쇼크였던건
    "이거 니 해라" = "이거 너 가져" 이거였음.
    아는 형한테 향수 쫌만 쓰겠다고 하고 좀 뿌리고 돌려드렸는데 계속 나한테 "니 해라" "니 해라" 이래가지고
    "네 향수 다 썼습니다" 하고 돌려주려는데 자꾸 "아 니 하라고! 니 해라" 계속 반복 ㅋㅋㅋㅋㅋ
    가지라는 뜻인거 나중에 알음 ㅋㅋ

    • @Jace_Olivia
      @Jace_Olivia 2 роки тому +203

      잉? 부산 사람이라 " 이거 니 해라" 가 사투린지 몰랐네요..
      "이거 너 해" 도 안 써요?

    • @송지원-v3w
      @송지원-v3w 2 роки тому +22

      ㅋㅋ아 공감 뭘 하라는 거예요? 계속 되물었던 ㅋㅋ

    • @송지원-v3w
      @송지원-v3w 2 роки тому +50

      @@Jace_Olivia "하다"는 일종의 동사로 인식해서 해라, 해 이러는 야 너 세수 좀 해라. 공부해. 이런 명령어로 쓰죠 ㅎㅎ 이거 너 줄게, 가져, 니꺼야, 라고 하구여

    • @keehuz7599
      @keehuz7599 2 роки тому +20

      @@Jace_Olivia 넵... 그래서 보통 뭘 하라는 거지? 쓰라는 건가? 하고 눈치 보면서 한번 쓰고 돌려줍니다.

    • @nimong_
      @nimong_ 2 роки тому +13

      진짜 공감해요!! 저도 니 해라 처음 들었을때 완전 멘붕이었는데 ㅋㅋ 계속 눈치만 봄 ㅋㅋㅋㅋ

  • @Jungseongeun
    @Jungseongeun 2 роки тому +132

    증말 ㅋㅋㅋㅋㅋㅋㅋ 남친 고향에 놀러갔다가 친구들 다 모인데서 " 여친이 '내나' 가 뭔말인지 모름 " 이 한마디에 거깄던 친구들 다 빵터짐 ㅋㅋㅋㅋㅋ 그렇게 웃을일이냐구 ㅠㅠㅠㅠㅠ

    • @eltax8980
      @eltax8980 Рік тому +2

      @iamnuts02 그러니까 그게 무슨 말이죠?

    • @touchdoggy
      @touchdoggy 7 місяців тому

      살면서 처음 들어봄 내나가 뭐예요?

    • @cometobecalm
      @cometobecalm 6 місяців тому

      ​​@@eltax8980내나 네이버에 예문있어요

    • @cometobecalm
      @cometobecalm 6 місяців тому

      ​@@touchdoggy내나 = 결국에 가서는
      네이버 사전에 나옴

  • @abc12e303
    @abc12e303 2 роки тому +170

    울산에서 살았는데 갠적으로 "내나"는 어른들이 많이 쓴거 같긴 함...20대 밑으로는 잘 안쓰는 것 같긴 한데 편해서 사투리억양 술술 나올때 내나 씀... 약간 "그거나 그거나 내나 마 똑같지 뭔말이고??" 이런식으로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쓰는건 봤는데 너무 자연스럽게 쓴거라 설명하기 진짜 어렵긴하다

    • @HDH0RANGI
      @HDH0RANGI 2 роки тому +14

      내나가 내나 저거는 난 처음 들어봄 ㅇㅇ 그거나 그거지 난 이거 많이 쓰는듯

    • @30kim44
      @30kim44 2 роки тому +10

      내사 (싸) -내입장에서는 / 내싸 마 똑같다. = 내 입장에선 다를게없다. / 내나I 니나Y - 나와 너 다를게 없다는 표현 =그서그지 / 머리나쁜건 내나 니나 아이가.. 머리나쁜건 니나 내나 그서그지

    • @agaragar8100
      @agaragar8100 2 роки тому +12

      킹치만 나도 20댄데 내나 많이 쓰는 걸..

    • @아하-z8s
      @아하-z8s 2 роки тому

      @@30kim44 내나 거기있다이가 이거는 어떻게 설명하실..?

    • @Petit_Paradise
      @Petit_Paradise 2 роки тому +4

      나는 매나….로 썼는데…?

  • @soju437
    @soju437 2 роки тому +425

    사투리 쓰는 친구들이 맞나? 이럴 때 맞다! 이렇게 대답해주면 답답해 죽으려고 하는데 재밌음

    • @배고파-g9g
      @배고파-g9g 2 роки тому +78

      진짜 김이 팍 식음 ㄹㅇㅋㅋ

    • @대구사람-t8t
      @대구사람-t8t 2 роки тому +122

      @@main_ac 내가 "맞나"하면 가끔 서울 친구가 놀리려고 "응 맞아"라고 대답해줄 때 있는데 그때마다 제가 "맞긴 뭐가 맞아 쳐맞을라고!"하면서 존내 때립니다ㅋㅋㅋ아 뭔가 그 어색하고 대화의 흐름 끊어먹는 듯한느낌 진짜..ㅋㅋㅋ

    • @방한-s4j
      @방한-s4j 2 роки тому +38

      @@대구사람-t8t 맞냐고 물어봐서 맞다고 했는데 때린다고요?

    • @Bob-xc6nk
      @Bob-xc6nk 2 роки тому +15

      아 진짜?
      어 진짜

    • @irror198
      @irror198 2 роки тому +25

      @@방한-s4j 맞냐고 물어본게 아님

  • @wkim0217
    @wkim0217 2 роки тому +4045

    생각도 사투리로 함?

    • @SeparationAnxiety.
      @SeparationAnxiety. 2 роки тому +1107

      님은 생각도 한국어로함?

    • @잘하면망할듯
      @잘하면망할듯 2 роки тому +419

      @@SeparationAnxiety. 한다는거에요?

    • @qhxbduwsj
      @qhxbduwsj 2 роки тому +66

      그렇지 않을까여

    • @SeparationAnxiety.
      @SeparationAnxiety. 2 роки тому +639

      ​@@잘하면망할듯 당연하죠;;
      사투리도 그렇고 카톡도 그렇고
      다 사투리씀.
      님들이 그냥 서울말 쓰고
      서울말로 생각하고
      서울말로 카톡 쓰듯
      사투리쓰는 사람은 그걸 사투리로 하는거임

    • @soju437
      @soju437 2 роки тому +626

      이건 뭐 예전부터 유명한 질문이지 ㅋㅋㅋㅋ 미국사람은 생각도 영어로 하는가? 말을 못하는 아이는 생각을 어떻게 하는가? 뭐 이런거 ㅋㅋㅋㅋㅋ

  • @yoonso5740
    @yoonso5740 2 роки тому +54

    경상디안으로서 설명듣는데 너무 웃껴요. 사투리 이렇게 어려운거였나. 내나가 내나 내나지.. ㅋㅋ

  • @큭큭-c5l
    @큭큭-c5l 2 роки тому +486

    ㄹㅇ 사투리는 감각으로 이해해야함ㅋㅋㅋ 이론으로 설명하기힘듦ㅋㅋㅋㅋ

    • @킴쏘리-v8d
      @킴쏘리-v8d 2 роки тому +38

      걍 나고자란 곳에서 계속 쓰는 말을 쓰는 것 뿐이지. 미국사람이 한국인한테 너 생각도 한국말로 해? 이러는 느낌이랑 거의 비슷한 수준이죠ㅋㅋㅋㅋㅋ

    • @jamesdakrn
      @jamesdakrn Рік тому +4

      미국에서 중고등 나오고 대학에서 잠시 한국어 튜터 했었는데 거기서 한국어 초급 배우는 애들에게 "은/는/이/가" 설명하려니 ㅈ나 어려웠던 기억이 ㅋㅋㅋㅋㅋㅋ

    • @kimhyunjun.
      @kimhyunjun. 9 місяців тому

      이론 연구가 표준어에 비해 너무 덜 되어있고 학교에서도 안 배우니까..

    • @ditzelim
      @ditzelim 7 місяців тому

      ⁠@@jamesdakrn은은 앞에 단어 마지막이 받침이 있을 때 는은 앞에 단어 마지막이 받침이 없을 때 이는 앞에 단어 마지막 부분이 받침이 있을 때 가는 앞에 단어 마지막 부분이 받침이 없을 때 사용을 함

    • @jamesdakrn
      @jamesdakrn 7 місяців тому

      @@ditzelim 아니 맞춤법보다 언제 쓰이느냐 이걸 설명하는게 더 어려웠죠
      예: 철수가 영희를 좋아한다 vs 철수는 영희를 좋아한다
      영어로 설명하려니 조금 당황했었음

  • @jkim5244
    @jkim5244 2 роки тому +54

    음 사투리에 대한 이해가 많이 늘었다 우정잉 짱

  • @padashar
    @padashar 2 роки тому +123

    우정잉의 사투리 교실 개재밌네 ㅋㅋㅋㅋ

  • @demiank6680
    @demiank6680 2 роки тому +78

    욱해서 열변하며 사투리 쓰니 잉며든다 ㅋㅋㅋㅋㅋㅋㅋㅋ

  • @mingyujeon1792
    @mingyujeon1792 2 роки тому +228

    사투리로 하긴 하는데 조금 더 표준어에 가까워진 버전으로 함. 서울 사람도 공식적인 자리랑 사적인 자리에서 어휘와 억양이 다르듯이(사적인 자리에선 서울 사람도 엄밀한 의미의 표준어는 안 쓰는 경우 많음) 지방 사람도 공식적인 자리일수록 표준어에 가깝게 말함. 특히 상대 말투에서 타 지역 사투리가 느껴지면 표준어에 최대한 가깝게 말함. 표준어가 한국의 공용어이기 때문임. 여러 지방 여행 많이 해 본 사람은 방금 나한테 표준어에 가깝게 말하던 식당 직원이 바로 옆 테이블 현지 사람에게는 훨씬 강한 사투리로 말하는 순간을 경험한 적이 있을 거임

    • @imaginebreaker_kamijou
      @imaginebreaker_kamijou 2 роки тому

      일하던 매장 점장님이 대구사람이었는데 억양에선 그대로 묻어나옴ㅇㅇ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 2 роки тому +14

      확실히 서울사람도 공적인 자리에선 지정된 표준어에 가깝게 말하죠. 평상시엔 서울 사투리 쓰고요. '같애(같아)'나 '짝어(작아)' '따른(다른)' 같이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 2 роки тому +20

      @YUTB 가족부터 나까지 싹 다 경기도/서울 토박이고 그냥 님과 달리 겸손할 뿐임. 님 평상시 대화할 때 '같아'를 '같애'라고 발음 안함? '하려고'를 '할라고'라고 발음 안함? '닫아'를 '닫어'라고 발음 안함? '다른'을 '따른'으로 발음 안함? '아기'를 '애기'라고 발음 안함? '효과'를 '효꽈'라고 발음 안함? 솔직히 다들 그러고 살잖아. 뭘 수십년 전에 사라져.

    • @imaginebreaker_kamijou
      @imaginebreaker_kamijou 2 роки тому +4

      @YUTB 서울사투리가 뭘 사라져ㅋㅋㅋ 재밌네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 2 роки тому +3

      @YUTB 내 댓글은 읽어봤냐? 그 80년대 말투를 서울사투리라고 하는 게 아니라고 친구야

  • @Naerumi
    @Naerumi 2 роки тому +284

    대구 사람인데 내나 처음 들어봄ㅋㅋ "맹" 이라고 쓰더라고요 저 포함 주변 사람들은. 방송 하셔서 그런지 토박이들보다는 억양이 확실히 희석이 되었네요ㅋㅋㅋ 경상도 어른들의 쨍한 사투리와 스웩 넘치는 어휘 선택 듣다 보면 뭔가 편안해짐...

    • @dnjsql
      @dnjsql 2 роки тому +52

      5:20 매나 라고 많이 씁니다 어른들이.. 대구살고요.. 맹 도 많이 씀

    • @Sungjuni
      @Sungjuni 2 роки тому +15

      대구 35년 내나 첨 들어봄 신조사투리인가?

    • @mini_390
      @mini_390 2 роки тому +40

      나도 매나라고 쓰는데 내나는 첨 들어봄

    • @URMyLight1016
      @URMyLight1016 2 роки тому +5

      나도 첨 들어봤음.. 동네 사투리인가

    • @jungwoosick
      @jungwoosick 2 роки тому +19

      내나가 아니고 매나 아닙니까? 매나 or맹

  • @묻지마내이름-g1n
    @묻지마내이름-g1n 2 роки тому +52

    우정잉 사투리 영상 개재밌어 ㅋㅋㅋㅋㅋ

  • @金善振
    @金善振 2 роки тому +6

    내나 내나 그러니깐
    베토벤의 엘리제를 위하여가 생각나네요...
    니나내나 니나내나 니 몬생깄다

    • @부사닝
      @부사닝 2 роки тому +2

      저때는 니나니나 니 고릴리다 이랬는뎈ㅋㅋㅋㅋㅋ

  • @빈스-l7j
    @빈스-l7j 2 роки тому +346

    우엉징 눈 순해보여서 더 커여워 ㅋㅋㅋㅋㅋ

    • @소싯적의소시지
      @소싯적의소시지 2 роки тому +7

      잉토바이 보고 오십셔

    • @Sssssss36547
      @Sssssss36547 2 роки тому +11

      잉토바이 ㄹㅇ 독기 가득찬게 보임

    • @브티
      @브티 2 роки тому

      @@the.name. 링크 자동으로 삭제될걸요

    • @theskyisthelimit_0
      @theskyisthelimit_0 2 роки тому +1

      은은하게 미쳐이있는 눈임 ㅋㅋ

  • @가온-d5w
    @가온-d5w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어떻게 이런 하나의 주제로 이렇게 재미있는 컨텐츠를 만들지??? 천재다!!!

  • @youyoungchae3906
    @youyoungchae3906 2 роки тому +76

    부산 토박이 입니다.
    어릴 적 처음 서울말 접했을 때 좀 웃기고 부드러웠던 느낌이 있었어요.
    이후 대구 사투리를 들었는데 같은 경상도 사투리이긴 하지만 분명히 구별이 되는 느낌이 있었답니다.
    내나...
    정말 반가운 사투리네요.ㅎㅎㅎ
    그런데 사투리도 많이 사라지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네요.

  • @나만또못먹었지
    @나만또못먹었지 2 роки тому +32

    인대구 실패ㅋㅋㅋㅋㅋㅋㅋ 잉친이 드립력 무엇ㅋㅋㅋㅋㅋㅋ

  • @김현민-b8s
    @김현민-b8s 2 роки тому +645

    유일하게 첨으로 챙겨본 본방이었는데 저때도 겁나 재미있었지만...여전히 내나는 이해를 못하고 있다,,,, 어렵다 내나,,

    • @_haam1711
      @_haam1711 2 роки тому +30

      @@kwkim2677 맹이 뭐에요?

    • @clodbrewgrande
      @clodbrewgrande 2 роки тому +9

      @@kwkim2677 대구사람 개추... ㅋㅋㅋㅋ

    • @Iminlove579
      @Iminlove579 2 роки тому +26

      내나는 내나인데ㅜㅜ

    • @김현민-b8s
      @김현민-b8s 2 роки тому +6

      @@kwkim2677 매나도 있...네요ㅠㅠ 내나나 매나나 모르는건 매한가지...ㅠㅠ

    • @김현민-b8s
      @김현민-b8s 2 роки тому

      @@Iminlove579 역시나 무한 굴레에 빠졌...ㅠㅠ

  • @JoungWooJi
    @JoungWooJi 2 роки тому +108

    요즘 우정잉의 대구사투리 교육 재미있네요. 굳

  • @mbaek88
    @mbaek88 2 роки тому +13

    ㅋㅋㅋㅋ 와 공감가는 거 많네요. 맞나? 물었더니 맞다맞다! 이러길래. 아 할말있구나? (갑자기 생각나서 하는 추임새로 생각) 기다렸더니 왜 갑자기 정색하냐고... 그냥 정말 대답을 한거였음...

  • @Ariel_in_Wonderland
    @Ariel_in_Wonderland 2 роки тому +44

    대구사람 내나가 뭐야 하고 당황했는데 자막에 매나를 더 쓴다고 하는거 보고 아ㅏㅏ 매나가 경남에서는 내나구나 하고 이해함ㅋㅋㅋㅋㅋ 대구 사람도 가르치는 우엉징의 매-직

    • @LestroLee
      @LestroLee Рік тому +3

      대구사람도 사람마다 스타일인거 같은데 ㅋㅋ 저는 내나 뒤에는 항상 같다나 같은 대상을 꼭 연결시켜서 사용해요. 1. 그거나 저거나 내나 같다. 라든지 2. 그케도 저케도 내나 똑같다. 3. 암만 열심히 해봐라 내나 거서 거다.
      단독으로 내나다. 라고는 저는 잘 안쓰는 듯;

  • @PinaKim-og9jw
    @PinaKim-og9jw 2 роки тому +52

    맞아요 ㅋㅋ 같은 롯데 백화점이어도 직원분들 톤이 달라요. 부산점 전화받으신 직원분 말씀하시는데 부산향 확 느껴지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친근감 느껴지고 귀여우셨어요 사투리 매력있고 좋아합니다.❤️

  • @쑤야
    @쑤야 2 роки тому +40

    와 진짜 내나를 설명할려하니까 엄청 어렵네 ㅋㅋㅋㅋㅋ
    뉘앙스적으로 이해해야함 ㅋㅋㅋ

  • @mlke5146
    @mlke5146 2 роки тому +8

    ㅋㅋㅋㅋㅋㅋ 부산 18년 살았는데 댓글창 먼저 봤을 때는 내나가 뭐지? 이랬다가 영상에서 말하는 걸로 들으니까 바로 아!!!!! 함ㅋㅋㅋㅋ 텍스트로 봤을땐 진짜 몰랐다ㅋㅋㅋ 내나 많이 씀 내나 저번에 그거 말하는거 아이가 이런 식으로

  • @hahot88
    @hahot88 2 роки тому +46

    서울 촌놈이라게 딴 거 없음.
    저런 마인드로 무지성 질문하는게 서울 촌놈이지.

  • @Riabelle0
    @Riabelle0 2 роки тому +6

    마치 영어 배울때 감각으로 배우듯이 같은 느낌인거 같네욬ㅋㅋㅋㅋㅋ

  • @난다규
    @난다규 2 роки тому +22

    경상도 사투리도 조금씩 다르긴한데 경상도사람은 들으면 다 자연스럽게 이해되면서 넘어감 ㅋㅋㅋㅋ
    ex) ~했다 아이가? (기본 경상도인) , ~했다 아니야? (약간의 표준어 물든 경상도인) , ~했다 아이라? (경상북부지역) , ~했다 아이라여? (경상서쪽지역) , ~했다 아입니꺼? (경상남부지역) 등등 지역에따라 나이에따라 조금씩 달라지지만 자연스럽게 다 이해되면서 넘어가는 그런검돠 ㅋㅋㅋ

  • @경-k8r
    @경-k8r 2 роки тому +14

    계속 경상남도 살다가 직장이 대구로 잡혀서 대구에서 몇년 살았는데 첨에 제일 놀란게.. 맞다 아니야?.. 였습니다.. 정말 살면서 처음 들어봤어요.. 절단이네 라는 말도 엄청 많이쓰시고.. 저도 물들어서 지금도 맞다 아니가 많이 씁니당.. ㅋㅋ 근데 언니.. 내나는 어짜피...? 그런 느낌으로 많이썼던거 같은데 맞다 아이가?

    • @user-sr2hb3xg1t
      @user-sr2hb3xg1t 2 роки тому +6

      아 대박 ㅠㅠ 저도 경남 오래살았는데 새로 사귄 대구친구들 제일 신기한 말투가 맞다 아니야 이거였어요 ㅠㅋㅋㅋㅋ 약간 그렇지 않아? 이런 느낌으로 쓰는거 넘 신기했어요

    • @gensuki
      @gensuki 2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맞다 아님? 했다 아님?

    • @touchdoggy
      @touchdoggy 7 місяців тому

      ~지 싶다, 싶은데 이것도 경상도에서만 들어봤는데

  • @crymtonym
    @crymtonym 2 роки тому +44

    돈내나의 해석은 신박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enguinade
    @penguinade 2 роки тому +8

    진짜 사람들은 겪기 전에는 다 본인이 기준인 줄 아는 듯 ㅋㅋㅋ

  • @씨엘프
    @씨엘프 2 роки тому +20

    저의 경상도 출신 대학동기 숨 쉬는것 마저 사투리인데 고향친구들이 서울말 쓴다고 쌍욕 하는거 보고 개 웃겼음~

  • @끄앙-q3x
    @끄앙-q3x 2 роки тому +16

    부산인데 내나를 저럴때 안쓰고
    내나 그거 있다이가 이럴 때 써서 처음으로 서울 시청자들 입장에 공감함

    • @부사닝
      @부사닝 2 роки тому +2

      내나 그거 있다이가?하다가 생각 안 나면 그 뭐고? 튀어나오고 생각나면 이야기 주르륵ㅋㅋㅋㅋ

    • @touchdoggy
      @touchdoggy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희는 내나가 아예 뭔지 몰라요.. 생전 처음들어봄

  • @Wayne_OoO
    @Wayne_OoO 2 роки тому +21

    (포항사람)내나보고 저게머야하고 웃다가 편집자가 경북은 매나를 씁니다라는거보고 매나가 사투리인거 알앗음ㄷㄷ 너무충격이다..

    • @_0uO
      @_0uO 2 роки тому +1

      나도 쓰긴하지만 사투리냄새 대놓고 찐한데? 매한가지다 라고하면 좀 표준어 느낌인가

    • @macsungminson3583
      @macsungminson3583 2 роки тому +5

      서울사람 내나 매나 다 처음 들어봄. 물론 매한가지다 마냥 너무 교과서적인 표준어는 현실에서 잘 안 쓰고 '그거나 그거나지' 혹은 '그게 그거지' 이런 구어체를 많이 씀

    • @hitdrive
      @hitdrive 2 роки тому

      전구지 군대가서 사투리 인줄 알았어요
      근데 찾아보니까 부추가 한자어고 전구지는 순우리말 이더라고요

    • @summer_nini
      @summer_nini 2 роки тому +1

      @@hitdrive 저는 초등학교 1학년 때 "정구지 찌짐"이 사투리단어 조합인줄 첨 알았어요.. 어릴때 소소하게 충격먹었던ㅋㅋ

    • @touchdoggy
      @touchdoggy 7 місяців тому

      ​@@summer_nini지짐이라는 말도 사투리예요 수도권에선 부침개 혹은 전 이라고합니다.

  • @안은비-b1e
    @안은비-b1e 2 місяці тому +2

    "내나"
    1 어차피 그게 그거다
    ex) 2일 휴방할건데 붙여서 할까? 떨어뜨려서 할까? 붙여서 하나 떨어뜨려서 하나 내나지 뭐...
    2 =
    ex) 이틀이랑 2일이랑 뭐가 달라?
    이틀이 내나 2일이다.
    (서울사람이 정잉이 설명 듣고 쓴 거라 말투에는 어색함이 있을 수 있지만 정잉이가 단어 개념은 맞을 듯)

  • @휴휴-q2v
    @휴휴-q2v Рік тому +3

    예전에 충청도 어디 어르신이 하시는 카페가니까 사장님이 총각 커피나왔슈~하는거 듣고 너무 기분좋던데

    • @Bianca-u7m
      @Bianca-u7m 6 місяців тому

      충주 20년 살았는데 백종원이 쓰는 말투도 살면서 실제로 들어본적이 없음.. 충남이 확실히 사투리 있긴하구나

  • @하라o
    @하라o 2 роки тому +8

    5:28 도네 개귀엽네ㅋㅋㅋ

  • @coffeedreamer4778
    @coffeedreamer4778 2 роки тому +26

    내나만 따로는 잘 안쓰고, 내나 똑같다, 내나 마찬가지다, 내나 매한가지다 등으로 더 많이 씁니다. (물론 이야기의 흐름상 생략되도 괜찮은 상황이 있고, 실제로 생략하기도 합니다.)
    연세 많으신 분들이나 사투리 농축율(?)이 엄청 높은사람들만 '내나'를 단독으로 쓰는데, 그러면 이야기 전체적 흐름을 잘 알아들은 사람 아니면 같은 대구 사람도 잘 못 알아듣는 경우가 아주가끔
    생기는 수도 있습니다. 같은 말 또하는거를 억수로(!!!) 싫어하는 우리 대구사람들이기 때문에, 같은 말 두번 안하려고 내나 똑같다, 내나 매한가지다 등으로 다 말하는 편입니닼ㅋㅋㅋㅋ

    • @Park-KaO
      @Park-KaO 2 роки тому +2

      저도 대구토박이인데 내나는 처음들어보는데 저희 동네는 매나라고 하는 사투리랑 비슷해보이는데 발음 차이겟죠? 시지사람인데 시지 경산 친구들은 다 모르는거같아요 ㅋㅋ

    • @coffeedreamer4778
      @coffeedreamer4778 2 роки тому +2

      @@Park-KaO 네, 맞아요 ^^
      내나나 매나나 다 같은 뜻 같은 사용법으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
      그러고보니 말씀하신 것처럼 매나를 더 많이 쓰는 것 같아요.
      그리고 매나 쪽이 더 알아듣기도 쉽고...
      매나 마찬가지다 = 매한가지다. 뭐 이런 뜻으로 많이 쓰잖아요. (참고로 '매한가지'는 표준어니까, 매나가 거기서 온 사투리인 것 같습니다.)

    • @Jincastle
      @Jincastle 2 роки тому +2

      대구토박이인데 내나는 저도 첨들어봄

    • @coffeedreamer4778
      @coffeedreamer4778 2 роки тому

      @@Jincastle 제가...나이가...좀...많습니;;; ㅠ.ㅜ

    • @Park-KaO
      @Park-KaO 2 роки тому

      @@coffeedreamer4778 제가 우정잉보단 많은데....;;ㅋㅋㅋ

  • @아하-p2c
    @아하-p2c Рік тому +3

    내나라고 했을때 '매나아닌가?' 하고 영상보고 있었는데 친절하게 자막으로 대구는 매나라고 달아주셨네 ㅎㅎ 그거나 그거나 매나 똑같다~

  • @hatsune_syoyo
    @hatsune_syoyo 2 роки тому +2

    서울사람들 부산 놀러와서 사투리쓰냐고~~~!!!!! ㅋㅋㅋㅋㅋ ㅠㅠㅠㅠ

  • @Creative_Moon
    @Creative_Moon 2 роки тому +1

    맞나? = You know? 랑 같은거 같음.
    처음에 캐나다에서 어학원 다닐때 대답했음 “I know it” 이라고

  • @georgehill6602
    @georgehill6602 2 роки тому +11

    진짜 존나 궈엽다 ㅋㅋㅋㅋ

  • @강동준-m1x
    @강동준-m1x 2 роки тому +29

    우정잉님 사투리 강의 개웃기네 ㅋㅋㅋ 부산 사람은 이해하는데 수도권 사람들은 좀 힘들듯 ㄹㅇ ㅋㅋ

  • @lesliekang11
    @lesliekang11 2 роки тому +5

    저는 전북사람~~ 내나가 뭔소리지?했다가...사용예시를 보고 따라해보다가 나도 평소에 자주 쓰던 사투리란걸 알게되었어요.

  • @c.elegans3012
    @c.elegans3012 2 роки тому

    내나: 너도 알고 나도 알고있는 어떤 것.(=A와 B는 결국 같다는 뜻)
    내나 거 - 너와 내가 둘 다 아는 그 장소
    내나 그거 - 너와 내가 둘 다 아는 그 것
    내나 금마 - 너와 내가 둘 다 아는 그 새끼
    3:25 내나가 내나 내나지 뭐고?
    : 내나 뜻이 너도 알고 나도 알고있는 그 내나지 뭐겠어?
    우리 주말에 외식이나 하러 가까?
    어데?
    내나 저번에 거 가까?
    우리 주말에 외식할까?
    어디서 뭐 먹을건데?
    (너도 알고 나도 아는) 지난번에 갔던 그 식당 가볼까?

  • @LOVE바오
    @LOVE바오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도 울산에서 태어나 경상도토박이인 13살초딩입니다. 저희 엄마도 거의 울산토박이시기도하고 사투리고사도 100점 맞으신분이고, 그리고 경상남도랑 경상북도랑 사투리가 좀 달라서 저희 엄마는 거의 북쪽사투리 쓰시는거같아요.

  • @이지훈-w8k
    @이지훈-w8k 2 роки тому +4

    1:41 이겈ㅋㅋㅋㅋㅋㅋ 일 땜에 경상도 내려와있는데 과장님이 맞나 하면 네 라고 몇번 대답했더니
    말 끝에 맞나 하는거는 추임새같은거라고 ㅋㅋㅋㅋ 대답 안해도 된다고 ㅋㅋㅋㅋㅋㅋ

  • @rgo2900
    @rgo2900 2 роки тому +60

    8년전, 울산 중공업에서 일하려고 안전교육을 받았는데...
    안전동영상이 나오는데, 사투리로 연기하더라.
    거긴 그냥 모든게 사투리가 맞다. 내가 서울말 쓴다고 다 쳐다봤던게 기억난다 ㅎ

  • @Chunsik22
    @Chunsik22 2 роки тому +4

    1:01 '어떻게 나옵니까' 할 때 부산 사투린데 ㅋㅋㅋㅋ 나도 대구 토박이지만 미디어에서 하도 부산사투리만 줄창 나오고 친구들 중에도 경남 부산 사람이 많아서 경남 경북 사투리 섞여서 나옴

  • @erichawk1
    @erichawk1 2 роки тому +3

    아 맞나? 하면 알면서도 항상 어 맞다 하고 싶은거 나만 그래?ㅋㅋㅋㅋㅋ

  • @우지-y5w
    @우지-y5w Рік тому +4

    대구 31년 토박인데, 내나는 저도 처음 들어봐요ㅋㅋㅋㅋ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 어르신들이 쓰시던 방언인것 같은데 젊으신 분이 알고 계신게 신기하네요ㅎㅎ

  • @AreYou_happy
    @AreYou_happy 5 місяців тому +3

    4:39 중간의 내나 는 어짜피 입니다

  • @앙영-v8r
    @앙영-v8r 2 роки тому +9

    아 대구사람인데 내나 한 번도 못 들어봤다 햇더니 매나가 매나 내나엿네

    • @늄
      @늄 2 роки тому +3

      아 ㄹㅇ
      대구는 내나가 아니라 매나 쓰지않나..? 하면서 검색해봤씀 큭크

    • @백곰대장-o1g
      @백곰대장-o1g 2 роки тому +2

      내나는 ㄹㅇ 처음들어봄
      매 한가지로 라는걸 줄인게 매나 인데

  • @user-jt0105bxd
    @user-jt0105bxd 2 роки тому +4

    아 내나가 매나였구나ㅋㅋㅋ 매나만 써서 내나가 뭐지 이러고 있었네ㅋㅋ

    • @hj-yl2ts
      @hj-yl2ts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처음에 내나가 뭐지 했는데 매나말하는 거였음

  • @블탄-b7p
    @블탄-b7p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하 우정잉 진짜 너무 귀여워ㅋㅋㅋㅋㅋ

  • @김소현-j8i
    @김소현-j8i 2 роки тому +2

    갑자기 영상 떠서 보다가 국어 강사라서 생각해 본건데요 대구 방언에서 나타나는 '맹', '매나', '내나'는 모두 표준 어휘 중 부사인 '맨'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여요 '맨'은 '다른 것은 섞이지 않고 온통' 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고, 익숙한 말로는 '전부' 정도로 생각하실 수 있어요 그러니까 위의 문장은 "내나가 전부 내나지 다른 뜻이 없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듯 해요

  • @Antman_V
    @Antman_V 5 місяців тому +3

    내나 설명하기 개빡세긴 하네 ㅋㅋㅋ 저 뜻도 있지만 '늘 있던 그것'의 의미도 있긴 함 ㅋㅋ '오늘 술 어디서 먹을까?' '내나 우리 가던 데나 가자'

  • @maesilaekkis4409
    @maesilaekkis4409 2 роки тому +7

    시청자 내나 구문 응용하는거 왤케웃기지ㅋㅋㅋㅋㅋㅋ 영어 배우는 줄

  • @co8048
    @co8048 2 роки тому

    ~경우에도 쓰냐는 말에 그게 뭔소리여 함 ㅋㅋㅋㅋ ㅠ

  • @sunnyday8499
    @sunnyday8499 2 роки тому +1

    내나가 내나 내나지
    := 그거나 그거나 그게 그거지
    요런 느낌인거죠?

  • @dough9099
    @dough9099 2 роки тому +44

    부산 20년 살았는데 내나 매나 둘다 태어나서 첨 들어보네
    우정잉은 나이에 비해 사투리 되게 많이 아는 편인 듯

    • @WSC1987
      @WSC1987 2 роки тому +8

      대구 토박인데 안쓰는 사람을 단한명도 못봤네요 ㅡ..ㅡ;;;;; 사촌들은 부산에 사는데 거기도 다 쓰던데;;;;;

    • @dough9099
      @dough9099 2 роки тому +36

      @@WSC1987 다시 생각해보니 내나를 쓰긴 쓰는데 저런 의미 말고 "니나 내나 똑같지" 이런 식으로는 씀. 누가 나한테 와서 "내나가 내나지" 하면 뭔 개소리냐고 할 듯 ㅋㅋㅋㅋ

    • @dough9099
      @dough9099 2 роки тому +12

      @@user-hq2sc5vv8g 가가 가가는 실제로 써본 적은 없어도 익숙하고, 무슨 뜻인지 설명도 가능한데 내나가 내나 내나지는 대체 뭔 소린지 유추도 안 됨 ㅋㅋㅋㅋ

    • @김동현-j6z7d
      @김동현-j6z7d 2 роки тому +14

      부산 토박인데 내나 라는 말 되게 많이 썼는데..

    • @basquiat3772
      @basquiat3772 2 роки тому +4

      @@dough9099 ㅋㅋㅋㅋㅋ 저도 부산 8년 경주 11년 살았는데
      니나 내나 빼고는 내나 처음들어봄ㅋㅋㅋㅋ 매나는 진짜 아예 처음듣는거같은데ㅋㅋㅋ

  • @fun-quiz5
    @fun-quiz5 2 роки тому +3

    내나가 내나 내나지
    첫번째 내나= 주어
    중간의 내나= 이렇게나 저렇게나 바꿔도
    마지막 내나= 처음상태의 디폴트 상태
    로 이해하심 될듯~ㅋㅋㅋㅋ

  • @boky_choi
    @boky_choi 2 роки тому +21

    난 태어날 때부터 서울사람인데 큰고모는 대구, 둘째고모는 정선, 막내고모는 김제살아서 사투리 다쓰는데 설명힘든거 인정. 그냥 아는건데 설명하긴 힘듦ㅋㅋㅋ 심지어 엄빠도 안쓰는 사투리 나만 쓰는거 신기해함

  • @pazuzu314
    @pazuzu314 2 роки тому +1

    알고리즘에 떠서 보러 들어왔는데 이분 왜 이렇게 흥분한거임????
    근데 귀엽냉
    역시 젊음이 귀여워,, 부럽다,
    - 지나가던 4대 중반 아저씨

  • @won3883
    @won3883 Рік тому

    1:04 우정잉 잘모르는데 이부분 표정이랑 제스처 너무 귀여워서 자꾸보러옴

  • @jinxfeather1200
    @jinxfeather1200 2 роки тому +1

    대구사람인데 진짜 계속 내나가 뭐지 했는데 대구서는 매나아고 써섴ㅋㅋㅋㅋㅋㅋㅋㅋ충격 그 잡채

  • @mochi-monaka010
    @mochi-monaka010 2 роки тому +192

    진짜 서울 사람들 너무 서울 중심 마인드다...

    • @장대성-z9i
      @장대성-z9i 2 роки тому +1

      근데 저도 서울토박인데 사투리 툭 튀어나온거 보고 어디출신이냐고 물어봅니다 서울말 하나도 안나오는게 웃김

    • @TheChoHyun
      @TheChoHyun 2 роки тому +29

      하지만 한국의 중심은 서울인걸....

    • @jty960701
      @jty960701 9 місяців тому +7

      왜냐면 한국이 서울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ㅋㅋㅋ

    • @mywordsfactos
      @mywordsfactos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중심이 맞긴함

    • @초록색똥-b5i
      @초록색똥-b5i 3 місяці тому +2

      그야 사는 곳이 서울이니까… 표준어는 어디서든 뉴스로라도 자주 들을 수 있지만 주위에 사투리 쓰는 사람 없는 서울 사람은 미디어에서나마 접하는 사투리가 과장인지 자연스러운건지도 모름

  • @likekey
    @likekey 2 роки тому +12

    예를들어 '돈을 내나 안내나 거기서 거기지'
    =돈내나 내나 내나지
    =돈내놔 내놔라 도네해라(?)

    • @golovkin2251
      @golovkin2251 2 роки тому +2

      ?

    • @각도기-c4p
      @각도기-c4p 2 роки тому +3

      학생 다시 복습하고 오세요

    • @준성박-d2f
      @준성박-d2f 2 роки тому

      돈을 내나 안 내나 내나 같은 거 아이가

    • @blessyou4872
      @blessyou4872 2 роки тому +1

      개념 다시 이해하고 오셔야 합니다.

    • @김동현-j6z7d
      @김동현-j6z7d 2 роки тому

      '돈 내나 안 내나 그서 그지'

  • @진-p5m1v
    @진-p5m1v 2 роки тому +15

    2:00 맞나? 이거는 드라마 응사에도 비슷한 예시로 나왔었음 칠봉이가 말할때마다 나정이가 계속 맞나? 라고했는데 칠봉이는 뭐가 그렇게 맞냐면서 다 맞지는 않다고ㅋㅋㅋ
    대구사람인데 서울온지 6년차 곧 7년차 되어가는데 억양은 안바뀌지만 어휘는 신경 쓰게 됐는데 그래도 안고쳐짐ㅋㅋ
    이건 에피소드인데 표준어에 적응이 되서 그런지 대구 매장가면 바로 사투리가 귀에 들어와서 낯선 경우가 생기는

  • @나나비-b8u
    @나나비-b8u Рік тому

    아 맞나? ㅋㅋㅋㅋㅋ 아 맞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야? 웅 진짜고요 팩트입니다 하면 ㅋㅋㅋㅋㅋㅋㅋㅠㅠㅠㅠㅠ울거야

  • @oyi8104
    @oyi8104 Рік тому +2

    경상도 사람이 나 서울말 잘한다 하는거랑 서울사람이 경상도 사투리 잘한다는 같아요. 티비 연예인들
    중에 그 출신 아닌 연예인이 경상도 사투리 잘한다고 말하는데 방송용이구나 하고 느껴져요. 진짜 잘하는 연예인은 경상도 사람마저 안동 사람인지 대구나
    구미 부산이나 진주 통영사람이라고 생각할정도면 잘하는거라 생각합니다.

  • @처럼바람-l5n
    @처럼바람-l5n 2 роки тому +18

    이제는 워낙 미디어도 발달했고 해서 단어나
    말 자체는 서울말이랑 상당히 비슷해짐 근데 억양에서 차이남 같은 말도 사투리 쓰는 분들은 억양이 다름 근데 이게 진짜 바꾸기 힘들어함 억양이 진짜 무서움

    • @Creative_Moon
      @Creative_Moon 2 роки тому +2

      안 바꾸셔도 알아듣는데 문제 없고 바꾸는게 힘들면 안바꾸셔도 됩니다. 말하는 직업아니시라면 😊

    • @HyunA_Sings2977
      @HyunA_Sings2977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 서울에서 대학 다니고 생활할 때, 대구 사투리 계속 쓰고 살았어요. 물론 가끔 사람들의 시선이 느껴졌지만, 당당하게 쓰고 살았습니다 ㅋㅋ 뭐 제가 아나운서, 성우, 스튜어디스 등을 할 것도 아니기 때문에..

  • @runeray4864
    @runeray4864 2 роки тому +39

    사투리가 조금 어색하다 싶었더니 제가 대구 사람이라 좀 다른 사투리 써서 그랬나보네요ㅋㅋㅋㅋㅋ 어쩐지 매나 아니야..? 이러고 있었는뎈ㅌㅋㅋㅋㅋㅋㅋㅋ

    • @yca7074
      @yca7074 2 роки тому +6

      저도 매나 로 써서 같은대구도 사투리가 다른가 하고 있었는데 ㅋㅋ

    • @짱호갱
      @짱호갱 2 роки тому +5

      저도 대구인데 내나가 뭔가 했네요 매나지 내나가 뭐야 ㅋㅋㅋ

    • @BaaamK
      @BaaamK 2 роки тому +3

      저도요.... 매나 얘기하는거 아냐? 하면서 의아해하고 있었음

    • @짱호갱
      @짱호갱 2 роки тому +2

      @@BaaamK 부산사는 형님한테 물어보니까 매나가 뭔지 아는데 자기네는 내나를 쓴다고 하네요 전또 없는말 지어낸줄 ㅋㅋㅋㅋ

    • @cnsgid1310
      @cnsgid1310 2 роки тому +3

      매나나 내나나 내나 매한가진데 내나 아는거 사용하면 된다아이요

  • @snowfoxkr3766
    @snowfoxkr3766 2 роки тому +13

    서울촌놈들은 거기만 살고 밖으로 안나와봐서 궁금한게 많습니다. 큰물에서 노는분들이 아니기때문에 저희 지방러들이 큰 마음으로 어루만져줘야합니다.

    • @방한-s4j
      @방한-s4j 2 роки тому +3

      ㅋㅋㅋㅋㅋ 촌놈 정신승리 보소 ㅋㅋㅋ

  • @김대훈-y8g
    @김대훈-y8g 2 роки тому +1

    "맞나" 는 아 그래? 같은거구낭 ㅋㅋㅋㅋㅋ

    • @siro_0
      @siro_0 2 роки тому

      부산에서는 긋나를 좀 더 자주 씁니다
      오늘 내 밥무러 갔는데 맛있더라
      긋나
      그래가 내 니 데리고 거좀 가고싶은데 저녁에 어떻노
      좋지
      라는 느낌

  • @LLL-ci9sz
    @LLL-ci9sz 8 місяців тому

    뭔소린지 몰겠네요ㅋㅋㅋㅋㅋ친척들이 대구사람이라 맞나?? 했을때 동질감 느끼게 해주려고 아 맞다아이가~~ 했는데 그러면 안되는거였군요ㅋㅋㅋㅋ

  • @김민철-q6t
    @김민철-q6t 2 роки тому +5

    군대 말년에 제대 얼마 안남았을때 송별회 같은걸 px에서 과자부스러기 좀 사다가 내무실이서 했는데 나에게 하고싶은 얘기나 불만 등등 아무 얘기나 해보라고 했는데 후임중 한명이 '밥 먹었니?' 라고 제가 자주 물어봤다고 하는데 그때 너무 닭살돋아서 들을때마다 적응 안됐다고.. 군대에서 스울 사람 처음보고 그런말 처음 들어 본다고 함. 자기 동네에서는 절대 남자가 그런말 안쓴다고.. 후임들끼리 킥킥댔던게 떠오름. 유난히 내무실에 경상도쪽 후임이 많이 들왔었음. 이후에 밥먹었니 라고 물어 볼때마다 가끔 생각남

  • @sunchan.k8325
    @sunchan.k8325 2 роки тому +4

    올라온지 한 20면 저옫 되서 지금은 표준어지만
    아직도 고향 내려가면 나도 모르게 사투리가 나온다
    특히 친구들 만날때
    내가 정말 상처 받았던건 올라온지 얼마 안 됐을때 누나가 쪽팔린다고 표준어로 고쳐 쓰라고 한 말이었다
    그 땐 정말 누나고 뭐고 다 때려 부수고 싶었다...가족이 쪽팔린다니...개념이 없는거지

  • @we.go.together
    @we.go.together 2 роки тому +5

    외국인에게 생각도 외국어로함? 라고 물어보는 수준 ㅋㅋㅋ

  • @KillREDS5150
    @KillREDS5150 4 місяці тому

    뭐 이렇게 말랑콩떡찹쌀모찌 같이 생겼냐 귀엽당 ㅋㅋㅋ

  • @user-y950
    @user-y950 2 роки тому +2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엄밀히 따지면 '서울말'과 '표준어'는 다른거임.

  • @kurth1003
    @kurth1003 2 роки тому +18

    경기 사람인데 포항에 자대배치받고
    선임이랑 얘기하는데 아 맞나? 라는 추임새에 예 맞습니다 라고 대답했더니
    뭐가 맞는데? 하면서 장난으로 대가리박고 몇대 맞았던 기억남 ㅋㅋㅋ

    • @Lucy-k5x
      @Lucy-k5x 2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ouchdoggy
      @touchdoggy 7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나도 맞습니다했는데. 가와봐라해서 못알아듣고 욕먹기도하고

  • @뭥-w9x
    @뭥-w9x 2 роки тому +11

    아닠ㅋㅋㅋㅋㅋ대구 토박이 35년인데 잊고 안쓰던사투리 기억나게 해주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여기서 넘겨갈건 대구는 내나 보다는 매나 를 자주씀 5:20 에 자막으로 나오듯 대구 사람들은 매나로 자주씀

    • @염석진1
      @염석진1 2 роки тому +1

      매나 그게 그거 아이가? (내나)는 잘안쓰긴함

    • @brain-fficial
      @brain-fficial 2 роки тому

      내나가 매나 매나랑 한가지지 뭐

  • @ahs0912
    @ahs0912 2 роки тому +7

    대구 이월드 가보니까 진짜로 다들 사투리 억양 그윽하게 묻어나오심 ㅋㅋㅋ

  • @pjy6849
    @pjy6849 Рік тому +1

    3:07 이거 생방보면 우정잉이 진짜 많이 쓰던데 신기하네

    • @HyunA_Sings2977
      @HyunA_Sings2977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대구의 젊은 사람들은 거의 다 씁니다 ㅋㅋ (젊은 대구 토박이)

  • @tandolfriend
    @tandolfriend 2 роки тому

    내나가 내나 내나지 에서의 가운데 내나는 의미상 "그냥" 정도가 적당할 것 같네요-
    내나가 그냥 내나지 뭐.. 특별할 거 있겠나
    이런 느낌-?

  • @dreamer2383
    @dreamer2383 2 роки тому +16

    태어난 곳은 인천인데
    초등학교 3학년때 대구 이사와서 살다보니 이제는
    대구말이 더익숙합니다만 아직도 모르는 사람과
    대화할때 존칭을 쓰면 대구말을 안씁니다
    서울사시는 사촌형님 만나서 밥먹고 당구칠때도
    사촌형님은 20년넘게 서울 사셨는데도 경북 지방 사투리를
    쓰시는데 저는 안쓴다며 신기해 하시더군요
    처음 대구와서 많이 당황하게 만들었던 단어들이
    많은데 그중 가장 알아듣기 힘들었던 단어가
    가가 가가...
    영상보니 대구사람이 서울말 쓰냐 묻는게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가서 살며 한국말을 배운사람이
    한국와서 한국말을 완벽하게 쓰냐는 질문이랑 비슷한거같네요
    발음은 어쩔수가 없는것처럼 대구 사투리도 억양은 어쩔수가
    없습니다
    예전에 다큐를 보다 알게된건데 4~5세 애기들이 소꿉놀이를하면
    사투리를 안쓰더군요 정확한 이유는 다큐에서도
    설명을 못하던데 예상엔 미디어의 영향때문이라고만 하더군요

    • @summer_nini
      @summer_nini 2 роки тому +1

      다큐 흥미로운데 어떻게 검색해야 볼 수 있을까요..?

    • @dreamer2383
      @dreamer2383 2 роки тому +1

      @@summer_nini 다큐는 언어에 관련된 영상이였는데 제목은 생각이 안나는군요 이와 관련해서 검색해보니 오래전 스펀지에서도 똑같은 실험한걸 본적있다는 글은 있더군요
      사투리를 사용하는 아이들도 [ 소꿉 놀이 ]할 때는 표준어를 사용한다.

    • @dreamer2383
      @dreamer2383 2 роки тому +3

      @@summer_nini 구글에서 관련 내용 퍼왔습니다
      사투리를 쓰는 아이들도 ( )를 할 때는 표준어를 쓴다"는 사실에 ( )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
      이 문제의 답은 '소꿉놀이'다.
      아이들의 소꿉놀이는 사투리를 쓰지 않는 것이 당연한 결과이다.
      인간의 언어발달은 3세에서 6세 때 완성된다. 이 때 배운 언어가 자기의 모국어가 된다.
      아무리 서울에서 태어난 아이라도 말 배우는 시기에 시골에 있는 할머니에게 맡겨 길러질 경우에 아이의 모국어는 자라난 시골말이다.
      이러한 모국어는 이성적인 사고, 의도적인 노력 없이는 평생을 함께 하는 숨길 수 없는 증거물이 된다.
      서울말을 열심히 배운 경상도 여자들도 난처한 상황에 도달하면 갑자기 '우짜노'하는 감탄사가 튀어 나온다.
      또 첩보 영화를 보면 국적을 숨기고 완벽하게 위장한 첩자라도 꿈을 꾸거나 무의식적인 독백 중에 자신의 모국어가 나와 신분이 들통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사투리는 우리의 의식 속에 지배받고 있다가 그 의식이 제어하지 못하면 걷잡을 수 없이 터져 나오는 것이다.
      아이들의 소꿉놀이는 가상적인 역할 놀이다. 본능에 지배받는 놀이가 아니다. 그러므로 소꿉놀이는 자신의 모국어보다 이상화된 모델인 표준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아이들은 아빠, 엄마 역할을 모델로 삼아 흉내내기 놀이를 할 경우는 사투리를 쓰지 않는다.

    • @d2341a
      @d2341a Рік тому

      ​@@dreamer2383이였->이었

  • @알로에-k3y
    @알로에-k3y Рік тому +3

    내츄럴 사투리는 진짜 국적이 다른거같이 느껴진다 ㄷㄷ

  • @유니-v1u
    @유니-v1u Рік тому +7

    사투리 표현을 안써도 이미 억양에 사투리가 포함되있다 이말이야

  • @Yuseobility
    @Yuseobility 8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맞나? 에 어맞다 돌아오면 버퍼링 걸리겠다 ㅋㅋㅋㅋㅋㅋㄴㅋㅋㅋㅋㅋㅋㅋ

  • @user-if9gj9pi1h
    @user-if9gj9pi1h 2 роки тому

    내나 보다는 매나 나 맹이라 하는뎈ㅋㅋㅋ 저도 첨에는 뭐야?했어여

  • @DAMIMAMI_CHE
    @DAMIMAMI_CHE 2 роки тому +35

    내나 를 여전히 어려워 하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네요ㅋㅋ 사용은 보통 《A와 B는 같거나 비슷하다》일때 사용합니다ㅋㅋ
    예를 들자면 세 친구가 길을 가는데 20미터앞에 군고구마를 팔고 있어요 셋은 20미터 앞이라 눈으로 보지는 못했지만 냄새는 맡았죠 이때
    a-야 단내난다!
    b-군고구마(A) 아니냐?
    a-아니다 군밤(B)같다!
    c-야 생각해보니 군고구마나 군밤이나 냄새는 내나 거서(A) 거(B)네?!
    이런 식입니다ㅋㅋ

    • @우라오쓰
      @우라오쓰 2 роки тому

      그럼 내내랑 같은말인가
      그거나 그거나 내내 똑같지 뭐 이건가

    • @vovllq12
      @vovllq12 2 роки тому +3

      @@우라오쓰 죄송한데 내내가 어디 말이예요? ㄹㅇ 첨 들어보는데 궁금해서...

    • @우라오쓰
      @우라오쓰 2 роки тому +1

      @@vovllq12 ?? 충남인데 오늘하나 내일하나 내내 거기서 거기 이런거 안씀 ??

    • @ksy99431
      @ksy99431 2 роки тому +1

      @@우라오쓰 헐 내내 라는 뜻으로 보니까 바로 이해되네요 저도 근데 충남사람 ㅋㅋㅋㅋ 인데 윗분은 내내를 모르시네여…

    • @우라오쓰
      @우라오쓰 2 роки тому +1

      @@ksy99431 충청도만 쓰나 이건 ㄷㄷ

  • @deangding9793
    @deangding9793 2 роки тому +5

    같은 한국사람끼리..이러게 대화가 어려워서야...

    • @ts-maria
      @ts-maria 2 роки тому +3

      중국이나 인도가면 통역 있어야 해요 ㅋ 세계적으로 보면 한국은 쉬운편으로 꼽혀요

    • @감나빗-26
      @감나빗-26 2 роки тому +2

      일본은 더 힘들어 ㅋ

    • @ts-maria
      @ts-maria 2 роки тому +1

      뭐 류큐어나 아이누어는 처음부터 일본어가 아니니까

  • @mocano2
    @mocano2 2 роки тому +13

    유일하게 사투리쓰는사람들이 안쓸때는 노래할때.....

    • @HyunA_Sings2977
      @HyunA_Sings2977 8 місяців тому

      노래엔 멜로디가 정해져 있으니.. 😅

  • @quickeasymeals7950
    @quickeasymeals7950 Рік тому +1

    내나는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해석하면 다 됩니다 마찬가지 => 매한가지 => 매나 => 맹or내나
    즉 내나는 마찬가지 매한가지 그거나이거나 똑같다 등으로 쓰이므로
    내나가 내나 내나지 => 매한가지가 매한가지로 매한가지지 => 그거나이거나 마찬가지로 똑같은거지

  • @Yoonho_
    @Yoonho_ Рік тому

    내나가 내나 내나지.
    -> 그거나 그게 그거지.
    -> 이거나 저거나 마찬가지지.
    이런건가? ㅋㅋㅋㅋ

  • @1221-z8d
    @1221-z8d 2 роки тому +33

    대구사투리는 아예 또 다른분야구나... 수도권에서 평생 자랐어도 통영 사투리 많이 듣고 자라고 대학친구들도 부산애들 천지삐까리라 경상도 사투리 쓸줄은 몰라도 들으면 다 이해하는줄 알았는데 교만했었네

    • @chim_bringme
      @chim_bringme 2 роки тому +18

      통영,부산사람도 내나 내나 씁니다

    • @초코빼빼로
      @초코빼빼로 2 роки тому +20

      경상도는 다 내나 써요 ㅇㅇ

    • @1221-z8d
      @1221-z8d 2 роки тому

      @@chim_bringme 그렇군요 못들어봤네요 하나배워갑니다 고마워요

    • @chizeeeee
      @chizeeeee 2 роки тому +1

      매나 내나 매한가지다

    • @sugarfree97
      @sugarfree97 2 роки тому

      부산과 대구 사투리는 억양을 제외하면 하모가 카모가 되는 차이 밖에 없어요. 경상도에는 부산 대구 사투리만 있는게 아니라서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