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넨 궁을 읽어보면 범위에 있는 상대에게 (케넨)패시브 표식을 세 번 중첩시킨다, 라는 설명이 있긴 한데 사실상 표식이 세 번 중첩 시 스턴을 넣을 수 있게 되는 건 케넨 패시브에 따라 발동하는 개념이라서 이게 라이엇에서 의도한 것인지, 버그성인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질문하신 사일이 강탈했을 때 패시브까지 활용할 수 있는 건 케넨 궁극기가 유일합니다. 또 궁금하신 점 있으면 질문 남겨주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가끔 얘기하신 중후반 운영이나 초반 라인 관리 방법에 대해서 따로 깊이 있는 영상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워낙 경우의 수가 많은 게임이라는 점과 그런 영상을 보고 싶으신 경우엔 롤을 시작하신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그게 아니더라도 운영이나 라인 관리에 대해서 개념이 잘 잡히지 않으신 분들일 확률이 높겠죠? 때문에 오히려 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가면 아예 꼬일 확률이 높다고 생각해서 지금처럼 특정 챔프 상대 영상을 편집하면서 그 인게임 상황마다 유효한 운영 방식과 이유를 설명드리면서 최대한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게 가장 좋은 형태라고 판단했습니다. 이후 얘기하신 영상을 만들어볼 순 있겠지만 아직까진 앞서 얘기드린 것처럼 가능하다면 자연스레 익혀질 수 있는 영상을 만들려고 하고 있어요. 또 댓글로 궁금하신 부분을 되도록 특정해 질문하시면 확실히 알고 있는 내에서 열심히 답변드릴 거구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초반 마나 소모가 크면서 동시에 사일러스처럼 초반 라인전이 약한 경우라면 상대와의 상성에 따라 첫 귀환 타이밍을 어떻게 잡을 것이지 구상을 해놓고 시작해야 좋을 경우가 많은데 일단 룬은 탑 사일러스 한정으로 정복자-침착-강인함-최후의 저항+마순팔-깨달음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렙 구간 상성 극악이거나 전체 조합에 따라 딜교 각 안 나오는 상황일 경우엔 한두 번 귀환 타이밍 잘 잡아서 대체로 Q를 2~3개 정도 찍으면서 원활히 파밍하는 수준으로만 라인전 진행하면서 중반까지 안전히 성장하는 걸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구요. 딜교 가능한 상황, 상성의 챔피언을 상대할 땐 무조건 W선마하는 거 선호하는데 이때도 상대 조합이 탑 갱이나 로밍을 많이 찌를 만한 조합이거나 바텀끼리의 상성이 서로 팽팽해서 아군의 탑 개입이 적을 거라 예상되는 경우엔 Q를 두 세개 먼저 찍으며 극단적인 파밍 모드에 돌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Q를 먼저 찍는 경우에도 W선마하는 경우에도 대체로 도란 방패 들어서 상대 정글 위치 특정되는 순간까지, 혹은 2대1 수행 가능해질 때까지 안전히 파밍하는 걸 선호하고 있어요. 초반 한두 번의 귀환 타이밍을 잘 내는 것을 목표로 라인전 진행하신다면 보다 마나 관리가 쉬워지실 거라 생각합니다. 또 궁금하신 점 있으면 질문 남겨주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애기하신 두 챔프 상대론 난입(마순팔-깨달음-주문 작열)룬 을 자주 들고 극단적인 반반(안전하게 성장)이 목표다 하시면 주문 작열을 폭결로 바꿔드시면 좋구요. 저는 라인전 단계부터 중반 운영 단계까지 1대1에서 이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 선택지를 선호해서 '균생'을 두 챔프 상대로 자주 선택하는데 현시점 효율 좋은 '로아' 선택하셔도 전혀 상관 없고 로아 선택시 2코어는 세라프 반 고정적으로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차후 3, 4코어에 라바돈과 보이드를 갖추시면 되는데 라인전 단계에서나 전체 조합에서 라이즈가 물리기 쉽거나 죽기 쉽다면 존야 섞어 올리시면 좋고 신발은 탑에선 대게 쿨감신 드는 게 좋아보이긴 하는데 존야 섞을 때와 같은 맥락으로 상대 탑&정글 모두 AD일 경우 닌탑 올리시는 식으로 해도 괜찮아요. 특히 이번에 치감템 버프 받아서 아트록스 상대하실 땐 1코어 올리시며 망각구 섞으셔도 효율 좋아 보입니다. 또 궁금하신 점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항상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ansdlwjs 피의 맛 선택할 땐 저는 소소하나마 시야 넓혀 두고 라인전 안전히 가져가는 걸 선호해서 피의 맛-유령 포로 자주 선택하는데 꽤 많은 천상계권 탑 라이즈 하시는 분들이 피의 맛-굶주린 사냥꾼 선택하시고 결의 들 땐 재바or뼈 방패+불굴의 의지 정밀 들 땐 침착+강인함 영감 선택할 땐 비스킷+우주적 통찰력 자주 사용합니다. 취향에 가깝다고 생각하셔도 괜찮아요!😎
4:14 혹시 케넨처럼 패시브 강탈 안해도 효과 뺏을 수 있는 대표적인 궁극기는 어떤게 있나요?
이번에 알리스타가 상향 먹는다고도 하고 제가 새로운 챔프를 파보려고도 해서 사일 좀 배워보고 싶어서요!
케넨 궁을 읽어보면 범위에 있는 상대에게 (케넨)패시브 표식을 세 번 중첩시킨다, 라는 설명이 있긴 한데
사실상 표식이 세 번 중첩 시 스턴을 넣을 수 있게 되는 건 케넨 패시브에 따라 발동하는 개념이라서
이게 라이엇에서 의도한 것인지, 버그성인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질문하신 사일이 강탈했을 때 패시브까지 활용할 수 있는 건 케넨 궁극기가 유일합니다.
또 궁금하신 점 있으면 질문 남겨주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늦었습니다.. ㅠㅠ
영상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늦어도 당연히 전혀 상관없어요!😎
항상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혹시 게임 운영방법과 미니언 라인 관리하는 방법을 정리해서 영상으로 올려주실수 있나요?롤을 하는데 점점 운영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더라구요..
가끔 얘기하신 중후반 운영이나 초반 라인 관리 방법에 대해서
따로 깊이 있는 영상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워낙 경우의 수가 많은 게임이라는 점과
그런 영상을 보고 싶으신 경우엔 롤을 시작하신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그게 아니더라도 운영이나 라인 관리에 대해서 개념이 잘 잡히지 않으신 분들일 확률이 높겠죠?
때문에 오히려 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가면 아예 꼬일 확률이 높다고 생각해서
지금처럼 특정 챔프 상대 영상을 편집하면서
그 인게임 상황마다 유효한 운영 방식과 이유를 설명드리면서
최대한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게 가장 좋은 형태라고 판단했습니다.
이후 얘기하신 영상을 만들어볼 순 있겠지만 아직까진 앞서 얘기드린 것처럼
가능하다면 자연스레 익혀질 수 있는 영상을 만들려고 하고 있어요.
또 댓글로 궁금하신 부분을 되도록 특정해 질문하시면
확실히 알고 있는 내에서 열심히 답변드릴 거구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속이 뻥뚫리네
기분 좋아지는 댓글 감사드립니다😎
더 괜찮은 영상 업로드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Bisory 롤을 시작한지 몇달 안되었는데 챔프마다 상대법에 대한 영상들을 정주행하며 배우고있습니다! ^~^ 덕분에 다행히도 첫배치에서 브론즈를 면하게(?)되었습니다ㅋㅋ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리겠습니다!
요즘 탑사일 하실때 상황별로 올리시는
부 룬이 궁금합니다.
탑으로 할때 초반라인전에 마나가
부족할경우가 많아서Cs먹을때 영향이 갈때가 많은데
초반 마나관리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초반 마나 소모가 크면서 동시에 사일러스처럼 초반 라인전이 약한 경우라면
상대와의 상성에 따라 첫 귀환 타이밍을 어떻게 잡을 것이지 구상을 해놓고 시작해야 좋을 경우가 많은데
일단 룬은 탑 사일러스 한정으로 정복자-침착-강인함-최후의 저항+마순팔-깨달음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렙 구간 상성 극악이거나 전체 조합에 따라 딜교 각 안 나오는 상황일 경우엔
한두 번 귀환 타이밍 잘 잡아서
대체로 Q를 2~3개 정도 찍으면서 원활히 파밍하는 수준으로만 라인전 진행하면서
중반까지 안전히 성장하는 걸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구요.
딜교 가능한 상황, 상성의 챔피언을 상대할 땐 무조건 W선마하는 거 선호하는데
이때도 상대 조합이 탑 갱이나 로밍을 많이 찌를 만한 조합이거나
바텀끼리의 상성이 서로 팽팽해서 아군의 탑 개입이 적을 거라 예상되는 경우엔
Q를 두 세개 먼저 찍으며 극단적인 파밍 모드에 돌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Q를 먼저 찍는 경우에도 W선마하는 경우에도 대체로 도란 방패 들어서
상대 정글 위치 특정되는 순간까지, 혹은 2대1 수행 가능해질 때까지
안전히 파밍하는 걸 선호하고 있어요.
초반 한두 번의 귀환 타이밍을 잘 내는 것을 목표로 라인전 진행하신다면
보다 마나 관리가 쉬워지실 거라 생각합니다.
또 궁금하신 점 있으면 질문 남겨주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소리님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라이즈 모데카이저 랑 아트록스 상대할떄 룬도 추천해주세요 아이탬도요
애기하신 두 챔프 상대론 난입(마순팔-깨달음-주문 작열)룬 을 자주 들고
극단적인 반반(안전하게 성장)이 목표다 하시면 주문 작열을 폭결로 바꿔드시면 좋구요.
저는 라인전 단계부터 중반 운영 단계까지
1대1에서 이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 선택지를 선호해서
'균생'을 두 챔프 상대로 자주 선택하는데 현시점 효율 좋은 '로아' 선택하셔도 전혀 상관 없고
로아 선택시 2코어는 세라프 반 고정적으로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차후 3, 4코어에 라바돈과 보이드를 갖추시면 되는데
라인전 단계에서나 전체 조합에서 라이즈가 물리기 쉽거나 죽기 쉽다면 존야 섞어 올리시면 좋고
신발은 탑에선 대게 쿨감신 드는 게 좋아보이긴 하는데
존야 섞을 때와 같은 맥락으로 상대 탑&정글 모두 AD일 경우 닌탑 올리시는 식으로 해도 괜찮아요.
특히 이번에 치감템 버프 받아서 아트록스 상대하실 땐
1코어 올리시며 망각구 섞으셔도 효율 좋아 보입니다.
또 궁금하신 점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항상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두 챔프 상대로 모두 부 룬으로 재바+불굴 자주 드는데
모데 상대하실 땐 침착+강인함도 애용하는 편이고
피의 맛이나 영감 룬을 부 룬으로 하셔도 전혀 상관 없습니다!
@@Bisory 답글 감사합니다 비소리님 그러면 부룬으로 피의맛이랑 그 밑에 다른 룬 으로는 어떤걸 선택하면 좋은가요? 유령포로가 좋은가요?
@@ansdlwjs 피의 맛 선택할 땐 저는 소소하나마 시야 넓혀 두고 라인전 안전히 가져가는 걸 선호해서
피의 맛-유령 포로 자주 선택하는데
꽤 많은 천상계권 탑 라이즈 하시는 분들이 피의 맛-굶주린 사냥꾼 선택하시고
결의 들 땐 재바or뼈 방패+불굴의 의지
정밀 들 땐 침착+강인함
영감 선택할 땐 비스킷+우주적 통찰력 자주 사용합니다.
취향에 가깝다고 생각하셔도 괜찮아요!😎
@@Bisory 오 정말 감사합니디 비소리님 정말 감사합니다 뼈방패도 들어야겠내요
사일러스 로아 좋나요?
현시점 사일러스가 올리기 굉장히 괜찮은 신화템입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