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패시터 내압은 사용전압의 2루트2를 곱하시면 대충 나옵니다. 계산하기 복잡하니 보통 *3하신다고 생각하면 편한데~ 1.5V면 5V이상의 캐패시터를 사용하는게 안정적입니다. 물론 말씀하신거와 같이 1.5V를 전원공급으로 사용하니 3V짜리 써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것을 말하자면 5V이상을 쓰는게 좋습니다.
@@sinsungzo 영광스럽게 답글을 달아주시다니! 일단 먼저 답글에 감사드립니다. ㅎㅎ 말씀하신 안정적으로 간다면 500W로 될껄 800W로 가라는 말씀에..전자공학적인 측면에서 그 안정적인 500W가 사용전압의 3배수정도를 사용한다는 의미 입니다. 제가 원글에도 적었듯 3V라면 설계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을 겁니다. 내압이라는 것은 말그대로 캐패시터가 견딜수 있는 전압의 한계정도로 이해하시면 되는데 1.x 대의 전압을 사용하는 곳에 당연히 3V이상이 인가될 리가 없으니 설계상 문제가 없다는 것에는 일부 동의합니다. (저도 회로 설계할때 어쩔수없이 아슬아슬하게 전압 매칭할때가 있긴 합니다.) 다만 펴시는 논리중 비싼 고가모델도 3V짜리 쓴다 그러니 3V써도 무방하다 라는 것에는 조금 동의하기 힘듭니다.
인텔 랜칩셋에 alc1220 오디오칩셋 쓰는 x570이 20만원대에 없는데 이 제품은 하드웨어 스펙만큼은 출중해서 고민되네요 듀얼바이오스,cmos클리어,led등 고급보드에서만 보는 지원도 하구요 다만 바이오스타라는 이름이 걸리네요 젠3 때도 바이오스 지원 잘될지도 걱정이구요 X570 영상보고 기기바이트 어로스 엘리트 애즈락 스틸레전드 바이오스타 gt8 이렇게 고민 중인데 (Msi는 x570 너무 처참하더군요 asus는 원가절감 끝판왕) 영상에서 좋게 말해주니 고민되네요 ㅎ
이 보드 SATA포트가 6개고 m.2가 3개인데 메뉴얼에 나온대로면 SATA 2포트가 m.2_3과 엮여있습니다. SATA 3번째 2포트를 다 사용하면 m.2_3슬롯이 SATA만 가능합니다. * When SATA3U/ SATA3L connector is occupied, the PCIE-M2_3 slot only supports SATA mode. www.biostar.com.tw/app/en/mb/introduction.php?S_ID=952#specification
신성조님 리뷰를 보고 정말 너무 고민입니다 기가바이트 어로스 엘리트와 이 모델중 3700x를 사용할려고하고 후에나올 라이젠 4000시리즈모델까지 확장을 고민하고 산다면 어떤걸 추천해주실수있나요? 컴퓨터용도는 주로 동영상 인코딩을 많이 하는편입니다 신성조님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너무 고민이에요 답변을 꼭 좀 부탁드립니다 ㅠㅠ
생방도 봤긴한데, 좀 이해가 가질않네요.. b450 박격포 cpu 전원부가 4페이즈인걸로 알고있는데, 여타 x570에 비해 약간 제약이 걸리긴 하지만 3700x도 잘 돌아가잖아요..? 그런데 더 좋은 품질전원부에 8페이즈인 x570 gt8가 12코어지만 3900x에 제한이 걸린다는게 이해가 잘 안되네요.. 바이오스가 지금 제한수치를 못풀게 막아놔서 그런거 아닌가요..? 추후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제한이 풀리면 충분히 가능할거 같은데..
3800x 3900x 모두 TDP 105watt 인데, 왜 실제로는 3900x가 더 많은 존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일까요?? 105watt 라고 스펙에 있는데, 전력을 더 쓰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찾아보니 IR35201 스펙상 8페이즈 까지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네요. 전류량은 다음단에 연결되는 부품의 용량에 따라 바뀌는 듯하네요.
생각보다 TDC,EDC가 많이 낮게 잡혀있네요. IR3555의 하나 전 제품인 IR3550보면, 대기 90도, 방열판 없음, 무풍 조건에서도 20A는 통과 가능하다고 해놨는데.... 다른 부품이 문제인지, 바이오스타가 너무 빡빡하게 잡아놓은건지 모르겠네요. 스틸레전드는 EDC/TDC가 몆이였나요? 메모리는 GT8이 그래도 6층 기판이라서 잘들어가는 것도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보니 여전히 영어 발음 관련 지적이 있네요 ;; 제 사견입니다만, 차라리 enable/disable 을 굳이 영어로 발음하실 필요 없이 활성화/비활성화라고 한글로 말씀하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물론 어떻게 하시든 채널운영하시는 분이 결정할 문제긴합니다. 의외로 이 부분 때문에 운영자분도, 보시는 시청자분도 같이 스트레스 받는것 같아 짧은 사견 남겨봅니다.
게이밍 PC 기준으로 이 제품을 평가해보자면 매우 상반된 의견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8*2 더블러가 들어간 전원부 치고는 말도 안되는 전력공급량이 이 보드가 돈값을 못한다는 느낌을 확 줍니다. 25만원이나 하는 '나름' 고급 X570 메인보드가 3900X는 커녕 3700X의 PBO에 필요한 전력을 간신히 충족하는 수준이라면 B450보드 보다 미미하게(25~50mhz) 높은 부스트클럭을 보여주는 것 만으로 B450보드보다 10만원이나 비싼 비용을 들여 이 보드를 구입한다? 가격이 2~3만원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게이밍PC용으로는 가치가 없는 보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 99달러 특가가 뜨지 않는 한은 말이죠) 하지만 8코어 작업용 PC, 개인용 워크스테이션을 제작하시는 분이라면 상당히 메리트가 있는 보드입니다. PCIe 레인의 수가 풍족하여 다수의 스토리지/연산카드를 장착하기에 유리한 보드이니까요. 게다가 가격도 엄청 쌉니다. 하지만 어로스엘리트와의 별 차이 나지 않는 금액에도 상대적으로 부실한(?) 어로스엘리트의 추가장치의 수를 보면 나름 메리트가 있긴 있습니다. (하지만 애즈락 팬텀게이밍4와 비교하면....가격도 비싸고 추가장치도 별 차이 안나고...) 게이밍PC용으로는 메리트가 '거의 없는 수준'이니까 굳이 바라볼 필요 없고 저렴한 가격의 개인용 웍스테이션 구축용으로는 나름 괜찮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차라리 n채널 모스펫으로 5*2 구성을 했더라면 이 보드는 가치가 더 높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냥 이 보드는 가격만 조금 내리면 다 무마될꺼같아요. c다이만 노말수율로도 3600/18 무난히 찍고 확장성 생각하고 쓰기에는 낫배드하니까요.(기본구성은 훌륭하니까) 이미 만들어진 vcc를 늘릴 노릇도 아니고. 개선판으로 제품이 나온다면 그때야 전원부를 10~12까지 늘리거나 혹은 그냥 지금 왠지 막혀잇는 모스펫의 성능제한만 풀어나오는 수정버전이 나오면 될거같아요.
써보고 싶어서 중고로 업어 왔는데 램 오버 드럽게 안먹어요. ㅠㅠ 시금치 16기가 2개라지만 x470게이밍 플러스에서 1.37x에 3600으로 18,20,20,20,42로 안정화 보고 잘쓰던 놈인데... 이 보드로는 3600으로 1.41x에 18,22,22,44로 겨우 쓰고 있어요 ㅠㅠ 살다살다 1.4대 전압 넣어보긴 처음이네요. 씨퓨는 3600쓰는데 x470게이밍플러스보드에서 4100/1.24로 오버해서 썼었는데 이 보드에서는 4200/1.31로 사용중입니다. 다만 희한하게도 씨퓨 클럭과 전압이 더 올라갔음에도 하드웨어인포 상에서는 씨퓨 온도가 5도 정도 떨어졌네요. 그리고 부팅이 느립니다. 그래도 잘 써볼랍니다. 참고로 바이오스는 올해 6월자 최신 바이오스입니다.
흠 모스펫 갯수 차이가 나는 건가요? 비슷한 구성의 Prime P는 제대로 들어가는 걸로 아는데 말이죠 ㅡㅅㅡ
pbo를 안켜면 3900X나 5900X 써도 상관은 없겠죠? 이 리뷰가 벌써 2년이나 됐다니~ 세월 참~
Msi 570게이밍플러스 쓰고 있는데 MSI라는 브랜드 빼고 좋은 것 없슴다.
사실 그당시 생채별 570 gt8나왔으면 생채별 샀눈데...... 이엠텍 서비스에 가격 착한보드.네요.
어떻게 이런 제품을 리뷰하셨습니까 존경입니다
원래 바이오스타 보드가 메모리 하나 만큼은 오버 잘 먹드라구요 써 본 사람이라면 암
이보드 구입해야겠네요 3900x 로 테스트 했을때 최대로 떨어진게 150mhz 정도라면 실제로 사용했을떄 거의 체감 못하겠네요 저는 3950 나오면 같이 구매해서 써야겠네요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 그렇군요 조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상세한 설명과 자료 덕분에
크로스파이어 보드 고르고고르다 이놈으로결정 어치피 다시 원복할꺼뻔하지만 궁금해서 못참겠네요
16×4는 쓰렉
8×8의 성능이 너뭉궁금 ㅎㅎ
rx570 580두개 물려볼예정입니다 ㅎ
캐패시터 내압은 사용전압의 2루트2를 곱하시면 대충 나옵니다.
계산하기 복잡하니 보통 *3하신다고 생각하면 편한데~
1.5V면 5V이상의 캐패시터를 사용하는게 안정적입니다.
물론 말씀하신거와 같이 1.5V를 전원공급으로 사용하니 3V짜리 써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겁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것을 말하자면 5V이상을 쓰는게 좋습니다.
@@sinsungzo 영광스럽게 답글을 달아주시다니! 일단 먼저 답글에 감사드립니다. ㅎㅎ
말씀하신 안정적으로 간다면 500W로 될껄 800W로 가라는 말씀에..전자공학적인 측면에서 그 안정적인 500W가 사용전압의 3배수정도를 사용한다는 의미 입니다.
제가 원글에도 적었듯 3V라면 설계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을 겁니다. 내압이라는 것은 말그대로 캐패시터가 견딜수 있는 전압의 한계정도로 이해하시면 되는데
1.x 대의 전압을 사용하는 곳에 당연히 3V이상이 인가될 리가 없으니 설계상 문제가 없다는 것에는 일부 동의합니다.
(저도 회로 설계할때 어쩔수없이 아슬아슬하게 전압 매칭할때가 있긴 합니다.)
다만 펴시는 논리중 비싼 고가모델도 3V짜리 쓴다 그러니 3V써도 무방하다 라는 것에는 조금 동의하기 힘듭니다.
3600 CPU 오버하려면 수냉으로 가야 하나요? 공냉으로 되나요?냉각 타입과 쿨러 추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풀뱅은 램오버 어느정도까지 될까요?
@@sinsungzo 빠른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램이 뿔딱인지 16X4라서 3200은 커녕 3000도 안먹네용
교주님 덕분에 gt8과 t500 케이스 질렀습니다. 감사합니다 :)
3700x + 삼성 비다이 끼워서 램오버해서 쓸만할까요? 22만원이라 살만한 것 같은데 고민되네요
신성조 답변 감사합니다
디자인 덜보는 사람도 갸웃하게 만드는 디자인이긴하네요 ㅋㅋㅋㅋㅋㅋ 리뷰잘봤습니다!
손이 안닿는 가려운 등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듯한 리뷰 감사합니다~!! ㅋㅋ 전원부에 2페이즈만 더 썼으면...
역시 고퀄 엑셀러다운 영상이었습니다 꽤 끌리네요 보드 8코어까지는 좋으니까요
저전원부에 3900X 를 잘 못돌린다는게 ... 뭔가 문제있는게 아닌가 싶네요.
이보드고민중이었는데 좋은정보감사합니다
현재 2700x b450elite 사용중인데
3600에 이보드로 넘어갈예정입니자
크로스파이어때문에 ㅜㅜ
b450 elite 는 2번째슬롯이 4배속이라 ㅜㅜ
이보드는 스펙상에 8배속인듯한데 혹시 테스트가능하실까요?
rx570 두개 꼽아서 놀아볼예정이고
파워는 이번에 마닉 850 행사한거사서
넉넉할듯합니다
@@sinsungzo x57 보드에 스펙 보니 두번째슬롯이 4배속이 꽤많더라구요 제가잘못이해한건가요? 이상하네요
지금 b450어로스 엘리트가 2번슬롯이 4배라서 파스는 23000나오는데 배그는 랙이장난이아니더라구요
이해가안되네요 ㅜㅜ
@@sinsungzo 답변감사합니다
b450 어로스 elite 16*4이라 안나오는거 맞고
x570에도 16*4 가 몇개있네요 ㅜㅜ
인텔 랜칩셋에 alc1220 오디오칩셋 쓰는 x570이 20만원대에 없는데 이 제품은 하드웨어 스펙만큼은 출중해서 고민되네요 듀얼바이오스,cmos클리어,led등 고급보드에서만 보는 지원도 하구요
다만 바이오스타라는 이름이 걸리네요
젠3 때도 바이오스 지원 잘될지도 걱정이구요
X570 영상보고 기기바이트 어로스 엘리트
애즈락 스틸레전드
바이오스타 gt8 이렇게 고민 중인데
(Msi는 x570 너무 처참하더군요 asus는 원가절감 끝판왕)
영상에서 좋게 말해주니 고민되네요 ㅎ
저번에 보고 바로 구독까지 했는데 이 내용은 너무 궁금해서 잠도 못자게 하네요 ㅋㅋ 댓글 달고 시청할게요 ~
ABBA에서의 3900x 테스트같은 후기는 예정에 없으신가요? 이 보드에 3700을 달아서 잘 쓰고 있는데 3900뽐뿌가 와서 이보드가 ABBA에서 성능하락 이슈가 고쳐졌으면 걍 쓰고 아니면 교체를 할 생각입니다.
@@sinsungzo 아 그런거군요. 역시 교체를 해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이 보드 SATA포트가 6개고 m.2가 3개인데 메뉴얼에 나온대로면 SATA 2포트가 m.2_3과 엮여있습니다. SATA 3번째 2포트를 다 사용하면 m.2_3슬롯이 SATA만 가능합니다.
* When SATA3U/ SATA3L connector is occupied, the PCIE-M2_3 slot only supports SATA mode.
www.biostar.com.tw/app/en/mb/introduction.php?S_ID=952#specification
그래서 이 보드는 nvme 스토리지만 쓰는게 오히려 편합니다 ㅎㅎ
@@sinsungzo 이제품이 원래 다나와 설명이 부실하게 되어있어서 저런 정보가 없었는데 지금은 다 표기가 되어있네요...
항상 양질의 영상 잘 보고 가요~ 이번에 생방송 때 진상들 얘기 듣다가 새벽에 속이 거북해졌네요. 그래도 이야기가 재미있었습니다... 화도 많이 났지만 ㅎㅎ
안주무십니까 이시간에 올리시고 대단하십니다 쉬엄쉬엄 하십시오~전번에 라디오 모드루 들으니 목소리가 안좋을때가 솔찬히 있던데요 몸관리 하세요
오늘은 생방은 못 보고 녹화만 보네요.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 합니다.
이런거 너무 좋습니다. ecs 컬러풀 이런것도 부탁드려요 ㅋㅋㅋ
역시 신뢰의 성조님...수고하셨습니다...^^
항상 잘 보고 갑니다 !
七彩虹COLORFUL CVN X570 GAMING PRO V14 빵점 메인보드 리뷰보고싶네요 ㅋㅋ
전압 오프셋..크.. 바이오스타 고집
ㅋㅋㅋㅋ오늘 라이브 잘봤습니다 생각외의 성능
구독자 의견반영 아주 칭찬해~~~~ 감사합니다!
vs AORUS ELITE 고민이네요
10페이즈만 됫어도 3900X 커버 충분히했을텐데... 그래도 모스펫 좋은거쓴거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싶네요 gt8에 쓴 모스펫이 타사에서는 40만후반대 50만대이상 플래그십에쓰는 모스펫이니 ㄷㄷ
이게 바이오스타라는 점만 아니면 진짜 극강의가성비모델이엇을텐데 ㅋㅋㅋㅋㅋ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극오버가 안되니 흐음...
딱 3700x 정도 보드라 여겨지네요
전원부 강화된 b450 리비전, 또는 b550 보드가 빨리 나오면 좋겠당!!!!
B450에서 저정도 보드가 나오면 진짜 살 사람이 없....어....서......
역시 성조님 정리는 좋아요ㅎㅎ
3900x로 리뷰하셨는데 3700x로 바꿔서 사용한다면, 기가바이트 어로스엘리트(27만)랑 지금 리뷰하신 바이오스타 보드중에서 개인적으로 어떤보드를 추천하시나요??
@@sinsungzo 감사합니다 영상보면서 중간에 댓글 쓴건데 3분도 안되서 답글을 달아주셔서 눈을 의심햇습니다... 빛성조.. 10만 구독 가시길...
편집 안하시고 그냥 올리신다더니 ㄷㄷ;; 피곤하실텐데 고생하셨습니다. 잘 보겠습니다.
칩셋 팬을 임의로 교체 가능한 것으로 보이네요. 이것은 장점 일 듯 하네요.
바이오스타는 한번도 써본적이 없지만 기본적으로 불신을 깔고가는것같습니다...
이거보고 3700x에 램오버해서 잘쓰고있습니다! 전 기쿨감성 ㅎㅎㅎ 근데 바이오스타 메인보드 프로그램으로 고성능걸어두니 그냥 4.4가 유지되네요 전압도 그만큼 먹지만요...ㅠ
아무리 폄하해도 램오버가 중요한 AMD기때문에, 상급 B다이 없고, 3700x까지 쓰실분들에겐 좋은모델이라생각됩니다. 정말 3900x까지 버틸수있는 전원부로나왔으면 정말 완벽했을텐데 아쉽네요
리뷰 내용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맘같아선 영상보고 이거 사려고했는데, 본체 사이즈를 좀 줄이려고.. 미니 ATX, ITX를 찾느데 고것만 좀 아쉽네요 ㅠ
바이오스타가 모델명에 기존에도 5 7 8 이런식으로 들어갔던걸로 기억하는데 GT8 이라는 네임쓰고 3900X 이 안되는건 조금 아쉽네요
좋은 정보 수고 하셨습니다.
엘리트 품절나서 추천해주신 steel legend 갔습니다. 감사함니닷!
태생이 좋은데 족보가 부실하고 교육(바이오스)이 덜된보드 페이즈만 넉넉했으면 괜찮을텐데 아쉽내요.
ㅋㅋㅋㅋㅋㅋㅋ 설명지린다 ㅋㅋㅋㅋ
아무래도 전원부구성이 좋다해도 물량은 어쩔수없는거겠죠. 돈값은 하는 보드란 생각이 드네요 바이오스타 보드가 욕먹던 시절에만 써보고 리뷰로 구경해보니 다시 한번 써보고싶단 생각이 들정도로 매력적입니다 잘봤습니다
이제품 수동오버하면 제약은 안걸릴까요? 생체별이 바이오스로 패치해줄까요?
신성조님 리뷰를 보고 정말 너무 고민입니다 기가바이트 어로스 엘리트와 이 모델중 3700x를 사용할려고하고 후에나올 라이젠 4000시리즈모델까지 확장을 고민하고 산다면 어떤걸 추천해주실수있나요? 컴퓨터용도는 주로 동영상 인코딩을 많이 하는편입니다 신성조님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너무 고민이에요 답변을 꼭 좀 부탁드립니다 ㅠㅠ
3700X를 쓴다고 할때
B450최상급 모델이랑 비교하면 어느정돈가요?
@@sinsungzo 답변감사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전원부 구성과 온도를 따지는 이유가 XFR/PBO 성능 때문이라 생각하는데,
3900X는 받혀줄 수 없는 정도라니...
제 기대는 벗어나는 결과네요.
저도 의심햇던 내용인데 역시는 역시엿드라고요.
모스펫 품질이 좋아도 절대갯수가 달리면 이런 결과가 나오기는 하네요.
그럼에도 기본 구성에는 충실하고 as가 이엠텍이란걸 감안한다면 37까지는 고려해볼만한 보드같아요.
단. 3만원만 싸면 더 좋겟다 진짜.
생방도 봤긴한데, 좀 이해가 가질않네요.. b450 박격포 cpu 전원부가 4페이즈인걸로 알고있는데, 여타 x570에 비해 약간 제약이 걸리긴 하지만 3700x도 잘 돌아가잖아요..? 그런데 더 좋은 품질전원부에 8페이즈인 x570 gt8가 12코어지만 3900x에 제한이 걸린다는게 이해가 잘 안되네요.. 바이오스가 지금 제한수치를 못풀게 막아놔서 그런거 아닌가요..? 추후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제한이 풀리면 충분히 가능할거 같은데..
영상보고
보드사서 크파했는데 포맷도해보고 별짓을다해도
환장하네요 ㅜㅜ
현재
2700x
바이오스타 x570gt8
rx570 + rx580
pci 8*8 크로스파이어 된것까지다확인
파스 25000넘는데
배그하면 랙이 장난이아니네요
국민옵션인데 ㅜㅜ
원인이멀까요
@김진겸 네 단일로 각각해보면 잘됩니다
모니터는 qhd 60 입니다 평균 80나와요
3800x 3900x 모두 TDP 105watt 인데, 왜 실제로는 3900x가 더 많은 존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일까요?? 105watt 라고 스펙에 있는데, 전력을 더 쓰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찾아보니 IR35201 스펙상 8페이즈 까지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네요. 전류량은 다음단에 연결되는 부품의 용량에 따라 바뀌는 듯하네요.
신성조 160~200 watt, 전력량이 엄청나네요. 현재 쓰는 i7 2세대가 최대 90watt 정도 쓰는데.
TDP의 경우 최대소비전력이 아닌 쿨러 설계의 지표가 되는 베이스클럭의 소비전력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3800X의 베이스클럭이 3900X보다 높지만(TDP가 같은 이유) 실제로 부하가 걸릴 경우
코어가 많은 3900X의 전력소모가 당연히 더 커지게 됩니다.
이제품 체험판님이 엄청 욕하시던데 ,
신성조님 이 보드로 pbo나 수동오버가 어엘하고 비교해서 어느정도 성능을 보여주는지 궁금합니다. 램오버가 중요하다는 라이젠이지만 개인적으로 국민 램오버만 들어가면 이후는 씨피유 클럭 차이 인거 같아서요
젠+유저라 그런지 뭔가 x470보드랑 비교해도 괜찮은보드같은데요... ?ㅎㅎㅎ
생각보다 TDC,EDC가 많이 낮게 잡혀있네요. IR3555의 하나 전 제품인 IR3550보면, 대기 90도, 방열판 없음, 무풍 조건에서도 20A는 통과 가능하다고 해놨는데.... 다른 부품이 문제인지, 바이오스타가 너무 빡빡하게 잡아놓은건지 모르겠네요. 스틸레전드는 EDC/TDC가 몆이였나요?
메모리는 GT8이 그래도 6층 기판이라서 잘들어가는 것도 있을 것 같습니다.
솔직히 바이오스타가 전원부 설계를 매우 '보수적'으로 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저정도 전력공급밖에 될 보드가 아닌데 이상하게 막아놓은 느낌이예요
이미 어엘을 구매해버려서 우짤수없지만 더 낮은가격으로 책정되었다면 바이오스타를 고민했을꺼같네요
예상밖 성능 이었습니다.
가격이 조금만 내려가면 37과 짝궁으로 좋을듯한데..
24만원에서 더 내려달라는 건 좀...
@@dbswo1340 전원부의 안전성이 보장된 어엘의 경우와 가격차가 3만원뿐이라, 너무 근접해보여서
선택하기 애매해보여서요. 금액차가 5만원 부터는 확실히 급이 다른 느낌이라 구매하기 편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저만해도 결론은 아 아직은 어엘사는게 맞겟네 라고 결론이 나는걸요.
컬러풀 사에서도 570보드 만들었던데.. 저가형으로요.. 혹시 리뷰 그것도 해 주실수 있나요?
CPU 파워연결선 2선 각 8+4인가요? 아님 1선 16핀으로 끼우셨나요? 고가형 풀모듈러면 CPU 2선으로 끼울수 있을텐데 1선으로 꼽은신건가요?
보통 중저가 파워는 CPU 1선만 있어서 그래요
450카본이랑 570gt8이랑 비교하면 어떤가요?
@@sinsungzo 감사합니다
선좋아요...후감상
영상으로 항상 잘배워갑니다 혹시 하나만 여쭙자면 라이젠 3600 에 2070 super 끼워도 괜찮나여?
GT8 완판 재수입이 이루어진다고 하네요.
@@sinsungzo 다나와에 이엠텍 직원분이 댓글로 남겼습니다. 이거 신성조님 버프 덕분?
신성조님 영상잘봤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램3600Mhz오버 기준으로 pbo 끄고 3900x cpu 수동으로 오버클럭하면 어디까지 들어가는지 그리고 온도 부분도 궁금합니다.
@@sinsungzo 앗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가 됬습니다요 (_ _)
성조님 b450보드들도 x570표처럼 전원부나 이런거 비교표 만들어주실수 있으신가요?
손상원 이미 450 관련 영상이 있습니다
cafe.daum.net/sinsungzo 여기 자료게시판 가시면 엑셀자료 다운 가능합니다.
다른곳 게시 시 출처만 밝혀주시면 공유 가능합니다^^
@@HarnSunny 카페 자료게시판에는 b450보드 내용은 없는데요.. 박격포 밖에는..
@@키큰도토리-e5n ua-cam.com/video/6u950TuWMaE/v-deo.html 저거 엑셀표 지우셧나.
오래된거라 지우셧나봐요. 영상에는 남아있으니 확인해보세요
ua-cam.com/video/6u950TuWMaE/v-deo.html
여기 영상으로 남아잇네요 엑셀표는 사라져잇네. 확인해보세요
좋아요! 후시청
질문
1. 1070이랑 1070ti랑 차이가 큰가요?
2. 위에 vga카드가 요즘 출시되는 어느 제품이랑 비슷한가요?
CPU 전원 포트 12핀 모두 연결 하셨나요?
@@sinsungzo 그럼 12핀 파워 쓰면 3900X 될 가능성이 있네요!
as는 좋은편이라고는 하나 아직까지 내구성에 의문이 드는건 사실인거 같습니다
선댓 후감상~
gt8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nbio 항목에서 저는 왜 pbo가 없는거죠...ㅠ 항목이 하나뿐입니다. 2700x쓰구용
@@sinsungzo 최근 바이오스 업뎃으로 생김
성조님.. 너무 궁금한데요 cpu 1700에
1080ti 부착해놓으면 배그 프레임 드랍 60까지 떨어지나요?..
rgb싱크기능은 없다고 보면 되나요?? 제가 찾아보는 제품에는 바이오스타싱크마크를 가진 제품은 없는데 저 메인보드에서 다른 회사의 싱크기능을 쓰진 못하죠?
잘 보고 갑니다. 가격만 인하되면 나름 메리트가 있을 것 같네요.
프라임p나 프로4 같은 20만원대 570보드 중에선 모스펫 품질이나 구성에서 탑이고 AS도 이엠텍인데 브랜드 인지도 땜에 함부로 추천하기 힘든 비운의 보드...ㅜ
다시찍으셨나보네요ㄷㄷ
전원부가 전세대 크해급이라 가볍게 돌릴거라 생각했건만..
x570중에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거랑 아니면 x570비교영상에서 추천해주신것 중에 고를 예정인데 사람마다 다 얘기가 달라서 어렵네요 바이오스타 믿거라고 하는분들도 있구요. 그냥 대중적인거 쓸지 아니면 저거 쓸지 고민인데 실사용 어떤가요??
시퓨 오버 마진없는 젠2에선 참 좋은거 같네오
생체별만 아니였다면...........
바꿔말하면 생체별이기 때문에 가능한...?
3700X에 한번 써볼까... 돈낭비는 아니겠죠 어로스 엘리트냐 이거냐 자꾸 고민되요 ㅜㅜ
솔직히 이 보드는 3700X의 제대로 된 성능조차 제대로 살려주지 못할 것 같습니다. 약간의 부스트클럭때문에 15만원 가까운 추가비용을 들이기엔 가성비가 너무 안좋죠. 가성비가 안좋단 말에 유의하세용
생체별 바이오스가 정말 궁금했는데 교수님의 사비로...(감동) 그런데 바이오스 내 절전옵션 같은건 못본거 같은데 있는지 궁금합니다.
3733 올라갔다가 안올라갔다가 올라까는 신기한 보드
외쳐! 갓!성!조!
음 어쩌피 39 가는사람들은 최고급 에이스나 이런거쓸테고... 가성비보드로 15-18정도였으면 최고였을듯.... 지금 저도 한대더 맞춰볼까 하는데 메인보드가 너무 비싸서 보류중이네요...
댓글보니 여전히 영어 발음 관련 지적이 있네요 ;;
제 사견입니다만, 차라리 enable/disable 을 굳이 영어로 발음하실 필요 없이 활성화/비활성화라고 한글로 말씀하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물론 어떻게 하시든 채널운영하시는 분이 결정할 문제긴합니다.
의외로 이 부분 때문에 운영자분도, 보시는 시청자분도 같이 스트레스 받는것 같아 짧은 사견 남겨봅니다.
생체별 ㄷㄷ
14분 29초부터 : 전원부 방열판이 없더라도 온도가 착하다고 하셨는데, 전원부 방열판이 없는건가요? 볼줄몰라서..ㅠ
추천 살짝살짝 두번 누르고 갑니다!!
보드 디자인팀이 일대충했음..
이걸 사는사람이 있다고?? omg
신성조님 제품같은거 리뷰할때 막 까면서 하면 업체나 관계자한테서 연락안와요?? 글내리라고 ㅋㅋㅋ고소한다 뭐이런거
ㅋㅋ이정도면 충분히 장점언급 한거같은데 아닌가요?ㅋㅋ 터틀님 요즘 왜 잘안와용~
이엠텍이 이거보고 조금더 공격적인 가격정책을 한다면 우리방에서도 적극적으로 밀 수도 잇을거같아요.
@@HarnSunny ㅎㅎ 꼭 이영상을보고 말한건 아니구영ㅋㅋ 그냥갑자기 궁금해서
앗.....아.....아......빛성조........사비를 털어 레전드를 찍었다........
근데 형님 3600정도면 괜찮을까요? 바이오스타보드로요.
게이밍 PC 기준으로 이 제품을 평가해보자면 매우 상반된 의견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8*2 더블러가 들어간 전원부 치고는 말도 안되는 전력공급량이 이 보드가 돈값을 못한다는 느낌을 확 줍니다.
25만원이나 하는 '나름' 고급 X570 메인보드가 3900X는 커녕 3700X의 PBO에 필요한 전력을 간신히 충족하는 수준이라면
B450보드 보다 미미하게(25~50mhz) 높은 부스트클럭을 보여주는 것 만으로 B450보드보다 10만원이나 비싼 비용을 들여
이 보드를 구입한다? 가격이 2~3만원이 떨어진다 하더라도 게이밍PC용으로는 가치가 없는 보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 99달러 특가가 뜨지 않는 한은 말이죠)
하지만 8코어 작업용 PC, 개인용 워크스테이션을 제작하시는 분이라면 상당히 메리트가 있는 보드입니다.
PCIe 레인의 수가 풍족하여 다수의 스토리지/연산카드를 장착하기에 유리한 보드이니까요. 게다가 가격도 엄청 쌉니다.
하지만 어로스엘리트와의 별 차이 나지 않는 금액에도 상대적으로 부실한(?) 어로스엘리트의 추가장치의 수를 보면
나름 메리트가 있긴 있습니다. (하지만 애즈락 팬텀게이밍4와 비교하면....가격도 비싸고 추가장치도 별 차이 안나고...)
게이밍PC용으로는 메리트가 '거의 없는 수준'이니까 굳이 바라볼 필요 없고
저렴한 가격의 개인용 웍스테이션 구축용으로는 나름 괜찮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차라리 n채널 모스펫으로 5*2 구성을 했더라면 이 보드는 가치가 더 높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냥 이 보드는 가격만 조금 내리면 다 무마될꺼같아요.
c다이만 노말수율로도 3600/18 무난히 찍고 확장성 생각하고 쓰기에는 낫배드하니까요.(기본구성은 훌륭하니까)
이미 만들어진 vcc를 늘릴 노릇도 아니고.
개선판으로 제품이 나온다면 그때야 전원부를 10~12까지 늘리거나
혹은 그냥 지금 왠지 막혀잇는 모스펫의 성능제한만 풀어나오는 수정버전이 나오면 될거같아요.
추천 1빠. 잘 볼께요
리뷰 영상 잘 봤습니다. 언제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