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데이짱 김영옥 밀착 단기매매 트레이딩 10주완성반 선착순 모집안내 (주 4회 장 마감 라이브 / 매매 수익타점 복기) 자세히 보기&신청하기: ▪us-campus.co.kr/products/academy176_815 많은 815 구독자분들께서 기다려 주신, 데이짱 김영옥 저자의 전업투자 20년의 단기매매 정수만을 담은 [밀착 단기매매 트레이딩 10주 완성반]수업이 드디어 신설되었습니다. 해당 수업은 데이짱 김영옥님과 함께 10주간 / 매주 4회 장 시간 마감 후 매매 수익타점 복기를 하는 밀착수업입니다. 수업을 통해 데이짱의 핵심 단기매매 기법을 적용하며 본인의 상황에 맞는 기법을 터득할 수 있고 승리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데이짱의 단기매매 기법은 개인들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초보자도 가능합니다. -------------------------------------- 안유화 독서모임 13기 주제는 : 메타버스 경제 - 메타버스의 시대는 오는가? 메타버스는 '그렇게' 해서는 오지 않는다! 수강은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진행, ZOOM으로 진행되기때문에 해외와 국내 모두 가능합니다. 13기 독서모임 소개 : anbookstudy.creatorlink.net 강연 일시 : 오후 6시-8시 1회차 2024년 1월 27일(토) 2회차 2024년 2월 24일(토) 3회차 2024년 3월 30일(토) -------------------------------------------- 하나증권 계좌확인 이벤트 신청 : m.hanaw.com:444/corebbs5/eventMTS/view/view.cmd?bbsSeq=515 하나증권 모바일 바로 가입하기 : m.hanaw.com:444/main/customer/openAccount/CS_230100_P1.cmd?cowod=__E0301 (광고) [하나증권X815머니톡] 비대면 신규손님 혜택 이벤트 -기간:2023.10.13~2024.1.12 -대상:815머니톡 유튜브 시청자 중 하나증권 비대면 계좌를 처음 개설한 손님 -혜택:국내주식 매수쿠폰 3만원(전원 증정), 815머니쇼 초청권(총 3회차/차수별 500명 추첨 증정), 애플 소수점주식 1천원상당(전원 증정) -문의:하나증권 1588-3111 ▶ 이벤트 내용 자세히보기 : www.hanaw.com/corebbs5/eventIng/view/view.cmd?bbsSeq=495 [투자자 유의사항] ·투자 전 설명청취 및 상품설명서·약관 필독 ·예금자보호법상 보호상품 아님 ·자산가격,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른 원금손실(0~100%)발생가능 및 투자자 귀속 ·비대면 계좌의 신용공여 이자율은 영업점 계좌보다 0.1%p 높게 적용 됨 ·국내주식 온라인 매매수수료는 0.0141639%, 해외주식 온라인 매매수수료는 국가별 상이(미국 0.25%, 중국 0.3%), 홈페이지 참고 ·미국주식 매매시 주당 0.003USD, 매도시 0.0008%, 중국주식 매매 시 0.00841%, 매도 시 0.05841% 제비용 부과하며 기타 국가 해외주식 거래제비용은 홈페이지 참고 ·모든 종목에 대하여 소수점거래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증권사 소수점거래가 가능한 종목확인필요 ·증권사는 여러투자자의 소수단위매매주문을 취합하여 집행함에 따라 투자자의 매매주문과 체결시점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매매가격 또는 실제 배당받는 주식 수량이 변동될 수 있음 ·소수점주식은 타 증권사로 대체 불가능(소수점 주식보유분에 대해서도 1주 단위 계좌 대체는 가능) 한국금융투자협회 심사필 제23-03715(2023.10.13~2023.12.15), 하나증권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3-226호(2023.12.16~2024.01.12)
공자학원 원장 안유화 말로는, "싼 쏘련 천연가스 들여다가, 그걸로 물건 만들어 수출하는, 중국 종속 경제 체제였던 독일이, 작년부터 경제 좋망했듯이, 한국도 중국 싼 물건 마니마니 수입해서, 습근평이 물건 재고 해소 해주고, 덤으로 중국 종속 경제가 되면, 한국도 제2의 독일 경제가 될 수 있다... ㅋㅋ 중국 간첩단 처단이 시급함 ㅉ
답답한 사람아...공산당이 문제인 것이 아니라 당신의 그것에 대한 인식이 없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신뢰를 잃어 다면 세계 G2로 발전할수 있을 까요? 한국에서도 각 분야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그 회사나 약관에 동의하여야 하는 것처럼 중국에서도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에 동의 하여야 만 그런 서비스를 이용할수 있는 것입니다. ...중국만 그러는 것 아니 입니다. 마치 한국은 아무나 마음대로 이용가능한가 착가 하나 보다.
실제와 다른 말을 하시네요. 중국이 베트남에 투자하는 이유는 기존에 중국에 투자한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의 정치 리스크와 인건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탈중국화를 진행하여 생겨난 결과입니다. 실제로 유명한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 OEM업체에게 베트남이나 인도 생산라인을 신규로 구축하여 원가 하향을 요구하고 있고, 거기 맞게 제조 생산이 주요 산업을 이루는 중국 기업들이 해당지역에 투자가 늘어나누겁니다. 실제로 글로벌 기업분위기는 중국내 투자는 절대 불가라는 스텐스가 팽배합니다. 결코 중국이 가격경쟁력이 있고 기술력이 좋아서만이 아닙니다. 해당 낙후지역에 투자가능한 자본력과 그 지역을 관리할 인력이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제조는 중국이 해오던거라 잘하니까요.
안교수께 한마디만 묻습니다. 중국이 과연 세계 여타 국가와 동반 협력해 나갈 생각이나 의지가 있습니까? 이웃을 인정하며 과거의 가치관을 버리고 현재의 자국 위상을 받아 들일 자세가 있습니까? 미국이 답이라고는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만 차악이라고 해두지요. 어차피 국제 정치에 있어서 어느 나라든 자국 이익이 우선 입니다. 안교수가 주장하는 중국의 장점은 단지 능력에 맞지 않게 그리고 조만간 그 이점도 사라질 과도한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 외에는 없다고 봅니다. 머리좋고 뛰어난 대학 졸업생들이 양산되어야 무엇합니까? 주저앉고 있는 중국 경제가 과연 그 인원들을 받아들일수 있을까요? 자국내 여러 소수민족도 제대로 통제를 못해 지독한 압제로 억누르면서 과연 그 체제가 얼마나 유지된다고 보십니까? 유감스럽게도 조선족들은 만주족과 함께 한족에 철저히 동화되고 있다고 봅니다. 중국이 수치적인 면에서는 크다할 수 있으나 그 포용력은 아주 미약하고 협량하다고 봅니다.
@@孙顾岩중국인처럼 어느나라를 부모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미국은 부모가 아니고요. 북한과 휴전협상 당시자가 우리가 아닌 미국인 이상 현실적인 선택이 있을뿐이죠. 남의 나라 현실 역사도 모르면서 엄한 댓 다는건 참 예의가 없네요. 뭐 예의도 민폐라는 개념 없는 나라 국민이시니...
9:40 일부는 맞는말이 있지만 본질을 가리려고 하네. 시장경제로 경쟁하면 중꿔에 안되니까 중꿔를 막는다? 그건 중꿔가 기술탈취나 국가보조금으로 중꿔 기업을 무한지원하고 외쿡기업은 보조금에서 배척하는 행위를 안 했을때 할 수 있는 얘기 아닐까??? 자유롭게 하는 시장경제 논리로 한다면 왜 중꿔는 구글같은 외쿡기업의 중꿔시장 진입을 막고 금융시장도 꽁꽁 싸매고 있을까?? 저 사람의 말은 잘 걸러서 들어야 함.
안유화 교수님, 항상 시장원리는 그때그때 달랐습니다. 현재의 상황에서 뻔한 것만 가지고 따지기 뭐한 것이 현재의 선진국들은 중국이 크길 바라지 않습니다. 작은 나라가 성장하면(예로 한국, 대만, 싱가폴 등)... 위협이 안되기 때문에 안심하고 써먹을 수 있지만, 중국은 안유화 교수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시장도 크고 땅도 크고 야망도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만들어진 룰 안에서는 위협적이기 때문에 안되는 것입니다. 역사 공부를 조금만 해도 왜 ㅎㅎㅎ 그런지 아실겁니다... 다만 중국은 현재의 룰 밖으로 가고 싶어하고 대만을 통일하고 남중국해를 장악하고 더 멀리 태평양까지 먹고 싶어하는거 뻔히 보입니다. 말로는 본인들 안보문제라고 하지만, 남의 안보는 우습게 여기지요. 그러기 때문에 한국이나 일본도 서로 으르렁 거리면서도 손을 잡는게 아니겠습니까..적의 적은 같은 편이라고. 현재가 안정적이라고 느끼면 그대로이길 원하지,,, 리스크가 뻔히 보이는 큰 변화를 원하는 사람도 나라도 없을 것 입니다. 그러므로 중국과 손을 잡는 나라는 변화를 원하고, 아닌 나라는 이대로가 좋은 거겠죠.
안교수님이 한 가지 간과한 것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신뢰입니다. 우리가 과연 중국 공산당을 신뢰할 수 있을까요? 지금은 중공이 다급하니 보조를 맞추는 척 할 수 있지만 다시 유리한 입장에 서 있게 되면 지금과 같은 입장을 지속할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지나온 과정으로 볼 때 어림없다는 생각입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지금과 비숫한 상황이 있었죠. 송나라가 요나라에게 밀리니 고려를 자기 편으로 잡고 있으려고 고려 상인이 송에 들어와 무역을 할때 세금을 걷지 않았다죠. 그로인해 고려 상인들이 엄청난 부를 축적했고 송나라 관리가 송황제에게 상소문까지 올렸다죠. 송이 중국이고 요가 미국이라고 가정하면 여기서 우리가 배울건 중국이 급해서 우리에게 특혜를 줄때까진 우리가 먼저 나서서 중국에 손을 내밀 필요는 없다는거. 어차피 중국과 잘지내봐야 지금으로선 우리가 얻을게 없죠. 미국과 우리는 동맹이니 지금 상황은 고려때 보다 훨씬 낫죠.
중국은 미국한테 찍혔습니다. 참..힘들겁니다. 찍히기 전에는 중국이 나름 역량이 있는줄 알았는데 찍히고 나니까 별볼일없는 존재라는게 단박에 드러났습니다. 어이가 없습니다. 뭐 있는줄 알았습니다. 쥐뿔도 없는 주제에 엇다대고 덤벼든건지...참 기가 막힙니다. 식량자급도 안되어 막대한 달러들 써가며 수입해야 해 에너지 자립도 안되어 막대한 달러를 들여 수입해야 해 식량, 에너지수입을 위한 달러를 벌어들이기 위해 수출에 목을 매야 해... 알고보니 부잣집자식이 아니고 월급쟁이였습니다. 월급쟁이는용써봐야 그냥 월급쟁이입니다. 주제파악하고 자중하며 지내는 중국, 보고 싶습니다.
중국에서 대학생들이 많이 배출됐지만 모순됩니다 . 교수님은 중국이 싼 인력과 같은 국가적 인프라를 가졌다고 햇는데... 그 싼 인프라 속으로 들어가기 싫어서 중국 대학생들이 핑탕족이 된거죠~ 인력을 많이 배출했지만 중국처럼 많은 규제로는 인재들이 제대로 꿈을 펼치기 어렵다고 보는데요...그 규제속에서 뭘 할수 있을지?? 또한 그 대학생들이 공장에 가서 일하진 않겠다고 하는게 현실이구요!! 시진핑이 너네 좀 힘들때 공장가서 일하라고 해서 그들이 애국심으로 싼 임금 받는 공장으로 향할가요? 전 아니라고 봅니다
중국이 시장 논리 말하는건 좀 웃긴다. 시장 논리라면, 구글이나 유튜브, 페이스북을 왜 중국 정부 당국에서 막아놓냐. 그리고, 중국에서 만드는게 싼 이유는 중국 정부에서 대대적인 보조금을 줘서 싸게 만들고 그걸 해외에 팔아서 딸러를 수입하는 구조인데, 이게 왜 시장 논리야? 막말로 전기차랑 배터리 만드는데 정부 보조금 다 빼고 똑같이 경쟁하면 중국차가 이렇게 싸지 않잖아. 이게 시장 논리야?
뭔 시장경제 타령인가요? 중국이 시장경제인가요? 시장경제는 똑같은 환경하에서 자유롭게 경쟁하며 더 싸고 좋은 제품으로 경쟁하는 경제체계고 ... 중국은 국가가 개입하는 개입경제체계고 뭔가 되게 착각을 하고 있어요. 미국이 서방이 한국이 .. 심지어 일본이 중국처럼 대놓고 보조금 때려 부어서 타국과 경쟁했던가요? 중국이 그 짓거리를 하니 타국에서도 손해보기 시작해서 점차 국가가 경제에 더 개입을 하게 되었는데... 애초에 중국은 시장경제가 아닙니다. 좀 착각좀 작작하시고 ... 댁이 말하듯이 그렇게 싸게 만들수 있는 원천이 국가에서 대주는 보조금 떄문이란거 다 아는 사실인데 그건 쏙 빼놓고 마치 자체 자유경쟁 속에서 순수하게 갖춘 경쟁력인척 하면 듣고 있는 사람은 역겹습니다. ...
아무리 싸도 품질이 엉망인데도 신뢰가 가나.. 교수 어떻케 저런 말 할수 있어... 부끄러움 ㅁ모르네 "죽었다 깨나도 저 가격 맞 출수 없어" 싼게 비지떡.. 아무리 싸더라도, 비위생적이고 품질 엉망인데 교수 수준에 만족하시나.... 한 두번은 싼 맛에 쓰지, 다음 부터는 조심 스러운데.... 공산품이 일회용이 아니잔아
9:0513:30 그래 맞아. 깜짝 놀랄 수밖에 없는 중국의 능력에 동시대를 사는 소비국들, 소비자는 중국에 감사하게 되더라. 배후, 상황이 어떠하고 무엇이든 말이다. 상당기간 사기로 알았던 테무, 알리 이용하고 인정했다. 그리고 그 간 중간 상인이 얼마나 폭리를 취했는지 알게 됐다.
나도 어느새 테무로 쇼핑 구경하게됨 거의 다이소 구경가는 정도임ㅋㅋ예전에는 싸기만했는데 이제는 싼데 이쁜게 많아져서 구경하는 재미가 있다. 근데 아직 위생이나 건강 관련 심지어 도시락통 같은 것도 사려다가 불쑥 불쑥 불안해서 쉽게 사지 못함. 어차피 한국에서 사는 것도 대부분 메이드 인 차이나일텐데도도ㅋㅋ믿을 만한 이미지를 더 주면 중국에 걸림돌은 없다 싶다.
@@surfingpa 쿠팡은 더 심하죠 그런거 다 포함해서요 믿을만한 유튜버들이 추천하는거 골라사도 품질은 별로잖아요 후진국에서는 좋아할지 몰라도 우리나라는 이제 비싸도 제대로 된걸 쓰는 풍토이죠 예날 일본처럼...그렇기에 제 말은 중국의 제조업 기반을 이용하면 오히려 망하는 지름길이란 뜻인데 제가 너무 함축적으로 표현한거 같군요
[중요] 데이짱 김영옥 밀착 단기매매 트레이딩 10주완성반 선착순 모집안내
(주 4회 장 마감 라이브 / 매매 수익타점 복기)
자세히 보기&신청하기: ▪us-campus.co.kr/products/academy176_815
많은 815 구독자분들께서 기다려 주신, 데이짱 김영옥 저자의 전업투자 20년의 단기매매 정수만을 담은 [밀착 단기매매 트레이딩 10주 완성반]수업이 드디어 신설되었습니다.
해당 수업은 데이짱 김영옥님과 함께 10주간 / 매주 4회 장 시간 마감 후 매매 수익타점 복기를 하는 밀착수업입니다.
수업을 통해 데이짱의 핵심 단기매매 기법을 적용하며 본인의 상황에 맞는 기법을 터득할 수 있고 승리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데이짱의 단기매매 기법은 개인들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초보자도 가능합니다.
--------------------------------------
안유화 독서모임 13기 주제는 : 메타버스 경제 - 메타버스의 시대는 오는가? 메타버스는 '그렇게' 해서는 오지 않는다!
수강은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진행, ZOOM으로 진행되기때문에 해외와 국내 모두 가능합니다.
13기 독서모임 소개 :
anbookstudy.creatorlink.net
강연 일시 : 오후 6시-8시
1회차 2024년 1월 27일(토)
2회차 2024년 2월 24일(토)
3회차 2024년 3월 30일(토)
--------------------------------------------
하나증권 계좌확인 이벤트 신청 : m.hanaw.com:444/corebbs5/eventMTS/view/view.cmd?bbsSeq=515
하나증권 모바일 바로 가입하기 : m.hanaw.com:444/main/customer/openAccount/CS_230100_P1.cmd?cowod=__E0301
(광고) [하나증권X815머니톡] 비대면 신규손님 혜택 이벤트
-기간:2023.10.13~2024.1.12
-대상:815머니톡 유튜브 시청자 중 하나증권 비대면 계좌를 처음 개설한 손님
-혜택:국내주식 매수쿠폰 3만원(전원 증정), 815머니쇼 초청권(총 3회차/차수별 500명 추첨 증정), 애플 소수점주식 1천원상당(전원 증정)
-문의:하나증권 1588-3111
▶ 이벤트 내용 자세히보기 : www.hanaw.com/corebbs5/eventIng/view/view.cmd?bbsSeq=495
[투자자 유의사항] ·투자 전 설명청취 및 상품설명서·약관 필독 ·예금자보호법상 보호상품 아님 ·자산가격,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른 원금손실(0~100%)발생가능 및 투자자 귀속 ·비대면 계좌의 신용공여 이자율은 영업점 계좌보다 0.1%p 높게 적용 됨 ·국내주식 온라인 매매수수료는 0.0141639%, 해외주식 온라인 매매수수료는 국가별 상이(미국 0.25%, 중국 0.3%), 홈페이지 참고 ·미국주식 매매시 주당 0.003USD, 매도시 0.0008%, 중국주식 매매 시 0.00841%, 매도 시 0.05841% 제비용 부과하며 기타 국가 해외주식 거래제비용은 홈페이지 참고 ·모든 종목에 대하여 소수점거래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증권사 소수점거래가 가능한 종목확인필요 ·증권사는 여러투자자의 소수단위매매주문을 취합하여 집행함에 따라 투자자의 매매주문과 체결시점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매매가격 또는 실제 배당받는 주식 수량이 변동될 수 있음 ·소수점주식은 타 증권사로 대체 불가능(소수점 주식보유분에 대해서도 1주 단위 계좌 대체는 가능) 한국금융투자협회 심사필 제23-03715(2023.10.13~2023.12.15), 하나증권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2023-226호(2023.12.16~2024.01.12)
공자학원 원장 안유화 말로는, "싼 쏘련 천연가스 들여다가, 그걸로 물건 만들어 수출하는,
중국 종속 경제 체제였던 독일이,
작년부터 경제 좋망했듯이,
한국도 중국 싼 물건 마니마니 수입해서,
습근평이 물건 재고 해소 해주고,
덤으로 중국 종속 경제가 되면,
한국도 제2의 독일 경제가 될 수 있다... ㅋㅋ
중국 간첩단 처단이 시급함 ㅉ
시장논리를 다른 나라에만 적용말고 중국의 소비와금융시장도 개방하고 말하세요! 세계사람들은 중국사람이 싫고 신뢰할 수가 없는게 아니라 중국정부 공산당이 문제라는 겁니다!
답답한 사람아...공산당이 문제인 것이 아니라 당신의 그것에 대한 인식이 없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신뢰를 잃어 다면 세계 G2로 발전할수 있을 까요? 한국에서도 각 분야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그 회사나 약관에 동의하여야 하는 것처럼 중국에서도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에 동의 하여야 만 그런 서비스를 이용할수 있는 것입니다. ...중국만 그러는 것 아니 입니다.
마치 한국은 아무나 마음대로 이용가능한가 착가 하나 보다.
공산당이 뭔데요?
그리고 주권국가들 금융 개방한 나라없음
미국도 통제존나심함
유럽도 엽한끼리 통제하는구만
@@userganada 중국은 개방문제가 아니지. 내돈 내가 빼는데 정부 허락을 받아야되는 나란데. 뭔 신뢰...그냥 내 맘대로..
공산 독재로는 거대한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없음을 보여주네요. 계속 공산 독재하시길...
아니 자기네 꼭 필요한거만 사고 나머지는 온갖걸 동원해서 그냥 시장을 막아버리는대
어느나라가 손해보면서 중국이랑 계속 거래 할려구 하겠음? 사주면 팔아줘야지. 아니 경제공부하는 사람이 그런 간단한 원리도 모름?
욕심만 많아가지고 북한이랑 행동하는게 똑같음
파리가 싹싹 빌 때
확실히 때려잡아야 한다던
모 교수님의 명언이 떠오르네요 ㅋ
한족이 다른 소수민족을 다스리는 중국 다 독립시켜야 합니다. 파리채로 계속 쳐 맞아야 합니다.
배아픈 분노는 눈을 멀게 한다고 하죠.
50%만 안다고 할수있습니다 문제는 지금입니다 지금 우리가 휘둘리는게 당신같은 사람때문입니다
실제와 다른 말을 하시네요.
중국이 베트남에 투자하는 이유는 기존에 중국에 투자한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의 정치 리스크와 인건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탈중국화를 진행하여 생겨난 결과입니다.
실제로 유명한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 OEM업체에게 베트남이나 인도 생산라인을 신규로 구축하여 원가 하향을 요구하고 있고, 거기 맞게 제조 생산이 주요 산업을 이루는 중국 기업들이 해당지역에 투자가 늘어나누겁니다.
실제로 글로벌 기업분위기는 중국내 투자는 절대 불가라는 스텐스가 팽배합니다.
결코 중국이 가격경쟁력이 있고 기술력이 좋아서만이 아닙니다. 해당 낙후지역에 투자가능한 자본력과 그 지역을 관리할 인력이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제조는 중국이 해오던거라 잘하니까요.
안교수께 한마디만 묻습니다. 중국이 과연 세계 여타 국가와 동반 협력해 나갈 생각이나 의지가 있습니까? 이웃을 인정하며 과거의 가치관을 버리고 현재의 자국 위상을 받아 들일 자세가 있습니까? 미국이 답이라고는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만 차악이라고 해두지요. 어차피 국제 정치에 있어서 어느 나라든 자국 이익이 우선 입니다. 안교수가 주장하는 중국의 장점은 단지 능력에 맞지 않게 그리고 조만간 그 이점도 사라질 과도한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 외에는 없다고 봅니다. 머리좋고 뛰어난 대학 졸업생들이 양산되어야 무엇합니까? 주저앉고 있는 중국 경제가 과연 그 인원들을 받아들일수 있을까요? 자국내 여러 소수민족도 제대로 통제를 못해 지독한 압제로 억누르면서 과연 그 체제가 얼마나 유지된다고 보십니까? 유감스럽게도 조선족들은 만주족과 함께 한족에 철저히 동화되고 있다고 봅니다. 중국이 수치적인 면에서는 크다할 수 있으나 그 포용력은 아주 미약하고 협량하다고 봅니다.
중국이 지식재산권을 안지키는것이 문제죠
어떤거요? 다지킴 중국
그래서 언론이 비아냥 징징 말고 할수있는게 1도없음
@@userganada 댓글부대 동원해서 이런식으로 우김 못믿을 나라 곧 둘로 쪼개질 나라
@@userganada 뭘 지키는데? 당장 국제법 위반이 수두룩한데 ㅋㅋ 코미디하나 😂
@@userganada 짭 애플, 짭 설빙,짭 스벅, 짭 불닭볶음면 기사 본지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았는데...
중국의 문제는 G1 추구가 아니라 옆에 나라에게 폐를 끼치는 몰염치이다
일본은 소득의 86% 지출하고 한국은 84% 지출하나 중국은 38% 지출한다.
중국은 소비가 저조하여 경기가 불황이나 저축이 늘어난다.
금융을 공부하면 놀부 근성의 중국 욕할 처지가 아니다.
중화사상으로 찌들었구만 우리나라 시장원리로 인권비 싼 인도로 가야지 왜 중국으로 기냐?
사드보복으로. 롯데가. 철수 했던것 같은데 ? 한번 속지 두번속아?
중국은 잘 만들고 싸긴 하지만 도저히 믿음이 안생겨요, 공산당 체제에서는 중국이 아무리 강하다 하더라도 가까이 하지않는것이 장기적으로 옳은 판단인것 같습니다
미국 아빠 품에서 사는 게 더 편해, 그렇지?군사주권도 없고 미국을 떠나도 아빠는 아프리카만 못해요
@@孙顾岩중국인처럼 어느나라를 부모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미국은 부모가 아니고요. 북한과 휴전협상 당시자가 우리가 아닌 미국인 이상 현실적인 선택이 있을뿐이죠. 남의 나라 현실 역사도 모르면서 엄한 댓 다는건 참 예의가 없네요. 뭐 예의도 민폐라는 개념 없는 나라 국민이시니...
무지성 미국몽지지자. 미쿡인따라 한국전쟁 열심히해라.
@@정원-r1k 역사나 지금 우리 현실은 알고 무지성이니 이런 댓 달아요. 625휴전 당사자가 누군지.
@@고냥명순 补充一句,是你们根本没有资格签字,现在明确告诉你们,朝鲜半岛都是两个国家的,还在这里叫嚣,没有美国爸爸,你们现在就是拿着朝鲜的护照
9:40 일부는 맞는말이 있지만 본질을 가리려고 하네. 시장경제로 경쟁하면 중꿔에 안되니까 중꿔를 막는다?
그건 중꿔가 기술탈취나 국가보조금으로 중꿔 기업을 무한지원하고 외쿡기업은 보조금에서 배척하는 행위를 안 했을때 할 수 있는 얘기 아닐까???
자유롭게 하는 시장경제 논리로 한다면 왜 중꿔는 구글같은 외쿡기업의 중꿔시장 진입을 막고 금융시장도 꽁꽁 싸매고 있을까??
저 사람의 말은 잘 걸러서 들어야 함.
보랄 에어프라이어 쓰다가 최근에 싼값이라 알리에서 중국산 에어프라이어 4만원대에 샀는데 이게 에어프라이어 맞나 싶을 정도로 같은 200도인데 엄청 약하구요 시간도 20분이면 고구마 구워 먹을수 있는걸 50분 걸렸어요...가격이 반값인데 그 품질도 딱 그 가격이죠~ 일상에서 느낀 바입니다
안유화 교수님, 항상 시장원리는 그때그때 달랐습니다. 현재의 상황에서 뻔한 것만 가지고 따지기 뭐한 것이 현재의 선진국들은 중국이 크길 바라지 않습니다. 작은 나라가 성장하면(예로 한국, 대만, 싱가폴 등)... 위협이 안되기 때문에 안심하고 써먹을 수 있지만, 중국은 안유화 교수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시장도 크고 땅도 크고 야망도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만들어진 룰 안에서는 위협적이기 때문에 안되는 것입니다. 역사 공부를 조금만 해도 왜 ㅎㅎㅎ 그런지 아실겁니다... 다만 중국은 현재의 룰 밖으로 가고 싶어하고 대만을 통일하고 남중국해를 장악하고 더 멀리 태평양까지 먹고 싶어하는거 뻔히 보입니다. 말로는 본인들 안보문제라고 하지만, 남의 안보는 우습게 여기지요. 그러기 때문에 한국이나 일본도 서로 으르렁 거리면서도 손을 잡는게 아니겠습니까..적의 적은 같은 편이라고. 현재가 안정적이라고 느끼면 그대로이길 원하지,,, 리스크가 뻔히 보이는 큰 변화를 원하는 사람도 나라도 없을 것 입니다. 그러므로 중국과 손을 잡는 나라는 변화를 원하고, 아닌 나라는 이대로가 좋은 거겠죠.
역사적으로 보면 패권국도 항상 변함. 영원한 패권국은 없음. 한국은 기존의 패권에 순응하는 스타일이라면 중국은 기존의 패권에 도전하는 형식이니까. 역사적을 따지면 안유화 교수님 말씀도 맞지 뭐
@@kolsos7209 전 달랐다고 얘기한거지 틀리다고 얘기하질 않았습니다. ^^ 패권국이 여러번 바뀌는 걸 모르는 사람도 있습니까. ㅎㅎ그런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안교수님이 한 가지 간과한 것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신뢰입니다. 우리가 과연 중국 공산당을 신뢰할 수 있을까요? 지금은 중공이 다급하니 보조를 맞추는 척 할 수 있지만 다시 유리한 입장에 서 있게 되면 지금과 같은 입장을 지속할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지나온 과정으로 볼 때 어림없다는 생각입니다.
미국은 신뢰할수있슴?
미국은 신뢰가 가나요?
그게 문제가 아니죠 한,중,일은 영해가 겹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끝없이 분쟁이 일어날걸요 중국이 패권국이 되면 생존을 걱정해야 하니 그렇죠
중국보다는 휠씬 합리적이죠
미국,반도체보조금준다고 했는데 아준 1푼도 안주고 있도 트럼프는 당선되면 보조금 안준다고 공약했음 ㅋㅋ 싸드때 미국이 꼬드겨서 설치했는데 보복땐 남구경 하듯 아무것도 았했죠 ㅋ 미국헹님 똥꼬 맛있게 빨아제끼세요 ~
중국에서 롯데가 악의적인 국가 주도형 린치를 당하여 철수해야만 했던 기억. 잊지 말자!
롯데 뿐이 아님
팬티만 입고 야반도주 한 역사는 롯데보다 십수년 전에 이미 시작되었었지요~???
당신들은 영원히 미국 아버지의 품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한국인을 죽게 합니다. 한국인은 그것이 모두 옳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인 무얼 믿고 더 거래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미국이 좋으면 미국과 함께, 중국이 좋으면 중국과 누가 너에게 나쁘면 그와 놀지 않는다
미국이 좋으면 미국과 함께, 중국이 좋으면 중국과 누가 너에게 나쁘면 그와 놀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보면 지금과 비숫한 상황이 있었죠. 송나라가 요나라에게 밀리니 고려를 자기 편으로 잡고 있으려고 고려 상인이 송에 들어와 무역을 할때 세금을 걷지 않았다죠. 그로인해 고려 상인들이 엄청난 부를 축적했고 송나라 관리가 송황제에게 상소문까지 올렸다죠. 송이 중국이고 요가 미국이라고 가정하면 여기서 우리가 배울건 중국이 급해서 우리에게 특혜를 줄때까진 우리가 먼저 나서서 중국에 손을 내밀 필요는 없다는거. 어차피 중국과 잘지내봐야 지금으로선 우리가 얻을게 없죠. 미국과 우리는 동맹이니 지금 상황은 고려때 보다 훨씬 낫죠.
안유화 교수님 만큼 쉽고 재밌게 설명해주시는 분 잘 없는데 댓글이 너무 아쉽네요.
중국은 미국한테 찍혔습니다.
참..힘들겁니다.
찍히기 전에는 중국이 나름 역량이 있는줄 알았는데 찍히고 나니까
별볼일없는 존재라는게 단박에 드러났습니다.
어이가 없습니다.
뭐 있는줄 알았습니다.
쥐뿔도 없는 주제에 엇다대고 덤벼든건지...참 기가 막힙니다.
식량자급도 안되어 막대한 달러들 써가며 수입해야 해
에너지 자립도 안되어 막대한 달러를 들여 수입해야 해
식량, 에너지수입을 위한 달러를 벌어들이기 위해 수출에 목을 매야 해...
알고보니 부잣집자식이 아니고 월급쟁이였습니다.
월급쟁이는용써봐야 그냥 월급쟁이입니다.
주제파악하고 자중하며 지내는 중국, 보고 싶습니다.
안유화 그럴듯 한데 거기서 끝
중국의 본질과 비슷하다
중국에서 대학생들이 많이 배출됐지만 모순됩니다 . 교수님은 중국이 싼 인력과 같은 국가적 인프라를 가졌다고 햇는데... 그 싼 인프라 속으로 들어가기 싫어서 중국 대학생들이 핑탕족이 된거죠~ 인력을 많이 배출했지만 중국처럼 많은 규제로는 인재들이 제대로 꿈을 펼치기 어렵다고 보는데요...그 규제속에서 뭘 할수 있을지?? 또한 그 대학생들이 공장에 가서 일하진 않겠다고 하는게 현실이구요!! 시진핑이 너네 좀 힘들때 공장가서 일하라고 해서 그들이 애국심으로 싼 임금 받는 공장으로 향할가요? 전 아니라고 봅니다
시장 막죠.
민주주의 를 공권력이랑. 탱크로. 민주화 시장을
중국사람 뭘믿고 사드까먹어음
롯데하고 그리고 미국이랑 멀어지라고 웃기는소리 공산당
한마디면 그사업접어야하지
중국은 이제 끝났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조심해야될 인물임
중국이 시장 논리 말하는건 좀 웃긴다.
시장 논리라면, 구글이나 유튜브, 페이스북을 왜 중국 정부 당국에서 막아놓냐.
그리고, 중국에서 만드는게 싼 이유는 중국 정부에서 대대적인 보조금을 줘서 싸게 만들고 그걸 해외에 팔아서 딸러를 수입하는 구조인데, 이게 왜 시장 논리야?
막말로 전기차랑 배터리 만드는데 정부 보조금 다 빼고 똑같이 경쟁하면 중국차가 이렇게 싸지 않잖아.
이게 시장 논리야?
因为中国官员都是一群老顽固,就跟家里的长辈一样,这里不能玩,那里也不让玩,一直管着你
뭔 시장경제 타령인가요? 중국이 시장경제인가요? 시장경제는 똑같은 환경하에서 자유롭게 경쟁하며 더 싸고 좋은 제품으로 경쟁하는 경제체계고 ... 중국은 국가가 개입하는 개입경제체계고 뭔가
되게 착각을 하고 있어요. 미국이 서방이 한국이 .. 심지어 일본이 중국처럼 대놓고 보조금 때려 부어서 타국과 경쟁했던가요? 중국이 그 짓거리를 하니 타국에서도 손해보기 시작해서 점차
국가가 경제에 더 개입을 하게 되었는데... 애초에 중국은 시장경제가 아닙니다. 좀 착각좀 작작하시고 ... 댁이 말하듯이 그렇게 싸게 만들수 있는 원천이 국가에서 대주는 보조금 떄문이란거
다 아는 사실인데 그건 쏙 빼놓고 마치 자체 자유경쟁 속에서 순수하게 갖춘 경쟁력인척 하면 듣고 있는 사람은 역겹습니다. ...
안 옥화씨
중국 가서 한국선전 좀 하고 벌어 먹어라. 알분쟁이 .!
학교 다닐때 보면 공부 잘 하면서 힘도 쌔서 친구를 한테도 리더십을 발휘하는
친구가 있는 반면(미국)
무식하면서 힘이 쌔서 친구를 괴롭혀서
친구들한테 무시 당하는 학생이 있었다
(중국)
중국은 다 갖췄는데 ...
공산당만 없어지면
바로 선진국 간다.
공산당 + 독재 + 부패
이것이 문제 입니다.
위한 화페교환,, 돼면 중국 돈주들 거지되거든,,
공산당 선전원 출연 시키는 의도가 먼지 그것이 알고싶다
ㅈ룔
이 여자도 밑천이 다 드러난듯. 댓글도 예전같지 않네. ㅎㅎ 정체도 알만한 사람들은 다알게 됐고.. ㅋㅋ
싸게 만들수 있는게 시장경제란다 진짜 황당한 주장임 중국스러움
샘풀은 좋은데 오더내면 물건은 엉망으로 만들어 보내고 그 지역의 제조업이 망하면 다음은 폭리를 취한다. 14억의 시기꾼집단인건 모르시나봐요?
매년 공대생이 400만명이 나오는 나라가 기술 개발은 안하고 만날 남의 기술 훔치고 카피하고 그러나..
중국에 뭔 근원 기술이 있나.. 어이가 읍구만..
중국 업체들이 정부 보조금으로 물건을 싸게 만든다는걸 모르나 보네. 시스템이 발달 됬다고.. 중국은 자국산업 보호하기위해 타국산업에 불리하게 방해 놓는걸 모르나 보군
중국사람이라 중국편 드네.
중국제품 퀄리티 올라간거는 인정하지만 싸고 좋다?싼거는 인정 좋은건 중국꺼도 비싸다죠 이건 아니죠 알리가 무슨 만능도 아니고 배송기간은 한세월이고 맘에안들면 싸니 귀찮다하고 말고 몇번사면 안삽니다.
저 양반 친 중공인사 아닌가요? 815도 친중공 싸이트 인가요?
❤❤❤❤❤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저도 아버지가 중구에게 있다가 한국에 와서 잘 낳고 전원 전제로 화교로 돼 있습니다. 자랑스럽습니다 안녕하 교수님 항상 제가 듣고 있습니다
중국에 대한 진단이 비교적 정확할 순 있겠으나, 항상 중국 얘기를 듣고 있으면 짜증나고 피로하다.
아니 솔직히 한번 떠난기업에 내가 잘 해줄테니 다시 돌아 와 달라? 과연 돌아 올까요? ㅎ ㅎ
중국 시진핑을 어떻게 믿니!!
그래. 상국미국인 바이든 프럼트 많이 믿어라 ㅋ
@@대통령-s9h 그럴려구 너의 댓글로 중공혐오가 1포인트 상승했다.
@@혼수상태-h3w 괜찮다. 너그들이 잘하는 시위해서 정부 압박한뒤 중국이랑 단교햐라 제발
@@대통령-s9h 반도체 읍어도 괜찮것어? ㅎ
날카로운 의견 감사합니다 . 하지만 중국은 자업자득아닐까 생각합니다.. 중국만의 방식이아닌 룰을 지키는 중국이었으면 합니다. 예) 지적재산권
전형적인 중국마인드 잘들었음 ㅋㅋㅋㅋ해외경험있는 사람도 저모양인데...
너는 평생 이념전쟁만 하고살아라. 조만간 윤두환이 북한이랑 한바탕 할거같으니, 전방에서 징집당할준비도 미리하고있어라.
외교에서 신뢰는 가면이죠
다만 일본과 중공은 우리의 주권과 영토를 침탈할 의도가 보이는데
미국과 러시아는 이권관계에 머무르지 주권과 영토를 넘보진 않지요.
아마도 대한민국이 북한이외의 나라와 전쟁한다면, 일본이나 중국뿐이죠.
@@wookwook7134미국하고 싸울일이 없다는건 일본하고도 싸울일은 없다는거임
没办法,我们有历史纠纷,领土这种东西讲不清楚
@@narrator15 저급한 상형문자 치워라
@@혼수상태-h3w 중국 재외 의 명성 이 이렇게 좋지 않니, 너 는 지금 나 를 싫어한다
못들어 주겠다.
중국에서 외국기업 어떻게 차별해왔고 지금도 어떻게 차별하고있는지 잘 알만한사람이 저런소리하니 중국이 욕먹는겁니다.
전형적인 중국인 마인드. 완벽한 중국
다 좋고 논리적인데 항상 논리의 전개 전에 근본 원칙이 확실해야 하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은 몌타던 전기차던 근본부터 다시 생각해야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노동 비용이 높기 때문이란다
미국이 절대 우위에 있을때나 자유무역 자유경쟁을 다른 나라에 강요하는것이지 ~
2008년 금융위기 왔을때 믹 국채가 종이조각이 됐다는 말씀이. 논리가 좀 빈약해 보이는데요
물론 러우전쟁으로 러시아 자금동결한건 좀 섬뜩하겠지만요
중국 사람 맞네 쩝.
이분은 철저한 중국입장으로 대변하는거네요.
공산주의는 노조도없고 시진핑일당독재하는데 모든것이국가가주관하는데 어떻게
선의의경쟁인가요.
절저한중국선진이네요.
정말 옳은 말씀입니다.
국제 정치&경제를 볼때 너무 감정적으로 굴지 말고 제발 이성적으로 판단했으면 좋겠습니다.
이성적으로 생각해 봤을때 중국은 뒤통수터질 확률이너무 높으므로 최대한 관계를 정리해야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교수님 도움 많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알리익스프레스 싼데 품질은 비교할수 없이 떨어지던데! 좋지는 않죠 ㅋㅋㅋㅋ 경기침체에는 싼 물건 선호할지는 모르지만 다시 정상화되면 사람들은 그 가격수준에 맞는 고품질을 선호합니다.
너무 중국 공산당 편에서 말하지 마세요 중국공산당은 대만도 감당 못하면서 북핵병정놀이로 조선반도에서 중화질서라니요? 중국은 아직 멀었습니다
중국이 외국기업 중국새에서 무지막지하게 규제했는데 것말하시네.
말이 쉽지 중국과 같이 하는 게 ,미국이 가만히 있나
안교수님
항상 응원함니다
안유화교수님 좋은분석 감사합니다!!!
안유화 교수님 언제나 응원합니다. 날카롭고 정확한 식견으로 믿고 언제나 믿고 봅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대놓고 중국 선전하내
안유화는 마치 구연동화를 하는것 같다 경제분석은 절대 그런식으로 해선 안됀다
유튜브 구글 인스타 카톡 등등 다 처막으면서 뭔 자유경쟁 소릴 하고 있는거지
케이크는 하나인데 중국이가 갖는 비례가 점점 커지니까 기타 국들이가 멘탈이 오지 않을까?
중국도 뭔가 마인드가 변할때 왓다고 봅니다..서로가 나눌줄도 알고..이익에서 타협하고 쓸데없는 욕심을 삼가 햇으면 좋겟는데..뭐 내가 '시'씨 아닌 이상 어찌하겟노..
달러같은 종이돈 말고 진짜 돈가치 하는 화폐
역시 안유화 교수님 이십니다 풍부한 지식
안유화 교수는 평소에는 중국 까다가 결정적인 순간에는 중국 편들던데, 총선끝나고 국정원쪽에서 수사들어갈지 안갈지 궁금함
아지매 누고?
중화주의적 경제관 절대 안됀다
짝퉁 인재 100명이 명품인재1명을 못이김
그렇게능력 넘치는나라가 왜 툭하면 틀어막는 심통부리냐
你得把中国看成一个老爷爷,就想家里长辈一样,这里不让你碰,那里不让你玩😂
말을 왜 그렇게 어렵게 하시나? 그냥 공급 과잉이지. 재고 떨이를 하는건데
중국이란 나라는 욕할수잇어도 중국 백성시민들은 미워하지맙시다 공산당과 시민은 완전 다른부류사람들이니간요
그냥 돌려서 말하지 말고 그거 아닌가요? 미국한테 붙지 말고 중국한테 붙어라~ 그래야 한국이 이득이다?
그런데...과거의 역사를 보면 중국한테 붙어서 좋았던 적이 별로 없어서...미국도 깡패지만 중국은 양아치거든...
저는 중국 사람입니다. 저는 당신이 말한 것이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과의 자유무역으로 전세계로 가야지요...
아무리 싸도 품질이 엉망인데도 신뢰가 가나..
교수 어떻케 저런 말 할수 있어... 부끄러움 ㅁ모르네
"죽었다 깨나도 저 가격 맞 출수 없어"
싼게 비지떡.. 아무리 싸더라도, 비위생적이고 품질 엉망인데
교수 수준에 만족하시나.... 한 두번은 싼 맛에 쓰지, 다음 부터는
조심 스러운데.... 공산품이 일회용이 아니잔아
과거 40년은 좋은 세상에서 살아왔다?ㅉㅉ
그래서 아프리카는 아직도 저 모양인고?
좋은 세상이 였던건 40개 나라도 안된다.
어처구니 없는 발언에 깜놀.
9:05 13:30 그래 맞아. 깜짝 놀랄 수밖에 없는 중국의 능력에 동시대를 사는 소비국들, 소비자는 중국에 감사하게 되더라. 배후, 상황이 어떠하고 무엇이든 말이다. 상당기간 사기로 알았던 테무, 알리 이용하고 인정했다. 그리고 그 간 중간 상인이 얼마나 폭리를 취했는지 알게 됐다.
굳이 중국을 신뢰할 필요는 없지만 어찌 금이 신용이 없으리요~
경제 사회 정치까지 해박하고 막힘없는 안교수님 자주 나오세요~~~^^ 홍기자님도 도와 주세요.. 꾸벅
메타버스는 쥬커버그가 하는 노예들 장난감 노예놀이 가상공간에서 놀아라 그 뜻임
책이 어려워요
일본계 or 중국교포??
중국 사람들 열심히 일하는건 인정...힘든일도 안가리구 하는게 중국인들
나도 어느새 테무로 쇼핑 구경하게됨 거의 다이소 구경가는 정도임ㅋㅋ예전에는 싸기만했는데 이제는 싼데 이쁜게 많아져서 구경하는 재미가 있다. 근데 아직 위생이나 건강 관련 심지어 도시락통 같은 것도 사려다가 불쑥 불쑥 불안해서 쉽게 사지 못함. 어차피 한국에서 사는 것도 대부분 메이드 인 차이나일텐데도도ㅋㅋ믿을 만한 이미지를 더 주면 중국에 걸림돌은 없다 싶다.
알리에서 사서 재대로 된게 없는데 뭔 소리를
네이버에서 파는 제품들도 알리거 껍데기 갈이 택갈이 표지갈이 한게 많던데요. 공급망 대체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워낙 제조업 허브인 건 현실이죠.
@@surfingpa 쿠팡은 더 심하죠 그런거 다 포함해서요 믿을만한 유튜버들이 추천하는거 골라사도 품질은 별로잖아요 후진국에서는 좋아할지 몰라도 우리나라는 이제 비싸도 제대로 된걸 쓰는 풍토이죠 예날 일본처럼...그렇기에 제 말은 중국의 제조업 기반을 이용하면 오히려 망하는 지름길이란 뜻인데 제가 너무 함축적으로 표현한거 같군요
@@Martin-178 말씀하신 우려에 대해서도 공감합니다. 다만 망하는 지름길일지 또 다른 전략이 될지는 미래를 단언하기 어려우니 면밀하게 전략을 짜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surfingpa 중국은 상생하는 나라가 아니니 그러다가 우리나라 생태계가 약해지면 그땐 정말 큰일이겠죠
이사람도 결국
베트남 인도등 신흥아시아 나라가 대세입니다
중국은 혼자 잘살아라
안유화는 너무 낭안적이다 경제는 그런식으로 얼렁뚱땅 되는게 아니란다
무식한 거들 욕하지
알리 테무 사용해보면..정말 가성비 ..이런 가격에 이런 물건을 구입하다니...그것도 비행기 타고 물건이오는데...이가격에 가능하다니..놀랍습니다..괜찮은 물건도 있고..조금은 이쉬운것도 있지만 ...가격이 ..품질을 눌러버립니다..
가성비 따지다가 개인정보 털리고, 일단은 공짜는 아니지만 최저가격 공세했다가 익숙해질때쯤은 가격인상~~ 아편전쟁이 떠 오릅니다.
저도 혹~~ 하지만, 구입안합니다ㅋ
그 가격을 내기 위해서 저작권 무시, 농민공 노동력 착취….
중국산이 막상 써보면 20 30프로 더주고 1년 쓸거 반년만에 버려야됨
중국산 써본 대부분이 그러함
@@윤그린이 님개인정보는 구글에 다 털렸는데 더털릴게 있음?
열심히 사서 쓰세요 중국공산당 뭘믿고 한두번속은걸로 충분하다
이 아주마 또 나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