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레이니75상옵 사용자 입니다 영상 1:08부터 사용하시는 드라이버는 어떤 모델인지 알 수 있을까요?̊̈ 짬날때마다 이것저것 꽂아 돌려보고 있으나 육각나사가 돌아 갈 생각이 없고 한참 쳐다보다 대가리만 벅벅 긁은지 2박 3일 째 입니다 ༼;´༎ຶ༎ຶ༽ 어떤 드라이버를 구매해야 하는지 알고 싶어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1. fr4 보강판이 처음에는 빡빡한데 2-3번만 스위치를 꼇다가 빼면 꽤 괜찮아집니다. 하부가 두꺼운 순으로는 (하부 큼) SWK - BSUN - 대부분의 스위치 - HMX (하부 작음) 순인데 SWK 는 좀 빡빡할거에요. SWK 스위치가 유독 하부가 뚱뚱이입니다. 2. 로우한걸 좋아하면 PP 보강판이나 PC 보강판 추천드려요. 레이니75 기준으로 FR4 랑 체감이 적지 않아요. PP 가 PC 보다 좀 더 텁텁한데 FR4 처럼 큰 차이는 아니라서 구하기 편한걸로 구입하셔도 될 것 같아요.
메뉴얼에는 캡스락 아래 무선 스위치를 off 하면 베터리를 사용 안한다고 하는데, 충전이 된다는 후기가 꽤 있어요. 그리고 저도 유선으로만 쓰는데 스웰링 현상은 없습니다. 베터리 스웰링(부풀어 오르는 문제)은 대부분 베터리 결함이고 그 외는 과충전 문제인데, 정상적인 키보드는 대부분 80-90%까지만 충전하게 설정 되어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아직까지 키보드의 배터리 스웰링 사례는 지극히 적습니다. 좀 신경쓰인다 싶으시면 컴퓨터(노트북의) usb c 단자에 꼽지 않는 걸 추천드리고(기본 케이블이 USB-A 단자인 이유) 가능하면 USB 1.0 단자에 꼽으세요. 기계식 키보드는 USB 1.0(5V 2A)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pp와 pc는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보통 동일하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중간 옵션은 보강판이 pp 지만 스위치가 하이피치입니다. 상 옵션은 보강판이 fr4라서 간결하고 pp대비 하이피치지만 스위치가 중간피치 정도 되구요. 보강판을 교체하는건 아무래도 귀찮고 시간도 많이 들고 처음이면 부담스러우실거에요. 개인차는 좀 있겠지만 레이니75 구성이 도각한 저음이 나는 키보드는 아니에요. 구입 후 스위치를 바꿔서 쓰겠다라면 중옵 추천드리구요(중옵 스위치가 많이 하이피치에요). 일단 쓰다가 스위치를 교체하겠다라면 상옵 추천드립니다. pp와 fr4 보강판 체감보다 스위치를 바꾸는 체감이 훨씬 커서 천천히 바꿔보는 것 도 재미있을거에요. 보강판을 샤프한 소리 -> 둔탁한 소리 순으로 나열하면 카본,알루미늄,fr4,pc(pp) 순입니다. 언젠가 한번은 스위치를 교체해 보고 싶으실거에요.
저도 마르스 프로 정말 좋아했었는데 ㅎㅎ 10년 전 이야기네요. 플렉스컷 pc보강판이 빼는건 크게 문제가 없어여. 보통은 스위치를 꼽을때 보강판에 스위치가 걸리는게 아니라 눌릴때가 있어여. 이럴때는 보강판을 손으로 들어서 올려줘야 하거든요. 그래서 가능하면 분해하고 꼽는 걸 추천드려요. 그리고 중앙부터 바깥쪽으로 나가면서 꼽으면 분해 안해도 그나마 괜찮으실거에여. 눈으로 하나씩 확인하면서 해주시는게 제일 중요해요
뭐라고 답장을 해야 할까 엄청 고민했습니다 ㅎㅎ 상옵션(wob 축)인 것 같은데요. 바닥치는 느낌이 나는건 소위 바닥치는리니어(바치리)라고 스템 길이가 13.3mm 이상 되고 실제로 스위치에 바닥을 폴(기둥)이 치는 것 때문인데요. 체리 스위치는 스템 몸통이 하부를 치기 때문에 조금 느낌이 달라요. 스위치 때문인지 보강판 때문인지 사실 개인차가 심한데 제 생각에는 보강판을 먼저 교체해 보시면 좋겠어요. 아마 타이핑하실때 스위치 끝까지 누르시는 것 같아요. 스위치를 바꿔서 테스트해 보시더라도 아마 보강판은 미리 교체하시는게 더 나을 것 같아요. 보강판을 먼저 교체해 보시고 나중에 스위치를 교체해 보세요. 키압이 높아서(무거워서) 통증이 있는지, 바치리 방식의 스위치가 안맞아서 인지는 하나씩 해보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타건감은 스위치의 영향이 보강판 보단 큰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베이스를 미리 바꿔 두시면 마음 편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리고 스위치 1개씩도 파는 곳들이 있으니 한번 구입해 보세요. HMX 스위치는 안맞으실 거구요. BSUN(비선)이나 하이무 스위치가 잘 맞으실 것 같아요. 가스켓 방식 중에서 레이니75가 비교적 단단한 편이에요. 엄청 물렁물렁한 가스켓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요건 참고로 알고 계심 좋을 것 같아요.
@@ohoh8509 제 생각에는 오링은 크게 영향이 없을 것 같구요. Bsun 오로라 축이 막 유명한 스위치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네요. BSUN 스위치로 저압은 MMD vivian 비비안이 괜찮습니다. 중국내에서도 인기가 많고 유튜브 찾아보심 꽤 나올거에요. bsun 제조 스위치 입니다. 토요일 쇼핑몰에서 판매중이에요. 거기에서 낱개로도 파니 한번 구입해 보세요. 오링 효과를 보시려면 댐퍼가 있는 저소음 스위치도 한번 생각해 보세요. 같은 쇼핑몰에 오테뷰 피치도 한번 시도해 보세요.
@@Mango01010 그건 진짜 복불복이긴 해요. 윤활은 꼭 하셔야 되고 철심 수평은 모든 스테빌이 운빨이 커요. 백스페이스는 사실 잘 안나야 되거든요. 2u 철심 여러개니 바꿔서 해보시면 되고 6.25 스페이스 철심은 운 영향이 커요. 막용두가 있으면 좀 더 좋아서 나이트 스테빌을 쓰는건데 제가 아는 한 보강용은 막용두가 없어서 cmmk 스테빌이 제일 인지도도 놓고 좋아요.
하부 케이스 pet필름(베터리 위)은 살려두시는게 좋아요! ixpe,pet 필름은 꼭 빼시구요. 하부폼이랑 플레이트폼은 넣었다 뺐다 해보세요. 개인적으로는 하부폼은 빼고, 플레이트폼만 살려두는게 더 좋았습니다. 플레이트폼이 없으면 보강판 기판이 모두 플렉스컷이 되어 있어서 스위치 결착이 힘들었고 플레이트폼은 폼떡 소리가 크게 안난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자세한 리뷰 감사합니다 레이니 구매했는데 좌쉬프트키가 키캡 교체하다가 엄청 먹먹해졌어요 누를 때도 힘이 더 들어가고 올라올 때도 좀 뻑뻑하게 올라오거든요 키캡 다른 거 여러 개로 해봐도 같은 증상인 걸로 봐서 키캡을 뽑다가 스태빌이 문제가 생긴 듯 한데 키캡과 스위치만 제거하고 스태빌을 빼내고 다시 결합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제 생각에도 스테빌라이저에 뭔가 문제가 생긴 것 같아요. 보강판 스테빌이라서 스위치, 키캡만 빼면 가능합니다. 먹먹해 지는 경우가 키캡을 끝까지 안껴서도 생기는 증상이거든요. 옆 키캡이랑 높이가 비슷한지 한번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스위치를 다른 걸로도 교체해 보세요. 보통은 철심소리가 늘어난거라면 스테빌 철심 수평 문제가 많고, 지금처럼 늦게 올라오고 늦게 내려가는 경우 과윤활이 된 경우입니다.
네 손윤활했습니다(205g0, 105). 딸기와인이나 비선 로우랑 다르게 공장윤활이 얇은 편이라 전후 차이가 좀 있습니다. 3번 구입한 스위치인데 여전히 만족스럽습니다. 다만 조금만 과윤활되면 하부하우징 스템홀에 윤활제가 잘 고여서 쩝쩝거려요. 휴지로 말아서 딱아내면 괜찮습니다. 내가 고생할 뿐;; 클래키 빌드에는 런던포그 추천하지 않고 폼떡이라면 추천합니다!
양면 테이프로 고정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어요. 생각보다 단단하게 붙어 있기는 한데 가능해 보입니다. 다만 캡스락 자리에 무선 on,off 토글스위치가 있어요. 저도 유선만 써서 토글 스위치 off 상태로 쓰고 있습니다. 토글 스위치 off로 두면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상옵이고 중옵도 쳐봤거든요. 2가지를 비교해 보면 중옵이 상옵보다 하이피치이고 상옵이 일반적으로 봤을때 살짝 하이피치입니다. 보강판, 스위치가 다르다보니 드라마틱한 정도는 아니지만 차이가 좀 있습니다. wob축(jwk 제조)은 중간 피치이고, 바이올렛축이 hmx 제조사라 그런지 하이피치인데, fr4 보강판(상옵)에 바이올렛 축을 넣으면 더 하이피치가 될 것 같아요. 결론은 스위치만 바꾼다고 완전히 똑같이 할 수는 없고, 상옵 사용해 보시고 결정하세요. 받아보시면 그대로 쓰실 확율이 높습니다.
키가 입력이 되면 rgb 전체가 고장나는 일은 좀 드문데요. 백라이트가 꺼진거 같아요. 블루투스 무선 연결해서 쓰고 계신건가요? esc는 충전 상태, F1은 불루투스 연결 표시 입니다. 백라이트 설정을 다시 해보세요. ●RGB 끄기 Fn+백스페이스 ●RGB 모드 변경 Fn+|\ ●RGB 색깔 변경 Fn+엔터 ●RGB 밝기 조절 Fn+윗,아래 방향키 ●RGB 속도 조절 Fn+좌,우 방향키 마음 편하게 초기화. ●설정 초기화 Fn+esc 길게 꾸욱
10개 정도 소재, 브랜드별로 하나씩 사서 테스트 해봤을때 제 경험으로는 pbt 전승/염료승화 1.4mm 이상(hammer, shenpo, epbt, jc스튜디오 부추)이 쏘키하고, pbt 이중사출(고스트저지)은 이보다는 클래키하고(abs 보다는 로우한 소리), 좋은 abs(gmk, 키코보, 도미키, kbdfans 일부, 린웍스)는 클래키하고, 싼 abs는 소리가 날리고;;; 말씀들어보니 영상 만들때 설명을 좀 더 제대로 할 것 그랬네요. 말씀 주신 것 처럼 다음에는 구분해서 만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영상보고 고민고민 하다가 PP보강판을 구매했습니다. 도착하게 되면 영상보고 잘 따라하겠습니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별 문제 없이 하실거에요.
안녕하세요 레이니75상옵 사용자 입니다
영상 1:08부터 사용하시는 드라이버는 어떤 모델인지 알 수 있을까요?̊̈
짬날때마다 이것저것 꽂아 돌려보고 있으나
육각나사가 돌아 갈 생각이 없고
한참 쳐다보다 대가리만 벅벅 긁은지
2박 3일 째 입니다 ༼;´༎ຶ༎ຶ༽
어떤 드라이버를 구매해야 하는지 알고 싶어요!
감사합니다.
전 미지아(샤오미) 드라이버 세트 수동으로 6년 정도 쓰고 있어요. 스웨그키 난치 드라이버 같은 걸로 구입하셔도 되구요.
영상잘봤습니다~!
혹시나 해서 질문드려요
상옵사용중인데
1. fr4보강판에서 스위치교체할때 빡빡해서 안맞는 스위치가있다는데 아무거나 사도 괜찮은지
2. 로우한걸 좋아하면 pp보강판을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1. fr4 보강판이 처음에는 빡빡한데 2-3번만 스위치를 꼇다가 빼면 꽤 괜찮아집니다. 하부가 두꺼운 순으로는 (하부 큼) SWK - BSUN - 대부분의 스위치 - HMX (하부 작음) 순인데 SWK 는 좀 빡빡할거에요. SWK 스위치가 유독 하부가 뚱뚱이입니다.
2. 로우한걸 좋아하면 PP 보강판이나 PC 보강판 추천드려요. 레이니75 기준으로 FR4 랑 체감이 적지 않아요. PP 가 PC 보다 좀 더 텁텁한데 FR4 처럼 큰 차이는 아니라서 구하기 편한걸로 구입하셔도 될 것 같아요.
@@DeepDiveOn 감사합니다^^
@@BlackSkirt 추석 잘 보내세요
저도 연보라레이니를 PP보강판으로 바꿔주려고 이 영상을 한 10번은 넘게 본 거 같아요ㅎㅎ
상판 하우징 분해하고 딱 맨위에 보강판만 교체해도 될까요?
나사분해할때 쓰신 드라이버는 어디껀지도 궁금합니다
우선 드라이버는 샤오미 미지아 수동 드라이버입니다. 6년 넘게 쓴게 같은데 매우 잘 쓰고 있습니다. 상판 분해하고, 스위치 제거, 보강판의 스테빌 분리, 옮기기, 스위치 장착해주심 되요. 전체를 분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훌륭한 영상이네요... 편집부터 설명까지 정말 이해가 편한 영상이에요. 감사드립니다 ^^
현생이 너무 바빠 이제 봤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자세한 설명 덕분에 드디어 보강판 바꾸기 성공하면서 키린이 성장했습니다 ㅎㅎㅎ 영상미도 좋고 전달력이 특히 좋아서 키보드 영상 보고 싶으면 자주 검색해서 들어오게 되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성공하셨다니 다행이네요 ㅎㅎ 재밌게 취미생활히세요~
키보드에 ㅋ자도 모르는 키린이입니다 질문 하나 드립니다. 레이니를 이제구입하면서 천천히 알아가는중인데 게임을자주해서 키보드를 유선으로만 쓰는데 계속 꼽아놓으면 배터리 스웰링?현상이 나타난다고해서 조금 무섭네요 ㅠㅠ 캡스락 on/off 만 해도될지 배터리커넥터를 빼야할지 배터리자체를 빼야할지모르겠습니다 ㅠㅠ (사실 분해하는거조차 무섭긴하네요..) 답을주세요!!!!
메뉴얼에는 캡스락 아래 무선 스위치를 off 하면 베터리를 사용 안한다고 하는데, 충전이 된다는 후기가 꽤 있어요. 그리고 저도 유선으로만 쓰는데 스웰링 현상은 없습니다. 베터리 스웰링(부풀어 오르는 문제)은 대부분 베터리 결함이고 그 외는 과충전 문제인데, 정상적인 키보드는 대부분 80-90%까지만 충전하게 설정 되어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아직까지 키보드의 배터리 스웰링 사례는 지극히 적습니다. 좀 신경쓰인다 싶으시면 컴퓨터(노트북의) usb c 단자에 꼽지 않는 걸 추천드리고(기본 케이블이 USB-A 단자인 이유) 가능하면 USB 1.0 단자에 꼽으세요. 기계식 키보드는 USB 1.0(5V 2A)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pc랑 fr4 차이도 좀 궁금한데요. 도각도각한 저음을 좋아하는데 여러 제품 찾아보다가 옵션에 보강판 차이도 있어서 너무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FR4는 가격대가 더 있던데 가격을 떠나서 고민이 많이 되네요
차이 설명해주실수 있을까요?
pp와 pc는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보통 동일하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중간 옵션은 보강판이 pp 지만 스위치가 하이피치입니다. 상 옵션은 보강판이 fr4라서 간결하고 pp대비 하이피치지만 스위치가 중간피치 정도 되구요. 보강판을 교체하는건 아무래도 귀찮고 시간도 많이 들고 처음이면 부담스러우실거에요. 개인차는 좀 있겠지만 레이니75 구성이 도각한 저음이 나는 키보드는 아니에요. 구입 후 스위치를 바꿔서 쓰겠다라면 중옵 추천드리구요(중옵 스위치가 많이 하이피치에요). 일단 쓰다가 스위치를 교체하겠다라면 상옵 추천드립니다. pp와 fr4 보강판 체감보다 스위치를 바꾸는 체감이 훨씬 커서 천천히 바꿔보는 것 도 재미있을거에요. 보강판을 샤프한 소리 -> 둔탁한 소리 순으로 나열하면 카본,알루미늄,fr4,pc(pp) 순입니다. 언젠가 한번은 스위치를 교체해 보고 싶으실거에요.
와 너무 자세한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더 감사합니다 !!
정품 형태의 소리가 간결하고 깔끔한 맛이 있는것 같습니다.
맞아요.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써도 충분히 좋아요.
전기영동이라 색이좀 벗겨져서 하우징분리해서 락카칠해볼까 고민하면서 보구잇네요.
배터리 빼기가 힘들려나요
양면 테이프로 붙어 있어서 조심히 때면 될거 같아요. 근데 락카칠은 여러모로 반대하면 편이에여. 모로토우 아크릴마카 2mm 229 네이처화이트 추천드려요
오 그색이 치화색이랑 비슷한가요 ㅠ 전기영동이란걸 모르고 물티슈로 빡빡닦앗더니 벗겨지더라구요...
억… 그럼 많이 벗겨졌겠네요….비슷한 편이긴 한데 면적이 넓으면 고민이 되긴하겠네요
@ 일단 비싸진않으니 시도해보겠습니다 ㅠ
플렉시블 컷 스위치를 쉽게 뽑는 방법은 전부다 열어서 하는 방법 제일 쉬울까여 ?
S87 타이폰 구내예정인데 핫스압이 정말 까다롭다고 들어서 고민이거든요 혹시 노하우가 잇으실까요?
저도 마르스 프로 정말 좋아했었는데 ㅎㅎ 10년 전 이야기네요. 플렉스컷 pc보강판이 빼는건 크게 문제가 없어여. 보통은 스위치를 꼽을때 보강판에 스위치가 걸리는게 아니라 눌릴때가 있어여. 이럴때는 보강판을 손으로 들어서 올려줘야 하거든요. 그래서 가능하면 분해하고 꼽는 걸 추천드려요. 그리고 중앙부터 바깥쪽으로 나가면서 꼽으면 분해 안해도 그나마 괜찮으실거에여. 눈으로 하나씩 확인하면서 해주시는게 제일 중요해요
상판 나사 풀 때 드라이버 어떤 거 사용하셨나요?
저는 미지아 드라이버 수동으로 쓰고 있구요. 육각 H2.0 썼습니다.
감사합니다!
@@성이름-o7k5j 자동도 좋은데 전 불안해서 수동쓰는데 5년 넘게 잘 쓰고 있습니다. 혹시 없으면 하나 구입해 두세요
안녕하세요 영상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Fr4 보강판에 45g 키압의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 타건을 하다보면 딱딱하게 바닥치는 느낌이나서 손가락에 약간 통증이 있는데 PC보강판으로 바꾸면 좀 나을까요? 아니면 스위치를 저압으로 바꾸는게 더 나을까요😂?
뭐라고 답장을 해야 할까 엄청 고민했습니다 ㅎㅎ 상옵션(wob 축)인 것 같은데요.
바닥치는 느낌이 나는건 소위 바닥치는리니어(바치리)라고 스템 길이가 13.3mm 이상 되고 실제로 스위치에 바닥을 폴(기둥)이 치는 것 때문인데요.
체리 스위치는 스템 몸통이 하부를 치기 때문에 조금 느낌이 달라요.
스위치 때문인지 보강판 때문인지 사실 개인차가 심한데 제 생각에는 보강판을 먼저 교체해 보시면 좋겠어요.
아마 타이핑하실때 스위치 끝까지 누르시는 것 같아요. 스위치를 바꿔서 테스트해 보시더라도 아마 보강판은 미리 교체하시는게 더 나을 것 같아요. 보강판을 먼저 교체해 보시고 나중에 스위치를 교체해 보세요. 키압이 높아서(무거워서) 통증이 있는지, 바치리 방식의 스위치가 안맞아서 인지는 하나씩 해보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타건감은 스위치의 영향이 보강판 보단 큰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베이스를 미리 바꿔 두시면 마음 편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리고 스위치 1개씩도 파는 곳들이 있으니 한번 구입해 보세요. HMX 스위치는 안맞으실 거구요. BSUN(비선)이나 하이무 스위치가 잘 맞으실 것 같아요.
가스켓 방식 중에서 레이니75가 비교적 단단한 편이에요. 엄청 물렁물렁한 가스켓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요건 참고로 알고 계심 좋을 것 같아요.
@@DeepDiveOn 너무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제 타건 습관 엄청 잘 맞추시네요ㅇ0ㅇ;; 구름타법으로 가려고 해도 잘 안 됩니다…
사실 지금 쓰고있는 제품은 Vxe75 딥그린이에요 초록색하우징이 너무 마음에 들어서 산거라 다른 제품으로 가기가 싫어서요>
@@DeepDiveOn 손가락 엄청 가늘고 유리손인것도 사실입니다 Bsun에 오로라축 25g짜리 오링이랑 같이 끼우면 바닥치는 느낌 좀 괜찮을것같은데 어떨까요…!(사실 입문자라 롱폴이라는 개념은 이해가 잘 안 되고(…) 그냥 Bsun중에 저압으로 골랐습니다)
@@ohoh8509 제 생각에는 오링은 크게 영향이 없을 것 같구요. Bsun 오로라 축이 막 유명한 스위치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네요. BSUN 스위치로 저압은 MMD vivian 비비안이 괜찮습니다. 중국내에서도 인기가 많고 유튜브 찾아보심 꽤 나올거에요. bsun 제조 스위치 입니다. 토요일 쇼핑몰에서 판매중이에요. 거기에서 낱개로도 파니 한번 구입해 보세요. 오링 효과를 보시려면 댐퍼가 있는 저소음 스위치도 한번 생각해 보세요. 같은 쇼핑몰에 오테뷰 피치도 한번 시도해 보세요.
@@ohoh8509 레이니보다 Vxe75가 더 푹신한 타건감이라 굳이 안바꾸셔도 되요. 저도 VXE75 초록색 좋아합니다. 예뻐요 ㅎㅎ
영상 잘봤습니다!
배터리 커넥터만 뽑아놓고 유선으로만 사용해도 문제 없겠죠?.. 배터리 스웰링이 걱정되어서 그렇습니다 ㅎㅎ
그리고 레이니에 쓸만한 간섭없는 스위치 리무버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베터리 케이블 분리하셔도 됩니다. 다만 리튬이온 베터리 특성상 충전이 아예 안되면 베터리 용량이 작아집니다(배터리 웨어율 감소). 스위치 풀러는 TX 키보드 제품 추천합니다. 3만원짜리 알루가 제일 좋겠지만 8천원짜리도 훌륭합니다.
@@DeepDiveOn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키캡 리무버 제품도 추천하시는게 있나요?!
@@matoma339 아직까지는 와이어가 제일 좋은 거 같아요. 스웨그키에 보면 동그란 형태가 있는데 납작한 형태보다 훨씬 편해요.
안녕하세요~ 이렇게 디테일하게 설명을 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저도 큐텐에서 구입을 했는데 아직 제대로 만져보지 못했어요.
타건을 녹음하실때 장비는 어떤걸 사용하셨나요? 소리가 참 좋게 들리네요~
현생이 바쁘다 보니 저도 2-3주만에 제대로 열어 본 것 같아요 ㅎ. 타건 녹음은 카메라에 장착한 마이크(로데 비디오마이크로)로만 올리고 있어요. Blue 콘덴서마이크도 있는데 녹음하고 다시 들어보면 실제소리와 차이가 많이 나서 안쓰고 있습니다.
@@DeepDiveOn 역시 장비가 중요하네요~ 빌드하고 핸드폰으로 가끔 찍어보는데 영 소리가 이상하더라구요 ㅋ.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lkk8510 핸드폰은 목소리 녹음에 최적화 되어 있어서 그럴 거에요. 저도 핸드폰으로 녹음해서 들어봤는데 엄청 따닥 거리고 다른 세상의 소리처럼 들리더라구요 ㅎㅎ
레이니75 구매했는데 스페이스랑 백스페이스에서 찰찰 거려서 스웨그키 나이트 스테빌? 구매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주로 쓰는 스위치가 3.4, 3.5 트레블이에요!
억 안될거에요. 보강판용(plate) 스테빌 구입하셔야 해요. 나이트 스테빌은 pcb용 스테빌입니다. 자리가 안니와요.
@@DeepDiveOn 으악 그렇군요ㅠㅠ 취소하고 다른 거 시켜야겠네용 감사합니당
@@Mango01010 보강용은 펀키스에서 파는 fl cmmk 스테빌이 제일 좋아요
@@DeepDiveOn 따로 수평잡아주고 그런거 안해도 될까요? 3.5랑 4.0 있는데 3.5 구매하면 되겠죵?
@@Mango01010 그건 진짜 복불복이긴 해요. 윤활은 꼭 하셔야 되고 철심 수평은 모든 스테빌이 운빨이 커요. 백스페이스는 사실 잘 안나야 되거든요. 2u 철심 여러개니 바꿔서 해보시면 되고 6.25 스페이스 철심은 운 영향이 커요. 막용두가 있으면 좀 더 좋아서 나이트 스테빌을 쓰는건데 제가 아는 한 보강용은 막용두가 없어서 cmmk 스테빌이 제일 인지도도 놓고 좋아요.
허! 저도상옵인데 pp로바꿀까..했는데 이영상보니 체감이딱되네요 키린이라서 엄두가 안났는데 바로pp사서 영상보고 따라서 바꿔볼게요! 좋은영상 감사드려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ㅎㅎ
17:15 가장 체감 키압이 낮은 스위치는 뭔가요?
체감상 wob 축이 제일 가볍습니다. 소리의 영향도 좀 있는 것 같아요. 런던포그를 제외하고는 수치는 비슷비슷합니다.
@@DeepDiveOn답변 감사합니다! 스위치 바꿀까 생각중이었는데 그냥 쓰는게 나을 것 같네요:)
@@하하호호123 맞아요. 무거운 키감(바닥압 기준 60-65)을 선호하시는게 아니라면 스위치 교체는 나중에 하셔도 될 것 같아요. 충분히 좋은 스위치입니다.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레이니75 순정 상태에서 어떤 것들을 제거하면 극한의 클래키함을 느껴볼수 있을까요? 망가지지 않는 수준으로 뺄수 있는건 다 빼보고 싶네요 :)
하부 케이스 pet필름(베터리 위)은 살려두시는게 좋아요! ixpe,pet 필름은 꼭 빼시구요. 하부폼이랑 플레이트폼은 넣었다 뺐다 해보세요. 개인적으로는 하부폼은 빼고, 플레이트폼만 살려두는게 더 좋았습니다. 플레이트폼이 없으면 보강판 기판이 모두 플렉스컷이 되어 있어서 스위치 결착이 힘들었고 플레이트폼은 폼떡 소리가 크게 안난다고 생각합니다.
디폴트 상태에서 플레이트폼만 제거해도 클래키를 느낄수 있으시다는거군요! 다른분 영상에서 올폼 제거를 봤는데 키보드를 누르면 푹푹 들어가더라구요.
@@djtomato4523 아니요.기판 바로위에 ixpe, pet필름은 꼭 빼셔야 해여. 폼떡 사운드의 핵심이거든요.
와 설명대박
구독
감사합니다아
안녕하세요 자세한 리뷰 감사합니다
레이니 구매했는데 좌쉬프트키가 키캡 교체하다가 엄청 먹먹해졌어요
누를 때도 힘이 더 들어가고 올라올 때도 좀 뻑뻑하게 올라오거든요
키캡 다른 거 여러 개로 해봐도 같은 증상인 걸로 봐서 키캡을 뽑다가 스태빌이 문제가 생긴 듯 한데 키캡과 스위치만 제거하고 스태빌을 빼내고 다시 결합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제 생각에도 스테빌라이저에 뭔가 문제가 생긴 것 같아요. 보강판 스테빌이라서 스위치, 키캡만 빼면 가능합니다. 먹먹해 지는 경우가 키캡을 끝까지 안껴서도 생기는 증상이거든요. 옆 키캡이랑 높이가 비슷한지 한번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스위치를 다른 걸로도 교체해 보세요. 보통은 철심소리가 늘어난거라면 스테빌 철심 수평 문제가 많고, 지금처럼 늦게 올라오고 늦게 내려가는 경우 과윤활이 된 경우입니다.
@@DeepDiveOn 앗! 감사합니다!! 원래 안그랬는데 키캡 뽑으면서 뭔가 틀어진 것 같습니다 ㅜㅜ 퇴근하고 한 번 뽑아보려구요 감사합니다!
@@낌상균 아마 한쪽 철심이 빠지지 않았을까 싶어요 ㅎㅎ 잘 해결되시길!!
넵! 스위치 갈아주기 전에 딥다이브온님 영상 몇 번 보면서 복습했거든요..... 근데 2u이상은 손으로 뽑기.. 이 기초적인 걸 안지켰네요 ㅠㅠ 자세한 답글 감사합니다!
@@낌상균 저도 잘 안지킬때 많아요 ㅎㅎㅎ
스위치 교체시 꼭 전체분해를 해야하나요?
키캡만 뽑고 교체는 안되는지요?
키캡만 뽑고도 가능합니다. 하우징이랑 너무 붙어 있는 곳만 조심하면 되요.
안그래도 런던포그 고민 중이였는데! 혹시 런던포그 따로 윤활 하신걸까요?
네 손윤활했습니다(205g0, 105). 딸기와인이나 비선 로우랑 다르게 공장윤활이 얇은 편이라 전후 차이가 좀 있습니다. 3번 구입한 스위치인데 여전히 만족스럽습니다. 다만 조금만 과윤활되면 하부하우징 스템홀에 윤활제가 잘 고여서 쩝쩝거려요. 휴지로 말아서 딱아내면 괜찮습니다. 내가 고생할 뿐;; 클래키 빌드에는 런던포그 추천하지 않고 폼떡이라면 추천합니다!
키보드에 맞는 보강판은 보통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구매처에서 보강판을 같이 판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레이니75는 중국타오바오에서 판매하는데 국내 SPM 에서 수입해서 1만원에 판매중입니다.
@@DeepDiveOn 혹시 hi75 보강판 판매처도 알고 계신가요..?
@@맏다 댓글 썼다가 지워졌네요... ㅎㅎㅎㅎ 호환 보강판은 판매중이에요.
타오바오 : item.taobao.com/item.htm?abbucket=7&id=727731867875&ns=1&skuId=5374726443727&spm=a21n57.1.0.0.6483523cxkFuUO
알리 : ko.aliexpress.com/item/1005005973867682.html
@@맏다국내는 펀키스가 정식 수입할 예정이라고 했는데 보강판을 따로 팔지는 모르겠어요
@@DeepDiveOn 찾고있었는데 감사합니다!!
확실히 bsun 쪽 스위치가 꽉차고 로우한 느낌이 강하네요. 접점부 소음만 없었어도 참 좋았을텐데...
폼떡에서는 그래도 괜찮은것 같아요. 클래키 빌드에서는 솔직히 다른 대안으로 가야;;
오 보강판 차이가 궁금해서 검색하다 들어왔는데.. 저는 키린이라 그런가 확실히 pp보강판쪽이 소리가 좋네요 fr4는 조금 귀를 때리는? 느낌.. 상옵 추가로 들이는거 고민했는데 중옵에 정착해야겠습니다 ㅎ
맞아요. 둥글한 소리가 좋으시면 중옵에서 스위치를 바꾸시는게 더 좋아요. 중옵 스위치가 깔끔한 대신 하이피치라서 장단점이 있어요
무선을 안써서 배터리를 빼보고 싶은데 무리해서라도 뜯어 볼 수 있을까요? 상세한 리뷰 감사합니다.
양면 테이프로 고정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어요. 생각보다 단단하게 붙어 있기는 한데 가능해 보입니다. 다만 캡스락 자리에 무선 on,off 토글스위치가 있어요. 저도 유선만 써서 토글 스위치 off 상태로 쓰고 있습니다. 토글 스위치 off로 두면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어제 레이니75 상옵을 샀는데 여기에 바이올렛축만 바꾸면 중옵이랑 똑같이 쓸수 있을까요??
제가 상옵이고 중옵도 쳐봤거든요. 2가지를 비교해 보면 중옵이 상옵보다 하이피치이고 상옵이 일반적으로 봤을때 살짝 하이피치입니다. 보강판, 스위치가 다르다보니 드라마틱한 정도는 아니지만 차이가 좀 있습니다. wob축(jwk 제조)은 중간 피치이고, 바이올렛축이 hmx 제조사라 그런지 하이피치인데, fr4 보강판(상옵)에 바이올렛 축을 넣으면 더 하이피치가 될 것 같아요. 결론은 스위치만 바꾼다고 완전히 똑같이 할 수는 없고, 상옵 사용해 보시고 결정하세요. 받아보시면 그대로 쓰실 확율이 높습니다.
내일모래면 블랙 하옵 집에 도착할것 같은데 배터리 추가 구매하면서 fr4 보강판 같이 주문하려했는데 pp 소리가 더 제 스타일이네요..흠
베터리사실거면 fr4보강판 5천원 정도 할텐데 그냥 하나 사두세요. 나중애 스위치도 사세욥 ㅎㅎ 하옵 스위치가 hmx 라 하이피치라서 fr4에 하옵 스위치면 많이 다닥거린다고 느끼실수 있어요.
이거 스위치 교환한다고 2-3번 해부했더니 rgb가 esc랑 f1만 들어오는데
혹시 비슷한 경험을 하신적이 있으실까요;;;
미치겠네요. 배터리 잔량 확인도 안됩니다. ㅋㅋㅋㅋ
키가 입력이 되면 rgb 전체가 고장나는 일은 좀 드문데요. 백라이트가 꺼진거 같아요. 블루투스 무선 연결해서 쓰고 계신건가요? esc는 충전 상태, F1은 불루투스 연결 표시 입니다. 백라이트 설정을 다시 해보세요.
●RGB 끄기 Fn+백스페이스
●RGB 모드 변경 Fn+|\
●RGB 색깔 변경 Fn+엔터
●RGB 밝기 조절 Fn+윗,아래 방향키
●RGB 속도 조절 Fn+좌,우 방향키
마음 편하게 초기화.
●설정 초기화 Fn+esc 길게 꾸욱
@@DeepDiveOn usb 리시버로 쓰고 있는데 초기화해도 이렇네요 ㅋㅋㅋㅋ 스위치 세게 박아서 pcb 기판이 맛이 간건가 싶기도 하구요
@@ThisVeryLife 스위치를 세게 꼽는 거랑은 관계가 없어요. 세게 꼽아서 핫스왑이 망가져도 rgb는 살아 있어요. 유선으로 한번 연결해 보시고 via들어가서 light 설정 한번 바꿔보세요
@@ThisVeryLife 전체가 나갔으면 esc f1도 죽어야 되고 일부 손상이 한줄씩 나가요. pcb가 그렇게 설계되어 있거든요. 펑션하고 esc 5초 이상 누르고 있어야 되요. 베터리가 없어서 그런건 아니겠죠?
@@DeepDiveOn 지금 pcb 보고 있는데 세게 박으면서 좀 맛이 간 것 같습니다 ㅋㅋㅋ 살짝살짝 구부려보는데 전체적으로 불이 들어오다 안들어오다 하네요 ㅋㅋㅋㅋ
엄청난 애연가 이신거같습니다?! 오른손구락이 ㅎㄷㄷ
오잉? 아마 팬 잡는 습관에 문제가 있는지 어릴때 생긴 굳은 살이 나이먹으면서 두꺼워 진걸 보셨거나 조명 때문인거 같아요 ㅎㅎ
@@DeepDiveOn아 ! 그렇군요
저는 pp보강판이 더 좋은데요. 저는 커스텀 한다면 런던포그와 1.5mm 정도의 pbt로 할 것 같습니다.
poppy한 사운드, 소위 도각도각 소리를 원하신다면 마음에 드실거에요!
정보츄❤
감사합니닷
오른쪽 중지 계속 i에놓고 타이핑하는거 저만 신경쓰이나요 ㅋㅋㅋㅋㅋㅋ
실제로 문징은 쓴건 아니라서 그런거 같은데 아닌가;;; 나중에 확인해 볼께요. 저도 불편하네요 ㅋㅋㅋㅋ
지금 스위치 제거하고 있는데 진짜 안 빠지네요 후....
진짜 꽉 물고 있어요 ㅎㅎ 그래도 힌번 빼니깐 다시 꼽고 빼기 좀 편합니다.
저도..손에 물집 생긴거같아요ㅠ 저먼 힘든건거해서 유튜브 찾다가 여까지왔네요;
소리는 fr4 보강판이 더 듣기 좋네요
맞습니다 FR4 가 더 간결해요. 타건감은 pp 가 좀 더 부드럽고... 둘 다 매력 있어요 ㅎ
그래서 순정이 낫다는 거임 바꾸는게 낫다는거임 ?
큰 불만 없으면 순정 쓰는게 나은거 같네요. 돈과 시간 들인거 생각하면 굳이?? 란 생각입니다.
pbt면 더 쏘키한(로우)한 소리 abs가 클래키(하이)소리 입니당 ㅎㅎ
10개 정도 소재, 브랜드별로 하나씩 사서 테스트 해봤을때 제 경험으로는 pbt 전승/염료승화 1.4mm 이상(hammer, shenpo, epbt, jc스튜디오 부추)이 쏘키하고, pbt 이중사출(고스트저지)은 이보다는 클래키하고(abs 보다는 로우한 소리), 좋은 abs(gmk, 키코보, 도미키, kbdfans 일부, 린웍스)는 클래키하고, 싼 abs는 소리가 날리고;;; 말씀들어보니 영상 만들때 설명을 좀 더 제대로 할 것 그랬네요. 말씀 주신 것 처럼 다음에는 구분해서 만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eepDiveOn 큰틀에서 얘기하시는게 더 좋아보입니다.pbt 쏘키 abs 클래키가 맞는듯.
@@XMSDGG 댓글 보고 저도 생각해 봤는데 말씀하신게 맞네요. 다음부터는 큰틀에서 보고 만들겠습니다
@@DeepDiveOn 영상이 아주 정성스럽습니다.오늘 첨봤는데 구독했습니다.화이팅입니다.
@@XMSDGG 감사합니닷 구독까지 ;; 🙃
뽐뿌하니 ?
10년전 부흥기때 자주 가긴 했는데 왜?
@@DeepDiveOn 뽐팡이냄새나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