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특강 01 - '교회사' 241005 (강사:정창준목사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1. 교회의 분열과 발전
    교회는 끊임없이 분열하면서 성장해왔다. 처음에는 교회의 분열이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에는 하나님께서 뜻하신 진리를 추구하려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교회의 분열은 단순한 다툼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따라 교회의 본질을 새롭게 탐구해 나가는 과정이었다.
    2. 초기 기독교의 시작
    예수님이 오셔서 사역하신 후, 그분이 돌아가신 후부터 문제가 발생했다. 유대교와 기독교가 혼란에 빠졌고, 당시 지중해 주변의 로마와 그리스 등은 다신교를 믿고 있었다. 하지만 예수님의 복음이 전파되면서 로마에서도 기독교가 공인되는 시기가 왔다.
    3. 콘스탄틴 황제의 기독교 공인
    313년, 콘스탄틴 대제가 밀라노 칙령을 반포하여 기독교를 공인했다. 이로 인해 로마에서 기독교가 박해받지 않게 되었고, 기독교가 정식 종교로 인정받게 된다. 이후, 그는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현재 이스탄불)로 옮기며 기독교의 중심지를 세운다.
    4. 동서 교회의 분열
    로마가 동서로 분열되면서, 동로마는 동방 정교회, 서로마는 로마 카톨릭 교회로 나뉘었다. 동로마는 자신들을 '정통 교회'로, 서로마는 '보편 교회'로 주장하며 서로 대립하기 시작했다.
    5. 테오도시우스 대제와 니케아 신경
    380년에 테오도시우스 대제가 니케아 신경을 칙령으로 공포하면서, 삼위일체론과 기독교의 교리를 확립했다. 이 신경을 따르지 않으면 법적으로 제재를 받는 상황이 생기며, 이후 기독교의 신앙 고백에 큰 영향을 미친다.
    6. 성상 숭배 금지령과 동서 교회의 갈등
    동로마에서는 성상 숭배가 우상 숭배로 여겨져 성상 숭배 금지령이 내려졌고, 이는 동방 정교회와 로마 카톨릭 교회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이 갈등은 동로마 교회와 서로마 교회의 분열을 가져오게 된다.
    7. 성상 숭배 금지령의 예술적 영향
    성상 숭배 금지령은 당시 교회의 미술과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교회가 성상 제작을 금지하면서 예술이 자연을 표현하는 쪽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는 르네상스 시기의 예술 발전에 기여한 요소 중 하나였다.
    8. 십자군 전쟁의 시작
    십자군 전쟁은 예루살렘을 성지로 삼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가 성지 점령을 놓고 벌인 전쟁이다. 특히 동로마 제국이 이슬람 세력의 위협을 받자, 서로마 카톨릭에 도움을 요청하며 전쟁이 시작되었다.
    9. 십자군 전쟁의 타락
    십자군 전쟁은 종교적 명분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위한 전쟁으로 변질되었다. 특히 4차 십자군 전쟁은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약탈하면서, 동서 교회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10. 종교개혁의 시작: 마르틴 루터
    1517년, 마르틴 루터가 95개 조 반박문을 통해 종교개혁을 시작했다. 그는 면죄부 판매를 비판하며, 믿음으로만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루터는 새로운 교회를 만들려는 의도는 없었으나,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파문을 당하게 된다.
    11. 루터와 프로테스탄트
    루터의 종교개혁은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고, 저항하는 자들, 즉 프로테스탄트가 등장했다. 이들은 잘못된 교리와 전통에 저항하며, 새로운 교회를 형성하게 된다. 개신교는 여기서 시작된 것이다.
    12. 츠빙글리와 스위스의 종교개혁
    츠빙글리는 루터의 영향을 받아 스위스에서 종교개혁을 이끌었다. 그는 성찬식과 용병 제도에 대한 개혁을 주장하며, 교리가 아니라 실천을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3. 성찬식 논쟁
    종교개혁자들은 성찬식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루터는 공재설을, 츠빙글리는 기념설을, 칼뱅은 영적 임재설을 주장하며 교리적 차이가 발생했다.
    14. 칼뱅과 직업 소명설
    칼뱅은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구원 예정론을 주장하며, 직업 소명설을 설파했다. 직업의 귀천이 없고, 모든 직업은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라는 사상이 당시 자본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15. 종교개혁과 구원론
    종교개혁자들은 구원에 대한 관점에서도 로마 카톨릭과 달랐다. 카톨릭은 연옥설을 주장했으나, 개신교는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받을 수 있다고 가르쳤다.
    16. 영국의 종교개혁과 헨리 8세
    영국의 종교개혁은 헨리 8세의 정치적 이유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로마 교황청의 허락 없이 이혼을 강행하고, 영국 성공회를 창설하여 로마 카톨릭과 결별했다.
    17. 청교도와 퓨리탄 운동
    영국 성공회는 개혁을 완전히 이루지 못해, 더 철저한 종교개혁을 요구하는 퓨리탄(청교도)들이 등장했다. 그들은 영국 국교회를 떠나 독립적인 예배와 신앙 생활을 추구했다.
    18. 침례교회의 형성
    청교도 중 일부는 회중 중심의 교회를 지향하며 침례교회를 형성했다. 이들은 종교와 정치의 분리를 주장하며, 회중 민주주의를 도입했다. 이들 중 일부는 메이플라워 호를 타고 신대륙으로 넘어가 미국 침례교회를 세웠다.
    19. 스코틀랜드와 장로교의 형성
    스코틀랜드에서는 존 녹스가 칼뱅의 사상을 이어받아 장로교회를 설립했다. 장로교는 회중 민주주의와는 달리, 대의 민주주의 시스템을 도입해 교회를 운영했다.
    20. 감리교의 시작: 요한 웨슬리
    18세기에 요한 웨슬리가 감리교를 창립했다. 웨슬리는 성령 체험과 완전 성화를 강조하며, 경건주의와 원칙적인 신앙 생활을 주장했다.
    21. 감리교와 성령 체험
    웨슬리의 감리교는 성령 체험을 강조하며, 참된 회심을 통해 성화가 가능하다고 가르쳤다. 또한, 성수의 가르침을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22. 미국으로 전파된 감리교
    감리교는 미국으로 건너가 큰 교단 중 하나로 성장했다. 감독제도와 장로제도를 함께 도입한 미국 감리교는 자치 교회 시스템을 구축했다.
    23. 성결 운동과 완전 성화
    감리교에서 파생된 성결 운동은 19세기 후반에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성결한 삶을 회복하고, 외적인 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완전한 성결을 추구했다.
    24. 계속 개혁되어가는 교회
    교회의 역사는 계속 개혁되어가는 과정이다. 루터는 교회가 한 번 개혁된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개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회는 항상 본질을 잃지 않고 새로워져야 하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개혁의 정신을 잃지 말아야 한다.

КОМЕНТАРІ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