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크레스트 디스커스의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КОМЕНТАРІ •

  • @이상훈-c1b1h
    @이상훈-c1b1h 7 місяців тому

    멋지내요!

    • @빅투투
      @빅투투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trilionjung8502
    @trilionjung8502 Рік тому +1

    이뻐요

  • @wjdwnsrn
    @wjdwnsrn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핀이 예술 입니다
    혹시 영상의 디스커스쌍 F1 있나요?
    기회되면 분양 받고 싶네요^^

    • @빅투투
      @빅투투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지금은 휴식기입니다.
      금년에 한번 정도 번식을 할 예정입니다.
      번식 후에 분양 사이즈가 되면 공지하겠습니다.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경현-u4i
    @김경현-u4i Рік тому

    슈미트포켓 와틀리책자 아직도가지고잇어요 저도 수조가지금도 12개정도잇지만 이젠 디스커스는안합니다
    수시로변하는디스커스 피곤햬서

    • @빅투투
      @빅투투  Рік тому

      네 아직 와틀리 개체는 종을 보존하고 있습니다,

  • @바디공장장
    @바디공장장 Місяць тому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체형과 발색입니다. 최근에 너무 난발하는 브리딩으로 이름을 알려주지 않고 비교를 하면 대체 뭐가 다른건지 모를정도입니다. 개량이 완벽하지 않다보니.. f1의 고정률도 현저히 떨어지구요. f1도 생명인데.. 좋은것들만 빼고.. 나머지 탈락계체들의 처분도 고민꺼리죠. 중간급은 너무 가격이 떨어지고.. 탈락개체는 무료로 준다고 해도 안가져가려고 하니까요.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 @빅투투
      @빅투투  Місяць тому +1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디스커스 개량은 시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최소한 F4 단계가 되어야 어느정도 고정률이 나올 수 있는데, 상업적인 이유로 작명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몇명의 브리더를 빼면 더욱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탈락개체는 무조건 안타갑지만, 폐기하여야 합니다. 무료 분양도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한배에서 어미의 유전자를 잘 받은 개체는 15%내외입니다.

    • @바디공장장
      @바디공장장 29 днів тому

      @@빅투투 틀린 말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바디공장장
      @바디공장장 10 днів тому

      @@빅투투 너무 종류가 많아진것 같습니다. 물론 상품성을 개발해야 새로운 구매가 나타난다는건 어쩔수 없지만요. 확실히 국내에 있는 크레스트들과 핀이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 @이상훈-c1b1h
    @이상훈-c1b1h 7 місяців тому

    예네들은 가격이 어떻게되죠?

    • @빅투투
      @빅투투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 개체는 판매용이 아닙니다.

  • @MF-nt3ro
    @MF-nt3ro Рік тому

    보통 쌍 을 두자에 키우잖아요.. 스펀지대짜 부피가 두자 쌍어항에비해 크게 보여서 나중에 키우게 된다면 2자 배면섬프로 해볼까 해요 제일 약한 리턴모터로 해도 물살이 빠를까요??
    디커를 너무 좋아하는데 고온이라 축양장 2동 돌렸더니 18년전 겨울에 거의 50만원 나와 욕이라는 욕은 그때 다 먹었네요 ㅎㅎ

    • @빅투투
      @빅투투  Рік тому

      현재 이 쌍의 수조는 45큐브입니다.
      성장을 목표로 한다면 배면섬프 수조도 좋습니다.
      또는 상면여과기도 좋구요. 여과력이 좋은것이 최고입니다.
      단지 치어를 볼 수 있는 쌍 수조에서는 PH 관리 및 산란 유도, 수정률 향상을 위하여 스펀지 여과기를 사용하는것을 추천합니다.

    • @MF-nt3ro
      @MF-nt3ro Рік тому

      @@빅투투넵 배면도 여과조에 스펀지랑 솜을 채워놓으면 피에이치는 내려 가니까 오점대 유지하다가 환수 시켜버리면 산란하는데는 문제가 없을것 같은데요 상면이나 하단섬프는 물넘쳤다간 온갖 갖은 욕을 먹을수있어서 불안해서요 ㅎ

    • @빅투투
      @빅투투  Рік тому

      @@MF-nt3ro 치어가 날릴 때는 물의 입수구를 막아야 하는데 주의 하셔야합니다.

    • @MF-nt3ro
      @MF-nt3ro Рік тому

      @@빅투투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