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озмір ві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увати елементи керування програвачем
Автоматичне відтворення
Автоповтор
말씀하시는게 귀에 쏙쏙 들어와요
설명 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
와 오진다 진짜 감사해요ㅋㅋㅋ
액정의 개념에 대해 여러곳을 찾다가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정리가 되었습니다. 선생님 너무 예쁘세요. 감사합니다.
면접준비에 도움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편광판이요? 조선팔도의 공교육의 쌤들로 인해 핸폰을 다 갖고 다니는 세상인데!한몫들 하셨네요!
LCD의 약자가 리퀴드 크리스탈 디스플레이인데 잘못 설명하셨네요 D는 디바이스 Device 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Display입니다.
좋은 의견입니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의 개념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므로 불특정 다수에게 오개념을 심어줄 여지가 있기에 해당 강사분이 이 댓글을 보신다면 참고하셔서 다시는 이런 실수가 없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이오드 아니였나요
@@웃어라-k1z diode는 LED(Light Emitting Diode)입니다 lcd는 display에여
스칼렛 요한슨 닮으셧어요!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쌩유감사합니다전압 인가 비인가 상황을 반대로 이해할뻔했네요
서울대 공대생인데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
입사 준비에 도움이 되네요 ㅎㅎ
선생님 그러면 액정에 전압을 가할수록 빛이 투과를 못해서 화면이 어두워지는게 맞나요?근데 그러면 화면이 어두울수록 가해준 전압의 세기가 세다는 건데 뭔가 이상해서요.화면의 밝기가 밝을수록 걸어준 전압도 세고 전력소비가 클 것 같은데,,,
굿굿 감사합니다
디바이스가 아니라 디스플레이입니다
❤❤
헐 차영샘 맞죠? 9년전 쯤에 ebs들었었는데 샘 반가워요 ㅠㅠㅠ
와 너무 신기해..
이 부분 이해안갔는데 감사
빗이(비시) 빛이(비치)자꾸 비시라고 하시니까 뭔가 거슬립니다...
빛은 파동인가요 입자인가요?
둘 다 입니다만 여기서는 파동적인 성질을 이용하는 겁니다.
입자가 날아가면서 파동을 낸다.
근데 왜 굳이 전면 편광판과 후면 편광판을 90도의 차이가 나도록 배치를 하는건가요? 그냥 차이를 안 내면 전압이 걸리지 않았을 때 빛이 통과를 못할거고, 전압이 걸렸을때는 빛이 통과해서 설계상 더 유리할 것 같은데..
빛이 편광판 사이에 있는 컬러 필터를 거쳐 빛이 통과가 안되야 우리 눈에 보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작성자분이 생각하는 기술 처럼 편광판을 하나만 사용하는게 led 기술입니다.
해보고말해
컴퓨터는 전기를다루는기술필요한 물건 이야 신제품만들수있으면 만들어바
단순히 on/off 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밝기 수준까지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죠.
전문가 관점에서 봄 잘못된 설명이 많네요 ㅎㅎ 초보자 한테는 도움될거 같고요
되도 안한 소리
감사합니다.
말씀하시는게 귀에 쏙쏙 들어와요
설명 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
와 오진다 진짜 감사해요ㅋㅋㅋ
액정의 개념에 대해 여러곳을 찾다가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정리가 되었습니다. 선생님 너무 예쁘세요. 감사합니다.
면접준비에 도움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편광판이요? 조선팔도의 공교육의 쌤들로 인해 핸폰을 다 갖고 다니는 세상인데!
한몫들 하셨네요!
LCD의 약자가 리퀴드 크리스탈 디스플레이인데 잘못 설명하셨네요 D는 디바이스 Device 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Display입니다.
좋은 의견입니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의 개념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므로 불특정 다수에게 오개념을 심어줄 여지가 있기에 해당 강사분이 이 댓글을 보신다면 참고하셔서 다시는 이런 실수가 없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이오드 아니였나요
@@웃어라-k1z diode는 LED(Light Emitting Diode)입니다 lcd는 display에여
스칼렛 요한슨 닮으셧어요!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쌩유감사합니다
전압 인가 비인가 상황을 반대로 이해할뻔했네요
서울대 공대생인데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
입사 준비에 도움이 되네요 ㅎㅎ
선생님 그러면 액정에 전압을 가할수록 빛이 투과를 못해서 화면이 어두워지는게 맞나요?
근데 그러면 화면이 어두울수록 가해준 전압의 세기가 세다는 건데 뭔가 이상해서요.
화면의 밝기가 밝을수록 걸어준 전압도 세고 전력소비가 클 것 같은데,,,
굿굿 감사합니다
디바이스가 아니라 디스플레이입니다
❤❤
헐 차영샘 맞죠? 9년전 쯤에 ebs들었었는데 샘 반가워요 ㅠㅠㅠ
와 너무 신기해..
이 부분 이해안갔는데 감사
빗이(비시) 빛이(비치)
자꾸 비시라고 하시니까 뭔가 거슬립니다...
빛은 파동인가요 입자인가요?
둘 다 입니다만 여기서는 파동적인 성질을 이용하는 겁니다.
입자가 날아가면서 파동을 낸다.
근데 왜 굳이 전면 편광판과 후면 편광판을 90도의 차이가 나도록 배치를 하는건가요? 그냥 차이를 안 내면 전압이 걸리지 않았을 때 빛이 통과를 못할거고, 전압이 걸렸을때는 빛이 통과해서 설계상 더 유리할 것 같은데..
빛이 편광판 사이에 있는 컬러 필터를 거쳐 빛이 통과가 안되야 우리 눈에 보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작성자분이 생각하는 기술 처럼 편광판을 하나만 사용하는게 led 기술입니다.
해보고말해
컴퓨터는 전기를다루는기술필요한 물건 이야 신제품만들수있으면 만들어바
단순히 on/off 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밝기 수준까지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죠.
전문가 관점에서 봄 잘못된 설명이 많네요 ㅎㅎ 초보자 한테는 도움될거 같고요
되도 안한 소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