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가 인류를 절멸시켜야 했던 이유ㅣ프로메테우스 커버넌트 리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에일리언 #어둠의숲 #삼체
    😃 에일리언 프로메테우스와 커버넌트
    지난 번 데이빗에 이은 엔지니어에 관한 영상입니다
    영화 속에 엔지니어에 관한 단서가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많은 부분 뇌피셜임을 감안하고 재미로 봐 주시기 바랍니다
    👾에일리언 프로메테우스 관련 영상 모두 보기
    • 에일리언 프로메테우스 리뷰 모두 보기

КОМЕНТАРІ • 1,1 тис.

  • @시리게핀꽃
    @시리게핀꽃 Рік тому +86

    프로메테우스랑 커버넌트 리뷰는 왜 볼때마다 새롭고 재밌을까 ㅋㅋㅋㅋㅋ 그리고 시간 지날때마다 리뷰가 한번씩 나와주는게 끝없는 떡밥 너무 좋고

  • @1-YYY-1
    @1-YYY-1 Рік тому +1542

    리들리 스콧의 수명을
    50년 더 연장시키는 법을 통과시켜야합니다.

    • @mindbridge00
      @mindbridge00 Рік тому +83

      제발 건강하세요.............................

    • @tny-y1m
      @tny-y1m Рік тому +47

      ㅅ발 ㅈ나웃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오디나무열매
      @이오디나무열매 Рік тому +52

      뇌를 보존해야함

    • @로로-m9d
      @로로-m9d Рік тому +18

      일단 냉동인간부터 만들고 기술력을 올려서 부활시키자

    • @mindbridge00
      @mindbridge00 Рік тому +8

      @@로로-m9d 감독님 살아계실때 그 느낌ㅇ ㅣ안나오지 않을까요 ㅎㅎ

  • @j.minchoi3249
    @j.minchoi3249 Рік тому +51

    자신을 창조했지만 그간의 경험으로 대다수의 인간을 싫어한다고 볼 수 있는 데이빗이 게임의 규칙을 이해한다고 할 때 엔지니어를 공격하는 행동은 인간을 위한 행동으로 해석될 수 있어서 데이빗이 게임규칙을 알고 행동 한 것 같지는 않고 2편의 영화가 데이빗에게 포커스가 맞춰져 있고 데이빗은 인류가 만든 기계임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견주어 볼 때 더욱 뛰어난 능력을 가졌으나 창조할 수 없다는 한계를 인지한점을 보아 데이빗 스스로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 간의 개인데이터와 우연히 발견한 생물무기의 연구와 실험을 통해 창조의 한계를 극복한 것 같네요.

    • @알빠노-e7s
      @알빠노-e7s Місяць тому

      데이빗모델까지는 창조도 가능했지만 데이빗 이후 ai버전들이 창조기능이 빠진걸로 압니다

  • @rlaxodcjswo
    @rlaxodcjswo Рік тому +21

    언넝 백만 돌파합시다. 네이버 블로그부터 지켜본 입장에서 너무 뿌듯해.

    • @yorun
      @yorun  Рік тому +9

      블로그할 때면 진짜 몇년 전인데 변함없는 지지와 응원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꾸준히 봐주신 분들 덕분에 여기까지 오게 된 것 같습니다

  • @jinu0613
    @jinu0613 Рік тому +336

    와... 놀랐습니다. 정말 완벽하게 논리적이고 타당한 해석이네요. 특히 로마시대에서 기술폭발까지의 2천년이 우주적 시간에선 순식간이라는 해석에 완전 공감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ark5178
      @park5178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근데 로마시대가 사실 역사상 엄청나게 고도로 발달했던 문명이라 사실상 로마시대 이후의 유럽 중세시대 몇백년이 진짜 암흑기였음 르네상스 이전까지. 그런거 보면 인간 문명이 시대에 따라 우상향 하는건 아니라고 생각도 들고. 아니면 로마시대 이후에 정말로 외계세력이 예수를 등장시키고 중세시대로 접어들게하여 인간문명 발달 속도를 늦춘것인가? ㅋㅋ

    • @jinu0613
      @jinu0613 5 місяців тому +3

      @@park5178 내 생각에 우리가 로마역사에서 배워야할 가장 중요한 교훈은 아무리 발달한 문명이라도 정신차리고 지켜나가지 않으면 무너질 수 있다는거죠. 로마인들은 자신들이 다른 민족에 비해서 그토록 고도로 발달했는데 망할거라고는 생각도 안 했었을겁니다.

    • @Thoughtcrime.
      @Thoughtcrime. 5 місяців тому

      ​@@jinu0613로마는 민족국가가 아닙니다

  • @someone_talking6548
    @someone_talking6548 Рік тому +7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yorun
      @yorun  Рік тому +1

      변함없는 지지와 관심 너무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_bakkro5256
    @_bakkro5256 Рік тому +229

    4:40 인간도 기르던 가축에게 전염병이 돌면 수천마리 수만마리 를 아무렇지도 않게 폐사 시키는데.. 엔지니어 입장에선 그렇게 생각 할 만 도 한 듯.

    • @김지미-g8u
      @김지미-g8u 5 місяців тому +7

      오...우주질서를 무너뜨린다고 생각한걸까요..😮

    • @짱짱신레몬
      @짱짱신레몬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인간과 가축 관계랑 저 관계는 다르지 않나. 가축이라해도 동물 인간은 상하관계가 아닌듯.

    • @준더게스트
      @준더게스트 5 місяців тому +2

      가축이 왜 나오나요? 영화 보면 엔지니어의 DNA가 인간과 일치한다고 나오는데 그럼 님은 인간을 가축으로 기르세요?

    • @IlIlIllIlIIl-w9t
      @IlIlIllIlIIl-w9t 5 місяців тому

      @@준더게스트솔직히 같은 유전자 썻다고 같은 존재는 아님 엔지니어 입장에선 인간은 자기 유전자 좀 섞은
      원숭이임

    • @KR-vk5ip
      @KR-vk5ip 4 місяці тому

      @@준더게스트예전에 흑인은 백인 가축수준이었습니다

  • @봄햇살-y2d
    @봄햇살-y2d Рік тому +209

    프로메테우스를 너무 흥미롭게 보고, 커버넌트에서 대실망 했었는데 이런 추측들 너무 재밌네요. 스콧옹이 말해주지 않는 이상 확답은 없는 거지만 이런저런 추측과 가설을 세우는것만으로도 즐거운... 부디 다음 시리즈가 얼른 나왔으면 합니다!

    • @scoutidea
      @scoutidea 9 місяців тому

      왜 실망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 @MarBru-u7v
      @MarBru-u7v 6 місяців тому +8

      @@scoutidea 프로메테우스는 적당한 스릴러에 뛰어난 연기, 연출.. 또 인간의 호기심, 존재 이유 등에 대한 철학적인 면도 보였지만.. 커버넌트에서는 전작 그냥 다죽이고 단순 호러 영화 되버린 느낌..

    • @andreahuh5574
      @andreahuh5574 5 місяців тому

      제발요 프로메테우스2

    • @Bk-oc6ix
      @Bk-oc6ix 5 місяців тому

      스타크래프트 소설이 영화로만 제작돼도 완전 대박일껀데...
      왜 불가능한걸까....ㅜ

    • @아이언맨-y9f
      @아이언맨-y9f 5 місяців тому

      ​​@@scoutidea비주얼 연출로만 따지면 명작처럼 보이지만 수천명 개척민과 태아들 우주선 관리하는 승무원들이 주인공 빼면 하나같이 무뇌아처럼 나와서 그래요 에이리언1에서도 방역규칙 무시하긴 해도 거긴 단순 화물선이었고 인간으로 몰래 위장한 인조인간이 일부러 제노모프 방치했지만 커버넌트는 인간들과 미래를 이끌 태아들도 있어서 천지차이납니다

  • @jjangrymoomin762
    @jjangrymoomin762 Рік тому +1555

    커버넌트 나온지가 벌써 6년째다... 스피오프든 드라마든 뭐좀 빨리 만들어라...

    • @TheKody2002
      @TheKody2002 Рік тому +30

      안 만든다고 알고있는데

    • @첨지-x5i
      @첨지-x5i Рік тому +94

      ​@@TheKody2002스핀오프 3부작 중에 마지막 편 남앗음

    • @fhshw4334
      @fhshw4334 Рік тому +48

      신작 내년에 개봉 예정입니다 다만 리메이크로 나온다고 합니다 😢

    • @fhshw4334
      @fhshw4334 Рік тому +61

      신작이름 에일리언:로물루스

    • @bigOHYEAHS
      @bigOHYEAHS Рік тому +39

      ​@@fhshw4334리메이크라면 커버넌트 이후 데이빗의 마지막 이야기가 아닌 새로운 이야기로 새시작 되는건가요? 그럼 완전 뭣 싸다 끊은 느낌인데요ㅜㅜ

  • @kusk1221
    @kusk1221 Рік тому +204

    어둠의 숲 가설을 보니 납득이 되네요!! 확실히 유럽 역사를 돌이켜보아도 호기심에서 시작된 유럽대륙의 항해는 결국 타국을 착취하고 파괴하는 잔인한 행동으로 이어진것으로 보면 납득이 되는 것 같습니다

    • @송명근-c4x
      @송명근-c4x 5 місяців тому

      유럽뿐만이아니라 모든 인종이 다 그런특징?본능?을 가지고 잇는듯

    • @Sen_宣
      @Sen_宣 4 місяці тому

      성악설. 인간만큼 잔인하고 겁많은 종족도 없을듯. 외계인이 나타나면 착하던 말던 인간은 먼저 공격하고 볼듯.

  • @피르-p8d
    @피르-p8d Рік тому +90

    외계인이 우호적일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정말 멍청한 짓 같아요.
    인간조차도 자기 구역으로 들어온 위협적인 존재를 그냥 두고 보지 않는데 말이죠.
    그리고 외계행성을 찾아 나설 정도라면 이미 자원에 대한 욕심이 있다고 봐야하고 이는 침략전쟁의 기본은 자원확보 영토 확장인데 말이죠.
    엔지니어가 초월적 존재라고 생각하고 지구를 관리하려 했다면
    실패한 실험은 초기화 하고 다시 하는게 당연하죠.

    • @정환-r3o
      @정환-r3o 5 місяців тому +7

      뭐 인간도 똑같겠죠
      처음엔 외계인에게 조심스럽게 접근했다가 지능이 낮다 싶으면 잡아먹고 노예화시키거나 연구용으로 엄청 죽여댈듯...
      외계인도 똑같을듯

    • @0KYK0
      @0KYK0 4 місяці тому +3

      자원 확보를 위해서 저 먼곳에서 온다는 생각은 심각한 오판인데... 다차원 신으로 도약할 정도면.. 행성계 하나쯤은 쉽게 만들수 있는 경지일거고 은하계정도도 만들고 부수고 할 정도 아닌가?

    • @실베
      @실베 3 місяці тому

      @@정환-r3o ㄴㄴ PC충들이 외계인권 ㅇㅈㄹ 하면서 폭동일어나서 인간은 못함

  • @hshwang75
    @hshwang75 Рік тому +38

    아무 생각없이 본 영화가 이렇게 깊은 뜻과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니... 참... 항상 흥미롭고 깊은 리뷰 감사합니다.

  • @youtube-user9875
    @youtube-user9875 Рік тому +230

    프로메테우스, 커버넌트 보면서 도저히 이해가 안되서 답답했던 점이 바로 이거였는데, 이 영상에서 시원하게 설명해주셨네요😢 평소 재밌게 읽었던 삼체와 어둠의 숲 가설까지 연관지으니 더욱 신박하고 흥미로운 해설이 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furylee2813
    @furylee2813 Рік тому +52

    프로메테우스 골수팬으로서 눈물이 날 정도로 명쾌한 해석 입니다. 감사합니다

  • @벨피스
    @벨피스 Рік тому +45

    보는 눈이 없는 탓도 있겠지만 프로메테우스 커버넌트 두 편을 보면서 느낀건 보따리만 잔뜩 풀어놓은 느낌?
    그냥 에일리언 시리즈로 이어지기위한 여정을 말하고 싶은것이었다면 좀 과하다 생각하고있었는데 그런것을 이처럼 해석하실 수 있다는게 정말 대단하심. 저같은 사람은 뭐든 해석본이 필요한 사람인지라...

  • @아주르7
    @아주르7 Місяць тому +2

    커버넌트랑 프로메테우스는 진짜 볼 때마다 새롭고 빠져 듦. 에이리언 모든 시리즈 중 시간 지나고 보니 이두편이 진짜 명작 같음

  • @하해
    @하해 Рік тому +64

    어둠의 숲 이론에 빠져 한참을 검색도 해보고 찾아본 입장에서 정말 완벽한 설명인 듯 합니다

  • @purplepizza0919
    @purplepizza0919 Рік тому +102

    슬슬 잊혀져가던 소재를 꺼내서 이렇게 자세하고 흥미롭게 풀어내신것에 대해 손과 발이 닳을때까지 박수를 쳐드리고 싶습니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에일리언 세계관에 관심이 많아서 몇년간 많이 찾아보고 즐겼음에도 모르는 정보들이 이 영상내에서 많았네요
    게다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기반이 된 소설이 후속작이 있었다는 것 까지도 너무 큰 수확이네요 저한텐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 @anfxhl7197
    @anfxhl7197 Рік тому +226

    고도로 발달한 기술력을 가진 엔지니어 입장에서도 지구와 같은 환경을 가진 행성을 찾는 것은 쉽지않았을테고 그렇기에 새로운 실험 또는 창조를 하기 위해서 작업대(지구)에 쌓인 것들(인간, 동물)을 절멸시키려는 것 같네용 큰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그냥 지구라는 환경은 유지한 채 새로만들기 버튼 누르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 @황성재-s2r
      @황성재-s2r Рік тому +28

      아니면 그냥 인간이 AI만들고 너무 위험해지는 것 같아 파괴하듯 인간도 만들었다 위험해지는 거 같아 파괴하는걸수도

    • @국제심판-q1f
      @국제심판-q1f Рік тому +6

      데이터가있었겠지 엔지니어
      인구수에 따른 환경변화요인 실질적인 요소로 듄시르즈 나오기 힘들고 문명발전수준으로는 엔지니어 발전설이 맞는데 종교시르즈는 종론인데 문명발전할수없지 기도하는데시간쓰니까 그시간에발전해도모자른데 놀거나
      엔지니어 문명체로서의 엔지니어그자체가 맞는 설정 데이터상 죽여야되니까 죽이는것
      엔지니어정도급 발전정도면 행성에 운석정도 떨어뜨릴수있는 과학수준가지질수있지 의문인게 생명공학수준설정은 좋았는데 엔지니어 행성 우주방어체계가 너무 허술하다는것 말이 안되는설정

    • @이정길-y9f
      @이정길-y9f Рік тому

      지구에 뿌리려고 했던 자신들이 만든 생물에 멸종하는 외계인이라는 것 자체가 모순
      한마디로 통제 할 수 없는 생울은 저들이 만든것이 아니다임

    • @classic378
      @classic378 Рік тому +5

      죄송하지만 지구 같은 행성은 널리고 널렸습니다.

    • @gwangjingusjchoi
      @gwangjingusjchoi Рік тому +10

      @@classic378 근데 왜 아직 저희는 흔적도 찾지를 못할까요?

  • @kjs37768
    @kjs37768 Рік тому +7

    흥미로운 가설이네요!! 😲😲
    재밌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 @minzz1130
    @minzz1130 Рік тому +7

    우아 정말 흥미로운 해석입니다! 재미있어요! 다음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 @lee1111112
    @lee1111112 Рік тому

    좋은 영상, 늘 감사드립니다.

    • @yorun
      @yorun  Рік тому

      소중한 후원 감사드립니다~ 영상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눈팅6
    @눈팅6 Рік тому +25

    개인적으루 기거가 디자인하던 시절의 그 섬뜩하고 신비하고 바닥모를 미지의 컨셉이 가장 매력적이었다고 봅니다. 프로메테우스 첫장면부터 대놓고 다 드러내고 나와서 신비감 다 날릴때부터 미지고 뭐고 그냥 떡밥놀이로 전락...

  • @easychordsong
    @easychordsong 5 місяців тому +5

    5:52
    인간은 매번 자신들보다 발달이 덜 된 새로운 문명을 발견했을때 지배하고 핍박하고 수탈했기 때문에, 인간들이 해온 과거가 있으니 외계인들과의 만남, 혹은 그들의 침략이 대부분 공격적으로 묘사된다고 하더라구요. 영화상에서는 인간이 공격 당하는 쪽으로 묘사되지만 사실 그것은 우리의 사고방식이 투여된 결과라는 것이죠.
    만약 인간이 호전적이지 않고, 평화적이었다거나 관용과 배려를 당연스럽게 베푸는 종족이었다면 어둠의숲 가설이 지금처럼 타당한 가설이라고 여겨지진 않았겠죠.
    하지만 아무리 봐도 생태계는 약육강식의 세계이기 때문에 도도새처럼 평화를 기대하고 순진하게 접근하다가는 언제 멸절할 지 모르니, 외계인과의 만남은 곧 대립의 시작임을 생각하고 있긴 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콘스탄틴시스
    @콘스탄틴시스 Рік тому +17

    쳇바퀴 돌듯 직장생활 중 님의 유튜브는 넘 신선합니다. 매트릭스도 그렇고.. 퇴근하니 어제 봤던 이 내용을 다시 보고 싶어져 다시 왔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정말 많은 걸 느끼게 해 주시네요!

  • @rslv1121
    @rslv1121 Рік тому

    영상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yorun
      @yorun  Рік тому

      소중한 후원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jhlee795
    @jhlee795 Рік тому +69

    내가 생각하는 가설
    1.엔지니어들이 살고 있는 모행성이 점점 황폐화 되어 가고 엔지니어들은 자신들이 살만한 다른 행성을 찾기 시작함
    2.지구라는 별을 발견한 엔지니어들은 지구가 자신들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인지 알아보기 위해 자신들의 DNA를 지구에 심음 → 인간
    3.인간들이 지구에 잘 적응해 문명을 이루면서 발전해 나가자 엔지니어들은 자신들이 지구로 이주하기 위해 지구에 살고 있던 인간과 문명을 멸종 시키기로 함
    4.지구의 인간과 문명을 멸망 시키기 위해 준비 하던 엔지니어 집단이 미생물 누출 사고로 전멸하게 됨 (엔지니어 한명만 생존)
    5.황폐한 모행성에 남아 있던 다른 엔지니어들은 지구로 이주할 시간만 기다리고 있었지만 데이빗에 의해 멸망
    6.자신들이 창조한 인간들을 멸망 시키려 했던 엔지니어 처럼 인간들도 자신들이 창조한 AI들을 멸종 시킬수 있다는 판단에 데이빗은 인간을 멸종 시키기 위해 미생물 무기를 가지고 지구로 출발함

    • @chungkumin
      @chungkumin Рік тому +6

      인간문명을 멸종시키려고 뿌린 미생물에 대한 대처가 엔지니어들 스스로도 없는 마당에 그곳에서 살 수 있을까요?

    • @jhlee795
      @jhlee795 Рік тому +1

      @@chungkumin 프레데터 출동~!

    • @GOGE-w2z
      @GOGE-w2z Рік тому

      흐음..형 의견이 가장 타당성이 있네. 그런데 영화 자체가 너무 허술해서....
      그 지구에 살려고 미생물을 뿌린다?? 자기들도 멸종 당하는 판에..에어리언 1편 보면 웨이랜드회사는 에어리언을 알고 있다는 말인데..사이보그는 에어리언에 대해 잘모르는 것 같았어. 그래서 해부하면서 감탄을 연발하지.
      ... 에어리언 1편하고 연결해서 보면 참 뭐 하나 말이 안돼.
      그래도 형 분석이 젤 설득력이 있어..

    • @CKTJ1357
      @CKTJ1357 Рік тому +8

      대단한 상상력이십니다 그런데 6번 데이빗은 지구가 아닌 새로운 행성으로 향하고 있는게 아닌가요? 이미 우주선에는 태아들이 타고 있는데요
      창조주가 되고자 했던 데이빗은 인간멸망의 목적이 아닌 인간을 이용해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킬려는 여운을 남기며 영화가 끝이난거 같습니다

    • @곽성덕-q1i
      @곽성덕-q1i Рік тому +2

      데이빗은 자신을 그저 프로그래밍 AI 가 아니라 하나의 종족으로 생각한 걸까 ..

  • @테베의교차로
    @테베의교차로 Рік тому +29

    프로메테우스 얘기는 언제나 흥미롭습니다

  • @HaNeulJiBung
    @HaNeulJiBung Рік тому +11

    아직 프로메테우스, 커버넌트에 대한 영상이 나오는 거 보면 진짜 흥미로운 소재인데 이후 이야기도 나왔으면 좋겠네요.ㅠ

  • @수프라-f6j
    @수프라-f6j Рік тому +398

    정점의 문명인들이 전부 탈모라니... 가슴이 미어집니다

    • @yuambo
      @yuambo Рік тому +19

      머리카락은 사실 퇴보 되서 사라져야할 과정중 하나

    • @kk-fh9bw
      @kk-fh9bw Рік тому +12

      ㅋ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 @user-uc3vm1zt5o
      @user-uc3vm1zt5o 10 місяців тому

      @@yuambo 라기엔 탈모 유전자가 연애 성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지 않나요?

    • @hyeongkeunlee8360
      @hyeongkeunlee8360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왁싱업은 사라지는 걸로…

    • @seojinsco
      @seojinsco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머리카락.. 털 많은 동물과 비교해보면 되려 머리카락이 지능과 관련 있어 보이는데...

  • @Kirickiric
    @Kirickiric Рік тому +164

    전 퇴화한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자기들 기술에 대한 방비가 안되던것을 보면 뭔가 큰 사건때문에 기술도 잃어버리고 원시로 돌아간듯...

    • @kokkok7267
      @kokkok7267 Рік тому +102

      전 기술과 자원을 가진 상류층이 모든 지식과 자원을 가지고 초월해버려서 낙후되고 떨어지는 하층민만 남았다고 생각했어요.

    • @leonseat6811
      @leonseat6811 Рік тому +14

      아하잇~! 반물질 전쟁으로 싸그리 멸망 직전까지 다가가버려헛~!!

    • @강인하-c5v
      @강인하-c5v Рік тому +1

      그게아니고 저들은 신이 되길 거부한 외계인으로 인간으로치면 히피 그런 부류들임. 옷만봐도 거지꼴이잖냐? 외계인이라고 환경충, 채식충 없을꺼 같냐? 저들은 인간 절멸 반대하던 부류들이고 결국 인간 프렌들리한 부류들을 몰살한거임 ㅋㅋ

    • @그러니까-b9j
      @그러니까-b9j Рік тому +22

      오히려 인류보다 월등히 앞선 종족이다는 설정이다보니 이게 퇴화한 형태라고 해도 말이되고 궁극적으로 진화한 형태라고해도 말이 되네요. 인류는 미래 문명이 되어본적이 없으니

    • @ssol-k3r
      @ssol-k3r Рік тому

      @@leonseat6811 도대체 씹덕들은 뭐가 문제인걸까?

  • @7thlegin169
    @7thlegin169 Рік тому +17

    저도 어둠의숲 가설이 좀더 그럴싸해 보입니다 그래서 보이져호에 지구의 위치를 그려놓은 디스크를 담은게 대체 저게 무슨 뻘짓인가 했죠 혹시라도 호전적인 외계문명이 그걸 발견이라도 하면 지구는 금방 멸망 하거나 식민지가 될게 분명한데 감상에 젖어 해서는 안될짓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나마 보이져호가 태양권을 벗어나서도 형상을 유지하기는 어려울거 같다고 하니 다행이긴 합니다

    • @kk-fh9bw
      @kk-fh9bw Рік тому +4

      그 아이디어를 낸 놈을 인류의 반역자로 처단해야함

    • @gobe7904
      @gobe7904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우주크기와 기술발전 속도만 본다면 보이저가 외계문명과 접촉하기전에 회수하는 것도 가능해보입니다

  • @Zuppuzuppu
    @Zuppuzuppu Рік тому +12

    요런시점 교수님 떳다.. 후.. 덕분에 커버넌트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고 이 영화가 더 좋아졌어요.. 감사합니다❤️ 늘 많이 배우고 갑니다

  • @철새-d3r
    @철새-d3r 4 дні тому +1

    우리가 영화에 나오는 데이빗을 보고 제거하고싶은 감정을 느낀거처럼 엔지니어들도 비슷했을거같네요

  • @Viva_La_Vida_kr
    @Viva_La_Vida_kr Рік тому +5

    가설이 참 재미있고 논리적인게 너무 마음에 드네요

  • @user-issmxjhs
    @user-issmxjhs 6 місяців тому +25

    야... 이사람 영상 퀄리티가 미쳤네
    단순히 영화 리뷰를 넘어서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본질을 보네

  • @하루-l7w3r
    @하루-l7w3r Рік тому +26

    가장 좋아하는 시리즈 분석해주시니 영광입니다 ㅎㅎ
    깊이 있는 분석은 요런시점만한 채널이 없지요 :)

  • @연산동길가메쉬
    @연산동길가메쉬 Рік тому +6

    너무 좋네요 ~~~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judgejung488
    @judgejung488 Рік тому +4

    가장 그럴듯한 해석이네요.
    동면 후 깨어나서 만난게 하필 가장 추악한 인간인 웨이랜드 영감탱이.
    빨리 서둘러서 가려다 ㅈㅁ.
    그런데 그사이 엔지니어 모행성은 환경론자 자연주의가 만연해 과거 첨단(?) 유물만 남아있는 퇴보된 상태... 지들 우주선이 온게 진짜 몇천년만에 보는 신기한 광경...몰려와 무방비로 지켜보다 절멸.

  • @현우-y2g
    @현우-y2g Рік тому +27

    제가 생각하는 가설은
    엔지니어가 자신의 DNA를 지구에 뿌릴때, 고등생물이거니와 엄청난 기술발전을 한 종족인데 굳이 꼭 죽으면서까지 DNA를 뿌리는 방법밖에 없었을까 그리고 아무리 모행성과 비슷한 환경의 지구라지만 DNA가 예상대로 제대로 뿌려진건지 아무런 관찰 아니면 희생을 하면서까지 DNA를 뿌린 고인에 대한 의식이 조금 부족하다(DNA를 뿌릴 목적의 엔지니어라면 엔지니어중에서도 우월한 대상을 고르지 않았을까)라고 생각된 거에서 시작한건데,
    1. DNA를 뿌리는 엔지니어는 엔지니어 사이에서 범죄를 저지른 엔지니어이다. DNA를 뿌릴 목적으로 죽은게 아니라 일종의 사형의 의식이다. 아무런 생명체가 없는 행성을 골라 사형을 한것이다. 그럼에도 예의를 갖추는 듯한 제스처를 취한건 그만큼 진화한 종족으로 문화, 범죄의식에 대한 감정 스펙트럼까지 초월한 종족이기때문에, 그나마의 마지막 예의를 갖춘것이다.
    2. 사형을 하고 미련없이 떠났지만, 어느날 보니 그 범죄자 엔지니어의 DNA가 퍼졌드라(몇천만년 후), 그 DNA라면 분명 범죄자 엔지니어의 특성을 닮았을꺼라 생각, 하지만 아직 고등생물이 아니기떄문에 그 특성을 교화하기 위해 인간의 역사에 간섭.
    3. 하지만 점점 그 범죄자 엔지니어의 특성을 닮아감(전쟁, 정복, 범죄)과 동시에 나름대로의 엄청난 기술발전을 감지. 후에 자신들에게 위협이 될수도 있다는 생각과, 애초에 존재해서는 안될 범죄자 엔지니어의 DNA와 관련있기 때문에 멸종 시키는걸 선택.
    4. 그후엔 영화 스토리처럼 일종의 사건으로 생화학무기 유출.
    애초에 우호적인 자신들의 DNA를 퍼뜨릴 목적이었다면, 엔지니어의 희생으로 DNA를 퍼뜨린 만큼, 잘못된 길을 선택한 인류의 역사에 지속적으로 근대시대까지 간섭을 해야 하지 않았을까. 부모님들도 다큰 자식들이 잘못된 길을 걸을때, 다 컸다고 조언 또는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것을 아니하고 바로 내쳐버리지 않는데, 목적은 모르나 심지어 한 엔지니어의 희생으로 일구어놓은 인간들인데 인간 역사에 간섭을 엔지니어의 역사에 비하면 너무 간단하게 포기한거 보면 DNA를 퍼뜨릴 생각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들었음.

    • @RedHunter.
      @RedHunter.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범죄자면 그냥 사형시키면 되지 굳이 사형당할 놈을 비용 들여서 타행성까지 가서 DNA를 왜 뿌려 ㅋㅋ

    • @현우-y2g
      @현우-y2g 5 місяців тому

      @@RedHunter. dna를 뿌리려고한게 아니라 영화에서도 보면 물약 빨고 몸무너져 내리면서 강으로 입수할때 대부분의 dna는 까맣게 죽는반면 일부 dna가 살아서 진행되는거 보면 원래는 다 까맣게 변해서 분해되서 뒤져야 하는데 특수한 환경이나 상황으로 일부 dna가 살아서 진화된걸로 보임.

  • @kjlee3577
    @kjlee3577 Рік тому +12

    분석과 해석이 대단하네요. 수긍되고 빠져들게도 됩니다. 영상 잘 보았습니다.

  • @무미무밍
    @무미무밍 Рік тому +5

    오펜하이머 곧 개봉인데 요런시점님 리뷰가 벌써 기대되네요❤프로메테우스편도 잘 보겠습니다😊

  • @soloracer7189
    @soloracer7189 Рік тому +45

    커버넌트를 보면서 제일 궁금했던점이 보통 인간기준에서도 여객기 조차도 통신하며 운행시키는데 몆천년만에 돌아온 우주선을 아무 제지없이 대기권안으로 통과시켰다는게 이해가지 않더군요..

    • @yahoojy
      @yahoojy Рік тому +40

      또 커버넌트에 이해안되던 장면은 미지의 행성에 착륙했는데 아무리 지구와 환경이 비슷하다고 해도 우주복도 안입고 아프리카 탐험하는 복장으로 내려가서 시작되는 감염..프로메테우스때도 그랬지만 최고의 생물학자라는 사람들이 미지의 생물을 보자마자 보고도 안하고 혼자 접촉할려다가 감염이 시작되고,,하는게 개연성을 떨어트림

    • @MNOPQR-l3c
      @MNOPQR-l3c Рік тому +12

      오히려 그 부분이 다른 영화들에 비해서 잘만든게 아닐까 싶음. 애초에 미지의 존재들 사고방식을 인간이 어떻게 이해를 하겠음

    • @어디서아름다울까
      @어디서아름다울까 Рік тому +10

      머....엔지니어들이 자신들과 비슷한 종자를 만든게 인류라고 하니 인간적으로 생각해보면 수백년 수천 수억년동안 자신들의 행성에 접근하는 다른 외계인의 우주선이 없었고 그런 문명을 만든 우주인자체가 없었다면 행성단위 경계시스템에 들어가는 예산을 다른 곳으로 돌리지 않았을까함 처음에야 했을수있지만 수만년정도 이상없었다면 안하지 안을까함

    • @경기도성남시아탑동에
      @경기도성남시아탑동에 Рік тому +10

      ​@@어디서아름다울까나도 이게맞다고봄 이거에다가 기술 소실도 .. 당장 인간도 몇년동안 안쓰는 물건있으면 버리거나 파는데 다차원을 넘나들정도로 발전한 문명이면 얼마나 많은 시간을 거치고 살아왔을지 보면 적대 문명의 침략위험도 없고 평화롭게 그오랜기간 살아왔으니 방어체계같은게 없을수 있는게 맞다고봄 그리고 그오랜기간 거쳐살아오며 많은 같은 종족들도 승천한 마당에 전쟁이나 무력기술은 유실되고 평화롭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술만 남았을테니

    • @lightofthedarkness_
      @lightofthedarkness_ Рік тому

      @@경기도성남시아탑동에오..재밌는 의견이에요!!

  • @haloli1051
    @haloli1051 Рік тому +3

    정말 요런시점 님 덕분에 아니 영화 뭐야 왜 이렇게 만들었지? 하던 영화들을 죄다 다시보게 되었습니다(듄,인터스텔라,아바타, 프로메테우스 등등). 팬 아닌 일반인들은 원작의 세세한 설정들을 몰라서 그냥 욕하고 다음편 안보고 마는데ㅋㅋㅋ 요런시점님 리뷰를 보고 나서 위 영화들의 시리즈들도 다 챙겨보게 되었습니다 ㅎㅎㅎ감사해요! 유튜브 더더욱 흥해서 밥 먹고 영화만 보셨으면 좋겠네요...! 프로메테우스 볼때 왜 오랜만에 일어나놓고 이렇게 황급히 멸망시키러 가려하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엔지니어 시점으로 보면 진짜로 놀랠만하고 공포영화 그 자체였을거같네요ㅋㅋㅋㅋ

  • @김종술-s4v
    @김종술-s4v Рік тому +4

    외계인은 있어 하지만 성간 우주를 넘나드는 기술을 만들어내는건 엄청난 기술개발이 필요할꺼야 과학기술은 이런 성간이동기술보다 자기가 살기위한 기술을 더 고도화 시키지 내가볼때 그런기술이 고도화시키기전에 전쟁 역병 천재지변으로 사라지는게 빨르다

  • @배관식-z5n
    @배관식-z5n Рік тому +4

    수고하셨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대박나세요

  • @happyhour7080
    @happyhour7080 Рік тому +2

    내 최애 시리즈물 에어리언 ...그 세계관이 말이 되던 안되던 나는 이 영화 모든 버전을 다 사랑합니다 새로운 스토리 전개를 보고 싶어요. 에어리언 생각하면 맘이 두근거림

  • @xkrdudwls123
    @xkrdudwls123 Рік тому +5

    늘 잘 보고있습니다. 항상 볼때마다 많은 것을 배웁니다.

  • @realshabushabu
    @realshabushabu Рік тому +2

    어둠의 숲 가설은 굳이 우주 레벨에서가 아니라 동네 편의점만 봐도 자기 편의점 근처에 다른 브랜드 편의점이 들어오면 죽네, 사네, 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음. 우리는 우리의 경쟁자를, 혹은 경쟁자가 될 싹을 제거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는 종족임. 인류의 수많은 전쟁 역사를 일일이 언급하지 않아도 될 정도임. 다만, 어둠의 숲 가설의 전제는 이 모든 것이 인류의 시각, 그러니까 우리의 관점에서 다른 문명도 우리 같다면, 이라는 전제가 있어야 하는 거고, 외계에서 다른 문명을 건설한 종족은 우리와 또 다른 관점으로 스스로를, 혹은 다른 종족을 바라볼 수도 있다는 점을 우리는 기억해야 함. 우리가 우리의 좁은 시야와 경험으로 아직 보지도 못한 다른 종족을 재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나는 어둠의 숲 가설에 동의하면서도 부정함. 우리보다 더 낫고 평화로운 시야를 지닌 다른 외계 문명이 있을 거라고 믿고 싶음. 그렇기에 다른 문명을 찾아내서 그들을 좌지우지 할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내가 있다면 그들에게 그런 희망을 걸고 지켜보고 싶음.

  • @오리지널불고기버거
    @오리지널불고기버거 Рік тому +12

    이 영화가 아직도 해석이 나오는게 놀랍다

  • @user-ru6sr9zk9z
    @user-ru6sr9zk9z Рік тому +1

    요런시점 채널에서 항상 진지하고 정돈된 단어들만 보다가 "선빵" 듣는데 저항없이 터져버렸네요 ㅋㅋㅋㅋ 발음도 너무 찰지셔 ㅋㅋㅋ

  • @idealist_87
    @idealist_87 Рік тому +5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보고나니 이해가 되내요 철저한 어둠의 숲 게임이라는 전재 때문에 결국 엔지니어들은 이런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거군요

  • @momone539
    @momone539 Рік тому +10

    다른 리뷰를 보니 저 멸망한 행성은 지구와 같이 엔지니어의 DNA가 뿌려진 행성 중 하나라는 추측이 있습니다. 즉, 멸망한 행성의 외계인은 지구와 쌍둥이이자 경쟁자인 것이죠. 생김새를 보면 엔지니어와 미묘하게 다르다는게 그 증거이고, 엔지니어가 지구를 하나만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는 겁니다.

    • @말하는고양이-s1l
      @말하는고양이-s1l Рік тому

      오~~~~~대박 그것이 잼나겠네요 저도 외계인 외모가 달라서 뭐지 이 떨거지들은? 했었는데

  • @Alice.Jabberwock
    @Alice.Jabberwock Рік тому +9

    4:20 하지만 인간은 창조주가 아닌데도 여러 생물을 멸종시키는중이다

  • @syh7494
    @syh7494 Рік тому +2

    엔지니어가 인류를 제거하려는 이유가 직접격어보니 인간은 항상 트러블메이커라는걸 인식함
    고로 발전되기전에 제거
    그 같은 행위를 몆번함
    인류는 리셋 되었다가 증명됨
    에일리언의 스토리

  • @AprilandGREEN
    @AprilandGREEN 11 місяців тому +7

    요런시점님 덕분에 프로메테우스랑 커버넌트까지 봤습니다 ㅋㅋㅋ 이 영상 보니까 쏙쏙 다 이해되고 진짜 너어무 재미있습니다 역시 최고예요 🪼

  • @김종순순
    @김종순순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yorun
      @yorun  Рік тому

      소중한 후원 감사드립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choinest
    @choinest Рік тому +36

    감독이 수습 못한 아쉬운 작품 중 하나

  • @noneminto459
    @noneminto459 Рік тому +5

    재밌고 공감되는 내용이었습니다^^

  • @jonsnow-h4j
    @jonsnow-h4j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번에 Hulu에서 오리지널 1편의 30년 전을 배경으로 '에이리언: 어스' 스트리밍한다고 하던데 매우 기대됨.
    웨이랜드 유타니사의 설립 과정과 합성 인조인간 제조 경쟁을 다룬다고 함.
    무엇보다 제작과 극본이 리들리 스콧임...

  • @물고기-d9e
    @물고기-d9e Рік тому +152

    어둠의 숲 가설은 무척 흥미로우면서 그나마 외계 문명에 대한 가장 논리적인 견해로 들립니다.
    어쩌면 스티븐 호킹 박사가 외계문명과 접촉하려고 하지 말라고 했던 것도 이러한 가설을 어느 정도는 염두에 둔것은 아니었을지.
    기술의 폭발이라는 부분도 무척 흥미롭네요.
    실제로 중세 시대에서 산업 혁명이전까지의 기술 발전은 매우 더뎠지만 산업 혁명이후, 그리고 2차 대전을 거치면서 과학 기술과 의료 기술은 가히 혁명적인 발전을 이루죠.
    실제로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의료 기술이 100년을 단축시켜 버렸다고 할 정도였으니까.
    오늘도 골수 공돌이는 한수 배우고 갑니다. 😊

    • @judgejung488
      @judgejung488 Рік тому +5

      지금 LK-99로 난리인데
      기술은 원리를 이용해 발전된것 보다 현상을 발견해 응용하며 발전된 부분이 더 크죠.
      초전도체가 발견된다면 진짜 혁명을 넘은 폭발을 맞이할듯.

    • @물고기-d9e
      @물고기-d9e Рік тому +5

      @@judgejung488
      초전도체는 정말 또다른 기술 혁명을 맞이할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박재성-m9r
      @박재성-m9r Рік тому +3

      옛날 제국주의가 있던 인간들이 생각할
      내용이고 지금은 낡은 휴지 쪼가리

    • @jlijiloiho
      @jlijiloiho Рік тому

      @@박재성-m9r 휴지 쪼가리라 그래서 인간들은 지금 서로 손잡고 하하호호 꽃밭에만 있나요? 인류 역사상 전쟁이 멈춘적이 없고 역사가 증명중인데요?

    • @machmax7
      @machmax7 Рік тому +2

      미국 하원에서 UAP 청문회가 작년 올해 열렸는데...이미 외계인은 와있고 그들기술을 역설계 하는중이라는 증언이 나옴...😅

  • @CenterKoreaVisionHealing
    @CenterKoreaVisionHealing Рік тому +16

    이분 대단하십니다.
    마치 엔지니어들의 대변인과 같은 논리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있군요. 잘 보고 갑니다 :)

  • @CLK9091
    @CLK9091 Рік тому +3

    보는 내내 흥미로웠어요!

  • @HatchI25
    @HatchI25 Рік тому +2

    AI가 자아 비슷한 개념을 갖게 되고 이와 같은 생각을 정보로 갖게 되면, 우주를 위해 인간을 멸절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날이 올거 같기도 하네요

  • @판관.포청천
    @판관.포청천 Рік тому +9

    내 인생 최고의 오프닝. 진짜 처음 봤을때 그 충격은 잊을수 없고 이 영화를 영화관에서 보지 못한 것이 천추의 한이었음.

  • @Owlkim5788
    @Owlkim5788 Рік тому +1

    요란시점님 업데이트 피드 보고 얼굴에 함박웃음이 핍니다~ 좋아요 박고 보기시작할게요!! 👍

  • @wirelessholic4506
    @wirelessholic4506 Рік тому +12

    부모와 자식은 창조주와 피조물의 개념이 아닙니다. 동일선상에 있는 존재죠
    하지만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 즉 우리 인간으로 치자면 인간과 AI 의 관계를 부모자식과 동일시 하는 개념은 아니죠
    인간은 AI 를 동정해서는 안되고 언제든지 파괴할수 있는 권한을 가진것처럼 말이죠.
    즉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란 이런것입니다. 창조주는 피조물을 동일선상에 놓지 않고 언제든지 멸할수 있는 존재로 받아들이는것입니다

    • @user_525mqwfgxbkxz
      @user_525mqwfgxbkxz Рік тому +1

      창조주와 피조물의 개념이 아니라고 하지만 실제로 그렇게 하는 인간들도 있죠.
      내가 낳은 아이니까 내가 원하는 길로만 가야하고 안가면 닥달하고 그걸 위해서 주위에도 닥달하고 문제가 생겨도 억지로 그길로 다시 올려놓을려는 사람들.

  • @오늘도밝음-k3j
    @오늘도밝음-k3j Рік тому +7

    고등한 문명일수록 종을 초월해서 생명존중을 해 평화가 유지될것 같아요. 지그에서 과거 아동, 동물이 생명 취급을 받지 못하다가 현재는 존중받고 있잖아요. 시간이 지날수록 문명은 발달하기 마련인데 엔지니어들이 너무 조급했다고 보네요. 그런의미에서 엔지니어들은 진정한 고등문명은 아닌것 같습니다 ㅎㅎㅎ

  • @zitnbit
    @zitnbit Рік тому +10

    커버넌트에 쇼박사가 제대로 안나온게 많이 아쉽습니다ㅜㅜ

  • @배달
    @배달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로믈리스 개봉이 방장님에게 개꿀임.. 1년전 영상들이 다시 재조명 되니깐..로믈리스 흥행하고 방장도 흥하세요

  • @stacymartin8494
    @stacymartin8494 Рік тому +9

    해외쪽 의견보니 엔지니어의 아이디어가 수메르신화의 아눈나키에서 따온거 아니냐는 소리도 있더라구요 아눈나키도 외계인으로 나오죠ㅋㅋㅋ인간보다 훨씬 수명이 길고 덩치가 컸다는것도 비슷하고...

  • @이용석-k6y
    @이용석-k6y Рік тому +1

    되게 흥미로운 영상이였습니다.
    따로 어둠의 숲 가설에 관련된 SF 소설을 읽어보고 싶어지네요

  • @yple7
    @yple7 Рік тому +20

    뇌피셜이지만 그래도 굉장히 흥미로운 가설이었어요 VR로 즐기는 에일리언 게임이 나올거라고 하는데 정식 각본이 나올때까지는 이 가설을 다시 생각해보면서 한층더 깊게 몰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덕분에 ㅎㅎ

  • @MrJYself
    @MrJYself Рік тому +1

    요런 sf물 좋아하는데 프로메테우스 에일리언 잼있게 봤고 곱씹어 보는데 정리가 되네요. 잘봤습니다.

  • @푸르리-r4m
    @푸르리-r4m Рік тому +9

    저도 외계인을 찾거나 만나는 것에 반대입니다 우리에게는 득보다 실이 클것이기 때문입니다
    영상을 보니까 엔지니어의 화난 표정이 이해가 되네요 잘봤습니다

  • @SlowLife_Diary
    @SlowLife_Diary Рік тому +1

    와 영상에서 많은 생각에 잠기게 되네요. 깊이 있는 분석 잘 보고 갑니다!

  • @nakorimu0
    @nakorimu0 Рік тому +38

    현업 IT엔지니어입니다. 허구헌날 심야에 일 생겼다고 불러제끼는 클라이언트들 때문에 인류를 절멸 시키고 싶다고 매번 느낍니다.

  • @OddOddStar
    @OddOddStar 10 місяців тому

    캬... 너무 재밌는 가설입니다!!!!!!! 논리적이기도 하니, 그래서 더 재밌음

  • @MoMo-pm8tr
    @MoMo-pm8tr Рік тому +19

    염세적인게아니라 현실적인게 아닐지..
    실제로 인간이 자신보다 하등한 문명을 만났을때
    (신대륙발견)
    무슨짓을 저질렀는질보면;;

    •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9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신대륙에서 부두술사들이 뭐했는지 알면 고등한 문명이 잘했다고 할겁니다

  • @옹니뚜뚜
    @옹니뚜뚜 2 місяці тому +1

    요런시점님 영상 중에 가장 좋아하는 영상이 매트리스랑 프로메테우스입니다~ 문득 데이빗은 오라클처럼 자유의지를 깨달은 기계였을까요? 오라클은 감정이라는것을 어떻게 느꼈을지 궁금해지네요ㅎㅎ
    그리고 삼체보면서 어둠의 숲가설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 생각할수록 너무 무섭더라구요.. 논리적 모순이 있다고 전 영상에서 말씀주셨는데 이 부분 자세히 알려주시면 좋을것같아용ㅎㅎ

  • @injunewood9368
    @injunewood9368 Рік тому +5

    야생의 고릴라 무리들을 본 인간은 대부분 어떤 생각을 할까요? 가서 싹 쓸어버릴려 할까요? 잠깐 관심가졌다가 무심히 지나갈까요? 몇 마리 잡아다가 실험할까요?(아니면 동물원 전시) 보호할려고 할까요? 인간부분에 외계인이라면.

    • @FIZZ-e2l
      @FIZZ-e2l 4 місяці тому

      그 고릴라가 벽화를 그려 후대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말로 소통하고 사회를 이루며 도구를 쓰기 시작하는 등 점점 발전하는 모습을 봤다면 인간들은 어떻게 할까요

  • @메추리-p4c
    @메추리-p4c 2 місяці тому +1

    만약 가설대로 엔지니어들이 멸종을 할 권한이 있다면 있다라고 보이네요 실제 수천년 동안 개입을하고 가르침을 주고 했지만 동물원의 동물도 통제가 안되면 안락사 시키고 하는데 엔지니어의 관점에서 본다면 동일하게 보일거 같다 느껴지네요 그리고 멸종을 시킬려고 했는데 갑작스럽게 무기, 진보된 기술을 가져와서 나도 너네처럼 만들어줘 이런다고 하면 소름 끼칠거 같은데

  • @일루미나티-l3e
    @일루미나티-l3e Рік тому +3

    인간에 바이러스 퍼트리려다
    자신들이 죽어스면
    원 혹성에 있던 사람둘이
    다시 시도를 해슬탠데.
    안간이 너무 위험하니.

  • @Sak-g2f
    @Sak-g2f 4 місяці тому +1

    독자들은 커버넌트 후속작을 기다리겠지만 제작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전작에서 했던 떡밥회수와 너무나도 커진 세계관을 감당하기 겁나긴 할 듯 ㅋㅋ

  • @B블링크
    @B블링크 Рік тому +8

    가장 현실적인 해석이죠.

  • @다사나-x9l
    @다사나-x9l 2 місяці тому +1

    감독판 프로메테우스에서 생존한 엔지니어가 말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처음 질문이 '여기 왜왔나? 원하는게 뭔가?'라고 물어봄 이때 탐사의 후원자인 피터 웨이랜드가 영생을 원한다고 답변하자마자 인간들을 공격하기 시작함. 아마 오랜시간동안 인간들이 변했을것이라고 기대한 엔지니어가 인간을 떠보기위해 질문을 했지만 인간이 오만하고 자기중심적인 모습이 변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자마자 다시 인간절멸 프로젝트를 재가동 시키기 위해 비행선을 띄우려고 한듯...

  • @seongjun12
    @seongjun12 Рік тому +6

    항상즐겨보고있습니다. 😊

    • @leonseat6811
      @leonseat6811 Рік тому

      항상즐겨보고있습니까. 😮

  • @pj현
    @pj현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화적인 재미 위주로 전개 하면 결국 엔지니어Vs데이빗,데이빗이 창조한 유기적 생명체가 격돌 하는 스토리가 가장 나을듯...
    인류는 이 상황에서 자신들을 창조한 창조물의 편을 들지, 자신들이 창조한 피조물의 편을 들지, 아님 피조물인 데이빗이 창조한 또 다른 피조물과 협력 할지가 궁금함
    다만 창조주인 엔지니어들 조차 인류의 형질 제어에 실패한 것처럼 데이빗이 창조한 생명체도 데이빗의 의도와는 다르게 행동할 가능성이 다분 하다 생각함

  • @Nakwon0312
    @Nakwon0312 Рік тому

    어둠의 숲 가설 크으ㅎㅎㅎㅎ 진짜 요런시점 님 채널 제 취향 저격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 @에비로드
    @에비로드 Рік тому +4

    와 몇 년만에 정말 그럴듯한 스토리를 본것 같아요^^ 에어리언, 프로메테우스 시리즈 광팬인데 감사합니다.

  • @kkang61568
    @kkang61568 Рік тому

    인간, 데이빗 그리고 엔지니어 인간을 피조물과 창조주와의 관계만으로 해석한 영상들만 보아서
    왜 엔지니어들이 피조물을 멸망시키려했는지에 대한 명쾌한 답안이 생각나지 않았는데
    이 영상을 보니 속이 뻥 뚫리는 기분이에요 감사합니다

  • @와다다-q3w
    @와다다-q3w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집에서 키우던 햄스터가 갑자기 증기기관 만들기 시작하면 나도 겁나서 다 죽일듯..

  • @jj-ql5gy
    @jj-ql5gy Рік тому +2

    와.. 님이 결론 내준게 너무나 합리적이서 그냥 이렇게 믿을래요ㅋㅋㅋ 리들리스콧감독 죽기전에 프로메테우스의 이야기는 더이상 없을것같음 에일리언은 모르겠지만

  • @und76522
    @und76522 Рік тому +10

    언제나 즐겨보고 있어요 늘 고마워요. 매우 흥미로운 해설과 의견이네요. 검은숲 가설은 뭐랄까 너무 인간증심적이져 ㅎㅎ 뭐 그럴수 밖에 없지만요.
    중간에 시나리오도 여러번 바뀌고 감독이 실제 하고자 했던 얘기하고도 상당부분 거리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만(애초에 제임스 카메론때 뒤틀린 설정이 제재리를 찾기도 힘들구요) 과거의 엔지니어와 현재의 엔지니어를 다른 존재라고 보면 어느정도(편리한 해석이지만) 이해의 여지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지구에 생명이란것도 없는 몇억년전 인터스텔라 여행이 가능한 종족이 고작 사고하나로 혹은 안드로이드의 공격 한번에 절멸하는건 앞뒤가 너무 안맞죠. 다른 항성계에 얼마든지 확장했을거구요.
    만약 그들도 퇴보하고 멸망했다면. 절멸병기를 쏴대다가 결국 자멸하고 그나마 수천만년이 지나 중세수준으로 퇴보 혹은 재시작 하는 단계가 아닐까요?
    작중묘사로 데이빗이 모성에 등장했을때 그들의 반응은 기적이나 약속된 메시아를 보는 듯한 미개하고 광신도적인 모습이었으니까요.
    수억년이 지난 후의 엔지니어도 그대로 있을거라고 상정하는건 어폐가 있아요.
    창조주란게 애초에 그렇게 낭만적이지 않은거죠. 작중언급으로도 ‘그냥 할 수 있으니까’ 만들었다가 없애는 거에요. 따라서 데이빗도 더욱 자기확신이 생겼을거고. 프로메테우스가 너무 똥작이라 이런 구멍이 생기는 거 같긴 하네요 ㅎㅎ

  • @리들리-t1z
    @리들리-t1z Рік тому +1

    개인적인 생각이라기엔 가장 정확한 해석같습니다 엔지니어의 시점에서 인간들은 우주질서를 무너뜨릴 파괴자였던거죠

  • @인영김-g5z
    @인영김-g5z Рік тому

    우연히 영상을 봤는데요~ 저는 프로메테우스는 보기는 했는데 사실 이런분야는 잘몰라요~ 구독자는 아니지만 그래도 끝까지 봤는데 세상에 무슨 광고가 21분.10분이 넘어서... 그래도 광고 끝까지 다 봤어요.요새 광고가 왜그리 긴지 아뭏튼 댓글들 보니까 대단하시네요~ 감사합니다~~☆

  • @sWriter39
    @sWriter39 Рік тому +6

    확실히 울 나라 사람들은 서사에 집증하는 거 같음.
    왜 그랬나? 이런거..
    근데 서양 소설을 포함해 세계적인 문학 트랜드는 이미 주제 중심으로 간지 오래됬음..
    연극에서 고도를 왜 기다리냐 고 묻는게 아니라. 기다린다는 게 뭘 의미하냐에 집중해야 극이 이해됨.
    햄릿이 왜 우유부단하냐? 무슨 트라우마나 사연이 있어서 그런가?
    이러면 아침 드라마가 되어버리는 것임..
    물런 나역시 언급한 영화들의 주제를 안다는 건 절대 아니구.. 에어리언에서 에어리언은 남성 성기를 본따 만든 모양인걸 생각하면 그 외 여러 상징이 공통적인 주제를 니타내고 있다는 건 확실함.

  • @onnya4753
    @onnya4753 Рік тому +1

    기어올라올것이기에(미래에 인간들이 자기들을 죽일것이 예상되기에) 절멸시키려했다고 봐야할듯
    어둠의숲가설은 별로 설득력은 없는데 영화로는 재밌네요.
    우리에게 대입해봐도 흥미롭네요.
    우리는 AI로봇들을 창조하려 하고있죠

  • @nananana0099
    @nananana0099 Рік тому +41

    솔직히 각본까지 공개된 마당에 감독도 스스로 방향을 못잡고, 무책임하게 관객들의 이런저런 해석에 일임해버린 작품으로 보는 입장인데...
    신기한게 오히려 저렇게 만들어버려서 온갖 해석이랑 떡밥으로 아직도 회자되는 작품이 된거죠.
    요런시점님이 보여주신 다양한 해석도 정말 흥미롭습니다. 근데 만약 어느쪽 하나로 픽스되었다면 뭔가 가볍고 아쉬운 느낌이었을거 같기도 할정도로ㅎㅎㅎ

  • @andreahuh5574
    @andreahuh5574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엔지니어가 데이빗 숨통 부터 끊고 본 이유가 명확해졌네요 전혀 없었던 존재에다 예측불가 상황을 아예 없애버리는거죠
    인간은 어차피 약한 존재이니 적당히 던져버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