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다들 나이에 연연하지 않고 원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 정말 멋지신 것 같아요 변호사님 덕분에 저 역시 나이가 들어도 새로운 분야 새로운 목표를 향해 충분히 도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됐습니다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며 꿈을 향해 한 발자국씩!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3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인턴십을 10개씩이나 할 수 있는지 전혀 몰랐어요. 로스쿨 입학하면 무조건 학점을 높게 따야하고, 수업 따라가기만 해도 벅찰거라고 막연히 짐작하고 있었는데... 인턴십을 한꺼번에 여러개 하면서 수업도 병행하는 시간관리가 가능한건가요...??😅 + 실제 입학 후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더라도 로스쿨 지원 personal statement 쓸 때는 특정 분야를 하고 싶다고 어필하는 게 아무래도 경쟁력이 있겠죠..?
현재 하고 있는 것까지 합치면 12개+학교 클리닉 2개 (=교내 인턴십) 이렇게 되는 거 같습니다. 인턴십마다 횟수 및 기간은 천차 만별이에요. 저는 학점은 평범한 편이지만 늘 인터뷰 볼 때마다 일 경험 (인턴십) 많은 게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포기할 수가 없더라구요. 그리고 미국 로스쿨 공부라는 게, 저 뿐만 아니라 많은 한국인들이 어느 정도 이상 열심히 하고 나면 더 올라가기엔 힘든 한계도 종종 느꼈기 때문에 과감하게 경력을 늘리자 쪽으로 모드를 전환했어요. 마지막 부분 질문 관련해서는, 네, 맞습니다! 그렇게 쓰시는 게 좋을 거라고 동의합니다.
학점에 대해서는 1학년 끝나고 트랜스퍼하거나 빅로펌을 가는 경우 외엔 크게 상관이 없어요~ 학점이 목표가 되기 보다는 변호사로서 알아야 할 내용을 배운다고 생각하고 수업 잘 듣고 따라 가시면 됩니다 인턴쉽과 공부 병행하는 것은 반드시 스스로에게 잘 묻고 시간과 노력을 배분하셔야 할 것 같아요~ 정답은 없으니까요~ 효진씨랑 저만 봐도 둘다 상황이 다르고 그에 따른 경험도 다르지만 둘다 각자에게 주어진 상황에서는 맞는 길이었으니까요^^ 저 같은 경우는 영어가 항상 문제여서 학기 중에는 인턴 1개만, 주 10시간 이내로 공부에 지장이 없으면서 꾸준히 영어로 하는 업무 환경에 노출시키고 싶어서 인턴을 했어요~ 학점이 목표는 아니지만 학업이 주가 되는 게 맞다고 생각해서 그걸 중심으로 인턴 스케쥴을 조율 했습니다~ 마지막 질문은 예쓰입니다~ 내 경험이 왜 이 로스쿨과 연결되는지를 잘 엮어서 이야기를 써보세요~^^ 화이팅입니다~
네.. . Big Law from Top 3 -5 schools usually do 1 intern program before graduations. Also, If you are in very top in top 3 schools, some may only do the intern in top clerk ship program like Supreme Court Justice.
꿀정보 감사해요! 안그래도 지금 1L 인턴쉽 구하는중이었는데.. 저는 patent이나 ip, compliance 쪽으로만 찾고있었는데 온라인에 나와있는 회사들은 너무 큰 회사들이라 자신이 없었어요 ㅠㅜ 그리고 인턴쉽기회가 여름방학 두번밖에 없다고 생각했는데 @hyojinlee 어떻게 그렇게 많은기회를 만드셨어요? 궁금합니다!
@@Hyon-j6m 저는 지금 3L 때 하고 있는 것까지 하면 로스쿨 다니는 중에 10개, 교내 클리닉 2개를 했습니다. 어떨 때는 한 학기에 4개도 했었어요. 근무 기간이나 빈도에 상관 없이 내가 원하는 걸 정확히 얻어내는 곳인지가 중요합니다. 고용주에게 "이렇게 하고 싶은데 일주일에 다섯 시간 정도, 와서 관람만 해도 돼냐, 학점도 페이도 안 받겠다"라고 할 정도로 일을 한 번 보고 싶으신 곳이면 선택하실 걸 추천드려요. 결과적으로, 정말 분위기만 볼 건지 아니면 깊게 관여해서 한 곳에서 우물을 팔 건지에 따라 따라 탄력적으로 접근하실 걸 추천드립니다. 모든 인턴십 자리가 같은 건 하나도 없고 막상 해보시면 불가능은 없어요, 화이팅입니다.
또 한가지는, 인턴십이 크게는 summer internship (almost always, full-time) v. semester internship (always part-time) 으로 나뉘어요. 저희 같은 외국 국적 소지자들은 늘 비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저는 학기 중에는 학점을 받으면서 인턴을 했고, 행여나 CPT & OPT도 그 때 그 때마다 쪼개썼습니다. 학교마다 정도야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 학생들을 자꾸 실제 경험을 하게끔 시스템을 조정하기 때문에, 저희 로스쿨에서는 학기 중 인턴십은 대부분 학점을 1~3학점 받으면서 진행했었어요, 그러지 않으면 공부에 너무 영향이 많으니까요. 즉, 수업을 인턴십으로 대체한 거죠. 더 궁금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더 질문주세요~!
2:14 인턴 어디서 구하셨어요?
8:05 한 분여 인턴 파기 vs 여러 분야 도전해보기
16:20 한 로펌에서 계속 일하기 vs 같은 분야라도 다양한 기관에서 일하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다들 나이에 연연하지 않고 원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 정말 멋지신 것 같아요 변호사님 덕분에 저 역시 나이가 들어도 새로운 분야 새로운 목표를 향해 충분히 도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됐습니다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며 꿈을 향해 한 발자국씩!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세 분 너무 응원해요!
이건 돈을 내고 들어야 할 것 같은데 무료로 이렇게 좋은 Insight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감사해요~! 앞으로도 즐겁게 찍어봐요, 호연씨!
넵!! 다같이 신나게 해봅시다 🎉 감사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3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인턴십을 10개씩이나 할 수 있는지 전혀 몰랐어요. 로스쿨 입학하면 무조건 학점을 높게 따야하고, 수업 따라가기만 해도 벅찰거라고 막연히 짐작하고 있었는데... 인턴십을 한꺼번에 여러개 하면서 수업도 병행하는 시간관리가 가능한건가요...??😅
+ 실제 입학 후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더라도 로스쿨 지원 personal statement 쓸 때는 특정 분야를 하고 싶다고 어필하는 게 아무래도 경쟁력이 있겠죠..?
현재 하고 있는 것까지 합치면 12개+학교 클리닉 2개 (=교내 인턴십) 이렇게 되는 거 같습니다. 인턴십마다 횟수 및 기간은 천차 만별이에요. 저는 학점은 평범한 편이지만 늘 인터뷰 볼 때마다 일 경험 (인턴십) 많은 게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포기할 수가 없더라구요. 그리고 미국 로스쿨 공부라는 게, 저 뿐만 아니라 많은 한국인들이 어느 정도 이상 열심히 하고 나면 더 올라가기엔 힘든 한계도 종종 느꼈기 때문에 과감하게 경력을 늘리자 쪽으로 모드를 전환했어요. 마지막 부분 질문 관련해서는, 네, 맞습니다! 그렇게 쓰시는 게 좋을 거라고 동의합니다.
학점에 대해서는 1학년 끝나고 트랜스퍼하거나 빅로펌을 가는 경우 외엔 크게 상관이 없어요~ 학점이 목표가 되기 보다는 변호사로서 알아야 할 내용을 배운다고 생각하고 수업 잘 듣고 따라 가시면 됩니다
인턴쉽과 공부 병행하는 것은 반드시 스스로에게 잘 묻고 시간과 노력을 배분하셔야 할 것 같아요~ 정답은 없으니까요~ 효진씨랑 저만 봐도 둘다 상황이 다르고 그에 따른 경험도 다르지만 둘다 각자에게 주어진 상황에서는 맞는 길이었으니까요^^
저 같은 경우는 영어가 항상 문제여서 학기 중에는 인턴 1개만, 주 10시간 이내로 공부에 지장이 없으면서 꾸준히 영어로 하는 업무 환경에 노출시키고 싶어서 인턴을 했어요~ 학점이 목표는 아니지만 학업이 주가 되는 게
맞다고 생각해서 그걸 중심으로 인턴 스케쥴을 조율 했습니다~
마지막 질문은 예쓰입니다~ 내 경험이 왜 이 로스쿨과 연결되는지를 잘 엮어서 이야기를 써보세요~^^
화이팅입니다~
네.. . Big Law from Top 3 -5 schools usually do 1 intern program before graduations. Also, If you are in very top in top 3 schools, some may only do the intern in top clerk ship program like Supreme Court Justice.
천천히 lsat 공부하고 있고 알칸사 리틀락 법대 가려하는데 영상 감사합니다.
잘 하실 거예요. 화이팅입니다!
직장생활 그만두고 한국나이로 40살에 입학해서 살기로했다면, 꼭 고려해봐야하는 문제는 뭐가있을까요?
향후 진로가 많이 고민이 되실 거 같습니다. 취직을 하실 곳이 한국이라면 어떻게든 기업법 분야, 특히 M&A 쪽이 아니라면 이민법 쪽이 미국 변호사를 많이 찾을 거라 생각해요. 미국에 계실 거라면 훨씬 더 분야가 다양하실 거구요.
꿀정보 감사해요! 안그래도 지금 1L 인턴쉽 구하는중이었는데.. 저는 patent이나 ip, compliance 쪽으로만 찾고있었는데 온라인에 나와있는 회사들은 너무 큰 회사들이라 자신이 없었어요 ㅠㅜ 그리고 인턴쉽기회가 여름방학 두번밖에 없다고 생각했는데 @hyojinlee 어떻게 그렇게 많은기회를 만드셨어요? 궁금합니다!
저는 여름 방학 두번, 그리도 2L 학기 중에 모두 인턴을 했어요~ 3L 1년은 인턴 대신 학교 클리닉에서 일했고요~
@@hoyeon3521 아하! 학기중까지!! 아무래도 일학년은 마치고 인턴쉽 구하는게 더 좋은가요?
@@Hyon-j6m 저는 지금 3L 때 하고 있는 것까지 하면 로스쿨 다니는 중에 10개, 교내 클리닉 2개를 했습니다. 어떨 때는 한 학기에 4개도 했었어요. 근무 기간이나 빈도에 상관 없이 내가 원하는 걸 정확히 얻어내는 곳인지가 중요합니다. 고용주에게 "이렇게 하고 싶은데 일주일에 다섯 시간 정도, 와서 관람만 해도 돼냐, 학점도 페이도 안 받겠다"라고 할 정도로 일을 한 번 보고 싶으신 곳이면 선택하실 걸 추천드려요. 결과적으로, 정말 분위기만 볼 건지 아니면 깊게 관여해서 한 곳에서 우물을 팔 건지에 따라 따라 탄력적으로 접근하실 걸 추천드립니다. 모든 인턴십 자리가 같은 건 하나도 없고 막상 해보시면 불가능은 없어요, 화이팅입니다.
또 한가지는, 인턴십이 크게는 summer internship (almost always, full-time) v. semester internship (always part-time) 으로 나뉘어요. 저희 같은 외국 국적 소지자들은 늘 비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저는 학기 중에는 학점을 받으면서 인턴을 했고, 행여나 CPT & OPT도 그 때 그 때마다 쪼개썼습니다. 학교마다 정도야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 학생들을 자꾸 실제 경험을 하게끔 시스템을 조정하기 때문에, 저희 로스쿨에서는 학기 중 인턴십은 대부분 학점을 1~3학점 받으면서 진행했었어요, 그러지 않으면 공부에 너무 영향이 많으니까요. 즉, 수업을 인턴십으로 대체한 거죠. 더 궁금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더 질문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