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때문에 '대한민국이 망했다.' 세계 최초, 멸종 예정 국가 '대한민국'. MZ세대 탓이다 vs 꼰대들 탓이다. [외줄타기 토크쇼, 불세편살 EP.39]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кві 2023
  • 세계 최초, 멸종 예정 국가 '대한민국'. MZ세대 탓이다 vs 꼰대들 탓이다. 이들이 이토록 싸우는 이유는..? [외줄타기 토크쇼, 불세편살 EP.39]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hotdogtv
    영상에 나오는 제품이 궁금하다면??🧐👉🏻m.daracbang.com/
    -Instagram (기동,Official)
    / kj_93
    / hotdog_tv_
    -Face book (기동,재열,Official)
    / hotdogkd
    profile.php?...
    tvhotdog/?ep...
    Prod. 브금공방
    Twins Play - • [Royalty Free Music] T...
    Prod. 브금공방
    Crying Pierrot - • [Royalty Free Music] C...
    🎶 Music composed by 뮤민(MwM)
    🎵 Track: 논쟁(Argument) - • [저작권 없는 음악] 논쟁(Argumen...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China Market - • [브금대통령] (중국/여행/traditi...
    Prod. 브금공방
    코믹BGM - • 브금공방 #19/코믹BGM/코믹6-10/...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와 이거 뭔데 - • [Royalty Free Music] 와...
    Prod. 브금공방
    코믹BGM - • 브금공방 #26/코믹BGM/코믹14-16...
    김재영-Wear
    출처및저작권표시 - 공유마당, CC BY
    gongu.copyright.or.kr/gongu/w...
    Prod. 브금공방
    코믹BGM - • [Royalty Free Music] 코...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엄마생각 - • [브금대통령](마음/감동/Lyrical)...
    Music : Free Bgm
    • [Free Music] 당황, 엉뚱, 피...
    Track : 어휴 Dub다
    Music by : 디플로피아, 브실골(브금실력은골드)
    Music provided by : 디플로피아, 브실골(브금실력은골드)
    Watch link : • [무료브금](엉뚱한/레게/덥) 어휴 Du...
    ✔ 되는 일 진짜 없네 by lunchmate
    🎧 Download / Stream
    - www.sellbuymusic.com/musicDet...
    Prod. 브금공방
    코믹BGM - • [Royalty Free Music] 코...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사짜 - • [Royalty Free Music] 사...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377

  • @KR-Goraniii
    @KR-Goraniii Рік тому +170

    20대에 아들 둘 키우는 월급쟁이 아빠입니다 혼자서 먹고 살기도 힘든 현실이지만 막상 아이 낳고도 알뜰살뜰하게 살게되더라고요 물론 포기해야하는 것도 많이 생깁니다 그래도 집에 오면 반겨주는 아이들 보면서 하루하루 힘내면서 살아갑니다 :D

    • @user-cj7bq9rp3g
      @user-cj7bq9rp3g Місяць тому

      아니 누가봐도 정부 경영인 언론때문이지 시민들이 당하고 세뇌당하고 서로혈뜯고싸우게한 이유가 그거말고 뭐가더본질이겠음?

  • @user-ll8qf5vm2f
    @user-ll8qf5vm2f Рік тому +376

    둘째 트림 시키면서 영상봤는데~저도 20대에 아기 싫어했고 낳을 생각도 없었는데 바뀌더라고요 :)..아기 키우는게 너무 힘들고 버거울때 있지만 너무 사랑스럽고 행복하기도 합니다.강요는 아니지만 너무 부정적으로 처음부터 차단해버리고 닫아버리진 않았으면 해요~핫도그티비 초창기부터 본 싱글 구독자가 딸 아들 가진 맘이 되어 글씁니다

    • @user-vy2fs5pk5y
      @user-vy2fs5pk5y Рік тому +10

      동의합니다

    • @sexyBAMB00
      @sexyBAMB00 Рік тому +1

      희연님공감 저 20대 때 애들이 옆에만와도 속으로 기겁 너무 싫었음 지금 아들둘 아빠입니다. 개새끼가 이뻐지는데 지금은 다른 아이들도 예뻐보여요 늙을수록 바뀔수 있는거같아요

    • @user-dp4mm2uv1v
      @user-dp4mm2uv1v Рік тому

    • @user-cj7bq9rp3g
      @user-cj7bq9rp3g Місяць тому

      아니 누가봐도 정부 경영인 언론때문이지
      시민들이 당하고 세뇌당하고 서로혈뜯고싸우게한
      이유가 그거말고 뭐가더본질이겠음?

  • @licht6945
    @licht6945 Рік тому +176

    집값 폭등, 젠더 갈등, 일자리 문제, 기성세대와 mz세대의 가치관 차이 등등 문제가 한 두가지가 아님.. 답이 없다는 말이 딱 맞는 것 같다. 진짜 답이 안 보임..

    • @O0oO0oO0Oo0
      @O0oO0oO0Oo0 7 місяців тому

      유튜브때문에 걍 다조진거임

    •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전세계를 기준으로 보면 문제가 뭔지 알수있음
      문제는 한국인 본성이다 남과 비교질 하고 최고가 아니면 밑바닥이라고 생각할만큼 눈이 너무 높고 욕심이 너무 많음
      대표적인 예로 수도권이나 대도시 내집장만 타령하는데 전세계에서 중산층 서민층이 평균 임금 받으면서 자력으로 수도권이나 대도시에 내집 마련 가능한 나라가 없음 다른나라도 불가능한건데 마치 한국만 안되는것마냥 떠들어댐
      그리고 눈높이가 너무 높음 집은 최소 30평대 이상에 차는 최소 중형 이상 타야 사람답게 사는거라 생각함
      자녀가 있으면 패밀리카로는 카니발 이 그 이하는 좁아서 못 탄다고 생각하는 나라
      외국에서는 선진국이든 후진국이든 10평대 집에 경차 소형차 타고 다녀도 잘만 살고 애만 잘 낳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눈높이가 너무 높음

    •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어차피 한국이 소멸하기전에 인류가 먼저 망한다 기후위기 시대에 우리나라 출산율이 정상인거고 전세계 모든 나라가 우리나라만큼 출산율을 줄여야 함 안그러면 인류가 공멸한다 지구에 인구가 너무 많음

    • @user-cj7bq9rp3g
      @user-cj7bq9rp3g Місяць тому

      아니 누가봐도 정부 경영인 언론때문이지
      시민들이 당하고 세뇌당하고 서로혈뜯고싸우게한
      이유가 그거말고 뭐가더본질이겠음?

  • @user-js1iz6xo1q
    @user-js1iz6xo1q Рік тому +50

    너무 재밌는데 짧네요 ㅜㅜ 다음에는 더 길게 만들어 주세요!!

  • @user-yr3sp8ri8p
    @user-yr3sp8ri8p Рік тому +59

    옛날에 돈이 없는데도 출산률이 높았지만 현재는 그러지못하는게 삶의 질이 높아지고 그걸 경험하면서 낮은삶의 질을 살기싫어서 그런것같습니다 어느 부모가 잘사는걸 경험했는데 아이에게 가난을 물려줄려고 할까요 옛날에는 대학만 가면 다 잘살았지만 지금은 대학나와도 잘살지 못하는걸 보는거랑 같다고 생각합니다 서울대도 30프로가 자퇴하는게 현재 우리나라의 현실입니다

    • @memenkim
      @memenkim Рік тому +1

      30%가 자퇴하는 이유는 수능다시쳐서 의대감.
      컷수준 지방의대 > 서울대 경영

  • @user-dv4zm8po4q
    @user-dv4zm8po4q Рік тому +122

    진짜 불세편살 평생 해줬으면 좋겠다 ㅠㅠㅠ 너무 재미있어여..❤

    • @user-cj7bq9rp3g
      @user-cj7bq9rp3g Місяць тому

      아니 누가봐도 정부 경영인 언론때문이지
      시민들이 당하고 세뇌당하고 서로혈뜯고싸우게한
      이유가 그거말고 뭐가더본질이겠음?

  • @user-br5jt3ut5r
    @user-br5jt3ut5r Рік тому +213

    저출산 이야기는 하나도 생각 안 나고 재열, 기동님 초반 썰만 기억에 남음ㅋㅋㅋㅋㅋㅋ

    • @dav2203
      @dav2203 Рік тому +1

      그것만 7분했으니까요 ㅋㅋ

  • @bboksil1203
    @bboksil1203 Рік тому +21

    진짜 오늘편이 제일 재밌어요 ㅋㅋㅋㅋ 항상 불세편살할때 술한잔하고 오시면 안되나요 ㅋㅋㅋㅋㅋㅋ

  • @jnr64646
    @jnr64646 Рік тому +201

    아무리 뉴스고 유튜버들이 떠들어도 나아질수가 없는 현실 ㅜㅜ

  • @user-nz5vl3xy4h
    @user-nz5vl3xy4h Рік тому +71

    흐어… 근데 웃긴데..너무 웃긴데.. 재열오빠 불쌍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수치사햇다 나였으면 ..느엉

    • @user-de4nu9ez9o
      @user-de4nu9ez9o Рік тому +1

      재열이 ㅈㄴ착하다 진짜 보통 남자였으면 자존심상해서 틀어짐 이미 ㅋㅋㅋㅋ

  • @96_ls
    @96_ls Рік тому +152

    가난해도 많이 낳았다고 하는데 그렇게 자란 사람이 가난하게 커온 현실을 직접 느꼈을테니까...
    자신의 자녀에게는 가난을 물려주기 싫은것도 있는거 같아요...😂

    • @kaluayoon
      @kaluayoon Рік тому +6

      그 시대는 60~70년생 얘기일텐데.. 62, 63년생인 저희 부모님도 삼시세끼 밥은 드셨다 합니다.
      지금 부모가 되는 80~90년생 세대는 솔찍히 부유하게 자란 세대죠. 저도 먹고싶은 음식 다 시켜먹으며 자랐고.. 힘들게 자라서 되물림하기 싫다기보단 편하게 자랐기에 고통을 기피하는게 아닌가 싶어요.

    • @ds2loy476
      @ds2loy476 Рік тому +20

      @@kaluayoon 그것보다 아이를 키움에있어 어렸을때 빈부에 벽을 느끼게 해주고싶지 않기때문일
      가능성이 더큽니다 우리나라 가난했을때 70프로이상 가난했고 가난한나라일수록 할일이 최소화되어 있기에 인간의본능인 성욕이 더 많이
      차지하게됩니다

    • @sooiin9601
      @sooiin9601 Рік тому

      @@kaluayoon 90년대생인데 어릴때 한달동안 사골뼈 하나 우려서 먹었는데 힘들게 살았어도 똑같은 이유로 애 안 낳고 싶은데요?

    • @kaluayoon
      @kaluayoon Рік тому

      @@sooiin9601 뭐 가정마다 개인차는 있겠습니다만.. 전 91년생인데 치킨 피자 햄버거 등등 서민적으로 보급된 시기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 같은데요.

    • @sooiin9601
      @sooiin9601 Рік тому

      @@kaluayoon 80~90년대생들은 편하게 자라서 고통을 기피한다길래 난 편하게 안 자랐는데 왜 기피하냐고 물어본건데 갑자기 무슨 햄버거,피자?

  • @user-rl7sy7wi5n
    @user-rl7sy7wi5n Рік тому +6

    오늘주제얘기하다가ㅋㅋㅋㅋ영상시간을보니깐
    재열님얘기가영상에절반이상이네여ㅋㅋㅋㅋ
    불세편살넘웃겨여❤😂❤

  • @user-bt6tq1mi8v
    @user-bt6tq1mi8v Рік тому +13

    이게 불세편살인가요 폭로전인가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 @his429
    @his429 Рік тому +2

    불세편살 30분 분량으로 나오면 좋겠습니닿ㅎㅎㅎㅎㅎ

  • @user-tk3vl3hx4m
    @user-tk3vl3hx4m Рік тому

    이번 내용 재밌었어요

  • @user-jf5ph5oz9y
    @user-jf5ph5oz9y Рік тому +1

    불세편살 좋아요~^^

  • @user-ou6ln2im3w
    @user-ou6ln2im3w Рік тому +149

    현서는 또 뭐라고 질렀길래 발언이 통편집된거야..ㅋㅋ

    • @user-rj7qh9gh4z
      @user-rj7qh9gh4z Рік тому +8

      ㅋㅋㅋㅋ현서 귀여워

    • @phj100700
      @phj100700 Рік тому +9

      오 예리해

    • @junhwanchoi27
      @junhwanchoi27 Рік тому +1

      컨디션 안좋으면 한회 빠져도 다들 이해할텐데, 처음에 보면 하품하고 표정도 그닥 ,

    • @user-ki4gf7hf9w
      @user-ki4gf7hf9w Рік тому

      ​@@junhwanchoi27 하품 하나가지고 개진상을 다떠네 ㅋㅋ

  • @user-be3ef8eg9g
    @user-be3ef8eg9g Рік тому +23

    학창시절엔 내가 뭘 좋아하는지도 모른채 그저 공부공부만 외치던 사회에서 공부만하고 성인이 되어서 방황하고 진짜 내 길을 찾다보니 내 인생이 소중한 것도 있는 것 같고,, 젊은시절의 우리를 키우느라 고생하신 부모님을 바라보며 부모가 된다는게 두려운 것도 있고,,! 이 현실에서 아이를 낳아서 잘 키울 수 있을지 두렵고ㅜ 걱정거리많은 세상에 아이를 낳으면 배가되는 걱정거리가 생기게 되고 그렇네요ㅜ 사실 딩크족은 아니지만 낳는거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커요

  • @user-fi7qp8yu1v
    @user-fi7qp8yu1v Рік тому +10

    어떤 공감되는 전문가 의견이 있었는데,
    옛날에 돈이 없어도 자식들을 많이 낳을 수 있었던 건,
    그 당시에는 대부분 농사를 했기 때문에 자식들을 노동력으로 쓸 수 있는데 (생산재-이익)
    지금은 자식들을 노동력으로 쓸 데도 없고 교육비 같은 돈만 나가기 때문에 (소비재-손해)
    굳이 손해 보는 일을 만들고 싶어하지 않아 한다 (출산률이 낮을 수 밖에 없다)고 하더라구요.
    게다가 집값도 비싸니 더욱 더 심하겠죠...

  • @baeminji
    @baeminji Рік тому +4

    이렇게 불편한 주제를 이렇게 유쾌하게 풀어내다니ㅋㅋㅋㅋ 핫도그의ㅈ능력!

  • @user-ly1eb2sj2r
    @user-ly1eb2sj2r Рік тому +4

    재열오빠..화이팅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z1hv3pr1p
    @user-pz1hv3pr1p Рік тому +28

    정부에서 지원을 더 많이 해줘야함

    • @bargainhunter6006
      @bargainhunter6006 Рік тому +4

      정부는 시민을 도와주지 않습니다.
      도와주는 척 할뿐이지
      변화하는 시대속에 자본주의가 자리잡는것도 시간문제입니다..

  • @TV-kk3xb
    @TV-kk3xb Рік тому +2

    재열이형지켜주라고!!ㅋㅋㅋㅋㅋㅋ

  • @user-zy8ew9gr8w
    @user-zy8ew9gr8w Рік тому +9

    자유주의를 신봉하는 사람으로서 저출산 문제는 결국에 어느나라든지 직면한다고 생각함
    속도의 차이일뿐이지 경제가 성장하고 교육수준이 올라가고 자유주의와 개인주의가 확산될수록 저출산은 당연히 올수밖에 없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저출산의 근본적인 해결은 어려울것같고 이민정책을 성공적으로 이행하는게 중요할거같음 오히려 저출산 문제때문에 이민 정책이 활성화되면서 자연스럽게 많은 국가들이 민족주의가 쇠퇴하고 미국처럼 다양한 인종들이 공존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함 하여튼 현재 대한민국의 저출산 뿐만이 아니라 국민연금 고갈,이공계 감소,지방 소멸,고령화,식량위기 등등
    너무 많은 문제들이 있어서 걱정이네요

  • @user-ej4gz4ss6s
    @user-ej4gz4ss6s Рік тому

    영상잘볼게요

  • @user-pu6rt4vl5g
    @user-pu6rt4vl5g Рік тому +23

    현서님은 이번영상에 사진만 넣어도 될법하네요
    골고루 의견을 좀 편집해주시면 어떨까요

  • @user-fh1cc8iy1n
    @user-fh1cc8iy1n Рік тому

    진짜 오랜만에 댓글 남기는데 너무 재밌었따 이번편ㅋㅎㅋㅎㅋㅎㅋㅎㅋ

  • @user-ilovemancity
    @user-ilovemancity Рік тому +12

    어제 이 저출산을 주제로 국어 수행평가를 완료한 후 저출산 불세편살이 올라오는것... 뭐지....? 운명인가..>?

  • @user-eo4sj8hk2m
    @user-eo4sj8hk2m Рік тому +11

    어떻게 말해도 돈문제로 갈 수 밖에 없는 부분 인것 같아요. 인터넷이 보편화 되면서 단점들은 현실적으로 들리지만(사교육비,노후자금준비 등)
    장점은 뿌듯하다? 사랑하는 사람 닮은 예쁘다? 등 약간 허상된 말이라서 크게 와닫지 않는것 같아요
    예전에는 부모가 자식 키워주면 자식이
    부모님 모시고 그런식 이였지만 요즘은 자식키우면서 집 마련,노후준비,시간투자 등 부담도 크고 자기 한몸 먹여살리기도 바쁜데 당연히 아이 가지기 힘든게 현실인것 같아요

  • @user-zl8ih4qu4l
    @user-zl8ih4qu4l Рік тому +8

    예전에는 다같이 가난하기도 했고 인스타그램이나 이런것들이 없어서 보여주기 삶이 아니라서 가족구성원이 중요했던것같아요 지금은 보여주기삶이 중요하고 가족보다는 개개인이 더 중요해져서 결혼이나 대를 잇기 위한 출산은 필요없어짐

  • @littlemina71234
    @littlemina71234 Рік тому +14

    솔직히 mz세대 잘못이라고 할순 없다고 봄 기존세대도 아마 우리와 똑같은 환경이 된다면 절대 낳지않을것같음

  • @user-kb6be3kl4e
    @user-kb6be3kl4e Рік тому +7

    커플 서로 디스하며 노는거도 한두번이지 계속 저러면 분명 싸움난다

  • @user-iq3ez7rz9x
    @user-iq3ez7rz9x Рік тому +92

    야...이건 불세편살이 아니라 정제열 공개처형 아니냐 ㅋㅋㅋㅋㅋㅋ

  • @user-kd5lk3uu1e
    @user-kd5lk3uu1e Рік тому

    이런컨텐츠진짜좋은거같아욤~저도올해임신해서첫째가졋는데고민이많앗거든여.근데이거보면서해결이쫌되서 ㅎㅎ

  • @user-kv3wm1hy3e
    @user-kv3wm1hy3e Рік тому +11

    10:33 여기서 기동님 말씀에 백번 천번 찬성입니다

  • @user-oe6ow5si1k
    @user-oe6ow5si1k Рік тому +8

    결혼한지 5년 다 되어가는 입장에서 아이를 낳을수가 없는게 애를 낳으면 필연적으로 애가 어린이집 갈때까진 누군가는 옆에 있어야 하는데 그럼 외벌이가 되고, 그럼 생활이 안됩니다.
    아이를 얼집 보내도 문제인게 하원할때 데리러 가야하는데 그럴려면 퇴근시간이 한 4시쯤은 되어야 하는데
    지금 나라에선 69시간 이딴 소리나 하고 있으니 더더욱 안되는거죠
    그냥 여러가지로 우리나라는 애 못낳는 나라가 되고 있어요

  • @user-tc1me3ed6z
    @user-tc1me3ed6z Рік тому +121

    동기들 사이에서 요즘은 내로남불 하지 않는 사람이 호구라는 말을 할 정도로 이기주의가 심합니다. 이기주의와 개인주의가 한 끗 차이라지만 MZ세대라는 이유로 내로남불이 당연하단 동기들의 생각이 저는 솔직히 이해가 안갑니다. 참고로 21살입니다.

    • @user-kv3wm1hy3e
      @user-kv3wm1hy3e Рік тому +1

      저는 현재고3 학생인데 알바를 하고있어요 그러면서 느끼는점이 저도 이분이랑 같은거같아요

    • @user-vm2cx1xp4t
      @user-vm2cx1xp4t Рік тому +1

      저는 현재 29살이지만 경제를 제외하며 사회초년생 갓벗어난 생각으로서 저희는 학교나 면접등 상대평가를 당연시하게 나온 배경으로인해 본인의 보호를 위하여 개인주위적인 사회가 된것이 아닌가싶습니다. 아님 말구용

    • @user-fe5hm5sf5w
      @user-fe5hm5sf5w Рік тому +4

      이기주의로 살아가야 이 ㅈ같은 사회에서 살아남으니까

    • @user-yf7eq9ss6q
      @user-yf7eq9ss6q Рік тому +4

      ​@@user-fe5hm5sf5w 뭘얼마나 치열하게 살아보셧나요?

    • @webd8012
      @webd8012 Рік тому

      @@user-yf7eq9ss6q 이것들은 뭐 안다고 얼마나 치열드립이냐 ㅅㅂ러마 누군가에게는 좆같은 세상이 숨쉬는 것만으로도 치열해 ㅅㅂ로마ㅡㅡ

  • @user-zu7kr4hv5h
    @user-zu7kr4hv5h Рік тому +4

    진짜 이번 편 무쳤다!! 정재열이랑 권기동 케미 무쳤고

  • @user-zs1fb8rk6g
    @user-zs1fb8rk6g Рік тому +14

    재열님 일은 들으면 재미는 있는데 좀 불쌍하네요..ㅋㅋ
    둘 사이의 문제지만 남자친구에 대한 배려가 없어보이는 행동 같아요..그리고 주제에 대한 문제점을 이야기 하는 코너인데 반절이 혼자 해결을 한 이야기라니..ㅋㅋㅋ 좀 씁쓸하네요 정말 중요한 이야기인데..개인적으론 아쉽네요..

    • @user-rw7yc2oh6p
      @user-rw7yc2oh6p Рік тому

      동감합니다 토론보다 자기위로 이야기가 반 이상을 차지하고 중요한 이야기는 안한건지 편집된건지 없는게 아쉽네요 웃기려는 마음이라면 이해가 가긴 하지만 불세편살이라는 컨텐츠에 방향성은 잃지않았으면 좋을텐대요..

  • @user-cr2pk8xz3x
    @user-cr2pk8xz3x Рік тому +1

    재열이형 성격 너무 좋다ㅋㅋㅋㅋ

  • @user-wu4dm8ul2w
    @user-wu4dm8ul2w Рік тому

    답을 찾기어려운 ㅠ 해결되고 개선되야 할것들도 많고

  • @user-fg6gz2ch9c
    @user-fg6gz2ch9c Рік тому +12

    부모님 세대에는 농사짓는 분들이 많았고 돈보다 자식을 낳는게 우선이었고 또 많이 낳아서 노동력으로 많이 썼었죠 저희 아빠랑 형제분들도 그랬고요. 근데 현재는 아이를 낳아도 부모가 자녀를 올바르게 키울 준비도 안됐을 뿐더러 경제적인게 뒷받침 되기가 정말 어려운 현실이더라고요... 저도 희연님 말처럼 아이를 책임져야 한다는 그 무게가 엄청 크기도 하고요...

  • @user-wl2lq6il5f
    @user-wl2lq6il5f Рік тому

    진짜 미쳤다ㅋㅋㅋㅋㅋㅋ

  • @strndvy93
    @strndvy93 Рік тому

    앞으로 불세편살 촬영날은 기동오빠 술먹고와즈세요 오늘 넘재미딴

  • @user-it1if6re3u
    @user-it1if6re3u Рік тому +4

    사실 우리 부모세대가 우리보다 훨씬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많이 낳으신 건 분명함. (집, 자동차 등 개인 자가로 준비 후 결혼한 사람 정말 손에 꼽음)다만 그때와 지금의 차이라고 한다면 과거엔 내가 노력하면 차도 사고 집도 살 수 있는 기회가 100명중 30~40명 정도에게 있었다면 지금은 100명중 최소 상위 10명 정도에는 들어야 노력해서 집을 살 수 있는 상황이 된 것이 문제..
    또한, 과거 여성들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해서 어쩔 수 없이 결혼을 해야하는 상황이었다면 현재는 남녀평등하게 교육을 받고 똑같이 좋은 직장을 구할 수 있는 상황이라 여성분들의 경력단절을 일으키는 결혼이 큰 메르트로 다가오지 않는다는 생각이 듦.
    게다가 요즘 젊은 세대들의 최대 특징은 사회, 단체의 행복보단 개인의 행복을 더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개인이 희생하고 책임을 져야하는 출산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회피하려는 모습이 많이 보임. (물론 책임감 있고 희생적인 젊은 분들도 많지만 평균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
    또 미디어의 발달로 출산에 대한 힘듦, 고통을 너무 적나라하게 다 알게 되면서 거부감이 많이 생기는 것 같음.
    ex)돈 없으면 애기를 낳으면 안된다. 애기를 키우면 몇억이 들고 얼마나 힘들다 등등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분명 정치인들도 인지를 하고 있고 해결책도 어느정도는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그 해결책은 아이를 낳는 부부에게 세금 절세해택, 아이를 낳지 않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세금 징수와 같이 반발이 크게 나올 수 있는 부분이 많아 표심을 잃지 않기 위해 쉬쉬하는 느낌이 강함 결국 대다수의 국민이 싫어하지만 국가를 위해 강단있이 출산 장려정책을 시행할 정치인이 나와야되는데 그게 그러지 못한다는 게 참 아쉬울 따름…

  • @user-hj8of5ow5v
    @user-hj8of5ow5v Рік тому +13

    소아과도 폐과됐던데… 여기저기서 아무리 떠들어봤자 딱히 심각성은 못 느꼈는데 소아과 폐과된 거 보고 좀 많이 충격이었음….

    • @user-sr4lf5gm8b
      @user-sr4lf5gm8b Рік тому

      근데 폐과되고 안되는 소아과병원 문닫고 하니까 잘되서 남아있는 소아과 오픈런해야해요;; 어린이집들도 문 닫는다는 뉴스를 봤는데 그럼에도 다니는 애기들 있고 태어나자마자 줄서야 한다고 하는데...정부의 지원이 꼭 필요한것 같아요

  • @btceth8695
    @btceth8695 Рік тому

    매달리면서 한다는 게 마음이 찡하네요ㅠ

  • @arblue9040
    @arblue9040 Рік тому

    탁자 밑에 강지 보신분 넘 귀엽네 ㅋㅋ 새근새근 잘 자네요 ㅋㅋ

  • @user-hz1im6kv4t
    @user-hz1im6kv4t Рік тому +5

    지방에 살고 있는 케첩이입니다. 수도권에 거주하고 계신 분들은 저출산 문제에 심각성이 크게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지만 지방에서는 벌써 문제가 조금씩 일어니고 있어요... 실제로 제가 마트에서 아르바이트했을 때 장난감, 아기 옷이 거의 팔리지 않았습니다... 이런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진 이유는 수도권 편중, 집값 상승, 적절하지 못한 대체 등등 다양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앞으로 심해질수록 서로 악영향을 끼쳐 위기의 심각성은 더 가속화될 것 같습니다. 아래 세대들은 진지하게 심각성을 인지해야 하고 위 세대들은 하루빨리 적극적이고 실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 같아요..

  • @Arazzu
    @Arazzu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난 최근에 본 짤이 너무 웃겼음
    저출산이 왜 2030의 숙제임? 고령화라고 7080죽으라고 안하잖아

  • @user-zw5cy7dw2g
    @user-zw5cy7dw2g Рік тому +26

    우리 현서언니 아무말도 못해쎠ㅠㅠㅠ

  • @user-wr8wg2wc2y
    @user-wr8wg2wc2y Рік тому

    사태의 심각성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doma7
    @ddoma7 Рік тому +7

    올해 43살입니다.
    저출산이 젊은 층의 문제라고 치부하는 건 기성세대가 자신들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개소리입니다.
    집도 집인데 밥 먹는 것 부터 옷 입는 것 까지 모두가 다 돈입니다.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돈이 아니라 어마어마한 돈이 듭니다.
    저도 22살에 서울 올라와서 제대로 된 여행 한번 못 가보고 계속 일만 했습니다.
    지금까지 이 나라의 시스템을 이렇게 만들어 놓은 게 누구인가요?
    죽어라 일해도 집 한 채 못 사게 만들고 젊은이들이 죽어라 공부해서 대학 가면 등록금 때문에 빚부터 짊어지고 사회생활하게 만든 건 누구인가요? 대학 졸업하고 취직하려는데 몇 년간 또 고생해야 겨우 취업하게 만든 건 누구인가요? 그렇게 취업해도 대기업 아닌 중소기업이라면 집 한 채 마련할 수 있을까요? 어찌어찌 결혼한다 쳐도 정상적인 결혼 생활이 유지가 되겠습니까?
    옛날엔 모두 어려웠지만 다들 애 낳고 잘 살았다고요? 그땐 희망이라도 있었고 먹고 살 방법이라도 있었죠~ 그리고 대부분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니 주변 사람과 크게 비교되지 않는 시절이었으니 가능했던 거죠~
    지금 어디 가서 열심히 일한다고 빚 갚고 집 사고 내 가게 하나 마련하는 게 그때처럼 가능한 세상입니까?
    여기저기서 뭐만 하면 억억거리고 겨우겨우 모은 전세자금도 툭하면 깡통전세로 날아가는 세상인데 그때랑 비교하는 건 어불성설입니다.
    솔직히 지금 젊은 세대들이 이런 사고방식을 갖게 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게 누구겠습니까? 그네들이 지금과 같은 소비문화를 누리면서 가장 이득 본 게 누굽니까?
    기성세대들이 젊은 세대들 단물만 쪽쪽 빨아먹고 책임만 따지는 거 진저리 납니다.
    이딴 식이면 이 나라는 망하는 게 맞습니다.

    • @user-iv2nv8sw6h
      @user-iv2nv8sw6h 10 місяців тому

      43세이지랄하네

    • @user-iv2nv8sw6h
      @user-iv2nv8sw6h 10 місяців тому

      남탓하는거부터 나이거꾸로 처드신거임

  • @oam2040
    @oam2040 Рік тому +31

    현서님 오늘 컨디션 안좋아보이네 근데도 예쁨

  • @syooon620
    @syooon620 Рік тому +26

    생각을 다르게 하면 자기 자신이 아직 부족하다고 생각하니까 아이를 낳을 여유가 없다고 생각될 수 있을 거 같아요.. 완벽함을 추구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거 같네요.
    그리고 미디어나 그 외에 뉴스 그런 인터넷에서 보이는 맞벌이 부부의 경제 상황이나 임산부가 받는 부당한 대우나 아이를 낳아서 기를 환경이 되지 못하는 그런 이유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모두 그런 대우를 받는다는 게 절대 아님 종종 보이는 그런 글들이 스쳐 지나가면서 사람에게 또 다른 부담이나 걱정이 된다는 겁니다.)

  • @user-ds9dh4wh5i
    @user-ds9dh4wh5i Рік тому +3

    지금 인생에 만족하고 열심히 살고 나름의 행복을 느끼려 노력을 하고 있지만,
    너무 힘들다. 지금 국내외 정세를 보면 지금보다 더 힘들어지지 희망이 보이지 않는데,
    내 자식들에게 이런 것들을 물려주고 싶지 않다. 지금 사는거보다 더 힘들다면 어떻게 살아..?
    단순히 아이를 키우기 힘들다의 문제는 아닌듯해요. 아이를 키우는게 힘들지만, 그만한 행복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있는건데,
    우리는 그것보다 더 미래를 내다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비관적인 입장일수도 있지만.. 뭘 하든 나아질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낳고 싶습니다 3명! 아들 딸 아들

  • @user-lv8uw6yd6w
    @user-lv8uw6yd6w Рік тому

    핫도그가 공룡멸종이야기하니 새롭네

  • @_reddevil2554
    @_reddevil2554 7 місяців тому

    기동이형 화이팅!

  • @Uspaceluv
    @Uspaceluv Рік тому +1

    체크메이트 개웃기넼 시밬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nh2dy2tw8f
    @user-nh2dy2tw8f Рік тому +3

    아이를 키우는 난이도가 너무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분명 90년대초반 생들 어릴 때만 하더라도 예의없는 아이들 주위 어른들이 주의 줄 수 있었고 부모님들이 그걸 부끄러워 하고 체벌 할 수 있었죠
    그런데 지금은 인터넷의 영향일 수 있지만 선뜻 남의 아이 버릇없이 굴어도 뭐라 못합니다 아이 부모님들은 체벌 하긴 하나요 때리는걸 죄악시 하는데 말이죠..
    또 이웃 간 공동체의 붕괴도 영향 있다고 보구요
    비단 신세대냐 구세대냐의 문제보단 아이를 키우는 것에 있어 잣대가 높아졌다라고 봅니다. 아이들 뛰어노는 것, 시끄러운 것 관대한 어른들 이제 많이 없죠
    인권이 너무 높아진 것도 있을것 같아요 오은영 선생님 말씀처럼 아이가 생산재에서 소비재로 바뀐것도 있구요
    지금 결혼 안한 30대 남자인 저의 입장에선.. 그렇게 귀한 아이를 내가 잘 돌볼 수 있을까,, 라는 마음에 아예 생각조차 못하게 됩니다

  • @baebae834
    @baebae834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출산 문제에 과거는 가난해도 낳았다는 말보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가 변했다 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모님시대에는 뭐모르고 낳았다면 부모님은 똑같은 가난 되물려주기 싫고 자식들은 커보니 자신 혼자 살아가기에도 이렇게 빠듯하고 힘든데 아이를 책임질 준비가 안됐고. 환경 및 여건 그 외 기타 문제들이 모두 있기에 생겨난 것 같네요..

  • @user-ph2vs7zl8u
    @user-ph2vs7zl8u Рік тому +4

    재열이형 몇년전 영상 보니까 제일 잘생겼던데

  • @user-cf5od8eh3u
    @user-cf5od8eh3u Рік тому

    그러게요 어릴땐 애기몇명낳고싶다! 했는데 커가면서 정말 쉽지않다는게 느껴지네용

  • @Kkhapoo
    @Kkhapoo Рік тому

    가정을 꾸려 행복을 느끼며 자신의 몇몇을 포기하면서 살기엔 세상에 누릴 것들이 너무도 많아진것도 있고, 과거와는 달리 현재로선 내집마련 조차도 이상과 꿈이 되어버렸으니.. 세상이 달라졌기에, 가치관 또한 변할 수 밖에.. 현실적으로 내 앞가림하기 바쁜..너무 안타까운 현실이죠

  • @user-dc7re6nf9j
    @user-dc7re6nf9j Рік тому +2

    현서님 이번 영상 미모 진짜 ㄹㅈㄷ다ㅠㅠㅠㅠㅠ0:35 개이쁨 진짜..

  • @user-lx3ux4sj5t
    @user-lx3ux4sj5t Рік тому +4

    음.. 돈이 없어도 아이 낳아서 힘들게 키웠는데 그걸 보고 겪으면서 자란 지금의 30대나 비슷하게 겪은 20대들은 그걸 되물림하기 싫기때문에 경제적 여유가없이는 결혼도 아이도 포기하는거같아요... 말씀대로 경제적 여유를 갖기에 월급으로는 내집마련하는것도 벅찬게 현실이니까요...

  • @user-yt3ou2hk2i
    @user-yt3ou2hk2i Рік тому +4

    저희나라 ㅋㅋㅋㅋ

  • @cookingstorytv
    @cookingstorytv Рік тому

    연애 사연 상담
    해주면 좋겠네요
    재밌을것 같음

  • @goodboywow5535
    @goodboywow5535 Рік тому +2

    저출산 문제가 결코 쉽지는 않은 문제인건 맞죠...현 인구가 유지되기 위해선 그래도 2.25명은 낳아야 하는데, 그게 쉽지도 않고, 지금 대한민국은 유례없는 인구절벽에서 인구소멸로 넘어가는 시기이기도 하고, 제 나이가 40인데, 인정할건 해야할듯...요즘 젊은 사람들한테 결혼하란 말을 못하겠음...pir이 심할땐 30넘어갈때도 있었고, 뭐 지금은 좀 내려가긴 했지만 여전히 20 에서 왔다리 갔다리 하는거 보면, 비정상이라고 밖에는....가난할때도 애기를 낳았다고 하는데, 그때의 애기는 아마 노동력의 의미도 어느정도 있었고, 피임에 대한 이해도 좀 떨어지는 시대였으니까, 그리고 남녀사이의 롤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것도 아니고, 과거에는 애하나를 키우는데 마을하나가 필요하다는 말이 나올정도로 사회적인 지원도 필수인데, 지금은 그것도 없고, 뭐 길게 쓰긴 했는데..솔직히 계속 젊은이들이 결혼 안하고 애 안낳았으면 좋겠음...한번쯤 앓고 넘어가고, 정치인도 사회도 개인도 전부다 한번쯤 쓴맛을 봐야 정신을 차리지..

  • @user-cb6nq1fj9h
    @user-cb6nq1fj9h Рік тому +1

    집도그렇고 현실적으로 내가 좋은엄마가 될수있는가라는 스스로한테 질문도 하게되고(나도 집살라고 허덕이는데 내자식은 그렇지않기위해 이왕낳으면 힘들지않게 경제적으로도 뒷받침해주고싶은데 그게 현실적으로 어려울거같고🥹) 출산후 직장문제등 현실적인 문제가 해결되야된다고 봐요 실제로 저는 직장을 이직하려고 전화드렸다가 기혼이라는 이유만으로 육아휴직 해줄 여유가없다며 면접을 보기도전에 전화상으로 이런말을 들어야했거든요 그땐 심지어 출산계획도없었는데😅

  • @user-cj9lr5yo6m
    @user-cj9lr5yo6m Рік тому +8

    0:56 진짜 무식한건가

  • @user-vs6vj8do1q
    @user-vs6vj8do1q Рік тому +1

    와 현서언니 흰티에 청바지 너무 잘어울린다

  • @user-cw6nt9fh2k
    @user-cw6nt9fh2k Рік тому

    왕기다렸는데앗싸

  • @IDA5446
    @IDA5446 Рік тому +1

    저출산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집, 사교육, 아이에 대한 사랑으로도 다 감당이 안 되는 육아의 고통.
    그럼 해결책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이나 문제 해결이 나와야하는데, 이걸 젊은이들이 이기적이라서 문제라는 비방으로 끝내버리니 해결이 안 되는 것. 설령 아무리 요즘 젊은 세대가 이기적이라고 해도 결혼하고 육아를 하는 것의 리스크가 크지 않다면 대부분은 자기 가족을 가지고 싶은 마음이 있을 것입니다. 자기 자신조차 감당 못 할만큼 사회생활 자체의 위기가 크게 느껴지는데다 결혼하고 육아를 하는 것이 너무 리스크가 크니까 미리부터 포기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일찍부터 포기를 했으니 한편으로는 그것을 포기한 삶의 긍정적인 부분을 더 크게 느끼려고 하는 마음이 커지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이 포기한 부분의 가치는 더 낮게 보려는 마음도 커지게 되는 겁니다. 그러니 결혼과 육아의 힘들고 나쁜 점들이 더 부각되기도 하지요.
    이게 단순히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이 많아져서 그런거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렇게 따지면 미국이나 유럽은 지금쯤 0.2 정도로 내려갔어야 할겁니다. 무관하지는 않지만 전부도 아니죠.
    이미 저출산 문제는 리스크가 없이 해결할 수 있는 시기를 지났다고 봅니다. 이제는 다른 분야에서 손해를 감내하고 가장 먼저 이 문제부터 돌봐야 합니다.
    일단 결혼한 부부 및 육아 중인 부부에 대하여, 자녀 수를 기준으로 거주를 위한 주택에 있어 확실한 메리트를 줘야 합니다.(대출이자 좀 줄여주는 수준이 아니고 그보다 더 확실한 메리트가 필요)
    그리고 과도하리만치 비싸고 자녀교육에 있어 과도한 영역을 점령하고 공교육을 무너뜨리고 있는 사교육을 과감하게 제재해야 합니다. 사교육 종사자 분들에겐 죄송한 일이지만, 앞서 말했듯이 이제는 사회적 리스크 없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기는 지났습니다.
    그리고 프랑스 등과 마찬가지로 육아 보조를 위한 국가적 복지 시스템을 더 확장해야합니다. 출산, 육아 휴직은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지금도 초등생들 돌봄교실 떨어지면 학부모들 난리가 납니다. 부모의 사회생활 유지와 더불어 경제적 부담을 주지 않는 아동 돌봄 시스템이 갖춰져야 합니다.

  • @y_5442
    @y_5442 Рік тому +83

    예전에 돈이 없어도 7-8명 낳았다는 세대는 지금이링 다른거 같아요 그땐 집에 넝사일히고 집안일해야해서 낳았다고 증조 할아버지께 들었어요

    • @user-um8dz6ez8y
      @user-um8dz6ez8y Рік тому +29

      그때는 가난했어도 전부 집 한채씩은 가지고있었죠

    • @user-rd3rt5ct9c
      @user-rd3rt5ct9c Рік тому +16

      아빠왈 정보가 많이 부족해서 아이 낳는 게 당연했다고 함, 요즘은 돈 있으면 낳고 없으면 낳지 말아야 한다는 정보력이 생겨난 거고. 가난한 데 낳고 애 방치하는 집들은 아동학대

    • @user-tj6ws5ys8c
      @user-tj6ws5ys8c Рік тому

      ​@@user-hg6qs3rf4e 헬조선 백성들이 남 눈치를 너무 보고 허영심에 찌들어서 그렇지

    • @user-kf8wh1in9n
      @user-kf8wh1in9n Рік тому

      하지만 전쟁통에도 애기는 태어났죠

    • @user-js6jz5sv5b
      @user-js6jz5sv5b Рік тому +6

      그때는 이렇게 집값이 오르지도 않았고, 노동력 가장 중요한 시기였기 때문에 애를 많이 낳았고 또 그렇게 가난하게 살면 힘들다는걸 알고 큰 애들이 결혼을 안 하고 자기 인생 조금이라도 더 여유있고 행복하게 살고 싶어하는거죠. 정상입니다.

  • @user-ix9oq8nn2y
    @user-ix9oq8nn2y Рік тому

    출산의 위험과 후유증, 몸의변화를 이젠 잘 알고있고 준비되지않은 출산이 미치는 부정적인 면도 잘 알고있죠
    막연히 애낳기싫어 라기보다 금전적 심리적 준비되지않은 상태에서는 내 아이가 행복하지않을거라는 생각도 크게 작용할테고 그런 스스로의 기준치가 채워진다면 달라질거라고봐요
    아직은 그런면에서 지원을 받거나 채워질수있는 요소들이 너무 부족하죠
    가난해도 애 낳았다 핑계다라는 분들도 있지만 본인의 인생을 희생하며 나를 낳아준 부모님을 보면서 감사함도 느끼지만 분명 다른감정도 느꼈기에 저 말이 온전히 안받아들여질수밖에..

  • @user-jt8rm5yi9r
    @user-jt8rm5yi9r Рік тому +5

    너무 짧게 짧게 내용이 끊기니까 저출산에 대한 각자의 입장이 좀 덜 담긴 것 같아요,,,!
    완전 공감되는 주제여서 조금 아쉬워요ㅠㅠㅠㅠ

  • @user-eo5ko2vr6n
    @user-eo5ko2vr6n Рік тому

    01:34 기동님 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gr4os6ph7h
    @user-gr4os6ph7h Рік тому

    누군가를 만나서 함께 행복하기 위해 살아야 되는데
    쟤를 만나서 내가 행복 할 수 있을까?
    를 고민하기 때문에 나아질수 없지

  • @Juheegoingtogirl
    @Juheegoingtogirl 5 місяців тому

    꺄 제리 넘 귀여웡

  • @user-rw7yc2oh6p
    @user-rw7yc2oh6p Рік тому +1

    영상에 반이 자기위로 이야기고 나머지는 편집된건지 토론내용이 거의 전무해서 아쉬웠어요

  • @2NumAki
    @2NumAki Рік тому +1

    세금제도 문제…..

  • @Musicpackage--7
    @Musicpackage--7 Рік тому +13

    저출산의 가장 큰 부분은 정책인거 같은데..ㅎㅎ

  • @Kimoojoungjin
    @Kimoojoungjin Рік тому +2

    여유가 없는게 젤 큰 문제같음.. 여유가 있으면 마인드가 바뀌지 않을까요

  • @Graviton06
    @Graviton06 Рік тому +10

    스웨덴에서 거주하고 있는데 한국과 다른점은 동거 합법, 남성에게도 의무적으로 부여된 육아휴직임. 부모에게 각각 240일(총 480일)의 휴직기간이 제공되고, 240일 중 195일 동안은 월급의 80%가 지급됨. 덕분에 여성들의 경력단절 부담감 또한 적은편임. 물론 복지국가인 만큼 세금도 많이내는 편이지만..이 정도의 노력도 하지 않고서는 대한민국의 출산율은 결코 반등할 수 없다고 생각함

  • @user-gs5xz3wc8j
    @user-gs5xz3wc8j Рік тому +1

    자유민주주의에서 희생을 강요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거임. 그니까 반항 심리가 생기고 서로 갈라지고 문제가 더 극대화 되는거지. 제발 권유라는 단어를 잘 활용했으면 좋겠음.

  • @_____Lemon
    @_____Lemon Рік тому +3

    개인적으로 연금 개혁을 내 부모가 받는 걸로 했음 좋겠어요. 내가 지금 내는 연금을 내 부모가 받는 거라면 아깝지도 않고, 나도 자식을 낳아야 연금 받을 수 있으니까. 자식 많이 낳은 사람은 연금 많이 받을 수 있는 거고, 자식 안 낳은 사람은 못 받는거죠.

  • @user-hj8of5ow5v
    @user-hj8of5ow5v Рік тому +1

    불세편살 라이브로 해줘요!! 넘 잼써 ㅋㅋㅋㅋㅋㅋ

  • @ad_finem
    @ad_finem Рік тому +7

    경제적 여유가 없는게 제일 큰 문제인데, 사회적인 분위기가 애 키우기 어렵게 만드는 것도 있는듯. 애들은 원래 시끄러운거고 그런 애들을 어느정도 품어줄 수 있어야하는데, 지금 성인이 된 우리 모두 그런 배려를 받고 자랐음에도 조금만 시끄러우면 눈치주고, 노키즈존도 엄청 많고 어디 애를 데리고 나가는게 힘들고, 회사에서도 갓난애들 키우는걸로 배려받기가 어려우니까 더더욱 애 낳기 힘들어지는것 같음.
    물론 식당 등에서 애들 그냥 방치하는 진상들은 문제지만.

  • @user-xn1bi4ry9w
    @user-xn1bi4ry9w Рік тому

    11:32 패드립 레전드ㅋ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ㄱㅋ

  • @user-wb1rc4os2l
    @user-wb1rc4os2l Рік тому +2

    고냥 돈 많은 사람들 끼리 만나게 하지 말고 돈 많은 쪽이 책임 질 수 있게끔 해서 다부다처제 해버리면 출산률은 올라가겠네

  • @user-so3gu4zs1x
    @user-so3gu4zs1x Рік тому +3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내가 재벌이 아닌이상 대한민국 은 딥이 없음 경제적인문제도 크지만 사회문제가 제일 심각하네요 내아이가 커서힘들게 사는거 바라는 부모는 없습니다

  • @user-ck8lu8wt1q
    @user-ck8lu8wt1q Рік тому +2

    갑자기 폭로전이 되어버린..

  • @user-np7gg9xx6v
    @user-np7gg9xx6v Рік тому +6

    ㄹㅇ진째 핫도그 너무 개 재밌음
    핫도그 시트콤,yes or no,진짜 몇번봤는지..모르겠다..ㅎ명작은 알고도 계속 찾는법..

  • @KM--tj7zk
    @KM--tj7zk Рік тому

    고령화사회의 가속이 저출산의 또다른 원인임

  • @user-nq7gi5dd3x
    @user-nq7gi5dd3x Рік тому

    7:12 무슨 사이트??

  • @user-mi7zi9ec4o
    @user-mi7zi9ec4o Рік тому

    딱맞는말만햇네 ㅋㅋ

  • @bcj1273
    @bcj1273 Рік тому +1

    그러다보니 결혼 생활이 지옥같았던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것도
    자유연애가 가능해지니
    결혼이 더힘들어지게된 원인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 @user-zd6lo2gy1c
    @user-zd6lo2gy1c Рік тому +6

    희연님이 왜 mz 정석인지 모르겠어용 다들 저런 생각이지 않습니당 ㅠ

  • @jeen6468
    @jeen6468 Рік тому

    영상 내용은 정말 재밌는디
    현서 누나가 말씀이 거의 없네오 ㅠ ㅠ😢
    무슨 일인진 잘 모르겠지만 기운내셔서
    예쁜 미소 보여주세요 😊 기다릴게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