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vs공대ㅣ어떤 과를 선택해야 할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썸네일 어그로... 너무 강력한가 오늘은 자연과학에 대해 알아봤어 물리학과,수학과,화학과 모두 좋은 학과라고 생각해 나도 ^^

КОМЕНТАРІ •

  • @richardsonkim5650
    @richardsonkim5650 5 років тому +201

    근데 어차피 고3 수험생들중 100%는 아니지만 수많은 학생들이 학교 간판에 눈이 멀어서 학과를 낮추고 입학을 하는게 현실....

    • @홍성표-j8p
      @홍성표-j8p 4 роки тому +1

      전과하면 되니깐 크게 걱정없지않을까여

    • @Yahweh_1
      @Yahweh_1 4 роки тому +139

      @@홍성표-j8p 친구가 학과안보고 학교좋은데가서 전과한다고 갔다가 학점 개터져서 전과도못하고있음

    • @MrTGBEE
      @MrTGBEE 4 роки тому +6

      @@Yahweh_1 공감 ㅋㅋㅋㅋㅋ

    • @노란월광
      @노란월광 4 роки тому

      문과는 심하긴한데 이과는 그정도로 심하진않은것같네용

    • @aaaa-ck7rw
      @aaaa-ck7rw 4 роки тому +40

      홍길동 전과는 전과하려는과에 나가는사람이 있어야 티오가 나고 메이저과일수록 전과가 박터집니다. 근데도 학교에선 실적 올리려고 전과 쉽다고 말하고서 낮은대 메이저과보다는
      높은대 잡과쓰라하죠.

  • @뽀송한인절미
    @뽀송한인절미 5 років тому +113

    우리나라는 워낙 못살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과 투자보다 눈앞의, 당장 먹을거리를 찾기 때문에 순수과학,자연과학은 절대 못함. It쪽이 발전해서 과학이 좀 되는것처럼 착각하는데 It는 응용과학이지 순수과학이 아님. 물론 순수과학이 당연히 들어가기는 하는데 이 분야는 이미 미국,유럽,일본쪽이 먹어놔서 로열티를 주고 과학을 빌리고 있음. 이것이 현재 대한민국의 한계야 뭐든지 밑바닥이 튼튼해야 오래살아남는데

  • @양지우-l5q
    @양지우-l5q 5 років тому +129

    사실 연구자들이 기초를 다질 수 있도록 느긋허니 기다려주는 문화가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너무 빨리빨리가 퍼져있어서 힘든게 사실인듯

    • @user-pz2gh6px1x
      @user-pz2gh6px1x 5 років тому +3

      ㄹㅇ

    • @星-k4d
      @星-k4d 5 років тому +20

      그리고 돈 안되는 분야는 지원자체를 안해줘서 더 힘들죠..

    • @양지우-l5q
      @양지우-l5q 5 років тому +5

      @@星-k4d 그래도 기초소재 등한시하다가 일본한테 선빵맞고 이래선 안되는구나 하는 듯해서 그마나 좀 나아지려나 싶네여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여기에 쓰여져 있는 댓글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내용의 영상들이 있음.
      좀 있다가 올려드리겠음.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근거1: ua-cam.com/video/cE3kxnrUh8s/v-deo.html

  • @서울_2반_차민재
    @서울_2반_차민재 5 років тому +361

    데드형 말이 정말 현실적인 조언이고 완벽한 분석이 맞지만 정작 자연과학을 가든 공대를 가든 하다못해 예체능을 가든 자기자리 잡을 사람들은 잘 잡고 사는 세상이니까 공대에 너무 연연하지 말고 본인이 잘 하시면 됩니다. 공대라는 건 대한민국에서 확률을 높여주는 거지 100퍼센트는 아니니까 명심하세요.
    그리고 자기적성 정말 중요합니다. 공대 나오고 적성 안 맞아서 공시 준비하는 사람들도 있고 예체능계열 학과에서도 때려치고 다른 쪽으로 방향 돌리는 사람들 있으니까 고등학생이시면 고민 많이 해보시고 대학생분들 중에 현타느끼고 계시면 더 늦기전에 빨리 하고싶은 거 시도해보세요.

    • @woong4619
      @woong4619 4 роки тому +2

      자연대 가는 애들 어짜피 성적 맞춰서 뭣 모르고 가는 애들이 대부분이잖아요. 이제 입학할 애들은 현실을 좀 알고 공대에 연연해야 하는게 맞지 않나?

    • @뽀글뽀글-f3j
      @뽀글뽀글-f3j 4 роки тому

      인생을 걸고 도박하는건 좋지않음

    • @WhydoIhaveto123
      @WhydoIhaveto123 4 роки тому +48

      @@woong4619 서울 k대 물리학과 7학기째 재학중인데 그런 친구들 거의 없습니다. 적어도 주변 서울권 물리학과 학생들 만나는 자리에서 만나서 얘기 나눠봐도 각자 어느정도의 생각과 공대와의 비교도 마친 상태로 오는겁니다. 자연계열이 공학계열에 비해 입결이 낮은편도 아니고 각자의 비전이 다 있습니다. 공대에 비해 대학원 진학률이 높은편이고 학부때 기초과학을 전공하고 대학원때 특정 전공으로 전공 살려 가는 선배들도 많고요. 이야기하시는것 대충 봐도 어디 어중이떠중이 못배워먹은 티 내고싶지 않아하시는것 같은데 그런 말씀하시면 곤란합니다. 자연계열이 살고 과학이 발전해야 공학도 같이 발전할수있습니다. 자연계열은 조금 더 멀리 보고 가고싶은 학생들에게 추천해주고 싶네요. 당신 성적으로는 꿈도 못꿀것같긴한데 뭐..

    • @uaenai9108
      @uaenai9108 4 роки тому +1

      그래서 자과대에서 공대로전과함

    • @최우혁-x4i
      @최우혁-x4i 4 роки тому +2

      고등학생분들 학과 잘 생각해서 오세요.
      지금은 전자공학과 전과해서 한숨 돌렸지만 물리학과 재학했던 사람으로서 대부분 1학년때 현타오는 학생들 엄청 많아요.. 저도 그 케이스라서 막 반수하는 친구도 있고, 편입? 전과? 자퇴? 하는 학생들도 있어요.
      늦기 전에 한번 책은 잠시 덮어 놓고, 진지하게 고민해보세요. 데드형 말 하나도 틀린게 없음

  • @mathddang
    @mathddang 5 років тому +287

    애매한 수준의 자연과학쪽은 아웃풋도 애매한게 당연하다고 생각함 ㅇㅇ...

    • @user-ip6to7cz6t
      @user-ip6to7cz6t 5 років тому +8

      형이 왜 여기서 나와?

    • @l.t.d8531
      @l.t.d8531 4 роки тому

      엥ㅋㅋㅋㅋㅋㅋㅋㅋㅋ쌤 왜 여기있어

    • @윤지-y5d
      @윤지-y5d 3 роки тому

      쌤 안녕하세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erovingian2003
      @Merovingian2003 3 роки тому

      이런

    • @김상우-e3b7r
      @김상우-e3b7r 3 роки тому +3

      댓글수준봐라ㅉㅉ; 여윽시 네티즌수준최악인 나라답다ㅉㅉ;

  • @꿈많은고레
    @꿈많은고레 5 років тому +58

    이 형 영상특징 : 음소거 하고 자막만 봐도 음성 지원 됨

  • @꽃나무-r1r
    @꽃나무-r1r 5 років тому +249

    어디든 갈 수 있다는건, 까딱하다간 전문성이 없어서 어디든 못 갈수도 있다는거다. 오늘의 띵언~😊 데드형 항상 잘 보고있어ㅎㅎㅎ♥️

    • @안녕-d6e7m
      @안녕-d6e7m 4 роки тому +1

      산업공학과두요?

    • @joychopass
      @joychopass 3 роки тому

      @@안녕-d6e7m 대표적인 예입니다 메카트로닉스와 함께

  • @universek2632
    @universek2632 5 років тому +23

    물리학과가 얕고 넓게 배운다고 하시는데 사실 이론적인 것에 한해서는 정말 깊고 넓게 배웁니다... ㅋㅋㅋ 물론 공대는 특정 분야를 배우기는 하지만 이론적인 것보다 실용적이고 산업에서 쓸 수 있는 것들을 많이 배워서 취업할 때는 물리학과보다는 도움이 되겠지만 사실 학부를 졸업한 학생들의 능력에는 큰 차이가 없고, 최소 석사 이상은 해야 실제로 물리학이나 공학적인 지식을 활용해서 뭔가를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parkerjames7991
      @parkerjames7991 3 роки тому +1

      솔직히 학부생 들 학부때 피터지게 도서관가서 전공 한거아니면 실력 비슷비슷...

  • @공돌이-x9i
    @공돌이-x9i 5 років тому +80

    고려대 물리과나오면서 어느정도 공감되는부분이 많네요. 확실히 반도체 쪽으로 취업은 잘 되는편이긴 하나, 학문자체의 난이도가 매우 높기때문에 대학원가서도 막상 포기하는 경우도 많이 본거같아요. 저또한 대학원 너무 힘드네요ㅠ
    다만 한가지 동의하지 못하는거는 어디까지나 제 기준이고 전기전자 물리 복수전공해봤지만 공대사람들이 전자기분야에서 물리과보다 전자기 잘다루고, 반도체도 물리과보다 전전과가 더깊게배운다고 생각은 안합니다. 더더군다다 현재 미세공정의 한계에 더욱 다다르면서 물리에 심화적인 이해은 필수로 여겨지고 이런면에서 물리학과가 유리한건 사실입니다.다만 이건 나도 너무 어려워...valleytrocis...후... 여기까지입니다..

    • @푸르른-f5e
      @푸르른-f5e 5 років тому +2

      그래서 데드형이 물리는 스카이 이상아니면 그 밑으론 가지 말라고 하는듯요.

    • @NeymarDaSilvaSantos_Junior
      @NeymarDaSilvaSantos_Junior 4 роки тому +4

      물리학 학사 만으로 반도체쪽 취업이 가능한가요?? 아님 전전 복전이 필요할까요

    • @dongwookkim2712
      @dongwookkim2712 4 роки тому +1

      동의합니다. 오히려 물리학과대학원가서 응용과학을 깊게 다루기 때문에 취직도 잘 해내는 선배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순수 이론 제외) 다만 과목 자체가 fundamental 한 걸 다르기때문에 난이도가 정말 높다는거...ㅠ

    • @공돌이-x9i
      @공돌이-x9i 4 роки тому

      @@NeymarDaSilvaSantos_Junior 가능은한데 요세 석사메타인거같은데

    • @System.Error.
      @System.Error.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물리학과 가서 심화과목으로 고체물리+반도체물리 들으면 전전이랑 시너지 ㅈㄴ좋을텐데

  • @이로운-kr1
    @이로운-kr1 4 роки тому +18

    이영상은 진짜 추천함 솔지키 좋아하는 것도 좋지만 현실을 보는 것도 중요한데 현실에 대해 너무 잘알려준다.나도 정신차림

  • @말차반초코반
    @말차반초코반 5 років тому +43

    여자친구가 생물학과인데 자과대는 사실상 대학원까지 나오는거 아니면 문사철이랑 동급이라하더라구요 ㅋㅋ
    자과대 특성상 전공살리려면 대부분이 연구직인데 학부졸업만 하고 연구쪽으론 못가고...
    결국 자과대는 학부만 졸업하고 취업하려면 문사철처럼 전공 무관한 직무로 밖에 지원못하더라구요

    • @parkerjames7991
      @parkerjames7991 4 роки тому +10

      한국에서 생물관련 학과들이 다그럼
      연구원 하려며 박사까지 해야함 석사는 크게 의미 없노

    • @nameno1440
      @nameno1440 2 роки тому +1

      ㅇㅇ 생물학과 특임 물리정도로만 골랐어도 안그랬음

    • @문재인-f5c
      @문재인-f5c 9 місяців тому

      그건 자연대라서그런게아니라 생명이라서그런건데

    • @문재인-f5c
      @문재인-f5c 9 місяців тому +1

      팩트는 생명과학과아니라 생명공학과여도 대학원확정임

  • @루하-u4x
    @루하-u4x 5 років тому +158

    자연과학해서 굶어죽지는 않습니다. 다만, 취직한 친구들과 비교하면 한없이 작아져보일 뿐입니다.
    그 시간을 다소 견디기 힘들 뿐입니다.
    또, 문과에서 묵묵히 대학원 간 친구들은 등록금이나, 조교비 지원자체도 없고 더 열악한 게 한국의 현실인데, 등록금과 용돈 정도 랩실에서 받을 수 있는 걸로 위로 삼는다면 그것대로 또 괜찮게 보일지 모릅니다.
    남들과 너무 비교하려고 하지 마세요.
    한국의 자연과학에 대한 지원이 열악하긴 하지만,
    연구에 뜻이 있다면, 묵묵히 잘 참고 견뎌내고, 공부가 즐겁다면 해볼만한 길이 아닐까 생각해보입니다.
    또 묵묵히 쫓아가 보면 길이 있긴 있더라구요. 교수도 하시고, 정출연도 가시고, 미국에 교수하시는 분도 있고요.

  • @gwg3998
    @gwg3998 5 років тому +19

    비좁은 5천만인구 밖에 없는 나라에 태어난게 죄다... 인적자원인 자신을 최대한 사회에 어필해야 살아남을 수있는...

  • @구-l6b
    @구-l6b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인서울 소위 말하는 탑10대학 물리학과 대학원생입니다.
    1.취업 생각하는 친구들은 애초에 자연대 많이 안오긴 합니다. 대개 과학자라는 큰 꿈을 품었다가 막상 전공과목 배워보니 생각 이상으로 어려워서 꿈을 포기하고 뒤늦게 취업의 길을 택합니다.
    2.자연대도 "결과론적으론" 잘만 취업하지만, 대부분 공대 복수전공한 친구들입니다. 순수하게 자연대 전공한 친구들은 외부활동이든 뭐든 공대생보다 약 1.5~2배 정도 노력합니다.
    3."난 물리학 전공자니까 공대 과목쯤이야 쉬울거야!"라며 공대복전을 대수롭잖게 보는 친구들이 간혹 있습니다. 자연대는 학생들을 "질"로 고생시키지만, 공대는 학생들을 "양"으로 고생시킵니다. 기계공학과의 경우 열유체를 진로로 삼는다면 "둘다"로 고생할겁니다.
    한문장요약 : 세상에 쉬운 길은 없습니다.

  • @전기는빠지직
    @전기는빠지직 5 років тому +8

    이 형 영상 간간히 시청 했었는데, 늘 느끼지만 말을 조리있게 잘해 ㄷㄷ

  • @yjk5690
    @yjk5690 5 років тому +16

    화학과에 대해 조금 부연하자면 다른 자연과학에 비해 나은거에여. 화공은 화학을 기초호한 물리를 배우는 과목으로 역학을 주로 배우죠. 반대로 화학과의 메인은 역학이 메인이 아니죠. 또 커리큘럼만 보더라도 화공은 반도체, 유기단위공정, 공학설계등 취업위주로 짜여 있는 차이점이 있기에 취업을 목표로 하면 화공이 낫습니다. 혹시 과를 선택하는 분이 있다면 참고하세요.
    취업을 생각한다면 화공을, 진학해서 연구에 몸을 담겠다면 화학을 선택하세요

    • @이아-s5j
      @이아-s5j 4 роки тому +1

      음 참고로 화학과에서 화공기사만 따면 딱히 화공에 취업 밀리는 점도 없조.(참고로 화공기사 난이도가 기사들 중에 전기기사와 같이 탑티어 입니다)

    • @yjk5690
      @yjk5690 4 роки тому

      @@이아-s5j 화학과 나와서 화공기사 따도 화공과보다는 불리합니다. 애초에 화공과만을 지원 가능학과로 지정한데가 많죠. 그리고 화공기사가 전기기사보다 훨씬 쉬워요.

    • @parkerjames7991
      @parkerjames7991 3 роки тому +1

      @@yjk5690 교수님도 항상 이말씀 하셧엇는데 애초부터 둘이 포지션이 다르다구

    • @sanghunoh4360
      @sanghunoh4360 Рік тому

      @@yjk5690 그런데 왜 의대나 교대, 약대에 사람들이 집착하죠.....

  • @전극파이터
    @전극파이터 5 років тому +40

    한국에서 자연과학대학을 나온다는건
    취직을 위해서는 복전이(주로 공대) 필수인게 현실이다.
    대부분 대학원을 가거나 박사테크를 많이 타도 솔직히 자연과학을 전공하고 한국에서는 큰 메리트가 없는거 같다
    특히 탑티어라고 불리는 스카이 대학에서 자연과학대학 전공생들 또한 안정적인 직업을 갖기 위해 복전 많이함.
    심지어 원전공보다 복전으로 공대를 선택해서 원전공 시간투자보다 복수전공 시간투자가 더 많이 들어가고 공대 원전공 사람들은 항상 복수전공 사람들과 경쟁함. 거기서 생존한 복전생들은 원전공 공대인 사람에 비해 취직 정말잘함.

  • @이윤기-u5m
    @이윤기-u5m 5 років тому +69

    형 신소재공학과도 해줘 공학중에서는 가장 애매하다는데 솔직히 나는 왜그런지 모르겠어 신소재공학과에대해서도 다뤄주면 좋을것같아

    • @jincho4953
      @jincho4953 5 років тому +6

      세라믹만 안해요 반도체,철강 다합니다

    • @ilkhg9902
      @ilkhg9902 5 років тому +1

      누가 그러던데 신소재란 없다고

    • @heiscute.7603
      @heiscute.7603 4 роки тому +22

      Tim Jeon ㅋㅋ 신소재공학과와서 신소재하는새끼 뒤질때까지 찾아보셈 절대없음 어떤 병신이 그렇게 이름 바꾼지 모르겠음 ㅋㅋ 그냥 재료공학과인데
      재료공학과가 진짜 딱 맞는 표현 같음

    • @메로나-y3y
      @메로나-y3y 4 роки тому +14

      그냥 재료개발하는곳이라고봐요 전ㅋㅋㅋ화학공학 처럼 폴리합성하고 재료 개발하는곳이라고 보면되지않을까요ㅋㅋㅋ 신소재공학부는아니지만 대충 이야기들어보니 그렇더라고요ㅋㅋㅋ취업한사람도 그런쪽으로 하는거 봤고ㅋㅋ
      반도체 재료 같은거 하는곳 아닌가ㅋㅋㅋ화학공학과에서 좀세분화들어가서 재료에 집중한느낌아닌가요ㅋㅋ
      화학공학과는 생물도다루고 뭐 이것저것고를수있는데 재료는 진짜 재료에만 포커스하는느낌??
      굳이 예를들자면 전자공학나와서 전기, 임베디드등등선택할수있는데 반도체선택해서 배우는거랑 그냥 반도체공학나온거같은느낌아닌가ㅋㅋ

    • @San-gr3vl
      @San-gr3vl 4 роки тому

      배터리분야 연구가 이제 신소재가 중요해졌나요?
      현재 소재로는 용량을 늘리기가 한계가 있다던데

  • @heounmo
    @heounmo 5 років тому +48

    반도체 라서 학과 걱정은 없지만 학점이 걱정이다... 후우

  • @oooobamasan
    @oooobamasan 5 років тому +37

    형!! 행정학과, 공공정책학과, 정책학과 이런데도 알아봐주랑...행정고시 쪽 관심있어

    • @San-gr3vl
      @San-gr3vl 4 роки тому

      행시는 재경직 아닌 일행직 기타직렬이어도
      경제학과가 가장 좋습니다
      사실 공대출신도 상관없고 오히려 더 좋을 수도 있어요.
      어짜피 수험공부는 신림동 학원에서
      순환강의 들으면서 하게될테니.

    • @San-gr3vl
      @San-gr3vl 4 роки тому

      행시를 노리고 문과가기보다는
      차라리 공대를 가서 4-1학기까지 다니면서 행시공부 재학 병행하다가
      휴학때리고 신림동가서 2년 오지게 올인해보고
      안 되면 바로 복학해서 공대로 취업하는게 가장 현명한 루트라고 봅니다

  • @최우혁-x4i
    @최우혁-x4i 2 роки тому +11

    물리학과 출신인데 사람들이 자연과학대에 대한 오해를 알려줄게요.
    1. 복전을 무조건 해야한다? X
    이건 수학,통계일 때 이야기야.. 물리,화학,생명은 필수는 아니지만 하면 좋긴해 근데 딱히 문제가 될 건 없어
    2.순수 학문만 배운다? X
    물리학과인데 공대처럼 1학년때 매트랩하고 파이썬,공학수학,물리,화학 다 배운다. 내가 공대를 온건지 자연대를 온건지 가끔 헷갈릴때있음. 그리고 3학년때 이후로 반도체,에너지 등을 공대만큼 다루는 게 많아(물론 공대보다는 테크닉 쪽에서는 조금 떨어짐)
    3.취업이 힘들다? X
    근데 이건 대학 내 물리학과의 커리큘럼이 어떤가에 따라 달라 자연대가 학벌 빨이 조금 있어주면 좋은게 좋은 학교일수록 커리큘럼이 반도체나 에너지 쪽으로 명확하게 짜여져있음.
    얘들아 은근히 나쁘지 않아 근데 수학 통계는 가지말자

    • @lion-ib8ol
      @lion-ib8ol 2 роки тому +2

      헉 정말요? ㅠ 물리학과 희망하는데 주변에서 들리는 얘기때문에 흔들렸는데 고체물리쪽해서 반도체희망하는데 괜찮겠죠?

    • @System.Error.
      @System.Error. 6 місяців тому +2

      1학년때 매트랩이면 카포 쪽인가

    • @여문수-c3q
      @여문수-c3q 4 місяці тому

      ㄹㅇ 커리큘럼에 따라 격차가 많이 나는 과가 물리학과라고 생각함.. 새로운 교수들 채용 계속하고 산업 트렌드에 맞게 계속 커리 갱신하는 학교들 보면 정말 부러움.

    • @최우혁-x4i
      @최우혁-x4i 4 місяці тому

      @@lion-ib8ol 현재 물리학과 재학 중이신가요?

    • @최우혁-x4i
      @최우혁-x4i 4 місяці тому

      @@System.Error. 쉿..

  • @이진-r3z1n
    @이진-r3z1n 5 років тому +95

    경영학과 인서울 대학이랑 지거국 대학 두가지 측면으로 나눠서 아웃풋을 다뤄주실 수 있을까요??

    • @쿠바산시가-d3t
      @쿠바산시가-d3t 5 років тому

      이거 좋다

    • @San-gr3vl
      @San-gr3vl 4 роки тому +7

      경영학이 공부하고 싶으면
      공대를 갔다가 MBA 추천

  • @소장호-x4j
    @소장호-x4j 4 роки тому +16

    생명과학과 교수님께서 '생물학은 잡학이다. 생물을 하려면 물리, 화학 등 모든 분야에 깊은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라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모든 자연과학 분야를 다뤄야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모든 분야를 허술하게 공부하고 대학을 졸업할 수 있는데, 진정으로 '생명과학에 대한 지식이 있다'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은 전 분야에 걸쳐서 엑스퍼트이므로 어디에 내놓아도 꿀릴것 없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이라는 학과가 애매한것이 아니라 공부를 애매하게 했으니 결과물이 애매한것이 맞다고 봅니다.
    이상, 서 성한 생명과학과 학부시절을 돌이켜보며 적어본 소신발언이었습니다.

    • @lllllllllllIIl
      @lllllllllllIIl 2 роки тому

      생명 마스터하면 의학도 마스터하는거 아님?

  • @Teleport_online
    @Teleport_online 5 років тому +7

    스읍... 지질 기상 해양 이렇게 지구과학 3~4대장을 전공한 사람의 견해로서는 생명과학보다 공기업에서는 아주아주살짝나을수있긴하지만 사기업에서는 정말 티오가 드럽게 적기때문에.... 솔직히 박사찍을거면 해볼만하지만 학사,석사까지는 정말 답이없다고 생각함ㅋㅋㅋ석사도 사실메리트살리기가 정말힘듬.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5 років тому +13

    자연대 장점 : 공대와는 비교를 불허할 만큼 성비가 정상적이다.

    • @데드형
      @데드형  5 років тому +2

      ㅇㅈ

    • @인대파열-o9s
      @인대파열-o9s 5 років тому +12

      물리학과는... 아닌뎅...

    • @Kettlers
      @Kettlers 4 роки тому +2

      물리학과 제외

    • @sanghunoh4360
      @sanghunoh4360 Рік тому

      수학과 화학과는 여자 비율 꽤 되고 물리학조차도 여자 25프로 전후.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런데 기계 전기전자는????

  • @ゆあゆあ-h3v
    @ゆあゆあ-h3v 3 роки тому +11

    물리학과 나와서 대학원 가서 박사 받은 30살 연구원입니다. 지금은 일본에서 연구하고 있죠

  • @imikalsoe4794
    @imikalsoe4794 4 роки тому +3

    1:15 사회구조도 똑같아요.
    외곽은 번지르르 왠만한 선진국 수준인대 (경재)
    그 내부 시스템 구조, 사람들 인식, 교육 등등의 내부 는 필리핀이나 개발도상국 수준,
    1900년대에서 아직 못벗어나고 있음
    근데 사람들이 자꾸 겉만 싱경쓰니까 (개인적으로 눈으로 쉽게 기능해서일거라 생각함)
    내부적인것에 대한 발전을 신경쓰진 않아서 속도가 느린것 같아요.
    한국인은 정말 똑똑해서 좀만 신경쓰고 멀리보고 생각하면 긍방 선진국보다 더 좋아질것 같은데...
    자구 아쉬움만 남네요..ㅠ

  • @정선재-j5o
    @정선재-j5o 5 років тому +43

    데드형 나노공학이랑 신소재공학도 해줘 ㅠㅠ

    • @정선재-j5o
      @정선재-j5o 5 років тому

      달문어 사람들 인식도 그렇고 저도 그런데 신소재공학을 나오면 4년 학사생활동안에는 구체적인 전공공부를 할 수없어서 대부분 대학원을 가야 전공을 살릴 수 있고 취업이 그나마 낫기도 하고 재료공학 To자체가 많지 않다고 하는데 대학원을 가야할 필요가 있을까요? 아니면 학교가 좋으면 그런거 다 없는건가요

    • @정선재-j5o
      @정선재-j5o 4 роки тому

      e.j j2 혹시 궁금한게 있는데 신소재공학이 반도체와 금속 위주로만 이루어져있는과인가요?? 제가 고3인데 환경쪽이나 섬유, 스마트기술 등으로 생기부를 쓰려하는데 신소재공학과와 좀 다른가요??

    • @정선재-j5o
      @정선재-j5o 4 роки тому +1

      달문어 그게.. 저도 화공을 목표로 하다가 과가 너무 인기있는 학과라 5-6지망은 화공을 쓸거같은데 높은 대학 지원할때는 그나마 좀 낮은 신소재를 써야될거같아서요..!

    • @heiscute.7603
      @heiscute.7603 4 роки тому +2

      달문어 올해 경희대 정보전자신소재에서 고대 화생공 편입한 사람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달문어님의 말에 동의하기 상당히 힘듭니다.
      신소재를 2년간 겪어보고 수많은 선배들을 보고 내린 제 결론은 이게 뭘 배우는 학과인가라는 의문점뿐입니다. 얕고 넓게 배우는 것, 맞습니다. 근데 너무 얕게 배웁니다. 어느정도냐면 신소재 석사과정을 들어가게되면 학사때와의 학문적 괴리감이 들 정도로 너무 얕은 수준으로 배웁니다. 그나마 디스플레이재료 요정도가 메인인데 솔직히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취업시장은 전기전자가 90%를 먹고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왜냐하면 사실 소재에 대한 기업에서의 수요가 많지 않습니다. 얕은 지식들과 경험 적은 학사출신은 더더욱 그렇죠. 저도 경희대 입학했을 땐 정말 좋아라 했지만 다니다보니 2학년때까지 제가 뭘 배웠는지조차 감이 안옵니다. 기계과 친구들은 2학년때 열역학 동역학 유체역학을 배우고있고 화공과 친구들은 화공양론부터 유기화학에 열 유체를 배우면서 전공에 대한 “진짜”베이스를 쌓고 있던 반면 저는 굳이 뽑자면 “재료과학” 하나만 기억에 남습니다. 사실 재료과학이 신소재에서 가장 뼈대가 되고 핵심적인 과목인 것은 맞지만 이것마저도 내가 뭘 배우는건지 사실 잘 감이 안왔습니다.
      말이 길어졌네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취업보고 신소재올꺼면 오지마세요. 석사까지 하실생각이시면 가시고. 근데 누구나 꿈꾸는 서포카 석사는 좋은 출신대학에 학점이 4가 넘어야되고(고등학생분들은 공부 잘하는 고등학교에서 내신 1등급따는정도의 난이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석사생활은 인생에서 가장 의미없게 보내는 2년이라고 말 할 정도로 굉장히 고달픕니다.
      저는 절대 추천 안합니다. 신소재 희망하는 사람 있으면 전과나 재수반수 편입으로 과 갈라고 추천합니다.

    • @정선재-j5o
      @정선재-j5o 4 роки тому +1

      정건씨유 그런가요.. 제가 고3인 입장이라 수시로 1지망 2지망 정도는 어쩔 수 없이 신소재를 해야될거같은데..

  • @송건후-t5z
    @송건후-t5z 4 роки тому +67

    형 물리학과 재학중인 2학년입니다. 과학자의 꿈을 꾸었지만, 석박간 선배들보고 30살까지 결혼, 취직을 못하는걸 보고 빠르게 공무원시험에 붙었습니다. 대학원을 일하면서 나오고 늦은나이에 연구사 지원하려고요.
    늦게 졸업하겠지만 이게 좋은거겠죠?

    • @msk6966
      @msk6966 4 роки тому +3

      안정된 수입원을 가진것만큼 좋은게 없습니다.

    • @없음-b5i
      @없음-b5i 2 роки тому

      혹시 몇급 무슨 직렬 공무원 붙었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ㅠㅠㅠ 알려주세요

    • @lllllllllllIIl
      @lllllllllllIIl 2 роки тому

      개쩌네 진짜로

  • @이재미게
    @이재미게 5 років тому +5

    현실을 직시한 말씀 늘 유익하게 듣습니다.허나 우리나라 인구의 70%가 데드님이 말하는 높은 클라스이지 않습니다.이사회를 30%가 기득권 누린다해도, 70%는 힘들게 살아야 하는 현실입니다.앞으로 70%의 우리나라 민초들 서민 학생들을 위해서도 좋은 말 격려의 말을 부탁드립니다.

    • @inbdo6088
      @inbdo6088 5 років тому +1

      좌파냄새난다...
      현실을 파악하자 좀.
      뉴스랑 이런거 챙겨보는 사람인거 보니까 좌파중에서도 지식인층이겠네.

    • @KW-zb3sf
      @KW-zb3sf 2 роки тому

      @@inbdo6088 뭔 좌파타령이야..

    • @덤최몇-c6u
      @덤최몇-c6u 2 роки тому

      왜요?

  • @fjskansjskcn
    @fjskansjskcn 5 років тому +98

    나라 상황 때문에 자기가 하고 싶은 공부도 못하고....ㅠㅠ 씁쓸하다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6

      저도 이거 공감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6

      저는 개인적으로 지질학 쪽으로 더 많이 연구하고 싶은데도 불구하고 한국은 아직 자연과학 쪽으로 장기적이고 꾸준한 투자를 안 하는 추세여서 학부 끝나거든 기초과학하고 자연과학 쪽으로 기반이 잘 다져진 러시아로 갈 생각이에요.

    • @상상도못한정체-k4k
      @상상도못한정체-k4k 5 років тому

      하고싶은건 취미로 해야지 그걸 하면서 프로가 되고 싶으면 그만한 능력을 보여주든가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1

      저는 진심으로 제가 스스로 하고싶은 공부(=지질학)가 뭔지 찾았습니다.
      이제 그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위해 노력할 일만 남았죠.

    • @JJ-zs5kt
      @JJ-zs5kt 5 років тому +3

      ㄹㅇ 한 반 30명 중에 28명 공대 2명 자연대감 ㄷㄷ

  • @pgw0825
    @pgw0825 5 років тому +18

    식품영양학&미생물학 전공한 남자인데 졸업하고 1년 사무직 일하고 2년만에 실험조교로 일하고 있는데 이것도 계약직.... 의학계열이나 공대가세요 학사로는 문이 넘 좁아요.... 😳😱😭

    • @lunaallys5712
      @lunaallys5712 5 років тому +2

      맞아요 석사해야하 필수임....

    • @나만운없어-v9j
      @나만운없어-v9j 5 років тому +1

      저도 이번에 식품영양학 들갔는데 복수전공으로 공과계열 할려 하는데 괜찮을까요?

    • @pgw0825
      @pgw0825 5 років тому

      @@나만운없어-v9j 식품영양학과는 영양사 이수과목(18과목 52학점) 채워야 하기때문에 복수전공 하려면 4년만에 졸업 못해요^^ 저도 전공 3개 하느라 5년 다녔다능.....

    • @나만운없어-v9j
      @나만운없어-v9j 5 років тому

      그럼 전과를 하면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 @pgw0825
      @pgw0825 5 років тому

      @@lunaallys5712 석사 필수인데 고학위 저소득이라 포기^^

  • @lifecontrol8477
    @lifecontrol8477 5 років тому +10

    데드형 영상 잘 챙겨보고있고 정말 많이 도움돼. 중학교때부터 내 적성에 대해 많이 생각해보고 여러학교 학과의 주요연구나 영상, 책을 통해서 많이 찾아봤지만 역시 데드형처럼 경험자의 말이 도움이 컸어.
    데드형이 학과, 대학관련 영상을 올려주는 것도 좋지만, 그 학과에서 어느 직업으로 통하는지 알려줬으면 좋겠어.
    ‘내 학과에서 보니까 적성안맞아서 다른학과가는 애들이 많거나 대기업가서 이런일하더라~’
    같이 알려주면 비슷한 직업 혹은 일을 하기위해서 어느 대학의 어느학과를 가면 좋겠구나 라고 생각이 들것 같아. 한번 이런 영상 제작해주면 좋겠어.
    항상 응원하고 고마워!

    • @추억-o9d
      @추억-o9d 2 роки тому

      적성에 맞는 직업을 정해주는영상은없나요?

  • @현명한투자자-x5k
    @현명한투자자-x5k 5 років тому +4

    데드형말이 전반적으로 맞지만 지질학 전공자로 팩트만 집고넘어가면, 공기업 지질직은 대부분 순환근무가 아니야. 보통 본사 근무 회사(가공,석공)거나 지사에서 한군데서 오래 근무하는 곳이 대부분이야. 사기업의 경우 무역상사(포스코인터내셔널,LG상사 등..)에 자원개발 직무가 있는데 공기업 사기업 모두 실력자, 석사이상급이 취업하는 경향이 있어. 난 전공 살리고 싶었는데 자리가 너무 좁아서 삼성 전공 외 직무로 취업했고, 무튼 사명감과 지질학에 대한 열의가 있으면 지구과학도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해.
    끝으로 이런 좋은 영상 만들어줘서 고마워 데드형!

    • @현명한투자자-x5k
      @현명한투자자-x5k 5 років тому

      가스공사(대구), 석유공사(울산), 광자공(원주), 광해관리공단(원주), 원환공(경주), 농어촌(여수,전국근무), 환경공(인천) 위에 해당하는 기업들이 동문들이 많이 취업한 곳이고, 자원 관련 기업은 본사근무가 많고, 환경 관련 기업은 지사 근무가능성도 있어,
      지질직이 나쁜건 아닌데, TO가 너무 적고, 한동안 자원쪽을 잘안뽑았어서 고급인력이 모인추세야. 하지만 취업만된다면 보람과 자긍시을 갖고 일 할 수 있어! 이 댓글이 도움이 됬으면 좋겠어!

    • @chsy-e4u
      @chsy-e4u 3 роки тому

      해양학과도 공공기관 취업자리 있는지 모르겠네요ㅠㅠㅠ

  • @마진다늘-p7e
    @마진다늘-p7e 3 роки тому +4

    하하하ㅏㅎ…. 생명과학 분야를 너무 사랑해서 생명과학과를 가려..했는데.. 물론 돈벌이가 정말정말 안된다는 것도 알고는 있었지만… 주변에서 다들 말리고 데드형님까지 이렇게 말리시니… 그냥 공대를 가야죠 뭐 어떡하겠어요….

    • @일숭
      @일숭 3 роки тому

      공대도 수학적 머리가 되면 가는걸 추천..

    • @smartviewer3145
      @smartviewer3145 2 роки тому +1

      오지마 제발

  • @사기꾼진우야내가죽여
    @사기꾼진우야내가죽여 4 роки тому +14

    저도 순수학문(수학)을 전공하는 학생인데 어려움을 감수해서라도 버텨볼 생각입니다.

  • @진짜일반인-v9u
    @진짜일반인-v9u 5 років тому +16

    예에 친구랑 맨날 토론하는 주제가 드디어 올라왔당

  • @강석우-z2b
    @강석우-z2b 5 років тому +9

    형 왜 탑티어 임원 영상 지웠어 ㅠㅠ 그거보고 내가 통찰에 꽂혀가지고 도서관에서 책도 빌렸는데 다른 영상에 비해 좀 팩트가 적고 모호해서 와닿는 게 적긴 했지만 직장을 가질 사람이라면 임원은 누구한테나 궁금한 얘기잖아 단순히 일을 잘한다는 얘기 이상의 뭔가가 듣고 싶었어 여러 번 형 영상을 돌려보며 길잡이로 삼는 팬이

  • @백종민-x2f
    @백종민-x2f 5 років тому +3

    자연과학의 전망 정말 궁금했었는데 고마워요!! 데드형♡

  • @Kamaa112-k7u
    @Kamaa112-k7u 2 роки тому +2

    10년전에 지방대학교에서 석사 제끼고 Emory로 풀펀딩 박사유학 갔던 선배는 결국 리턴해서 산업계로 갔음. 또 다른 선배는 서울대 석사, 독일 박사따고 모교로 돌아와서 교수중임. 결국 실적 나름, 운 나름, 하기 나름… 지방대에서 세계적인 석학이 나오는건 사실 희박한 확률이지만, 상방은 어느정도 존재하다는거… 그리고 그 상방이 본인의 것이라고 판단되면 지방대 물리학과도 하나의 선택이 될 수 있음. 물론 수석해야하고, 학과평균에 맞추려 하지말고 부차적인 노력을 많이 해야한다는거. 예시야 두개지만 내가 다닌 지방대는 어느정도 상방이 있었다는거. 혹시 지방대 다니는 친구들 있으면 알려주고 싶었음

  • @yjoh9812
    @yjoh9812 5 років тому +43

    확실히 수학과친구들 보면 꼭 공대쪽 다중전공해서 취업하려고 하는 것 같더라고요... 어른들이 공대가라고 하시는게 이런 이유 때문인거 같네요..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형님♡

    • @sanghunoh4360
      @sanghunoh4360 Рік тому

      그렇긴 한데 자연대가 의대, 간호대에 비하면 X군기가 적긴 해요.ㅎㅎㅎㅎㅎ
      X군기 싫으면 수학과 같은데도 좋아요

  • @rainstar4268
    @rainstar4268 4 роки тому +3

    사실 현실적으로 보면 자연과학은 대한민국 현실과 안맞기는 함. 하지만 다르게 보면 지금은 누구나 취업이 힘든게 현실임. 개인적으로 자연과학 학과면 가장 좋은 경우가 그 분야에 관심이 있고 연구를 하는 것임. 하지만 당장 취업만을 놓고 봐야 한다면 그나마 맞는 대체제를 찾을 수 밖에 없는 것.
    인서울이 아닌 물리학과를 다니고 있지만 후회를 하지 않는게 있다면 고전적인 자연현상의 움직임이 눈으로 보이고 머릿속으로 계산된다는 점이 즐거움. 그리고 항상 고등학교 물리 화학을 배우면 이 뭔가 명확하지 못하게 설명되는게 많았는데 그게 모두 해소가 되었음. 특히 화학의 경우 물리와는 전혀 관계 없고 생물과 밀접하리라 생각했으나 그게 아니었음에 더 놀랐음. 물론 이런게 당장 실무적으로 투입하는데 제한이 걸리는건 사실이긴 함.

  • @드림-x6u
    @드림-x6u 5 років тому +17

    이 친구 말 참 잘해...

  • @카젠-l5m
    @카젠-l5m 4 роки тому +2

    하ㅏㅓ하하하허헣ㅎ.....허ㅓ........ㅎ..
    물리천문학과를 꿈꾸고있는 고2입니다..
    그쪽분야가 재미있고, 흥미가있어서 갈려고 했었는ㄴ데...
    솔직히 물리천문학과.... 대학원가는거 말곤 일할곳도 없어서 고민하고있었는데... 이영상을 보게되네요..
    물리천문학과....
    한 번 고민해봐야겠어요...😭

  • @한유진-q4k
    @한유진-q4k 5 років тому +28

    문과쪽 복수전공도 다루어줘 형 ㅠㅠ
    인문&상경 , 상경&상경 이런식으로

    • @San-gr3vl
      @San-gr3vl 4 роки тому

      인문 상경도
      공대 복전만이 살길

  • @souljit2
    @souljit2 5 років тому +5

    요새 스타트업 / 창업 관련도 되게 활발한걸로 하는데 한번 다뤄주면 좋을것 같아요

  • @채현-m9b
    @채현-m9b 5 років тому +13

    형 대기과학이나 천문쪽 좀만더ㅠ자세하게 안될까 내가 기상청이나 천문연구소같은데 들어가고싶은데 정보가없어 ㅜㅜ

    • @ypj5275
      @ypj5275 5 років тому +5

      기상청은 공무원 시험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예전엔 7, 9급 시험으로만 들어갔는데 요즘은 행시로 5급 사무관으로도 들어가죠. 아니면 대학원으로 석박사 받고 연구사, 연구관으로 들어갑니다. 여기까지는 정규직 공무원이고 석박사 받고 연구사, 연구관 못되면 비정규직 연구원으로도 많이 갑니다. 천문연구원은 석박사 학위 받고 가는건데 9급 공무원 시험 보시는게 경제적 시간적으로 훨씬 낫습니다. 학위가 길어지면 우리나라에서는 비정규직으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상이나 천문이면 걍 공무원 시험 보는게 제일 좋습니다.

  • @강신의학생물리·천문
    @강신의학생물리·천문 4 роки тому +1

    썸네일 어그로에 낚여 바로 클릭 ㅋㅋㅋㅋㅋㅋ
    네.. 제 얘깁니다....
    그래도 균형잡힌 얘기를 잘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 @chsy-e4u
    @chsy-e4u 3 роки тому +3

    해양학과 신입생인데 공부 열심히해서 최선책은 기계공이나 전기전자공으로 전과. 차선책으로 앞에 말한 학과들을 복전해야할거같네요. 그래도 공공기관에서 수요가 있다는게 위안이 있네요.

  • @aloning_
    @aloning_ 5 років тому +4

    생명과학과 나왔는데 , 생각보다 훠얼씬 진로가 없다고 보면됨.....
    졸업할때 즈음 진짜 취업률이 헬이라 자괴감이.....

    • @배영환-w7f
      @배영환-w7f 5 років тому

      하....

    • @ititsit
      @ititsit 4 роки тому

      연구직으로 빠지기도 힘든가요..?

    • @삐약-z9p
      @삐약-z9p 4 роки тому

      @@ititsit 저 생명과학 재학생인데 졸업선배들 석사,박사 하고계세요ㅠ거의 20후반~30대...진짜 20대전체를 공부에 갈아넣어요...

  • @yessu_4907
    @yessu_4907 3 роки тому +2

    생명과학 생각중이었는데.... 다시 고민해볼게요
    차라리 더 공부해서 약대 가는게 더 낫긴 낫진 하지... 내가 왜 그 과를 선택하려고 하는지 생각해봐란 말 감사합니다
    다시 더 진지하게 늦지 않게 고민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사는게사는게아니-u5t
    @사는게사는게아니-u5t 5 років тому +46

    순수 생명과학말고 수의학과나 축산과 생물공학과 같은 바이오 쪽에 대해서 이야기해주세요ㅎㅎ 너무 애매해서요ㅠㅠ

    • @데드형
      @데드형  5 років тому +9

      그것도 한번 이야기해볼게 ㅎㅎ

    • @앵무새-c1n
      @앵무새-c1n 5 років тому +4

      수의학과는 취직은 잘됨 근데 그게다라는게문제 강원대 수의학과가 강원대 생명대보다나은건맞지만 그성적으로 연고공가도 취직은잘됨

    • @borealis_임박사
      @borealis_임박사 5 років тому +1

      수의대는 공대보다 훨씬 취업 잘됨. 농대는 탑티어가 아니면 졸업후 취직이 쉽지 않음. 진출분야는 엄청 많음. 사료 비료 농약 농기계 식품 유통 공무원 등등

    • @San-gr3vl
      @San-gr3vl 4 роки тому +2

      수의대는 전망좋지않나요?

    • @조기원-e9t
      @조기원-e9t 3 роки тому +4

      수의학과는 왜 애매하지 ㅋㅋ 의치한약수 모르시나 수의대는 지금도 취업도 잘돼고 전망도 좋음

  • @AsdFg-g5p
    @AsdFg-g5p 5 років тому +7

    수학과는 컴공을 복전했을때 전망 좋음 인공지능 때문에 근데 컴공 복전안하고 그냥 수학과만 나와서는 어디가는지 잘 모르겠다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보통 그러면 학자의 길을 걷는 방향으로 가기위해 대학원 진학해서 석사, 박사 이 두 과정 모두 밟을 가능성이 큽니다.

  • @dongwookkim2712
    @dongwookkim2712 4 роки тому +7

    물리학과는 취직이 그렇게 헬인지는 잘 와닿지는 않네요. 오히려 물리학과대학원가서 응용과학을 깊게 다루기 때문에 취직도 잘 해내는 선배들을 꽤 많이 보았습니다. (다만 렙실은 선택 잘해야됩니다...! 순수 이론물리 같은건...장담 못합니다) 다만 과목 자체가 fundamental 한 걸 다루기때문에 난이도가 정말 높다는거...ㅠ 이상 현 대힉원생이었습니다 ㅠ

    • @22학번
      @22학번 3 роки тому +3

      대학원을 가야한다는 것부터 문제죠..ㅠ

  • @gpm5282
    @gpm5282 4 роки тому +5

    데드형 글을 며칠전 우연히 보고 여러편을 보게된 40대 후반 직장인 (외국계은행 기업금융파트) 입니다. 데드형은 저보다 한 10년쯤 후배인 것 같은데 많은부분 진실을 학생이나 직장초년생들에게 알려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교수님, 선생님, 저를 포함한 직장상사들은 대부분 이렇게 직설적으로 진실을 얘기해주지 않습니다. 저도 데드형이 다른 편에서 언급한 여러 대기업 및 공기업들과 같이 해외사업을 하고 있는데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이 있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SKY대학에서 생명과학쪽을 전공 후 관련 대기업에서 일하다가 미국에서 경영대학원을 나온 후 국내외 금융회사에서 20년간 일해오고 있습니다. 제 대학동기들을 보면 국내나 해외에서 교수가 되었거나 관련대기업 (식품 및 제약) 근무, 아니면 저처럼 아예 전공 바꿔서 자기분야에서 사회생활 잘 하고 있습니다. 물론 잘 안풀린 친구들도 있습니다만... 줄여서 말하면 저와 제 친구들을 보면 생명과학을 전공한다고 길이 없는건 아니지만 공대생들 보다는 어려운 길을 가야합니다. 우리나라는 경제 및 인구규모가 작아서 당장 돈이 안되는 전공분야는 사회에서 지금처럼 많은 인원이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각자 사회에서 많이 필요로 하는 분야로 전과하거나 그 전공에서 가능한 실용적인 부분을 찾아서 본인만의 커리어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들 화이팅 하세요 !! 응원합니다. 마지막으로 과거를 돌이켜보면 많이 고민했던 친구들이 자기자리를 더 잘 찾은 것 같습니다.

  • @최동인-y7l
    @최동인-y7l 4 роки тому +2

    산업적인 측면에서 전화기가 취업 잘되긴한데 순수과학 등한시하는 분위기면 일본수출규제처럼 근간이 되는 산업이 약해지고 또 국가 경쟁력이 낮아지는거 생각하면 딜레마긴 하네요

  • @bsy0519
    @bsy0519 4 роки тому +9

    내가 생물학과 오기전에 이 영상을 봤어야 했는데...

    • @cmu577
      @cmu577 4 роки тому +1

      혹시 후회하시나요 ㅠㅠ

    • @Merovingian2003
      @Merovingian2003 3 роки тому

      이 친구 이거..

    • @vm2269
      @vm2269 3 роки тому

      생물학과 어떤가요

    • @생물학도영Yoon
      @생물학도영Yoon 3 роки тому

      전 생물학과지만 물리학과 복수전공해요..런합니다

  • @사큘젠
    @사큘젠 5 років тому +3

    수학은 컴퓨터 쪽하고 연관 많아요.
    애초에 컴퓨터가 이산 수학으로 이루어져 있구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경우는 수학 못하면
    입구컷당합니다.(그래서 사물인터넷으로 빠르게 진로선회했어요.ㅋㅋ)
    (초창기 컴퓨터 천재의 대다수가 수학자, 물리학자 출신이에요.)

  • @안녕-d6e7m
    @안녕-d6e7m 5 років тому +5

    데드형 생명과학과 가지말라는건 생명공학과도 포함이지? 생물좋아하면 sky 생물관련학과보다 차라리 전문성있는 수의학과가는게 행복하고 취업도 보장되고?
    글구 화공과 전기전자 둘다 끌리면 무조건 전기전자가는게 좋아? 화공과가 하락세라곤하는데 잘 모르겠어서ㅜ

    • @안녕-d6e7m
      @안녕-d6e7m 5 років тому

      공대는 지방쪽 많이간다는데 7:38 전화기는 그나마 선택가능해? ㅜ 화공은 여수쪽 3교대 몇년갔다가 짬차면 다시 원하는 지역,자리로 올라올수있는거?여자들도 화공과 많이가는데 남자들이랑 똑같이 여수로 내려가나? 화장품회사 노리는 여자애들도 많던데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9

    여러분, 공대 가려면 기본적으로 물리2 공부하고 가세요.
    경우에 따라서는 화학2 까지도요.
    전자공학과, 기계공학과만 해도 기본적으로 물리2에서 조금 더 심화된 일반물리같은것을 기반으로 더 넓게 배우는 형태이기 때문에 물리2 안 공부하고 가면 따라가기 급급하다가 그렇게 대학 생활 끝날 확률이 매우 높아요.
    화학공학과는 물리2하고 화학2 둘다 미리 선행하고 가는 것은 상식이고요.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1

    TMI로 말하는데, 참고로 난 개인적으로 지질학을 전공할생각임.
    그런데 이게 또 융합적 성격이 강하게 있어서 물리, 화학, 생물(생명과학)을 다 배우는 경우도 있다고 들음.
    그래서 난 작년 수능 치고나서 올해 초부터 지구과학2를 뺀 나머지 과탐 2과목 하고 물리1하고 지구과학1을 뺀 나머지 과탐1 과목들을 공부하고 있는 중이고, 공부한 것이 완전히 이해되었다 싶으면 작년 수능에서 나왔던 지구과학2를 제외한 나머지 과탐2과목하고 물리1, 지구과학1을 제외한 나머지 과탐1과목을 시험쳐서 3등급 이상 받는것이 1차 목표임.
    그리고 그것이 된다면 고등학교 고급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그러니까 과학고등학교나 과학영재학교 등에서 배우는 수준의 과학까지 마스터 하는것이 2차 목표고.

  • @박찬영-l1s
    @박찬영-l1s 5 років тому +16

    형 화학과, 화공과생들 또는 준비중인 수험생들을 위해 약대에 대해서 다뤄줄 수 있어?? peet얘기가 많아서 찾아보니까 02년생은 기회가 거의 없는것 같은데..

    • @jusus0314
      @jusus0314 4 роки тому +2

      ^^ㅣ발 peet 끝물이라 재수생인데 공부에 손에 안잡히네요;; 약대갈라면 peet 마지막 시험 원패스하던가 삼수해서 약대1학년으로 입학하던가;;; 삼수는 오반데 약대를 포기해야할지도 진지하게 고민중이네요 ㅜㅜㅜㅜㅜ

    • @이한희-j2f
      @이한희-j2f 4 роки тому

      ㅇㄷ

    • @qooqoo_z
      @qooqoo_z 4 роки тому

      ㅇㄷ

  • @parktaegyun
    @parktaegyun 4 роки тому +1

    현실적이긴 한데...그 범위가 한국내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군요. 한국을 벗어나면 학비가 비싸서, 혹은 생활비가 비싸서 못간다고 생각하나 봐요? 그게 아닌데....주제가 너무 좁은데 일반적이지 않은데...아쉬운데요.

  • @xxx-hp7sb
    @xxx-hp7sb 5 років тому +4

    생물학과에서 전자공학으로 전과함. 우리나라 기초과학은 노답임. 사람 수 적은곳에서 미친듯이 경쟁해서 단 상위 몇사람중에서도 운좋은사람만 살아남을수있음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오xx 님 혹시 대학교 학부 과정에서 전과한것인가요??

    • @xxx-hp7sb
      @xxx-hp7sb 5 років тому +1

      @@jandrozhov3245 네

  • @chriskim8557
    @chriskim8557 5 років тому +8

    진짜 탈 생명공학 하길 잘했네요 입학 할 때는 막연하게 나는 생명과학이 좋아 난 이걸로 성공해야지 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입학하고서 전역후 복학전에 이것저것 자료조사와 곰곰히 생각해보니 학부만 졸업하는건 뭘 할 수 있는거 없더라구요 그래서 공대로 편입 했습니다

    • @user-qp7zm4oe9s
      @user-qp7zm4oe9s 5 років тому

      생명과학과는 제약회사나 뭐 이런 관련 회사로 가기 힘드나요?ㅠㅠ

    • @chriskim8557
      @chriskim8557 5 років тому +2

      @@user-qp7zm4oe9s 님이 한번 생각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생명과학공학이 화공과에 비해 내가 화공과보다 어떠한 점이 낫다 말할 수 있는게 없어요 학부 수준에서는
      회사 입장에서도 여러가지 파트 보낼 수 있는 화공과 애 뽑지 생공과는 연구직에도 학부 수준에서 뭐 제대로 배우는 것도 없고 영업직이나 뛸텐데 뭘 뽑더라도 비슷하거나 화공과생보다 비전있어보이지 않으면 뽑을 이유가 없긴해요 저 편입전 학교도 16년도 졸업생중에 졸업하자마자 바로 취직 한 사람이 70명 중에서 20명도 안 됬으니까요...
      판단은 알아서 하시길 바랄게요...

    • @chriskim8557
      @chriskim8557 5 років тому +1

      @@user-qp7zm4oe9s 실제로 전과도 허용범위를 안에 들면 무조건 전과해요 ㅠㅠ 15년도에 입학할때 72명 이었는데 2학년 시작하니까 61명 전역하고서 자퇴서 뽑을 때 보니까 2019년 초에 15학번 52명 있었네요... 진짜암울합니다

    • @user-qp7zm4oe9s
      @user-qp7zm4oe9s 5 років тому

      @@chriskim8557 그렇군요..... 아직 고등학교가 제가 보는 시야의 전부라 그런 것까진 생각하진 못했는데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생각을 해 보니 밥줄을 걸고 불확실한 미래에 투자 할 만큼 생명과학에 미친것도 아니고...그렇다고 비젼과 생명과학과 관련된 사업 아이템도 없으니.... 안가는게 답일 수 있겠군요...

    • @user-qp7zm4oe9s
      @user-qp7zm4oe9s 5 років тому

      @@chriskim8557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 근데 눈물이 나네요.....

  • @돌멩이-y1j
    @돌멩이-y1j 5 років тому +3

    형! 요즘 내가 주식에 관심이 생겨서 그런데 주식 이야기도 조금씩 해줄수 있을까??
    형이 마지막으로 주식얘기 한 영상이 마침 딱 1년 됐거덩! 이 말 하고싶어서 멤버쉽 가입도했어ㅎㅎㅎㅎ

    • @데드형
      @데드형  5 років тому +1

      앗 주식이야기도 한번 할게ㅎㅎ

    • @돌멩이-y1j
      @돌멩이-y1j 5 років тому

      @@데드형 답변 고마워!

  • @올햇님
    @올햇님 5 років тому +119

    형 경영학과 경제학과도 다뤄줄수있어??

    • @전사-r9b
      @전사-r9b 5 років тому +24

      데드형 이과라서 문과는 못(안)다뤄요 문과채널 가보시길 바래요,,,

    • @오랑우탄단지
      @오랑우탄단지 5 років тому +1

      @일상빡빡한주광이의 의찬님이 맞는말임 저번에 한번 말하심

    • @댕댕이주식회사
      @댕댕이주식회사 5 років тому

      @@김기현-e4e7t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ㄴㅋㅋㅋ

    • @Hyeongbeen
      @Hyeongbeen 5 років тому +6

      일상빡빡한주광이의 하..문돌이가 또

    • @Tosick78
      @Tosick78 5 років тому +6

      그려 자신이 학점 4.0이상 아니다 =
      공무원 준비혀 ..

  • @user-mt5rx6vp4n
    @user-mt5rx6vp4n 5 років тому +8

    0:59 경제도 잘하고, 문화도 잘하고, 영화도 잘하고, 한국 사람들이 외국 나가 보니깐 못 하는 게 없는데, 전화기도 잘 만들고, 차도 잘 만들고, 배도 잘 만들고 못 하는 게 없는데! 왜, 작전통제권만 왜 못 한다는 얘깁니까?

    • @곰돌이-n5t
      @곰돌이-n5t 5 років тому +5

      아씨 나도 뭔가 낯익은 라임이다 했다 ㅋㄱㅋ

    • @백종민-x2f
      @백종민-x2f 5 років тому

      아ㅅㅂㅋㅋㅋㅋㅋㅋㅋ

  • @hrkim4105
    @hrkim4105 2 роки тому +7

    생명과학과 학사 기준 취업 분야를 설명하시는데 데드형 시야가 좁아 아쉽습니다.
    취업은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비지니스 조직에서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인데
    석사 이상의 연구분야는 일부분이며 기업에서 생명과학 학도들이 역할을 해야하는 포지션이 다양하게 많이 존재합니다.
    특히, 노년화가 가속되는 우리나라에서 생명과 관련된 기업도 많고, 분야도 다양합니다.
    제약, 의료관련 디바이스, 의료장비, 진단, 시약 등등 고부가가치의 다양한 산업이 전세계적으로 이미 활성화 되어 있어요.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웰빙이 목적이 되는 삶에서 의료서비스와 솔루션은 필수 입니다.
    의사 약사에게 의료 솔루션이 제공되어야 그들이 역할을 할 수 있듯이 고부가가치의 비지니스 모멘텀이 매우 큰 마켓입니다.
    예로, 코로나 시대에서 조용히 막대한 이익을 내는 분야는 어디일까요? 제약회사 뿐일까요?
    많은 의료 생명 관련 국내, 외국회사들이 생명과학 전공의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 전문분야로 일반인들에게 노출이 안되어 있을수 있어요.
    생명과 관련된 제품과 솔루션에 대한 이해도가 높기 때문에 생명과학과 선호하고, 관련 계통에서 경험을 쌓게되면 비지니스 전문가로 인정 받게됩니다.
    당연히 높은 연봉과 근무여건이 좋겠죠?
    이쪽 계통에서 오랜기간 근무하고 있는 비지니스맨으로서 드리는 의견이며 취업은 개인 역량과 포부에 따라 성공여부가 달려 있는 것이지
    취업할곳은 무궁무진합니다. 미래가 있는 학과라고 추천합니다.

  • @widsdke6966
    @widsdke6966 5 років тому +2

    근데 공대든 자연대든 생명이나 바이오 들어가기 시작하면 꼬이는것같음
    진로 생명공학자 적었는데 이제 고3되서 엄청 후회하는중
    서울대 생공과 형이 서울대를 나와도 미래가 불확실할수도 있다고 할지는 몰랐지 ㅋㅋㅋㅋㅋㅋㅋㅋ;;;

  • @msk1949
    @msk1949 5 років тому +12

    탑티어 공대vs탑티어 자연대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물론 전 그럴 레벨이 아니지만요 ㅜ

    • @성이름-t6n2s
      @성이름-t6n2s 3 роки тому +1

      당연히 공대지.. 공대 한티어 낮추면 좀 비교해볼만할듯

  • @lolmath3690
    @lolmath3690 5 років тому +4

    포항공대라 내가 원하는 전공 맘대로 선택할 수 있어서 너무 좋다

  • @민하-b1e
    @민하-b1e 5 років тому +3

    영상이 좀 편향된 것 같긴 한데...
    결론음 자연대든 공대든 무슨 과를 나와도 '잘'만 하면 앞으로 잘 먹고 잘 사는듯
    글고 요즘은 공대도 대학원 안가면 힘들지 않나

    • @데드형
      @데드형  5 років тому

      흠 편향된다라🤔🤔🤔

  • @다크베이크
    @다크베이크 Рік тому +3

    여기서도 말하지만 취업생각하면 자연과학중에서는 무조건 화학과 가라 . 화학과는 여자들은 외려 공대보다 취업 잘된다. 그런데 수학하기 싫어서 공대 안가고 나처럼 화학과 가면 망한다 ㅠㅠ. 물리화학 이라는
    생각도 못한 복병이 미적분 천국으로 이끈다

  • @쁀-g4y
    @쁀-g4y 5 років тому +87

    농대 한번만 해주세요 ㅠㅠ

    • @insfiritsb
      @insfiritsb 5 років тому +1

      저도 농대 듣고싶어요 ㅠㅠ

    • @ligo1178
      @ligo1178 5 років тому +1

      제발 해주세요ㅜㅜ

    • @kkkkk8039
      @kkkkk8039 4 роки тому +6

      김우영 농대=생명과학임

    • @아아-i7w6l
      @아아-i7w6l 4 роки тому +17

      원예학과 출신입니다. 식물계열 진짜 비추합니다. 석사 이상해야 종묘회사나 농약회사 연구쪽으로 서류 넣을수 있습니다. 학사는 뭐 영업직아니면 별거 없구요. 농대 사람들이 대기업이라 생각하는 농협도 결국 필기싸움이고 일하는데 영농지도직 농약 판매직 아니면 일반직은 아무과나 다 넣을수 있습니다. 그냥 인적성싸움. 제 주위에 다들 공무원 준비합니다. 9급농업직 아님 농촌지도사 준비하구요. 그나마 농대중에서 추천하면 저는 축산쪽 추천합니다. 축산쪽이 그나마 취직할곳이 다른과에 비해 많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공기업이나 기타 공공기관 보면 국제식물검역인증원, 축산물품질관리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등 몇개 더 있는데 지금 막 기억이안나네요. 그냥 농대쪽도 결국은 좀 남들이 알아주는 일 하려면 석사가 최소입니다......

    • @San-gr3vl
      @San-gr3vl 4 роки тому

      영화 마션 주인공이
      기계공학자 겸 식물학자던데

  • @최순조-ad
    @최순조-ad 5 років тому +6

    형근데 전화기 맞지? 작년재작년 취업률 취업변화율 보니까 전화컴 ...... 기 인거같던데.... 기계공은 웁니다 ㅠ

    • @박동혁-j6y
      @박동혁-j6y 5 років тому

      전기컴으로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 @죽쨍챡쨩
      @죽쨍챡쨩 5 років тому +1

      이은후 그나마 자동차때문에 먹고살았는데 내연기관에서 전기자동차로 넘어가고있고 중공업 조선 죄다 불경기라 기계가진짜 ㅠㅠ

    • @최순조-ad
      @최순조-ad 5 років тому

      기계공전망 분야 이런거 한번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 @inbdo6088
      @inbdo6088 5 років тому

      ㅇㅈ

    • @Jin08952
      @Jin08952 4 роки тому

      화공 재학생인데 컴공기계전기화공 순인 것 같더라 요즘은 ㅜ 전화기에서 화학이 좀 밀렸어요..

  • @WdkNcPEew9TLkjwRnEm
    @WdkNcPEew9TLkjwRnEm 5 років тому +1

    심리학과도 어디나 갈 수 있지만 너무 광범위해서 어디도 못갈 수 있는 상황이 오지요. 실제 졸업자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많이들 석박교수를 하거나 MBA랑 결합하거나...

  • @댕-aksd
    @댕-aksd 4 роки тому +13

    화학과 요즘 취업 어떤가요..ㅠㅠㅠㅜ 주위에서 화학과 간다하면 다 말려서..ㅠㅠ

    • @user-cu4kf5jo3z
      @user-cu4kf5jo3z 4 роки тому +1

      산업공학과 같은 쩌리 공대보단 나아요. 화공에 빌붙을수있어서

    • @서고동저
      @서고동저 4 роки тому

      @@user-cu4kf5jo3z산업공학과가 토목과인가요?

    • @user-cu4kf5jo3z
      @user-cu4kf5jo3z 4 роки тому +1

      @@서고동저 노노전혀달라여

    • @aaaa-ck7rw
      @aaaa-ck7rw 4 роки тому +11

      자연과학대중엔 화학과가 취업이나 인식면에서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 @lolmath3690
      @lolmath3690 4 роки тому +3

      화학과가 문제가 아니고 그건 대학이 문제인것 같음. 서카포 화학과는 좋음

  • @곽승수-q2h
    @곽승수-q2h 5 років тому +2

    데드형 생명공학과도 다뤄줘 고등학교때 이 과만 보고 살았고 대학도 생명공학부 붙었단말야... 사랑해

    • @zoop1640
      @zoop1640 5 років тому +2

      승수과 생명공학과 학생이에요. 돌아가세요. 진짜 데드형이 말한 생명과학이랑 똑같습니다.

    • @곽승수-q2h
      @곽승수-q2h 5 років тому +1

      @@zoop1640 고려대학교 붙었고 대학원도 희망하는데 이 길도 힘드나여...?

    • @zoop1640
      @zoop1640 5 років тому +2

      생명 대학원.. 생각과는 조금 다를수 있다는것 감안하시면 가는것도 나쁘진 않아요. 생명계열 들어온 사람들 모두 첨엔 생물을 좋아해서온 사람 많습니다. 취업 목표하시면 석사 필수고요 그마저도 별로일수있습니다. 물론 학사 취업이 간간히 있긴 합니다만, 알앤디는 힘들기도 해요. y대인데 이게 현실이에요. 탈출하려는 사람 많아요(저포함)

    • @곽승수-q2h
      @곽승수-q2h 5 років тому

      @@zoop1640 아..넵 참고하겠습니당.. 감사해요ㅠㅜ

    • @루하-u4x
      @루하-u4x 4 роки тому

      같은 K대 생명 노땅인데 학사취업도 아예 불가능은 아니고, 셀트나 제약사 영업등등 가고
      석사는 그래도 취업은 하는듯.
      5년전에는 삼바셀트조차 없었음
      근데 취업하려고 생과오는건 비추.

  • @austinjeong614
    @austinjeong614 5 років тому +16

    자과대 나와서
    몇 년간 *공무원* 준비하다
    30살된 여자있다.
    이젠 *공기업* 준비한다더라.

  • @martinkim5411
    @martinkim5411 4 роки тому

    개인적인 의견으로 그냥 전화기 가세요. 직장생활 20년차입니다만 학교 후져도 결국 어지간히 먹고 사는거 걱정없습니다. 요즘 코로나가 시끄럽기는 하지만 본인이 노력한다면, 경력 쌓아서 선진국으로 해외진출하면 연봉 2억도 어렵지 않게 넘길 수 있고, 나이 들면서 또는 경기가 안좋을 경우 다른 전공자들 다 레이오프되어도 전화기 관련 엔지니어들은 잘 안 건드리고 (갈 데도 많지만) 근무연령 제한 없는 국가들이라면 거의 할배 될때까지 만수무강 직장생활 가능합니다. 제 주변에도 초딩 손자랑 찍은 사진 보여주던 한 엔지니어가 떠오르네요.

  • @EISTP-A
    @EISTP-A 4 роки тому +2

    ㅠ미생물학과나 생명과학과 가고싶은데 집안에 돈이 읍서서 뭘 해야항지 모르겠다... 19년동안 과학만 바라보면서 살았는데..ㅠㅜ 환경쪽도 하고싶은데 슬프다 증말 돈 벌고싶고 왜 과학을 좋아하게 된거지 걍 문과생이면 더 편안했을 듯

    • @킄크크크크킄
      @킄크크크크킄 4 роки тому

      허울 좋은 소리 하시네 -지나가던 문과생

  • @remi295
    @remi295 5 років тому +7

    5252 오빠 믿고있었다구 지엔장 (덜렁)

  • @il4033
    @il4033 2 роки тому +2

    이과(지구과학 계열, 생활과학) vs 문과 (상경,법)
    중에 어디가 더 나을까요? 전 문과성향인데 문과가 너무 소문이 안좋기도하고 공대는 도저히 못갈거 같아서 그나마 갈수 있을만한 계열이 자대라고 생각해서..

  • @악습
    @악습 5 років тому +3

    형 항상 잘보고있어

  • @user-ne5hy1jm8o
    @user-ne5hy1jm8o 5 років тому +3

    형 영어영문학과 같은 어문계열도 다뤄주라! 영문과에 관심이 있는데 취업이 헬이라고 해서 못정하겠어

    • @태훈임-d4d
      @태훈임-d4d 5 років тому +2

      걍 가지마 그게 답이야 영문은특히

  • @어으-c1f
    @어으-c1f 5 років тому +8

    솔직히 전화기컴이 취직이 수월한거지. 열심히 하면 자연과학대학이라도 문제 없다 봅니다.
    문과 애매한과들이 문제지....
    문과있다가 수능 새로쳐서 이과로 갈아탔는데 ㄹㅇ.... 그대로 남았으면 끔찍하다

  • @huitu9931
    @huitu9931 5 років тому

    형...나 작년까지 이과였는데 수학이 안맞아서 손절했거든? 내 길이 아닌거같아. 물2까지 해봤는데 토나오더라. 이번에 한양대 상경계열 붙었는데...데드형 영상만 보면 그냥 상경은 나가뒤져야 할 거같아..그래도 같은 한양대로서 취업 잘된다고 해줘ㅠㅠ

  • @Handmade-n7t
    @Handmade-n7t 5 років тому +8

    형 조금만 빨리 영상내주지,,, 정시 원서쓴지 얼마 안됐는데 나 물리학과 썼단 말이야 ㅠㅠㅠㅠㅠ

    • @aabbcc8695
      @aabbcc8695 5 років тому +4

      포기하지마라 1학년때 남들보다 쫌 덜놀고 공부해서 전과해라 전과 생각보다 쉽다

    • @야옹멍뭉
      @야옹멍뭉 4 роки тому +1

      ㅜㅜ 물리학 계속 해요 ㅜㅜ

    • @죽쨍챡쨩
      @죽쨍챡쨩 4 роки тому +1

      가서 기계나 전기전자 복전하셈 시너지 괜츈함

  • @하늘천사-s2i
    @하늘천사-s2i Місяць тому

    그니까,탑!티어(특서연고) 자연과학(특물리!)는 반도체등 취업!잘돼고 진로다양하다는거임.

  • @hnai1479
    @hnai1479 5 років тому +1

    SKY물리학과 아님 서성한부턴 기계ㆍ전자기 가란 얘기네요.
    화학과는 중경외시까진 되려나?
    생명과학과 석박까지해도 취업 힘드니 가지말고 지구과학은 수요대비 공급 맞으니..자원관련공사까지 가려면 가고..전국 돌 생각하고..
    그래도 전화기 가면 수도권ㆍ전국 선택할 수라도 있다는 얘기군

  • @김선학-g8o
    @김선학-g8o 3 роки тому +3

    1980년대에,
    과학을 즐기고
    과학에 대한 고마움을 아는,
    순수과학자였던 사람들 중에는
    하루 세끼 밥만 먹을 수 있다면
    평생을 학문에만 파묻혀 살고 싶다고 했었던
    순수한 대학생들이 꽤 있었지.
    마치,
    평생을 동정으로 살았던 뉴턴처럼.

  • @wellbeing234
    @wellbeing234 Рік тому

    왜 내가 대학교 갈 땐 이런 유튜버를 접하지 못했을까😂

  • @gxhcubgxtog
    @gxhcubgxtog 3 роки тому +6

    슬프네요... 기계공학과 재학생인데 물리 너무 좋아서 물리학과 가려했다가 주변 사람들의 만류로 기계공학과 갔네요.

    • @chsy-e4u
      @chsy-e4u 3 роки тому

      물리학과 복전생각하셨나요?

    • @gxhcubgxtog
      @gxhcubgxtog 3 роки тому

      @@chsy-e4u 네 근데;; 알고 보니 수학이 더 맞네요. 여유 있으면 졸업하고 수학과 편입해볼까 생각중이에요

  • @gerrypark5519
    @gerrypark5519 5 років тому +10

    정확한 지적 진짜 생명공학 생물 이런건 걸러라! 요즘 미국에 최고수준의 대학은 수학이 잘나감 원래는 경제학 정치학 역사학 전공이 제일 많았는데 요즘 수학과가 따라오고있음.

  • @keyboarder-shh
    @keyboarder-shh 4 роки тому +2

    형 근데 "정출연이라도" 라는 부분이 맞는거에요? 내가 아는 정출연은 교수 다음으로 엘리트들이 겨우 들어가는 곳으로 알고있는데..

  • @sinsangdo87
    @sinsangdo87 3 роки тому +2

    자연과학 제일 좋은 아웃풋은 수능 1타 강사들이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그러니까-b9j
    @그러니까-b9j 2 роки тому

    본인이 아무 꿈도 없고 장래에 하고 싶은 것도 없고 그냥 취업이나 잘해서 돈이나 많이 벌고 싶으면 공대가라. 근데 그게 아니라 본인이 돈은 좀 못벌더라도 이 분야 공부, 연구하고 살면 행복할 수 있겠다싶으면 그 과를 가라.

    • @아르타니스-e5x
      @아르타니스-e5x 2 роки тому

      나는 후자로 갔어야 했어..

    • @Report-02
      @Report-02 2 роки тому

      돈 벌고 싶으면 경영, 경제학과 가서 금융권 투자은행, 사모펀드 등에 취업해야 함.

  • @mint_vlog
    @mint_vlog 5 років тому +13

    공기업 가려고 준비중인 자연대생인데... 공대 가야하나.... 취업은 공대랑 별 차이 없긴 한데... 고민이네...

  • @현현-x5x
    @현현-x5x 5 років тому +2

    데드형 신소재 공학과 한 번 다뤄주시면 안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