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나이트 크럽에서 DJ 들이 비스한 곡을 연결시킬 때 쓰던 기억이 나네요^^.(4번째 방법) LP판으로 얼만큼 자연스럽게 연결이 부드럽냐에 따라서 실력을 평가 받기는 했는데요..아날로그 시대는 그런 재미가 있었던 것 같아요...앞으로 안 써봤던 방법으로 전조하면서 곡을 써봐야겠네요..좋은 내용 너무 감사합니다^^
음~~~~ 우선 진행을 쭉 봐야하는데 IV로 진행할땐 (좀 애매한 사운드가 날수도 있을꺼 같은데) IV도를 향한 II V 나 다른 연결코드를 사용하셔도 될꺼같아요. 우선 멜로디나 다른 반주가 또 어떤 전조의 힌트를 줄지 몰라서 그냥 이거다! 라고 답을 드리긴 좀 어렵기도 합니다
아 따로 브릿지의 코드진행법이 따로 있는것은 아닙니다. 멜로디나 코드진행 리듬등 다양한 요소가 섞이기 떄문인데 , 우선은 브릿지가 좋았던 곡을 분석하시면서 진행을 찾아보셔도 좋구요, 일반적으로는 후렴 사이게 놓이게 되니 분위기를 더 고조시키며 다른색채를 주기위해 모달인터체인지 코드를 사용한다던지 전조를 하기도 합니다.
어릴 때 나이트 크럽에서 DJ 들이 비스한 곡을 연결시킬 때 쓰던 기억이 나네요^^.(4번째 방법) LP판으로 얼만큼 자연스럽게 연결이 부드럽냐에 따라서 실력을 평가 받기는 했는데요..아날로그 시대는 그런 재미가 있었던 것 같아요...앞으로 안 써봤던 방법으로 전조하면서 곡을 써봐야겠네요..좋은 내용 너무 감사합니다^^
@@selltone 우아~~ DJ 곡 연결도 이렇게 키나 연결음을 맞추는거군요 ^^
이런 좋은 강의를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아~~~악! 이지원 선생님 강의를 들을수록 느끼는 점인데 정말 짜증난다!
"좋아요를 한번밖에 누를수 없다는 사실이"~ ㅎㅎ
아~~악!!!! 감사합니다^^ 더더더 열심히 알려드릴께요^^
너무 신기해요... 너무 재밌어서 이거만 듣고싶어요.... 피아노 칠줄도 모르는데 이론이 너무 재밌어서 정주행중입니당
선생님 늘 감사합니다
혹시 10:00 에 원노트 삼바 연주하실때
멜로디를 악보와 조금 다르게 더 쪼개서 연주하신 것 같아서요
제가 피아노 문외한이라 제가 느낀게 맞나 궁금해서요
감히 지적질은 절대 아닙니다
네~ 보통 재즈는 악보 그대로 완전 똑같이 연주하기 보단~ 조금씩 변형해서 연주합니다. 악보들도 조금씩 다른경우도 많구요^^
@@easyonejazz 너무나 감사합니다 선생님
3:37 선생님
ckey에서 subdominant기능을 하는 4도이면 F아닌가요...??
F의 첫째 자리바꿈도 F/C라
Bass가 C C# D해서 ascending이 되구요
멜로디도 때마침 도라서 F/C랑 멜로디핏도 맞는거 같아요!
G/B가 어떻게 나온건지 잘 모르겠어요..!!
새로운 키 D키에서 4도를 의미합니당
정말 유익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좋아요'를 누르거나 댓글을 다는 것 외에 따로 감사의 마음을 전할 방법이 없는 것이 아쉽네요.
감사합니다.응원의 답글만으로도 큰 힘이 됩니다^^
선생님 질문이 있어요! Pivot Note C키에서 Ab키로 전조 되는데 Ab이 모달인터체인지 코드로 느껴질 수도 있나요?? 아닌가요..?
무조건 전조되는 느낌인건가요?
곡이 끝나는 지점이라 키가 바뀌는걸로 봐야하는건가요
Ab키가 모달인터체인지면서 피못노트도 가지고 있고 여러모로 C키에서 자주사용됩니다
금방 원래의
키로 돌아오면 모달~~ 안돌아오면 C키일 확률이 높겠지요
명확하려면 길이 다른코드와ㅜ연결진행 등등 여러모를 봐야 할까깉아요
선생님 강의 정말 감사드려요
근데 한가지 질문이요
링킹 코드에서 C 코드와 F코드가 공유(?)되는 코드를 쓴다 하셨는데 왜 Am7 와 Dm7 즉 왜 6도와 2도를 쓰는건지 이유 알수 있을까요..?
이것도 어떤 규칙에 의한 대입인걸까요..?
네네 각 조성에서~ Am7은 C키에서 VI도 F키에서 III도 이구요, Dm7은 C키에서 II도 F키에서 VI도인 다이아토닉 코드들입니다
@@easyonejazzㅠㅠ 정말 감사드려요 ㅠㅠ 이 좋은 강의 보는 것도 감지덕지한데 직접 댓글까지 ㅠㅠ 내일 휴일 잘 보내셔요~❤
와... 감사합니다..
너무나도 알고 싶었는데 .. ㅠ
채널 영상 하나하나 놓칠게 없네요 !
감사합니다. 즐겁게 음악공부하세요^^
안녕하세요 교수님 화성학이 정말 어려운 1인인데요
강의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배운게 어려워서 찾아보는데 정말 도움이 되어요! 근데 transitional modulation 을 배웠는데 이해가 잘 안가서요ㅜ 혹시 이것도 추가로 설명해주실수 있으실까요??👉👈😭
음~ 우선 트레디셔널은 화성학 강의나 용어 검색하셔서 클래식 작곡 전공이신 분들의 강의를 들으셔도 좋을꺼같아요^^
선생님은 혹시 레슨도 하시나요~~?
우선은 대학에서 강의만 하고있고요 개인렛슨은 안하고있습니다^^
이지원재즈-easyone jazz piano 아하 ㅠㅠ 그렇군요 직접 배울기회는 없는군요 ㅠㅠ
@@culmyj1373 강의 열심히 올리겠습니다^^
선생님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가지 궁금한게있는데 1도로 시작하지않고 4도 코드나 다른 코드로 시작하는경우에도 이 방법으로 전조하면 되나요?? V7 -> IV 이렇게하면되나여?
음~~~~ 우선 진행을 쭉 봐야하는데 IV로 진행할땐 (좀 애매한 사운드가 날수도 있을꺼 같은데) IV도를 향한 II V 나 다른 연결코드를 사용하셔도 될꺼같아요. 우선 멜로디나 다른 반주가 또 어떤 전조의 힌트를 줄지 몰라서 그냥 이거다! 라고 답을 드리긴 좀 어렵기도 합니다
@@easyonejazz 아하 감사합니다 딱 정해진게 있다면 좋을텐데 상황별로 달라질수있어서 참 어려운거같아요 음악은 ...
쌤 브릿지에서 코드 진행하는 법 좀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아 따로 브릿지의 코드진행법이 따로 있는것은 아닙니다. 멜로디나 코드진행 리듬등 다양한 요소가 섞이기 떄문인데 , 우선은 브릿지가 좋았던 곡을 분석하시면서 진행을 찾아보셔도 좋구요, 일반적으로는 후렴 사이게 놓이게 되니 분위기를 더 고조시키며 다른색채를 주기위해 모달인터체인지 코드를 사용한다던지 전조를 하기도 합니다.
@@easyonejazz 오! 감사합니다. 긴 시간 동안 디깅하고 있었는데 덕분에 시간 줄이게 되었어요. 채널 응원합니다!
@@diogenessbeats7421 감사합니다. 메리크리스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