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공화정의 정치구조(BC500~BC287)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3 вер 2024

КОМЕНТАРІ • 27

  • @MrWingzero
    @MrWingzero 2 роки тому +7

    로마는 대단하군요.
    지금도 평민은 입법권이 없는데 말이죠.
    로마가 오래유지된 이유중 하나를 느꼈네요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2

      네. 이탈리아는 땅이 워낙 좋아서 농사가 잘되었기 때문에 많은 민족이 이주해 와서
      서로 땅을 차지하려고 전쟁을 시도때도 없이 했었죠. 전쟁을 하려면 평민이 반드시 필요했고,
      그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 밖에 없었겠죠. 그래도 아주 조금씩 평민권이 신장된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And YYY Y님~

  • @UnSospiro
    @UnSospiro 2 роки тому +1

    오늘도 잘 보겠습니다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항상 감사드립니다. 데미소다님~

  • @user-jn5hh4zm8l
    @user-jn5hh4zm8l 2 роки тому

    로마인 이야기 혼자 읽고 있는데 이해하지 못했던 내용이랑 추가로 알게된 내용까지 접하게되니 좋네요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잘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ᄀᄂᄃᄌᄃᄇ님~

  • @이학선-y8t
    @이학선-y8t 2 роки тому +1

    저스티스님 잘봤습니다.
    영상 만드시느라 고생하셨어요 ^^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넵. 즐거운 밤 되세요. 이학선님~^^

  • @jk-bs5kt
    @jk-bs5kt 2 роки тому +1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Forty-Eighters
    @Forty-Eighters 2 роки тому +1

    근대에 들어 인간의 창의적인 노동력의 가치가 상승하여 민주주의가 꽃피울 수 있었듯.. 역사적으로 노예제든 봉건제든 그 시대의 사람들이 가진 기술적 자원적 한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경제 및 정치체제를 선택한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됩니다. 로마는 당시 염전 및 무역으로 발전하는 경제상황과 전쟁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공화정 등의 비교적 민주적인 정치체계가 필요했던 것이고 마찬가지로 제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전제군주제로 전환이 필요했던 것이겠죠..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1

      네.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물고기옵하님~^^

  • @MarieZorroIndiana
    @MarieZorroIndiana 2 роки тому +2

    로마 공화정이 주변 국가에 많은 영향을 주었나요? 로마만의 특이한 정치체제인가요?
    로마 공화정도 법이라는 기준을 만들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했군요. 같은 시기 다른 국가보다 발전 된 정치시스템이었는지 궁금해지네요.
    집정관, 원로원, 호민관이란 말은 많이 들었지만 어떠한 가치를 갖는지도 궁금해지는군요.
    오늘은 다른 영상보다 더 보고, 찾아볼게 많네요~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2

      그리스에는 민주정이 있었고 더 동방은 군주정이었죠.
      로마는 그 사이쯤에 있는 나라였다고 생각해요. 소수 엘리트가 다수의 민중을 이끌어 가는 나라.
      과두정이라고 하는데 흔히 올리가르키라고도 하죠.
      항상 감사드립니다. 초록별청개구리님~^^

    • @MarieZorroIndiana
      @MarieZorroIndiana 2 роки тому

      @@justice20000
      아하...또 찾아봐야겠네요~
      로마 공화정이 타국가보다 시스템이 좋아서 시민이 많아지는 계기가 되어 훗날 군사력으로 연결되어 강성해지는 반석이 되었나 생각해봤습니다.
      그리스의 민주정, 로마의 공화정은 유럽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나보군요.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1

      윗님의 댓글에도 적었지만 시민이 많아지는 이유는 이탈리아가 기본적으로 농사짓기에 좋은 땅이어서 많은 사람이 모였기 때문이에요. 동쪽의 선진 문명들. 즉,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 그리스의 문명에서 밀린 사람들이 이탈리아로 들어오는거죠. 국가 시스템이 좋아서 시민이 많아지고 그것이 군사력으로 이어졌다기 보다는,
      땅이 기름지니까 -> 서로다른 민족이 모이고 -> 인구가 느니까 -> 먹을게 부족해지고 -> 먹을게 없으니까 새로운 땅을 찾으려 전쟁을 하고 -> 전쟁은 평민이 하니까 그들의 요구를 쥐똥만큼씩 들어주는...
      그래서 수백년에 걸쳐서 평민의 권리가 조금씩 조금씩 상승해가는...
      이게 로마의 기본적인 역사 패턴이라 보시면 될 것 같아요~

    • @MarieZorroIndiana
      @MarieZorroIndiana 2 роки тому

      @@justice20000
      와우! 역시 요약의 달인! ! !ㅇ.ㅇ!!
      이태리는 사람이 모이기 좋은 곳이였군요~
      또 새로운 것을 알았습니다! > . <
      아는게 많아질수록 알고 싶어지는게 많아지는~
      다음 로마이야기도 완전 기대되네요!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2

      네. 프롤로그를 다시 한번 보시면 더 풍부해지실거라 생각해요
      좋은 밤 되세요. 초록별님~

  • @yoonaeyoon
    @yoonaeyoon 2 роки тому +1

    고대 민주정이 아테네의 전유물이 아녔군요. 오히려 민중들의 실질적인 투쟁과 노력으로 하나씩 성사시킨 과정은 일부 혁명사상가들에 의해 선동돼 이데올로기적으로 완성한 근대 민주정치보다도 적절한 단계를 거쳐갔다고 봅니다. 물론 옥타비아누스 이래로 원위치로 돌아가버렸지만....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2

      네. 지금 서구의 민주주의가 깊게 뿌리 박힐 수 있던 이유는 로마의 이런 투쟁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로마의 민중이 그렇게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해서 투쟁했기 때문에 영국의 마그나 카르타가 나왔고 이후 시민혁명, 프랑스혁명, 독립혁명 등 모든 서구의 근대적 혁명도 가능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RU님~

  • @hkw0118
    @hkw0118 2 роки тому +1

    원로원=의회(입법부)
    민회=정부(행정부)
    사제단=법원(사법부)
    이런 느낌을 받네요.

  • @곽철근-w7i
    @곽철근-w7i 2 роки тому

    저도 잘 보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항상 감사드립니다. 곽철근님~

  • @hjwo4516
    @hjwo4516 2 роки тому

    참고로 미국에서 상원을 Senator라고 하는데 그 어원이 공화정 로마의 원로원의 라틴어 단어 Senatus에서 왔죠. 로마의 유산이 미국 정치 제도에도 존재한다 볼 수 있네요. 로마에는 실질적 입법기관이 원로원과 호민관이 있었는데 상원의 개념을 아마도 귀족들을 대변하던 원로원 전통에서 차용하여 정립한 듯 합니다.

    • @justice20000
      @justice20000  2 роки тому

      네.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미국이 독립한 후에 최초로 상하원을 나눌때는 인구가 많은 주와 작은 주의 접점을 찾기 위함이긴 했지만 전통은 로마에서 왔겠네요. 말하자면, 로마의 전통이 영국 의회정치로 이어지고 영국의 상하원이 그 성질은 다르지만 결국 미국 상하원으로 연결된 것으로 볼 수 있겠죠. 감사합니다. hj wo님~

  • @말호-q3f
    @말호-q3f 2 роки тому

    👍

  • @권학수-w2n
    @권학수-w2n 9 місяців тому

    집정관이 왕임? 나는 지방 수령정도 되는줄 알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