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제가 틀릴 수 있습니다!! 5:05 출처 다모다란 교수님 유튜브 - ua-cam.com/video/L6iMK0Wcykw/v-deo.html 더 보면 좋은 영상, 글들 배당주 투자의 장단점 분석 - ua-cam.com/video/Ptx_S4gXe0E/v-deo.html 진부하지만 배당주, 성장주를 버리고, 인덱스를 사야하는 이유 blog.naver.com/mynameisdj/221797987490 배당주에 대한 미신 - blog.naver.com/mynameisdj/221602492920 배당주가 무조건 좋다고요?- blog.naver.com/mynameisdj/221930728604 배당귀족보다 더 좋은 투자전략은? - blog.naver.com/mynameisdj/221627473512
주식을 사고파는 종이가 아니라 오랫동안 보유하며 기업의 이익을 배분하는 개념으로 생각해서 선택하는것이 배당주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수익률로 생각할게 아니라 기업이 주주에게 친화적인지도 확인할수 있는부분도 배당인것이구요. 특히 주식을 오랫동안 보유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배당을 보고 투자하는것도 중요한부분입니다. 과도하게 높은 고배당주에 투자하는 방식은 잘못될수있지만 주식이라는것을 단지 시세차익의 도구로 생각하는것이 아니라 배당을 받으며 주주로써의 권리와 의무를 생각해야 장기적으로 건전한 투자활동을 할수 있을거라 생각이 되네요
항상 감사히 잘보고있습니다. 어차피 현금을 사내유보하더라도 회사에서 현금유보에대한 세금을 일정비율로 내야하고 주식을 매매할때도 양도소득세를 내야하므로 "배당주는 배당지급에 대한 세금을 내서 좋지않다" 라고 보는 시각에는 반대합니다. 제가 배당주를 선호하는 이유는 꾸준하게 배당을 증가시키는 회사가 돈을 잘 벌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수 있으므로 부실한기업을 거를수가 있어요. 특히 국내에서는 현금배당하는 기업에 간단한 몇가지 지표만 봐도 상장폐지되는 위험은 피할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업들이 배당을 주지않고 더욱더 성장할 여지가 많은 회사라면 배당을 주지않고 투자에 돈을 쓰는게 맞겠지만 이미 성숙한 회사들은 투자처가 많지 않으므로 배당지급과 함께 천천히 성장하는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약해보자면 배당만 보고 들어가지 말라! 배당의 원천은 기업의 이익이다 즉, 제일 중요한게 기업의 이익이다. 기업의 이익이 꺽이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면서 배당을 준다면 금상첨화! 또한 선취적인 세금문제로 예상 수익률이 낮아지는 것도 생각하기 결국 영업이익이 잘 나오는 기업을 고르는 것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네요 역시 주식은 배당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보다 영업이익 같은 메인 요소를 잘 봐야하는 게임 같네요
배당투자에 대한 단테님의 의견 영상으로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투자함에 있어 배당만 보고 투자하는것은 진짜 위험하죠...동의합니다!!그런데 직장생활하면서 딩동 배당문자오면 그렇게 신이날수가없어요..ㅋㅋ 나대신 내가 투자한 회사들이 일 잘해서 나한테 돈을 보내줬구나...하는 생각에요..^^그나저나 티셔츠 넘 귀여우신거 아니세요?ㅋㅋㅋ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하지만 배당투자도 좋은 종목들을 선정해서 장기적으로 가져가면서 투자한다면 정말 좋은 방법의 투자입니다. 안전배당과 배당성장을 적절히 모아가면 그만큼 좋은 투자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은 좋지않다고 생각합니다. 배당투자하는 사람들은 무조건 기업의 실적과 주가와 미래에 상관없이 무조건 시가배당률이 높은 주식만 모으는 것처럼 말씀하시면 영상 보는분들이 오해할 소지가 잇는거 같습니다.
코로나 사태때 무배당주들이 더 많이 올랐다는 말은 동의할 수 없음. 더 많이 오른 이유는 정확히 언택트 (인터넷 관련) 회사들이었기 때문이지 배당 안주는 회사들이 다 오른게 아님. 그리고 배당은 주인에게 실질적인 수익(인컴)을 돌려준다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존슨앤존스, 월마트, 코카콜라 배당킹이지만 주가도 꾸준히 올랐습니다.
단테님 말씀대로 우량주, 즉 어느 기업이 수 십년 잘 나갈지 모르니까 배당을 받아야겠습니다...ㅎㅎ 성장을 해도 결국은 배당을 받아야 이익이 환되는것 이니깐요, 주식은 시장가격에 거래되기때문에 아무리 가치가 있는 주식, 성장중인 주식이여도 결국은 누군가 사줘야 비싸지는 시스템이지만 배당은 확실한 이익 환원 방법이니깐요.
지적하신 것이 전적으로 맞는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주식 초보들에게 배당주를 권하는 이유는 배당을 받으면 기분이 좋기 때문입니다ㅋㅋㅋ 많은 돈 들어오는 건 아닌데 배당 들어오면 기분이 정말 좋더라고요 가정이지만 큰 위기가 없다면 하방 경직성도 일반 주식에 비해서는 높다고 생각하고요 그래서 주식으로 돈을 벌어봤다는 작은 희망과 주가가 크게 움직이지 않는 안정성 때문에 권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슬프게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배당주 좋아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 경험으로 보면 배당 잘주는 회사들이 그나마 주주환원주의에 입각한 회사들이기 때문이죠. 배당안주는 우리나라 회사들 보면,,, 회사에 돈없는 테마주, 기업은 좋으나 오너가 이상해서 회사에 돈만 잔뜩쌓아놓고 승계등의 이유때문에 주가누르고 있는데 배당도 안줘서 주주들 화병나는 경우 등입니다. 미국은 이런일들이 거의 없죠. 그리고 ETF수수료 차이도 있고... 결국 VT나, VOO같은 주식들이 더 좋죠. Index펀드의 취지에도 맞고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배당주를 보고 투자를 시작했는데 점점 다양한 생각이 드네요. 이번에 조사하신 기간동안 배당성장ETF보다 지수가 이겼지만 또 언제가는 배당성장ETF가 지수를 이길지도 모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투자에 정답은 없지만 결국은 최고의 수익률보다 우상향하는 자산에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참을수있는) 주식의 변동성에 투자하는 게 아닌가" 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배당을 체크하는게 만병통치약보다 걸러주는 개념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배당주의 특징이 안정적인 성장에 현금을 벌어들이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기때문에 고성장대비 버블이나 폭락이 심하지 않고 적정가치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죠 안정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사업모델 괜찮은 고배당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고배당 기업들은 성장이 정체된 유틸리티 기업(mlp) 또는 리츠, bdc 기업이며 법인세 혜택이 있습니다. 이런 섹터로 백테스트를 하면 지수를 이겨버리는데요, 법인세 혜택을 고려하면 단순히 주머니에서 옮기면서 세금 15%내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최근 배당주 투자자들은 시세차익과 고배당을 함께 노리는 것이구요. 제시한 고배당 인덱스 사례는 단편적인 것 같네요. 보통 주가유지를 위해 배당을 인상하는 한계기업들도 많이 들어있으니깐요. 아무튼 spg mac stor 등의 리츠로 배당과 시세차익을 많이 얻기를!!
잘 보고 있습니다. 저도 투자자긴 한데 생각이 조금 달라서요. 일단 좋은 배당주는 떨어진 만큼 회복력도 빠르더라고요. 우량주는 그만큼 프리미엄이 붙어서 배당수익율이 낮아서 구매안했고요. 5월에 매수해서 현재 40프로 이상 수익중이고요. 배당도 종목별로 월별로 나누어서 종목사놔서 월급처럼 나오고해서 일단 일년은 들고 있을 예정입니다. 물론 기본전제로 회사를 분석해서 좋은 기업을 발굴해야하는 고생이 필요하겠죠.
오옷 김단테님, 제 고등학교 선배/후배셨어요!!!! (동기는 아닌것 확실ㅋㅋ) 어쩐지 투자스타일이랑 생각이 너무 공감간다 생각했는데, 신기하네요~ 배당주 투자에 대해서도 동의합니다. 굳이 불필요한 배당주들에게 국한될 수 있는 "특수 리스크"를 떠앉을 필요가 없죠. 어차피 인덱스 사면 다 가져갈수 있는데 말이에요.
배당주투자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는 생각이 유행처럼 번지는데 대한 적절한 경고였다고 생각합니다. 남들 따라 배당귀족주나 배당성장 ETF에 투자하면 결코 성공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시류에 편승하는 투자가 위험한건 배당주 투자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투자영역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배당주 투자도 남들이 추천하는 종목을 사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판단으로 연평균 10~15%씩 어닝과 디비던드가 성장하는 종목을 담아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가 그렇듯 투자자의 태도와 어떻게 하느냐가 성패를 결정한다고 생각합니다.
더이상 노동소득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실직자, 퇴직자, 자발적 은퇴자등에 속하는 경우에는 배당주 투자가 더 마음이 편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대로 배당율만 따지는 것이 아니라 배당성향, FCF, 이익증가, 매출증가등 지표상승이 있는 기업에서 받는 배당이나 ETF를 통한 배당 수령시 말이죠 배당등 자본소득으로 살아가는게 주가상승을 통한 시세차익보다 한국에서는 세금적으로 저렴하니까요 (물론 금융소득 종합과세 구간중 어디에 해당하느냐도 중요한 요건이라 생각합니다 일정금액을 넘길시 시세차익 세금이 저렴할수도 있죠) 그게 아니더라도 기업이 아니라 ETF등에 투자중이고, ETF의 밴치마크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면, 수익의 예상가능함이 장점이 아닌가 합니다 시세차익의 경우 주가변동성에 따라 정확하게 이 때 이만큼 팔아야하겠다하는 것이 어려우니까요 그런면에서 미국에서 몇년전부터 많은 말이 나온 파이어족등을 위한 투자로는 배당으로 가는게 더 적합해서 배당주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마냥 배당투자만 하는 것은 저도 별로 좋게생각하지 않습니다. 아직 젊고 장기투자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면 무배당기업의 투자도 병행하는개 좋다고 생각합니다 최선의 주주환원은 배당, 자사주매입보다 최선의 자산배분을 통한 기업의 성장이라고 생각하니까요 다만, 난 파이어족이 되겠어!하는 분이라면 생각이 다를 수는 있겠네요 사실 파이어족도 배당만으로 살아가지는 않고, 일부 시세차익 투자도 겸하면서 살아가는 경우도 있다고하죠 (미국에서는 장기보유에 따른 세금혜택이 있기에 해당 세금혜택을 받고 시세차익으로 파이어족이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장기보유혜택이 없으니 세금문제에 대한 고민이 좀 더 많을 수 있네요 그런면에서 연금계좌등의 활용이 중요해 보입니다. 효과적 절세차원을 고려하기 위해서요) 그렇기에 정확하게 딱 이거다 말하긴 어렵네요 제가 미국의 연금, 세금구조등을 다 알지는 못할테니까요 언제나 좋은 영상,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늘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조금이든 많이든 배당을 주는 미국 회사는 정말 많은데, 배당을 주는 모든 기업을 배당주라고 하는건가요..? 시가배당률이나 payout ratio만 높은 데를 배당주라고 하는건가요.? 처음엔 당연히 후자라고 생각했는데 뒤에 언급된 DGRO같은 etf에는 상위 홀딩 종목이 AAPL, MSFT 등인데 흔히 성장주로 분류되는 것까지 배당주라고 보는 것인지..??
애플의 경우 1996년부터 배당을 멈췄다가 2012년부터 다시 배당을 지급하기 시작했고 마소는 2005년 봄부터 꾸준히 배당을 지급하기 시작했는데요. 배당금 기록을 보니 꾸준히 배당금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배당성장주에 분류가 가능할 것 같고요. 그래서 배당성장주를 보유하는 DGRO의 성격상 애플과 마소를 가져가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보는게 맞는거 같고요(이 문장은 제 사견입니다^^) 그렇지만 둘다 시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시장에서는 성장주로도 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
단테님 생각의 동의합니다. 이제 공부한지 얼마안돼서 growth냐 dividend냐 생각중인데. 나이도 30대초반이고 한달에 한번씩 돈들어와야돼는상황이 아니라 따로 월급들어오고. 어차피 20-30년은 보고 하는거기때문에. (QQQ, SPY)랑 (DGRW, SPYD, SPHD) 비교해봤더니 역시 QQQ더라고요. 적어도 지금은 전 growth보고 갑니다. 물론 리츠나 BDC도 diversitification차원으로 조금씩 가지고있지만요
"배당주가 나쁘다는게 아니라 배당주가 무조건 좋은건 아니다" 라고 말씀하셨지만, 말투는 배당주를 왜 하냐는 식이신거 같아요. 댓글 다신것도 보면 그렇고요. 미국사람들이 배당주 매매를 하는것을 보면 자본이득보다는 매년 배당주를 늘리기 위해서 투자를 하고, 목표를 변경합니다. 그이유는 간단하죠. 배당으로 먹고살기 위해서입니다. 이번 폭락장을 본다고하면, 내가 신용등급 BBB+ 이상의 메가캡 주식들을 수십종목 보유했다면 작년대비 배당은 오히려 늘었습니다. 저부터도 70~90종목 보유중에 배당삭감은 겨우 3~4종목이고, 올려준 종목은 훨씬 많습니다. 근데 자본이득을 원하는 사람이었고, 올3월에 팔아야 했다면 그사람들은 갑자기 30%이상 손실을 본 상태에서 팔아야 될수도 있습니다. 마음 편하게 하기 위해서, 안정적으로 하기위해서 배당주를 하는것입니다.. 자본이득만 강조하시던데, 그러면 올웨더도 지수 못 이기지 않나요? 올웨더 하시는 이유는 그게 편하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 아닌가요? 팬이었는데, 이번 내용은 좀 실망스럽습니다.
@@mikekorean5687 전 오히려 대단해 보이던데요 일반개미들도 지금 반등은 충분히 예상가능한 장이였고 그와중에 본인이 추구하던 메뉴얼을 지켰다는거 자체가 대단하다고 느껴졌습니다. 특히 손절후 우리는 매도를하면 전량매도를 하지 포지션을 줄이지는 않는다고 말헀을적에 솔직히 속으로 늙은여우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역시 최고의 투자자 중에 한명이구나 느꼈습니다 . 참고로 이번 recession 때 버핏이 델타에 추가매수하고 손해본 금액은 1천만원 가진 투자자가 5천원 손해본 정도입니다.
근데 배당주보다 성장주가 더 매력적일수 밖에 없는게 회사의 경영성과로 낸 이익잉여금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시스템이라 굳이 그렇게 해야하냐는 의문이 들게되죠. 차라리 그 돈을 회사에 가지고 다시 재투자 하거나 자사주 소각이라도 하게 되면 주식 가치가 더 올라가 자본이득을 더 볼 수 있게되는 상황이 될텐데요. 기회비용 측면에서 보면 성장주 투자가 조금 더 저에게 매력적이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마치 배당을 주는 행위는 조삼모사와 같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어찌 보면 조삼모사보다도 더 못한 상황이 나올수도 있겠네요. 회사가 남는 돈을 제대로 된 곳에 재투자하여 더 큰 성장을 이뤄낸다는 가정 하에서는요.
오랫동안 보유해도 배당소득세 다떼고, 백테스트 해도 저정도 결과라면 배당주에 몰빵해서 생활비 벌겠다는건 다소 쉽지않은 계획같네요. 다들 말하는 그런 ‘배당 성장주’를 찾아야 할텐데요~ 과연 쉽지않음ㅋ 근데 spy랑 vig비교한거 기간이 혹시 어떻게 되죠?ㅜ 영상에 있는데 못봤나ㅜ
당연히 제가 틀릴 수 있습니다!!
5:05 출처 다모다란 교수님 유튜브 - ua-cam.com/video/L6iMK0Wcykw/v-deo.html
더 보면 좋은 영상, 글들
배당주 투자의 장단점 분석 - ua-cam.com/video/Ptx_S4gXe0E/v-deo.html
진부하지만 배당주, 성장주를 버리고, 인덱스를 사야하는 이유 blog.naver.com/mynameisdj/221797987490
배당주에 대한 미신 - blog.naver.com/mynameisdj/221602492920
배당주가 무조건 좋다고요?- blog.naver.com/mynameisdj/221930728604
배당귀족보다 더 좋은 투자전략은? - blog.naver.com/mynameisdj/221627473512
형 혹시 어디서 주식 매매 하시는지 가르쳐 줄수 있나요...? 주식초보라 미레에셋인가요...?
배당주로 자산을 늘리겠다 = NO
배당금으로 생활하겠다(퐈이어족) = YES
역발상으로 지금 절반 이하로 폭락한 spg 같은 리츠주 매수하면
잘만하면 두배가까이 주가 오르고
10%넘는 배당도 받을수 있는 매우 좋은 시기입니다. 환상적이죠
와 이 댓글 진짜네요 11개월 전 대비 2베 오름...
미친.. ㄷㄷㄷ
진짜 두배 가까이 올랐네 미친
주식을 사고파는 종이가 아니라 오랫동안 보유하며 기업의 이익을 배분하는 개념으로 생각해서 선택하는것이 배당주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수익률로 생각할게 아니라 기업이 주주에게 친화적인지도 확인할수 있는부분도 배당인것이구요.
특히 주식을 오랫동안 보유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배당을 보고 투자하는것도 중요한부분입니다.
과도하게 높은 고배당주에 투자하는 방식은 잘못될수있지만
주식이라는것을 단지 시세차익의 도구로 생각하는것이 아니라
배당을 받으며 주주로써의 권리와 의무를 생각해야 장기적으로 건전한 투자활동을 할수 있을거라 생각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기업이 주주에게 배당하지 않고 재벌일가 분식회계랑 불법승계로 이윤을 독점하는 저급한 우리나라 기업들보단 고배당주가 백배 낫다고 봅니다.
정말 고귀한 글이네요.
동의합니다.
222
이 영상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직접주식투자로
수익을 낸다는 절대적인 조건이 필요함
항상 감사히 잘보고있습니다.
어차피 현금을 사내유보하더라도 회사에서 현금유보에대한 세금을 일정비율로 내야하고
주식을 매매할때도 양도소득세를 내야하므로 "배당주는 배당지급에 대한 세금을 내서 좋지않다" 라고 보는 시각에는 반대합니다.
제가 배당주를 선호하는 이유는 꾸준하게 배당을 증가시키는 회사가 돈을 잘 벌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수 있으므로
부실한기업을 거를수가 있어요.
특히 국내에서는 현금배당하는 기업에 간단한 몇가지 지표만 봐도 상장폐지되는 위험은 피할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업들이 배당을 주지않고 더욱더 성장할 여지가 많은 회사라면 배당을 주지않고 투자에 돈을 쓰는게 맞겠지만
이미 성숙한 회사들은 투자처가 많지 않으므로 배당지급과 함께 천천히 성장하는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약해보자면 배당만 보고 들어가지 말라!
배당의 원천은 기업의 이익이다 즉, 제일 중요한게 기업의 이익이다.
기업의 이익이 꺽이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면서 배당을 준다면 금상첨화!
또한 선취적인 세금문제로 예상 수익률이 낮아지는 것도 생각하기
결국 영업이익이 잘 나오는 기업을 고르는 것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네요
역시 주식은 배당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보다 영업이익 같은 메인 요소를 잘 봐야하는 게임 같네요
논리적으로 아주 공감됩니다. ㅎㅎ 배당주는 배당이 계속 나오니 주식을 팔지않아도 현금흐름이 생기는게 좋더군요. 은퇴이후엔 배당주와 배당ETF를 ATM 삼아 가지고 있으려고 합니다.
주식투자의 기본은 이익을 나누는게 기본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배당주를 좋은 쪽으로만 설명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문제점에 대해서도 설명을 들으니 좋네요^^ 감사합니다.
초보는 배당주가 아니라 인덱스로 시작하는게 맞다! 인덱스가 재미 없다 뿐이지 진짜 맞는 말 같아요
이 영상을 소몽님이 싫어하겠군요.
장영운 소몽님은 성장배당주나 성장etf도 분산중이라 only배당 개별주투자자랑은 다르죠
@@띠용띠용-k4k애초에 근데 배당을 주냐 마냐는 크게 중요한게 아닌데 그걸 굳이 분류해서 하나의 분산시키는 거마냥 하는게 웃기는거죠
네 맞아요, 그래서 기업의 재무재표를 꼼꼼히 확인을 해야겠죠. 매출도 늘어나고 수익도 늘어나고 현금 플로우도 좋고 등등 이런 모든게 좋은데 배당 성장률도 좋다면 (물론 산업군에 따라 다르지만) 좋은 헷지 수단이 된다 생각합니다.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리스펙....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이번 하락장을 겪으면서 느낀게
배당주고 뭐고 빠질땐 다빠진다.
배당주는....쌀때 사는게 젤 좋구나...적립식이 의미가 없구나...
ㅎㅎㅎ
오늘의 잔소리도 좋은 잔소리!!
감사합니다 😊
흔히 쉽게 알고 있었던 배당주의 허상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이런 공부 너무 좋습니다.
배당투자에 대한 단테님의 의견 영상으로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투자함에 있어 배당만 보고 투자하는것은 진짜 위험하죠...동의합니다!!그런데 직장생활하면서 딩동 배당문자오면 그렇게 신이날수가없어요..ㅋㅋ 나대신 내가 투자한 회사들이 일 잘해서 나한테 돈을 보내줬구나...하는 생각에요..^^그나저나 티셔츠 넘 귀여우신거 아니세요?ㅋㅋㅋ
제가 예전에 경험한 내용을 12분만에 다 설명하셨네요.. 이런 영상을 봤다면 뻘짓 안했을 텐데....
단테님 잔소리는 비싼 잔소리 입니다 ㅋ
잘 보고 있습니다. 초보입니다. 수치와 통계로 말하니 이해가 잘 가고, 심리적으로 안정됩니다.
배당주.. 겉보기만 좋은 개살구인 경우가 많죠. 현실적인 이야기 잘 보고 갑니다~
I agree with you! Thanks million!
배당보단 그 기업에 가치를 먼저 보는게 맞죠...근데 좋은 기업이 배당까지 준다면 금상첨화 ㅋㅋ
그게 팩트죠 ㅋㅋ기업이 좋으니 배당도 주는거고 ..기업의 목표가 이윤창출인데 꽁으로 배당주는것도 아니니깐 주겠죠 ㅋㅋ버는게있으니 나눔하는거라 생각함
삼성전자
초보는 인덱스 펀드로 시작해야 한다---> 격하게 공감.
배당주? 1억은 넣어놔야 한달 100만원 받을까 말까..(배당률 최고로 좋다고 하는 주식 기준)
배당주에 1억 넣어놓을 바에야 애플 주식을 사는 게 낫지.
상승장에는 당연히 배당주보단 성장주가 높을것이고 하락횡보장에선 배당주가 더좋겠지..
개별종목상폐맞는거보단 배당etf꾸준히 투자가 더나아보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그런 티셔츠는 어디서 살 수 있나요? 너무 귀여워요 ㅎㅎ
오. 재생바에 마우스를 댔더니 내용설명이 텍스트로 나오네요. 좋은 기능~!
유머가 너무 좋아요...ㅋ 팬임다. 난 50대 아줌마. 공부를 할수록 실전을 못하게 되네요
너무 무섭다. 내 전재산인데 싶고, 더 신중해지고, 막 그러네요..
감사합니다.
천천히 해보셔도 좋고, 소량씩 해보셔도 좋은것 같구요. 또 저와 반대 의견을 가지신 분들 얘기를 들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하지만 배당투자도 좋은 종목들을 선정해서 장기적으로 가져가면서 투자한다면 정말 좋은 방법의 투자입니다. 안전배당과 배당성장을 적절히 모아가면 그만큼 좋은 투자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은 좋지않다고 생각합니다. 배당투자하는 사람들은 무조건 기업의 실적과 주가와 미래에 상관없이 무조건 시가배당률이 높은 주식만 모으는 것처럼 말씀하시면 영상 보는분들이 오해할 소지가 잇는거 같습니다.
코로나 사태때 무배당주들이 더 많이 올랐다는 말은 동의할 수 없음. 더 많이 오른 이유는 정확히 언택트 (인터넷 관련) 회사들이었기 때문이지 배당 안주는 회사들이 다 오른게 아님. 그리고 배당은 주인에게 실질적인 수익(인컴)을 돌려준다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존슨앤존스, 월마트, 코카콜라 배당킹이지만 주가도 꾸준히 올랐습니다.
이런 잔소리 참~좋습니다!
그렇다고 한들 복리의마법을 이해한 사람은 배당주는것을 선호할수밖에 없죠ㅋㅋ
단테님 말씀대로 우량주, 즉 어느 기업이 수 십년 잘 나갈지 모르니까 배당을 받아야겠습니다...ㅎㅎ 성장을 해도 결국은 배당을 받아야 이익이 환되는것 이니깐요, 주식은 시장가격에 거래되기때문에 아무리 가치가 있는 주식, 성장중인 주식이여도 결국은 누군가 사줘야 비싸지는 시스템이지만 배당은 확실한 이익 환원 방법이니깐요.
잘들었습니다~ 요즘 배당주 관심이 있어서리..
지적하신 것이 전적으로 맞는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주식 초보들에게 배당주를 권하는 이유는 배당을 받으면 기분이 좋기 때문입니다ㅋㅋㅋ
많은 돈 들어오는 건 아닌데 배당 들어오면 기분이 정말 좋더라고요
가정이지만 큰 위기가 없다면 하방 경직성도 일반 주식에 비해서는 높다고 생각하고요
그래서 주식으로 돈을 벌어봤다는 작은 희망과 주가가 크게 움직이지 않는 안정성 때문에 권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100% 동의 합니다.
당장 월급을 받지 못하는 은퇴계층에겐 배당주가 필요하겠죠...배당받아서 생활해야 하니까.. 저는 60세 이상이면 자산의 일부를 QYLD나 SPHD 같은 월배당 ETF로 하는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근데 20-30대들이 배당주에 현혹되는건 좀 그렇죠..적립식 투자는 SPY나 QQQ로 하는게 마땅
Qqq 넘나 안정적인것같읍니다
풀자막이라 회사에서 몰래보기 좋아요..ㅎㅎ 항상 감사합니다 ㅋㅋㅋ
잘
들었습니다
이해완료!
이분 처음에는 돈좀잇다고 거드름 피우는사람 아닌가 했는데, 얼굴도 주식사기꾼 이희진이 생각나는것도 있었고 ㅜㅜ, 그런데 갈수록 내용이 깊이있어지고 알차지는것 같음. 구독누르고감 앞으로 더 좋은 컨텐츠 부탁드립니다.
좋은 내용과 엄청난 패션감각에 무릎을 치고 갑니다.ㅎㅎㅎ 요즘 최애템인가봥ㅅ
본질적으로 '명목수익이 큰 것은 위험도가 크다'의 명제가 다가오는 날... 자기 투자의 큰 터닝포인트가 되는 것 같아요.
이익을 봐야 배당을 준다 라는 전제는 성장주들도 마찬가지 성장을해야 이익을보지....보잉만 코로나때 떨어진거 아닙니다. ~_~
성장주 투자도 조심해야죠! 성장주나 배당주나 인덱스 투자만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거에요
@@김단테 가능성... 블랙잭은 바카라에 비해 이길 가능성이 높다 그치만 그 반대 경우도 있다라는 그지같은...영상 질 좀... 아닙니다.
뼈 뒤지게 맞고 갑니다 코난형님
저의 포트폴리오는 양념반 후라이드 반인데요..
배당주는 주가는 덜 오르지만 매달 월세 받아먹는 재미? 가있습죠. 또한 주가가 좀 떨어져도 월세 나오니 버티는 맨탈을 가질수 있더라구요!
하지만 성장주가 주가팍팍 올라가는게 배아픈건 함정이죠 ㅜㅜ
그래서 양념반 후라이드반을 선호합니다!!
배당주 성장주 반반씩 섞은 인덱스 펀드라는 것도 있더라구요!
@@김단테 와... 그런 ETF가 있다구요??? 처음 듣는데 혹시 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참고만 해 볼게요.
@@MrKR-x9h VQNPX
schd
배당을 보는 새로운 시야를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미국 최대 호황기에 성장주와 배당주를 비교하면 성장주가 당연 수익이 좋았겠죠.
정확히 같은이유로 단테님은 성장주, 배당주 간의 선택보다 호황의 여부를 읽어내고 투자하는 것이 훨씬.수익률이 좋을 것이다라는 결론을 얘기하고 싶으신 것 같구, 배당주라는 이유만으로 투자하는 태도는 경계되어야한다는 의미같습니당
요즘 점점 편집이 재밌어지고 있는 단테님.
또 보고싶어지게 만들어주셔서 땡큐예요
슬프게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배당주 좋아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 경험으로 보면 배당 잘주는 회사들이 그나마 주주환원주의에 입각한 회사들이기 때문이죠. 배당안주는 우리나라 회사들 보면,,, 회사에 돈없는 테마주, 기업은 좋으나 오너가 이상해서 회사에 돈만 잔뜩쌓아놓고 승계등의 이유때문에 주가누르고 있는데 배당도 안줘서 주주들 화병나는 경우 등입니다. 미국은 이런일들이 거의 없죠. 그리고 ETF수수료 차이도 있고... 결국 VT나, VOO같은 주식들이 더 좋죠. Index펀드의 취지에도 맞고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리얼티인컴 월배당에 주가 우상향이죠
qqq랑비교할꺼면 qqq는 버크셔 마저 바릅니다 ㅋ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배당주를 보고 투자를 시작했는데 점점 다양한 생각이 드네요.
이번에 조사하신 기간동안 배당성장ETF보다 지수가 이겼지만 또 언제가는 배당성장ETF가 지수를 이길지도 모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투자에 정답은 없지만 결국은 최고의 수익률보다 우상향하는 자산에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참을수있는) 주식의 변동성에 투자하는 게 아닌가" 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배당을 체크하는게 만병통치약보다 걸러주는 개념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배당주의 특징이 안정적인 성장에 현금을 벌어들이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기때문에 고성장대비 버블이나 폭락이 심하지 않고 적정가치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죠 안정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사업모델 괜찮은 고배당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고배당 기업들은 성장이 정체된 유틸리티 기업(mlp) 또는 리츠, bdc 기업이며 법인세 혜택이 있습니다. 이런 섹터로 백테스트를 하면 지수를 이겨버리는데요, 법인세 혜택을 고려하면 단순히 주머니에서 옮기면서 세금 15%내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최근 배당주 투자자들은 시세차익과 고배당을 함께 노리는 것이구요. 제시한 고배당 인덱스 사례는 단편적인 것 같네요. 보통 주가유지를 위해 배당을 인상하는 한계기업들도 많이 들어있으니깐요. 아무튼 spg mac stor 등의 리츠로 배당과 시세차익을 많이 얻기를!!
잘 보고 있습니다. 저도 투자자긴 한데 생각이 조금 달라서요. 일단 좋은 배당주는 떨어진 만큼 회복력도 빠르더라고요. 우량주는 그만큼 프리미엄이 붙어서 배당수익율이 낮아서 구매안했고요. 5월에 매수해서 현재 40프로 이상 수익중이고요. 배당도 종목별로 월별로 나누어서 종목사놔서 월급처럼 나오고해서 일단 일년은 들고 있을 예정입니다. 물론 기본전제로 회사를 분석해서 좋은 기업을 발굴해야하는 고생이 필요하겠죠.
감사합니다.
배당주투자와 성장주투자는 포트분산차원에서 접근하는게맞다봅니다. 자금이나 연령때에따라 다를수도있구요.
주식에정답은없다봅니다. 완벽한것도없구요. 주가도많이오르고.배당도많이주는회사는없습니다. 회사가성장기에는 배당이없거나약하고.성숙기에접어든기업은 더배당을주겠지요.
하지만 한국주식은 10년이상 꾸준히배당을증가한기업은 한두개있을까말까합니다. 그러면에서.미국주식 배당주는 10년~30년이상 꾸준히배당을증가한기업이많으니 포트에서 일부분 가져가는게 괜찮다는지극히갠적인생각입니다.
세상에모든게완벽한것없겠지요.주식도요
오옷 김단테님, 제 고등학교 선배/후배셨어요!!!!
(동기는 아닌것 확실ㅋㅋ)
어쩐지 투자스타일이랑 생각이 너무 공감간다 생각했는데, 신기하네요~
배당주 투자에 대해서도 동의합니다. 굳이 불필요한 배당주들에게 국한될 수 있는 "특수 리스크"를 떠앉을 필요가 없죠. 어차피 인덱스 사면 다 가져갈수 있는데 말이에요.
댓글보니까 한국에 방구석 버핏이 왜이리 많은지.. 배당주 투자안하고 성장주 기술주 투자하면 텐배거 한번씩 먹을 실력들이 되는 모양이지??
배당주는 팔때...가격이 안올라서....양도세 조금 물고.
배당없는 주식은 팔때....양도세 왕창 내야 되니까.....손실이고.....
본인 투자성향에 맞춰서 하는게 좋을듯 싶어요
항상 많이 배우고 갑니다^^
배당주투자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는 생각이 유행처럼 번지는데 대한 적절한 경고였다고 생각합니다.
남들 따라 배당귀족주나 배당성장 ETF에 투자하면 결코 성공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시류에 편승하는 투자가 위험한건 배당주 투자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투자영역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배당주 투자도 남들이 추천하는 종목을 사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판단으로 연평균 10~15%씩 어닝과 디비던드가 성장하는 종목을 담아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가 그렇듯 투자자의 태도와 어떻게 하느냐가 성패를 결정한다고 생각합니다.
눈팅만하다가 왠지 댓글달고싶음. ~~^^단테님 주말잘 보내세요
이미영님도 주말 잘 보내세요!!!
더이상 노동소득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실직자, 퇴직자, 자발적 은퇴자등에 속하는 경우에는 배당주 투자가 더 마음이 편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대로 배당율만 따지는 것이 아니라 배당성향, FCF, 이익증가, 매출증가등 지표상승이 있는 기업에서 받는 배당이나 ETF를 통한 배당 수령시 말이죠
배당등 자본소득으로 살아가는게 주가상승을 통한 시세차익보다 한국에서는 세금적으로 저렴하니까요
(물론 금융소득 종합과세 구간중 어디에 해당하느냐도 중요한 요건이라 생각합니다
일정금액을 넘길시 시세차익 세금이 저렴할수도 있죠)
그게 아니더라도 기업이 아니라 ETF등에 투자중이고, ETF의 밴치마크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면, 수익의 예상가능함이 장점이 아닌가 합니다
시세차익의 경우 주가변동성에 따라 정확하게 이 때 이만큼 팔아야하겠다하는 것이 어려우니까요
그런면에서 미국에서 몇년전부터 많은 말이 나온 파이어족등을 위한 투자로는 배당으로 가는게 더 적합해서 배당주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마냥 배당투자만 하는 것은 저도 별로 좋게생각하지 않습니다.
아직 젊고 장기투자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면 무배당기업의 투자도 병행하는개 좋다고 생각합니다
최선의 주주환원은 배당, 자사주매입보다 최선의 자산배분을 통한 기업의 성장이라고 생각하니까요
다만, 난 파이어족이 되겠어!하는 분이라면 생각이 다를 수는 있겠네요
사실 파이어족도 배당만으로 살아가지는 않고,
일부 시세차익 투자도 겸하면서 살아가는 경우도 있다고하죠
(미국에서는 장기보유에 따른 세금혜택이 있기에 해당 세금혜택을 받고 시세차익으로 파이어족이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장기보유혜택이 없으니 세금문제에 대한 고민이 좀 더 많을 수 있네요
그런면에서 연금계좌등의 활용이 중요해 보입니다.
효과적 절세차원을 고려하기 위해서요)
그렇기에 정확하게 딱 이거다 말하긴 어렵네요
제가 미국의 연금, 세금구조등을 다 알지는 못할테니까요
언제나 좋은 영상,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늘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저도 처음에는 배당주 위주로 찾아봤었는데 s&p500이나 나스닥지수 대비 장점을 모르겠더라고요.
소액주주 입장에서 배당을 안주는 회사에 투자를 왜 해야되는지 모르겠어요. 임원들은 각종 스톡옵션 및 야로를 통해 회사 돈을 싹싹 빼가면서 주주 배당을 안한다면 내 돈을 투자를 왜 해요?
늘 잘 보고 있어요!
03:30 단테님 말씀은 좋습니다만,
애초에 배당을 못받아도 성장을 보고 샀는데 회사가 어떤 이유로 돈을 못벌어서 성장도 못해서 주가가 빠진다면 그건 이중고 아닌가요...?
(알파주를 찾는 것은 논외)
성장 못하는게 이중고 일 것 같아요. 미국주식 배당킹처럼 50년이상 꾸준히 배당하면 오래만 들고 있으면 원금 회복 플러스 상속도 가능한데 성장주는 성장 못하면 끝.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제가 ETF를 싫어하는 이유도 비슷해요.
성장주 실적 죠지면 마이너스
배당금이라도 받는게 ...
배당주고를때 한가지팁을주자면 연간매출액상승율이 인플레이션율보다 높아야 되며 배당성향은 30~60프로사이의 주식을골라야됩니다 배당성향이높을수록 기업이 배당하는금액이많아지기때문에 현금보유 및 시설투자가 힘들어질수있어서 경제위기때 배당컷과 주가하락의 요인이될수있습니다 보잉같은경우엔 배당과 자사주매입을 많이하는회사였습니다
배당과자사주매입을많이한다는것은 그만큼 회사에현금보유량이 적어지기때문에 경제위기가닥쳐오면 주가하락과 배당컷을면할수없습니다...
조금이든 많이든 배당을 주는 미국 회사는 정말 많은데, 배당을 주는 모든 기업을 배당주라고 하는건가요..? 시가배당률이나 payout ratio만 높은 데를 배당주라고 하는건가요.? 처음엔 당연히 후자라고 생각했는데 뒤에 언급된 DGRO같은 etf에는 상위 홀딩 종목이 AAPL, MSFT 등인데 흔히 성장주로 분류되는 것까지 배당주라고 보는 것인지..??
애플의 경우 1996년부터 배당을 멈췄다가 2012년부터 다시 배당을 지급하기 시작했고 마소는 2005년 봄부터 꾸준히 배당을 지급하기 시작했는데요.
배당금 기록을 보니 꾸준히 배당금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배당성장주에 분류가 가능할 것 같고요. 그래서 배당성장주를 보유하는 DGRO의 성격상 애플과 마소를 가져가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보는게 맞는거 같고요(이 문장은 제 사견입니다^^)
그렇지만 둘다 시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시장에서는 성장주로도 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
투자왕 워렌버핏이 보유한 주식들(애플, 코카콜라) 대부분 배당주임. 그러면서 본인 회사 버크셔해서웨이는 주주들한테 배당 안줌.
뭐가 한물가요 ㅠㅠ 그 할배 애플 겁나사서 대박 났잖삼 ㅜㅜ
@@mikekorean5687 개소리야 ㅋㅋㅋㅋㅋㅋㅋ한 번 실수로 한 물가? ㅋㅋㅋㅋㅋㅋㅋㅋ넌 그럼 수백번 갔냐 워런버핏 보고 한물 갔다고 한 사람들 제정신이냐 ㅋㅋㅋ
단테님 생각의 동의합니다. 이제 공부한지 얼마안돼서 growth냐 dividend냐 생각중인데. 나이도 30대초반이고 한달에 한번씩 돈들어와야돼는상황이 아니라 따로 월급들어오고. 어차피 20-30년은 보고 하는거기때문에. (QQQ, SPY)랑 (DGRW, SPYD, SPHD) 비교해봤더니 역시 QQQ더라고요. 적어도 지금은 전 growth보고 갑니다. 물론 리츠나 BDC도 diversitification차원으로 조금씩 가지고있지만요
영상 너무 잘 만드세요
아주아주 중요한 내용입니다
버핏도 배당을 좋아하지 않죠
돈 내고라도 슈퍼좋아요 누르고 싶네요
수익 실현 관점에서 나중에 양도세 22%를 고려하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수익률이 비슷하다면 지금 15% 떼고 받는것과 나중에 번것의 22% 을 토해내는 걸 비교하면 ..)
10%를 배당받는것과 10%씩 성장하는걸 비교하면요...10% 배당은 배당세를 선취하고 그걸 재투자하는거니까 복리에서 손해를 보죠...이해가 안되시면 엑셀로 한번 해보세요..단기관점이면 모를까 장기로 가는 경우엔 22% 양도세를 낸다고 해도 차이가 제법 날겁니다
Hyungsuk Kim 질문의 의도는 그것이 아닙니다. 현금흐름이라는 측면에서 성장주 투자에서 현금을 가져오려면 결국 매도해야하는데 그때의 세금은 이익의 22퍼센트가 되니, 그부분에 대한 고려를 말한 것입니다.
네 저도 그생각. 초장기투자로 1. 성장주 투자해서 연250만 범위 내에서 수익실현하고, 또한 2.배당ETF로 배당수익 15.6%세금내고 수익실현. 어차피 주가는 계속오르니 배당금 올라가고, ETF는 종목 알아서 바꿔주니 매매하지 않아도 됨. 맞죠?
갈수록 재밌어요 ㅎㅎ
물론 그런 위험들이 있는것을 알고 투자하는 것이 옳습니다만,
어떤 배당주를 어느 시점에 사느냐가 가장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됩니다.
배당주보다는 JP morgan 후순위 채권 혹은 우선주에 추천드리는걸 추천드립니다. JP가 후순위 채권 콜을 못하는 상황은 오지 않늘겁니다. 왔다면 대한민국 환율은 박살이 나있겠죠 ㅎ
배당주 투자에대한 기초적잉 교육? 이네요
무료로 이런 교육을듣고 투자하시는분들은 엄청고맙겠네요 저처럼 터지고 배우는 사람들말고 ㅎ
"배당주가 나쁘다는게 아니라 배당주가 무조건 좋은건 아니다"
라고 말씀하셨지만, 말투는 배당주를 왜 하냐는 식이신거 같아요.
댓글 다신것도 보면 그렇고요.
미국사람들이 배당주 매매를 하는것을 보면 자본이득보다는 매년 배당주를 늘리기 위해서 투자를 하고, 목표를 변경합니다. 그이유는 간단하죠. 배당으로 먹고살기 위해서입니다. 이번 폭락장을 본다고하면, 내가 신용등급 BBB+ 이상의 메가캡 주식들을 수십종목 보유했다면 작년대비 배당은 오히려 늘었습니다. 저부터도 70~90종목 보유중에 배당삭감은 겨우 3~4종목이고, 올려준 종목은 훨씬 많습니다.
근데 자본이득을 원하는 사람이었고, 올3월에 팔아야 했다면 그사람들은 갑자기 30%이상 손실을 본 상태에서 팔아야 될수도 있습니다. 마음 편하게 하기 위해서, 안정적으로 하기위해서 배당주를 하는것입니다..
자본이득만 강조하시던데, 그러면 올웨더도 지수 못 이기지 않나요? 올웨더 하시는 이유는 그게 편하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 아닌가요?
팬이었는데, 이번 내용은 좀 실망스럽습니다.
한가지 덧붙이면, 성장주를 하는 사람은 은퇴후에 팔아서 수익을 챙겨야 합니다. 그전에 챙기던지요. 아니면 매달 조금씩 팔면서 생활해야 합니다. 결코 기분좋은 일은 아니며, 주가가 출렁일 경우 멘탈이 무너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잘보고있어여 ~
4:29 4퍼센트떨어진게 1만불투자해서 4퍼센트면 400불아닌가요.,? 그럼 9600불되는거 아닌가요?
백테스트 어느 사이트에서 하셨는지 궁금해요.
어느 사이트인지 알려주실 수있으신가요?
이때 배당주 샀으면 대박인데.안타깝네요 ㅠㅜ
단테형 잔소리 듣기 좋네~~~
결국 배당주이되, 성장률이 좋은 기업을 찾는 것이 좋은 것 같다는 뻔한 결론이 나오네요.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배당주의 경우 차후 수익 실현을 하기 위해서 주식을 파는 시점을 제외하고서라도, 배당을 받음으로서 가지게 되는 fluidity가 장점이 아닐까요?
워렌 버핏 : (내가 고른 기업은 어차피 성장할테니까) 배당주가 (배당도 받을 수 있으니) 좋다.
나 : 배당주가 좋다. (워렌 버핏이 좋다고 했으니까.)
@@mikekorean5687 전 오히려 대단해 보이던데요 일반개미들도 지금 반등은 충분히 예상가능한 장이였고 그와중에 본인이 추구하던 메뉴얼을 지켰다는거 자체가 대단하다고 느껴졌습니다.
특히 손절후 우리는 매도를하면 전량매도를 하지 포지션을 줄이지는 않는다고 말헀을적에 솔직히 속으로 늙은여우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역시 최고의 투자자 중에 한명이구나 느꼈습니다 .
참고로 이번 recession 때 버핏이 델타에 추가매수하고 손해본 금액은 1천만원 가진 투자자가 5천원 손해본 정도입니다.
@@mikekorean5687 ㅋㅋㅋㅋ개미가 버핏까네
@@mikekorean5687 버핏이 투자를 몇년한 사람인데ㅋㅋㅡ4개월 결과가지고 까냐?
중요한건 배당주나 배당 etf는 배당으로 인한 재투자가 가능하다는것 같습니다. 저처럼 자본이 작으면 불가능하지만요^^
배당으로 주주에게 돈이 유입되지 않으면 딴 사람 돈은 백퍼 잃은사람에게서 건네받은 돈입니다, 퉁 치고 수수료까지 생각하면 제로섬이 아니라 마이너스 섬이 됩니다.
코로나때를 전제로 드셨는데 그 당시 폭락하지 않은 성장주도 있었나요?
근데 배당주보다 성장주가 더 매력적일수 밖에 없는게 회사의 경영성과로 낸 이익잉여금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시스템이라 굳이 그렇게 해야하냐는 의문이 들게되죠. 차라리 그 돈을 회사에 가지고 다시 재투자 하거나 자사주 소각이라도 하게 되면 주식 가치가 더 올라가 자본이득을 더 볼 수 있게되는 상황이 될텐데요. 기회비용 측면에서 보면 성장주 투자가 조금 더 저에게 매력적이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마치 배당을 주는 행위는 조삼모사와 같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어찌 보면 조삼모사보다도 더 못한 상황이 나올수도 있겠네요. 회사가 남는 돈을 제대로 된 곳에 재투자하여 더 큰 성장을 이뤄낸다는 가정 하에서는요.
배당 받은 돈을 다시 투자하는 복리까지 생각해야지 spy투자는 충분히 가치있다
배당재투자라고 써있는데..
오랫동안 보유해도 배당소득세 다떼고, 백테스트 해도 저정도 결과라면 배당주에 몰빵해서 생활비 벌겠다는건 다소 쉽지않은 계획같네요. 다들 말하는 그런 ‘배당 성장주’를 찾아야 할텐데요~ 과연 쉽지않음ㅋ 근데 spy랑 vig비교한거 기간이 혹시 어떻게 되죠?ㅜ 영상에 있는데 못봤나ㅜ
그런데 왜 현재가에 대해서 변하는 배당율이 얼마라고 하는 건가요? 배당금을 기준으로 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는 언제 망하거나 쇠락할 수 있죠. 차라리 꼬박꼬박 현금으로 배당챙기는게 좋은 전략 중 하나이지 않을까요? 물론 포트 일부만요.
안녕하세요 단테님 다름아니라 요즘 금리에 적금을들기보다는 은행주식을사서 배당을 받으려고 매수를 많이했습니다 은행이 수익률은 좋으나 발전가능성이 저조해서 저평가를 받고있다는 생각하에 샀는데 이런경우에는 괜찮은 가요? 코로나 이후에 매수했습니다
ㅎ잘보고 갑니다ㅎ 전 aor etf주가가 회복 했어요^^단테님 근데 한국증권사들이 pf대출,자기자본비율 등 많이 위험한데 단테님은 어디 증권사를 사용하시나요?
현금흐름이 좋은 고소득자는 카카오같은 종목을~ 배당으로 생활비에 보태써야하는 저소득자는 한화3우 삼전우 맥쿼리인프라같은 종목으로~가 맞는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