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체구에서 뿜어져나오는 힘! 굴착기 힘의 과학적 원리 | 유압 | 실린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8 лис 2022
  • 작은 체구로 큰 힘을 사용하는 중장비의 원리.
    중장비의 기본 작동 원리는 ‘유압’이다. 유압은 밀폐된 공간에 채워진 유체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은 줄어들지 않고 다른 부분에 똑같이 전달되는 ‘파스칼의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좁은 면적을 작은 힘으로 밀면 반대편 넓은 부분에서 큰 힘을 발휘하는 원리이다. 이러한 유압의 원리는 압력 밥솥, 자동차 브레이크, 버스·지하철의 문 개폐장치 등에도 사용된다. 중장비의 커다란 붐을 들고, 회전하며 버켓을 오므리고 펴는 모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유압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 프로그램 : 원더풀 사이언스 - 힘의 진화, 중장비
    ▶️ 방송일자 : 2008.06.19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222

  • @user-qh6gv5of5m
    @user-qh6gv5of5m Рік тому +293

    굴삭기 힘의 과학적 원리는 못참지

    • @Buuuuunnnn111
      @Buuuuunnnn111 Рік тому +19

      '파스칼'은 못참지

    • @user-qf1le7kt3p
      @user-qf1le7kt3p Рік тому +10

      빠큐도 못 참지

    • @Go_is_me_Believe
      @Go_is_me_Believe Рік тому

      @@user-qf1le7kt3p ㅋㅋㅋㅋ 뜬금

    • @oop7999
      @oop7999 Рік тому +3

      똥은 못참지

    • @Hepburni
      @Hepburni Рік тому +11

      @@user-qf1le7kt3p 재미도없고 흐름도 뚜ㅡ욱 끊어버리네

  • @dum6230
    @dum6230 Рік тому +39

    유체역학에서 배울때 파스칼원리를 유압기기의원리라고도 한다더만 역시 이렇게 보면서 배우는게 최고야

  • @Blue_Maple_Leaf
    @Blue_Maple_Leaf Рік тому +5

    유익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user-gq3lx9nj7d
    @user-gq3lx9nj7d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dl9nw8qb2r
    @user-dl9nw8qb2r Рік тому +8

    파스칼의 원리 유명하죠.

  • @baejeongdae27
    @baejeongdae27 Рік тому

    푸엥카레 정리 제가 참 좋아하는데요,

  • @user-gz9uc7oo5f
    @user-gz9uc7oo5f Рік тому +2

    중장비 짱멋잇서

  • @user-cd9wy8ej7g
    @user-cd9wy8ej7g Рік тому +1

    신기하고 또 신기합니다

  • @user-cp3kh6ze7c
    @user-cp3kh6ze7c Рік тому +7

    오일에 가해지는 압력이 엄청날텐데 누유 없도록 패킹과 실린더가 잡아주는게 더 신기하더라

  • @user-ft1yv5he8l
    @user-ft1yv5he8l Рік тому

    거진 아는이야기지만 흥미롭단말야..

  • @user-ri4kh8sn6e
    @user-ri4kh8sn6e Рік тому +12

    수특 독서 지문에서 읽었던 내용이여서 더 흥미롭게 봤습니다!

    • @user-jt6qc1kb1b
      @user-jt6qc1kb1b Рік тому +1

      수특도 ebs 교재니깐 같은내용이나오죠

    • @user-ph5zy4fh7x
      @user-ph5zy4fh7x Рік тому

      수특 독서를 하는 허수가있네

  • @user-kd6dx1bh1x
    @user-kd6dx1bh1x 10 місяців тому

    유압이 날ㄹ 죽아더니, 이제 날 재생시키네요.

  • @user-zb6rd7ot1c
    @user-zb6rd7ot1c Рік тому +3

    DDP 착공할때 영상인가보네 ㅋㅋ 그냥 좋다 옛날느낌

  • @ToNA0000
    @ToNA0000 Рік тому

    와... 퀵커플러 없을때 ㄷㄷ 합니다 선조님들

  • @Duhans700
    @Duhans700 Рік тому

    신기해요

  • @리틀포크맨
    @리틀포크맨 Рік тому

    와우 굿

    • @7sud76
      @7sud76 2 місяці тому

      오 찐이다

  • @user-lh7lk7rs3d
    @user-lh7lk7rs3d Рік тому +41

    저 엄청난 힘을 버티는 실린더의 고무링이 가장 신기하단 말이야

    • @sivleke5033
      @sivleke5033 Рік тому

      실린더 열어보면 오링이 종류별로 세내가지 많게는 갯수로 10개이상까지도 들어가 있죠
      보통 동그란 오링은 한두개로 보조만 해주고 나머지는 유압전용 고무링들이 들어있음
      가격도 생각보다 비싸고 수리도 마찬가지

    • @user-dz9sv8pn4g
      @user-dz9sv8pn4g Рік тому +2

      맞아요. 실린더가 위아래로 움직이는데 누유가 안되는게 가장 신기함.

    • @MongsilAbum
      @MongsilAbum Рік тому

      V 패킹 또는 오일실이라고 하는 링이 들어갑니다 대략 아래와같은 형태인데
      압이 가해지면 가해질 수록 더 실린더에 밀착되게 만들었어요
      ^ㅣ ㅣ ^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Рік тому

      1톤 압력에도 쉽게 버티는게 고무의 힘.

    • @ohmytrance
      @ohmytrance 6 місяців тому

      350기압인데 어떻게 누유가 안되지?

  • @user-hd3fp1nm6v
    @user-hd3fp1nm6v Рік тому +1

    개신기해 파스칼 선생대단해

  • @son-jq1dk
    @son-jq1dk Рік тому

    중장비 원리는 못참지

  • @harrissscalvin914
    @harrissscalvin914 Рік тому +18

    굴삭기 폼 미쳤다

  • @rcexcavatortruck6825
    @rcexcavatortruck6825 Рік тому

    엄청난힘을가진 유압 어렵네요

  • @user-xn1sy9ne5h
    @user-xn1sy9ne5h 2 місяці тому

    나도 좋은 젤 써봐야겠네

  • @user-fi9yu1ts9r
    @user-fi9yu1ts9r Рік тому

    문외한인 제가 봤을때 굴삭기는 몇십년째 그대로인거 같은데 발전하고 있는거겠죠?

  • @messi3509
    @messi3509 Рік тому

    저것보나까 피라미드 진짜 어떻게 만들었을까 ㅎㅎ

  • @user-pu3lu9ve8n
    @user-pu3lu9ve8n Рік тому

    솔직히 이 영상이 왜 뜨는지는 모르겠지만 이건 못참지.ㅋㅋㅋ

  • @LucidLee418
    @LucidLee418 Рік тому +19

    유압실린더 너무 아름다워.. 볼 때마다 참을 수가 없다

  • @user-jp5xz8bg1d
    @user-jp5xz8bg1d Рік тому

    무언갈 만드는,특허를 낼수있는 각각의 지식이 있고 할수있는 사람의 모든종류,직업의 모든종류인 사람이 어떻게 부품,소재를 보는 정보가 있는곳은 뭔가요?(책으로 보는게 아닌 스마트폰,데스크톱컴퓨터로 볼수있는기준)

  • @sivleke5033
    @sivleke5033 Рік тому +9

    유압을 만들어주는 모터의 마력은 포크레인의 힘에 비해 보잘것 없긴하죠

    • @Honey_sleep_ASMR
      @Honey_sleep_ASMR Рік тому

      궁금한게 같은등급굴삭기에서 볼보는4기통엔진이고 두산은 6기통엔진인데, 유압의힘은 마력에 비례하진 않나요?? 궁금

    • @sivleke5033
      @sivleke5033 Рік тому

      @@Honey_sleep_ASMR 유압의 힘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건 유압을 생성해주는 유압펌프(엔진X)의 힘 그리고 파스칼 법칙입니다
      어떤 유압모터를 사용하는지의 차이가 유압의 힘의 차이를 만들고 엔진의 힘과는 무관합니다
      유압모터는 전기로 작동됩니다

    • @Honey_sleep_ASMR
      @Honey_sleep_ASMR Рік тому

      @@sivleke5033 답변감사합니다 ㅎㅎ
      시간되시면 마지막 질문하나더 하고싶은데요 ~ 4기통6기통 기통수가 낮을수록 폭팔힘이더강해서 진동과소음이 높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쉐보레스파크같은 경차는 3기통으로 엔진무게와 부피를 줄여 배출가스도작고 연비도 좋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질문이
      굴삭기 같은 경우 두산보다 4기통볼보차가 확실히 소음이 심합니다.
      그럼 연비는 계산적으로 누가더 좋을까요
      수년간 장비기사님들말로는 볼보가 연비가 안좋다고들 하는데 맞는말일까요?????
      이론상 6기통이 4기통보다 연비가 안좋다고 알고있었는데 앞뒤가 안맞는거 같아서요 ㅎㅎ

    • @sivleke5033
      @sivleke5033 Рік тому

      @@Honey_sleep_ASMR 엔진 연비 그리고 엔진이 힘과의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건 기통수가 아닌 CC로 생각됩니다
      4기통 1000cc와 3기통 999cc 엔진의 차이는 설계에 따라 연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크지 않다고 봅니다 물론 힘도 비슷할테구요
      하지만 소음 진동은 큰 차이가 있겠죠
      볼보 4기통이 좀 시끄럽긴 한데 것도 케바케에 관리 상태 따라 많이 차이 납니다
      연비는 직접 확인해볼 일이 없었으니 답변은 패스 하겠습니다
      화물차나 건설기계는 관리에 따라서 정말 차이 심해요...

    • @sivleke5033
      @sivleke5033 Рік тому

      @@Honey_sleep_ASMR 요즘 경차들이 3기통으로 나오는 이유는 기존 4기통이 워낙 힘이 없어서 오히려 연비가 떨어지니 초반가속의 효율성을 위해서 실리더당 파워를 높인것으로 보입니다

  • @bologcom
    @bologcom Рік тому

    와, 동대문운동장!

  • @casanovachoi
    @casanovachoi Рік тому

    재탕인가요

  • @progress999able
    @progress999able Рік тому +6

    파스칼, 그는 대체...!!!

  • @Youtube_information
    @Youtube_information Рік тому +3

    영상 시작부 야구장은 이제는 추억이 되버린 동대문 야구장인 것 같네요

  • @user-ve6jw1dm2d
    @user-ve6jw1dm2d Рік тому +3

    파스카레 원리 제가 참 좋아하는데요,

  • @dkanakfeowkscl
    @dkanakfeowkscl Рік тому +1

    코브스 선정 시험기간에 가장 재밌는 영상 1위
    (아.. 오늘도 끝까지 봐버렸다)

  • @23236543
    @23236543 Рік тому +4

    굴삭기 면허 따는 거 솔직히 ㅈㄴ 쉽고 재밌슴.

  • @ba4089
    @ba4089 5 місяців тому

    최초 유압을 어떤 원리로 주입하는지까지 설명이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 @user-np6lf5gm9v
    @user-np6lf5gm9v Рік тому

    👍

  • @user-zy7oy2yk6n
    @user-zy7oy2yk6n Рік тому

    주사기에 유압 넣고 하면 주사기 누르는힘으로 1톤정도 무게도 들수있나??

  • @user-rn5gk7pj3c
    @user-rn5gk7pj3c Рік тому +3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내기 위해서는 분명 손실되는 부분이있을건데... 가령 지렛대같은경우 이동 거리라던가
    유압프레스의 경우에는 어떤부분에서 손실이 발생하나요?

    • @user-jp6ic9hp9v
      @user-jp6ic9hp9v Рік тому +1

      제가 보기엔 이동거리라고 생각됩니다.

    • @Sniper7426
      @Sniper7426 Рік тому +1

      지렛대처럼 길이일 거 같네요.

    • @user-vn6wf1op1x
      @user-vn6wf1op1x Рік тому +1

      유압은 비압축성 유체라 실린더 출력을 99% 다 적용합니다 다만 가이드 저항 후레임 무게 에따라 출력손실 여부를 감안 해야하고 많은 유량(속도)과 높은 압력(힘)을 얻을려면 무지막지한 전동기 또는 엔진출력을 요 합니다

    • @Blacker02
      @Blacker02 Рік тому

      큰 힘 얻는 대신에 모터/엔진 에너지 손실 많이봅니다

    • @user-zq9oq7db6w
      @user-zq9oq7db6w Рік тому

      존나많이 누르는데 존나조금 올라감 ㅋㅋㅋ

  • @NALDOLOVE
    @NALDOLOVE Рік тому +1

    굴착기 피지컬 지리네 ㄷㄷ

  • @user-ij8ip7mm9c
    @user-ij8ip7mm9c Місяць тому

    유압 굴착기

  • @purepearl3925
    @purepearl3925 Рік тому

    2:14 굴삭기가 아니라 굴착기가 맞는 표현입니다

  • @cat_emperor
    @cat_emperor Рік тому

    큰 체구에서 나오는 조... 엄청 큰 힘이 맞는 표현 아닐까요 선생님들..

  • @user-db5uw1jc7d
    @user-db5uw1jc7d Рік тому +12

    유압을 어떻게 만드는지도 알려주면 좋을거 같네요. 실린더로 들어가는 유체에 압력을 가하는 곳. 파스칼의 원리는 상대적인거라 제대로 설명하려면 앞부분도 보여줘야합니다.

    • @woqp-gh1nx
      @woqp-gh1nx Рік тому +5

      맞아. 유압이 시작되는 곳, 어떤 힘과 원리로 보내는지를 보여줘야 제대로 이해하기 쉽지..

    • @candleproducer
      @candleproducer Рік тому

      @@woqp-gh1nx 최초의 힘은 에너지를 써서,,,,석유를 태워서 기계적인 힘으로 아닐까,,,,,,!.?

    • @sivleke5033
      @sivleke5033 Рік тому +2

      유압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있습니다
      모든 유압 장치는 별도의 모터와 남는 유압유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필요로 합니다
      유압모터는 원리가 간단하기도 해서 크게 중요하게 다룰만한 내용은 아니라고 판단한듯 하네요

    • @KIMKIM-ow1vd
      @KIMKIM-ow1vd Рік тому +1

      하이드로릭 피스톤 펌프 검색 ㄲ

    • @woqp-gh1nx
      @woqp-gh1nx Рік тому

      @@sivleke5033 오호. 그럴수도 있겠네요

  • @user-ol7dj8uq5x
    @user-ol7dj8uq5x Рік тому

    유압작동압력이 60bar ,실린더 피스톤 지름이70mm정도이면 2.3ton정도을 들수있서요.

  • @fat_sorrow
    @fat_sorrow Рік тому

    와 10분 순삭.. ㅋㅋㅋㅋ 개재밋네

  • @jinjaepapa
    @jinjaepapa Рік тому

    차를 철재랑 플라스틱이랑 붙어있는걸 눌러버리면 재활용때 어쩔려고?

  • @MakTooL
    @MakTooL Рік тому

    F=단면젝(A) x 압력(Mpa)

  • @musicmasker1896
    @musicmasker1896 Рік тому

    기름 유 누를 압

  • @user-lp3my2ly9v
    @user-lp3my2ly9v Рік тому

    중장비뿐만 아니라 전차, 장갑차, 자주포같은 군대의 기계화장비에도 유압은 쓰이고 있죠.

  • @user-zb4yj3cj2d
    @user-zb4yj3cj2d Рік тому

    굴삭길

  • @junp2008
    @junp2008 Рік тому +4

    유압을 이용하여 만드는 중장비의 링크구조가 더 어려울듯 원하는데로 움직이게 만들기위해 적용하는 기구학이 진심 어려움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Рік тому

    원동력은 엔진이 맞지~ 엔진으로 유압펌프 돌리고 이 고압유로 실린더를 움직이는거고~

  • @KBK-ep6rr
    @KBK-ep6rr Рік тому +4

    와 이것도 15년이 다 되가는 영상이네..

  • @jeongjaesoon
    @jeongjaesoon Рік тому +2

    굴삭기+유압실린더=테스토스테론

  • @user-en2wm7fc8b
    @user-en2wm7fc8b Рік тому

    감속모터 같은 원리가 있는거 아닌가요

  •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Рік тому

    무언가 부족한 부분이 있읍니다. 이것은 일정한 압을 기반으로한 지렛대의 원리 입니다.

  • @Verse00
    @Verse00 Рік тому

    1:05 언럭키 차승원

  • @user-ki1wj7ql4t
    @user-ki1wj7ql4t Рік тому

    궁금한게 공사현장에서 쓰니까 각종 비산울이 실린더에 붙으면 리데나 파손될 확률이 높은데 왜 보호장치가 없을까..?

    • @321mcfly4
      @321mcfly4 Рік тому +1

      밀어내서 닦이지안나

    • @user-vn6wf1op1x
      @user-vn6wf1op1x Рік тому

      더스터 씰 이 먼저 로드를 딲아 냅니다 하지만 충격에 로드가 찍히면 유팩킹을 파손시켜 누유가 발생 합니다

  • @user-sr6zi9uq5e
    @user-sr6zi9uq5e Рік тому +1

    아 진짜 자려고했는데,,

  • @Yanlose
    @Yanlose Рік тому

    그럼 실린더에 오일을 채우는 모터? 펌프가 모든 무게를 다 받는다는건데.. 모터는 제작이 쉬운가요?

    • @Dorthere
      @Dorthere Рік тому +1

      모터는 일정 수준 힘만 내줘도 됩니다. 힘은 실린더로 증폭되니깐요.

    • @typebin
      @typebin Рік тому +2

      펌프는 단면적이 작아서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들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파스칼의 원리죠 헬창이면 포크레인도 움직일 수 있을겁니다 다만 졸라 느릴뿐

    • @Yanlose
      @Yanlose Рік тому

      아.. 1톤을 뜨려면 펌프로도 1톤의 힘(압력)이 걸려야하는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훨씬 쉽고 증폭되는구나.. 감사핮니다 이 댓글 기다렸어요 ㅠㅠ

    • @user-nl1me3uj1i
      @user-nl1me3uj1i Рік тому

      @@Yanlose 압력이라는 건 면적당 힘이니까 작은 면적에서 힘은 작게 줘도 면적이 넓은 쪽에서는 더 큰 힘이 가해지죠. 그게 마법같은 거긴 해도 실질적인 일은 양쪽 모두 동일합니다. 큰힘이 발생하는 쪽은 그대신에 이동거리가 짧으니까요.

  • @4D-HUMAN
    @4D-HUMAN Рік тому +1

    유압으로 토크를 얻고 가속력을 얻으면 자동차도 더 발전 할 수 있다.

  • @dandi8970
    @dandi8970 Рік тому +9

    F (톤) = P(유압 압력) X A(실린더 단면적)

  • @KYS-_-1583
    @KYS-_-1583 Рік тому +2

    제일 중요한 오일을 넣는힘은 어디서 나오는가? 가 없잖아

  • @user-lf3cs8zv6h
    @user-lf3cs8zv6h Рік тому

    그래서 저거 다 합치면
    슈퍼 빌드 타이거죠?

  • @user-em5bv2tj3y
    @user-em5bv2tj3y Рік тому

    들어도 어렵다 ㅠㅠ

  • @kirokuk.8256
    @kirokuk.8256 Рік тому

    저게 로봇이지

  • @x10storm64
    @x10storm64 Рік тому

    쉽게말해서 1마력모터가1기압으로 한바퀴돌때 1기압힘을 준다고가정하면 100바퀴돌면100마력이죠. 유압피스톤 한번 늘어날때 유압모터가100바퀴돈다면 1:100이죠 100마력
    일종의 지렛대원리 유압용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되요.

  • @jhl869
    @jhl869 Рік тому +3

    굴삭기 볼때마다 신기한게
    관절부위에 위치한
    유압실린더로 고압의 기름을 나르는
    검은 호스가 어떻게 안터지고 버티냐임.

    • @user-pk1qh6jl7q
      @user-pk1qh6jl7q Рік тому

      그래서 유업호스 많이터짐

    • @user-my3xw1ex1s
      @user-my3xw1ex1s Рік тому

      호스에 강철선이. 여러겹싸고있어요

    • @ssom_day
      @ssom_day Рік тому

      현장에서 가끔 터져요
      소모품입니다

  • @user-fi9yu1ts9r
    @user-fi9yu1ts9r Рік тому

    1:00 장인

  • @sideplanet4723
    @sideplanet4723 Рік тому +1

    에너지가 보존 되는데
    어떻게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만드는거죠?
    작은 에너지로 큰 에너지를 공짜로 만들어 낼 수 있는건가?

    • @tjdmswo_o
      @tjdmswo_o Рік тому

      작은 힘으로 큰힘을 만들어내는 대신 큰 면적의 이동거리는 작은 면적의 이동거리보다 작아서 에너지보존법칙이 성립한다고 하네요!

  • @karam8101
    @karam8101 Рік тому

    버켓이 일체형이네

  • @lsi7321
    @lsi7321 Рік тому

    턱압프레스 도 이런 원리인거군!

  • @user-ip4li7bt8b
    @user-ip4li7bt8b 2 місяці тому

    파스칼 ㅈㄴ 똑똑하네 진짜

  • @ronwi333
    @ronwi333 Рік тому

    대충 공대생 울리는 파스칼의 원리~

  • @user-zp1on1qb8o
    @user-zp1on1qb8o Рік тому +2

    작은 체구요?

  • @ceosealemon
    @ceosealemon Рік тому

    단순 펌프로 얇은 유압관 통하여 기름 압력을 밀어내는데 수십톤 힘을 낸다는게 이해하기 힘들어요. 오일 대신에 만약 물을 집어 넣어면 수압의 힘으로도 작동할까요?

    • @bbiyacks
      @bbiyacks Рік тому +5

      7:27 여기부터 보시면 됍니다

    • @Dorthere
      @Dorthere Рік тому +3

      작동은 하지만 실린더가 녹슬고, 겨울과 여름에 온도에 따른 부피차이가 생겨 압력에 변화가 생기며, 심지어 겨울엔 얼어서 못쓰죠. 기계파손각.

    • @sivleke5033
      @sivleke5033 Рік тому

      작동 불가능 합니다
      압을 받으면 온도가 올라서 물이 끓고 부피가 큰 증기가 발생되어서 오작동을 일으키죠
      한창 작업중이던 유압에서 오일이 새면 사람이 화상을 입을정도의 온도까지 올라갑니다

    • @user-el8qm2tq6j
      @user-el8qm2tq6j 5 місяців тому

      압력의 정의는 p=F/A입니다..단위면적당 받는 힘인데 여기서 힘으로 정리하면 F=PA 즉 힘은 압력과 면적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실린더의 면적이 큰쪽이 압력도 많이 받게됩니다..파스칼의 원리에 의하면 실린더내부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동등하기 때문이죠..그래서 실린더가 큰쪽이 힘을 많이 낼수 있는것이죠

  • @user-ct5yw6vk9u
    @user-ct5yw6vk9u Рік тому

    아 동대문운동장이구나

  • @user-fw3xv2hj1b
    @user-fw3xv2hj1b 9 місяців тому

    굴삭기를 처음만든 회사가 포크레인이 아니고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수입된 굴삭기가 프랑스에서 굴삭기를 제조판매하는 포클랭이라는 회사인데 굴삭기라는 단어가 생소할때 포클랭 포클랭하던것이 부르기쉽게 포크레인이라는 단어가 생겨나 포크레인 포크레인하는거고 정식명칭은 굴삭기도 아닌 굴착기입니다 포크레인 .굴삭기 백호. 등 여러가지잘못된 표현을 바로잡고자 국립국어원에서 굴착기라는 단어를 정식명칭으로 제정되었습니다

  • @HJJDJSGH
    @HJJDJSGH Рік тому +3

    아무리봐도 굴삭기가 맞는용어인데, 국립국어원 돌대가리들때문에 터널뚫는 장비도 굴착기, 땅파는 장비도 굴착기가 되어버렸네....

  • @hiderocket
    @hiderocket Рік тому

    저 동대문부지에.. 도쿄돔처럼 복합돔을 지었어야 햇는데...하...

  • @333movie
    @333movie Рік тому

    2008년

  • @kimjinhyun97
    @kimjinhyun97 Рік тому

    파스칼이 화가였는줄 알았은데

  • @hondamarin5669
    @hondamarin5669 Рік тому +1

    파스칼좌

  • @sumtingwong5451
    @sumtingwong5451 Рік тому +9

    2:27 굴착기를 처음 만든 것은 포그레인 회사가 아니고 1836년 William Otis가 증기기관의 힘을 이용해 Steam Shovel이란 이름으로 특허를 얻어낸 것이 최초입니다. 엘리베이터, 당시 이름은 수직 철도 시스템을 최초로 발명한 Elisha Otis의 사촌 동생입니다.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Рік тому

      오티스면 승강기 최초로 만든 양반 아님??

    • @frisebichon1519
      @frisebichon1519 Рік тому +1

      @@gerhfmgmtrncncxnbr 둘 다 맞는 말인데 굳이 따지자면 굴착이 맞는말이도 굴삭은 일본식 한자어

  • @whiteswan6061
    @whiteswan6061 Рік тому

    PV = 일정..

  • @user-nz9mt2ov5n
    @user-nz9mt2ov5n Рік тому

    파스칼의 원리를 보면 결국 자전거 기어랑 비슷한 원리구먼

  • @Choi_jungwon
    @Choi_jungwon Рік тому

    동대문운동장 철거현장

  • @haegundaehan7676
    @haegundaehan7676 Рік тому

    이젠 굴착기 면허로 나옵니다.

  • @NativeBakJaesaram0001
    @NativeBakJaesaram0001 Рік тому +1

    보면 볼수록 펭수 때문이기도 하지만, [ə][be][ɛs] 가 [ka][be][ɛs] 보다 더 공영방송 같음.

  • @pluto-fm5ig
    @pluto-fm5ig Рік тому +1

    60년대 이야기를 작업 반장이 합니다.

  • @leesanghong80
    @leesanghong80 6 місяців тому

    Cl13b

  • @user-yv6kk9mh7h
    @user-yv6kk9mh7h Рік тому

    에이원피원은 에이투피투와 같다

  • @ysh258
    @ysh258 Рік тому

    폐차장 지게차 아조씨 사고나면 어쩌려고 유압기 켜졌는데 발을 집어넣냐;;;

  • @user-pn5zg8tv4s
    @user-pn5zg8tv4s Рік тому

    웹툰 신과함께에서 해원맥과 강림이 굴착기에 쩔쩔맨 이유

  • @user-yr4sb3kx2f
    @user-yr4sb3kx2f Рік тому

    참고로 굴삭기 다리는
    거미의 다리를 보고 영감받아서 만든거임.

  • @user-pi5ei9sk2e
    @user-pi5ei9sk2e Рік тому +1

    다때려뿌시는 일하면 스트레스는 잘 풀리겠네

    • @user-pw6qk3ds9r
      @user-pw6qk3ds9r Рік тому +1

      그저 단순히 부수는게 아니고 파편이 유압 호스나 실린더에 안 닿게 신경 써야 하구요 어디를 부숴서 어떻게 되야 되는지 머릿속 으로 미리 시뮬레이션이 되어야 안전 사고가 안납니다 실제로 철거 작업도 웬만한 실력으론 안된다는점 말씀 드리고 싶네요

  • @momokim1708
    @momokim1708 Рік тому

    난 유압호스가 더 신기함 고무제질 같은데
    엄청난
    압력을 견딤

  • @user-en2wm7fc8b
    @user-en2wm7fc8b Рік тому

    설명이 부족하네요
    중요한 부분은 언급이ㅜ없구만요

  • @user-kx9fs4sk2k
    @user-kx9fs4sk2k Рік тому +3

    파스칼 원리는 꼴랑 5초로 떼우고 나머지는 유압피스톤 움직이는 영상으로 도배했네.
    요란할뿐 영양가 별로 없는 영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