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스터디] 화학 고석용쌤 - 화학(공)과가 힘든 이유ㅠ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화학도의 짠한 대학생활 + 석용쌤의 설거지와 유해물질
    100% 화공과 가지말란 것은 아니니 참고만 하세용ㅎㅎ
    꼼꼼하고 섬세한 화학의 베테랑, 고석용 선생님이 궁금하다면? ▶ bit.ly/2JOD7Lg
    합격불변의 법칙 메가스터디
    www.megastudy.net
    m.megastudy.net

КОМЕНТАРІ • 2,2 тис.

  • @자차유-h1o
    @자차유-h1o 5 років тому +3177

    현직 화학교사입니다. 과제연구나 동아리시간에 화학 실험을 하며 즐거워하는 학생들이 화학과를 간다고 하는데 말릴수가 없습니다... 유기화학실험을 하면서 조교님과 같이 날을 넘겨 퇴근하고 술마시던 기억... 수돗물에 이온들을 EDTA로 적정하는데 그걸 5시간동안 하면서 울고싶었던 기억...
    저에게 술이 없었다면 진짜 대학을 때려치웠을 겁니다...
    그리고 대학원에서는 밤새가며 하던 실험들을 기억하면... 저는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죄를 짓고 있습니다.
    어서 도망쳐...

    • @곽병혁-w6j
      @곽병혁-w6j 5 років тому +77

      자차유 화학과 지망생인데... 그런....

    • @TenMillionChemist
      @TenMillionChemist 5 років тому +293

      선생님... 과거의 저를 제발 말려주시지 그랬어요.......

    • @beast_0503
      @beast_0503 4 роки тому +76

      화학교사를 꿈꾸고 있는 학생인데...
      글 읽으니 쩝... 좀 두렵네요

    • @아잇난잘몰라요
      @아잇난잘몰라요 4 роки тому +92

      ㄴㄴㄴ 화학과 4학년인데 적성 잘맞아서 재밌음 쉬운과 어려운과 너무 신경쓰지말고 자신의 적성에 맞게 가셈

    • @sehwan1261
      @sehwan1261 4 роки тому +81

      @@beast_0503 화학교육과는 일반화학실험밖에 안해요 EZEZ~ 화학과도 전공실험(유기무기,물리,분석,나노 등등) 중에 선택해서 3~5개 들으면될껄요 ㅎㅎ 할만합니다 화학과도. (지나가던 화학과 졸 / 화학과 대학원 중퇴 / 화학교육과 대학원 졸)

  • @Phonics-d9s
    @Phonics-d9s 6 років тому +4138

    화공은 화학의 공학버전이 아니라 기계공학의 화학버전입니다

    • @user-nq8ml7zf5x
      @user-nq8ml7zf5x 5 років тому +12

      ㅋㅋㅋㅋㅋ

    • @길민성-x5s
      @길민성-x5s 5 років тому +72

      ㅋㅋㅋㅋㅋㅋ진짜 맞는말

    • @oneoffool0
      @oneoffool0 5 років тому +323

      화공과는 3학년 설계과목부터...(전 3학년 되기전에 약대 도망침)

    • @oneoffool0
      @oneoffool0 5 років тому +242

      @@수빈-q5g 예 현직에 있어요

    • @wraithlop9699
      @wraithlop9699 5 років тому +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거 ㄹㅇ이네

  • @_Nekopara_
    @_Nekopara_ 6 років тому +4965

    화공과입니다. 재수강하시는 4학년분들이 빨리끝내고 쉬려고 다해주셔서 꿀빨았습니다. 기받아가세요.

    • @이수현-p7i6u
      @이수현-p7i6u 5 років тому +25

      ㄱㅅ합니다

    • @JSKIM_
      @JSKIM_ 4 роки тому +37

      공대생인데 군대가기전에 시간 좀 남는데 어떤걸 해야될까요? 조언좀요 ㅠ

    • @고광윤-n6t
      @고광윤-n6t 4 роки тому +5

      아이고 감사합니다

    • @남승엽-x9r
      @남승엽-x9r 4 роки тому +22

      @@JSKIM_ 어차피 군대인데 뭐하고 살건지 고민하소

    • @StarWaIkin
      @StarWaIkin 4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meringueyurang
    @meringueyurang 5 років тому +3985

    지나가는 화학과 대학원 노예한테 이것을 추천해준 유튜브 알고리즘 당신은 대체.....? 이미 왔는데....ㅋㅋㅋㅋ....

    • @Kim_Brouk
      @Kim_Brouk 5 років тому +615

      화학과 대학원생에게 이걸 왜 추천하는거지 알파고? 내 눈을 똑봐로 봐라

    • @wouok4057
      @wouok4057 5 років тому +24

      화학과 가고싶은 중학생 인데 가면 안돼요?

    • @정우현-m4d
      @정우현-m4d 5 років тому +319

      @@wouok4057 네

    • @이종범-u3b
      @이종범-u3b 5 років тому +40

      @@wouok4057 네 오지 마세요 절대 오지 마세요

    • @wouok4057
      @wouok4057 5 років тому +20

      @@이종범-u3b 힝

  • @김현재-c5h
    @김현재-c5h 6 років тому +2734

    아냐... 더 불쌍한건 조교하는 대학원생이야... 제발 답안지에 읽을 수 있게 답을 적어 줘

    • @TOGEPURI
      @TOGEPURI 6 років тому +1094

      김현재 ㄹ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답안은 존나게 긴데
      중요한게 없어 ㅋㅋㅋㅋㅋㅋㅋ

    • @진웅-i3w
      @진웅-i3w 6 років тому +887

      제발 시험지에 편지좀안썼으면..

    • @SeungminLee-g1b
      @SeungminLee-g1b 6 років тому +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lbertcamus5980
      @albertcamus5980 6 років тому +7

      ㅋㅋㅋㄱㄲㄱㄲㅋㄱ ㄹㅇ

    • @Mistiik21
      @Mistiik21 6 років тому +34

      우리학교는 그래서 아예 틀린말쓰면 감점임

  • @싶다밥먹고-y6k
    @싶다밥먹고-y6k 4 роки тому +1458

    이공계특 : 서로 자기과 정말 힘들다며 오지말라함

    • @wraithlop9699
      @wraithlop9699 4 роки тому +508

      힘들다고 오지 말라는 애들 특 : 팩트를 말한거임

    • @슈숙
      @슈숙 4 роки тому +339

      근데 ㄹㅇ 힘들어요 특히 실험과목은 학점은 드럽게 짠데 하는 건 줫나 많고 레포트에 실험 반복에... 고딩때는 흰 가운 입고 세포 관찰 실험하면 재밌고 멋있어보이고 그랬는데 흰 가운만 보면 그냥 타이다이로 만들어서 존나 반항하고 싶어요

    • @조승현-k2m
      @조승현-k2m 4 роки тому +64

      @@펠콘-f3x 단순 이공계가 5급보다 어려웠으면 다 5급 시험보러가죠

    • @thisisanacount
      @thisisanacount 4 роки тому +7

      다 힘들어서 그런거

    • @effort_hong9747
      @effort_hong9747 4 роки тому +41

      레포트 양이 너무 많아서 호치케스가 안찍힘.. 문제는 그런 레포트가 일주일에 3개이상이고 일주일에 5번이 전공과목 퀴즈있음ㅋㅋㅋㅋㅠㅠ

  • @차밍-w1b
    @차밍-w1b 6 років тому +1791

    지나가던 화공과 대학원생입니다.
    일주일만에 집에 들어가서자고 출근길에 유튜브보다 들렸습니다.
    그래도 살만은합니다.
    마저지나가겠습니다.

    • @오이소박홍구
      @오이소박홍구 5 років тому +143

      대학원생이란 사실만으로 존경합니다...

    • @호옹-f4l
      @호옹-f4l 5 років тому +622

      으디서 노예가 유튜브를 하노?

    • @행여그댈맴돌아-g8h
      @행여그댈맴돌아-g8h 5 років тому +37

      @@호옹-f4l ㅋㅋㅋㅋㅋㅋㅋ

    • @Abcd-ez3rq
      @Abcd-ez3rq 5 років тому +87

      기계김 악마시키.,.....

    • @동현-g1s
      @동현-g1s 5 років тому

      차밍 혹시 해외 대학원 갈려하면 간판 필요한가요??

  • @알리츄-z8z
    @알리츄-z8z 5 років тому +332

    화공과2년다니고 경영학과로 전과했는데 천국이었음ㅋㅋㅋ 교수놈들이 수업을 안하고 조별과제만시킴ㅋㅋ 할거없어섴ㅋㅋㅋㅋ 근데 그것도 1년하니까 ㅈ별과제됨

  • @owskf6275
    @owskf6275 4 роки тому +1678

    ???:화공도 가지마 컴공도가지마 국문학과도 가지마 경제학과도 가지마 법학과도 가지마
    나:그럼 어딜가요?
    ???:서울대를 가

    • @미요-c8h
      @미요-c8h 4 роки тому +89

      ㅋㅋㅋㅋㅋㅋㅋㅋ???: 5수를 해서라도 서울대를 가라!!

    • @바다-v8u3g
      @바다-v8u3g 4 роки тому +234

      @@미요-c8h 5수를해서 의대를가야지 서울대를 왜가 ㄷㄷ

    • @미요-c8h
      @미요-c8h 4 роки тому +85

      @@바다-v8u3g 한석원 선생님 명언입니다....;;

    • @바다-v8u3g
      @바다-v8u3g 4 роки тому +47

      @@미요-c8h 우진쌤 원바라기라 죄송합니다 몰랐네요

    • @마구마구-v2g
      @마구마구-v2g 4 роки тому +15

      의대도 오지마...

  • @ohijiohc
    @ohijiohc 6 років тому +2612

    화학과 학생인데 첫시간 예뻐보이던 조교수가 화학실험 2번만에 빅맘으로 보입니다..

    • @고고-g1j
      @고고-g1j 6 років тому +343

      씨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공감.

    • @user-rt9hd9oz5g
      @user-rt9hd9oz5g 6 років тому +29

      ㅋㅋㅋㅋ ㅅㅂ

    • @ab-yb7ny
      @ab-yb7ny 5 років тому +110

      빅맘 시발 ㅋㅋㅋㅋㅋㅋ

    • @보리차-w5v
      @보리차-w5v 5 років тому +40

      coen 20 도망가세요

    • @이상윤-e6t1k
      @이상윤-e6t1k 4 роки тому

      @p s 도망가...이건아니야.........

  • @Seongjae139
    @Seongjae139 6 років тому +310

    전화기출신 대학생활 요약: 기상>통학>강의>도서관>공부,과제>취침>아침

    • @MINCHULHONG
      @MINCHULHONG 4 роки тому +57

      공부 과제>아침>취침인데요 ㅋㅋ

    • @Seongjae139
      @Seongjae139 4 роки тому +8

      @@blazar7388 학부 졸업하거나 아니면 석사 졸업하고 벌죠

    • @user-uj1jg8gn4c
      @user-uj1jg8gn4c 4 роки тому

      암울한걸

    • @밀키-q3y
      @밀키-q3y 3 роки тому

      나 사찰당했네

  • @jamesisgood17
    @jamesisgood17 6 років тому +2065

    여러분 화공과 오면 화학 할거 같죠?? 3학년부턴 화학을 베이스로 깐 물리와 수학의 연속입니닼ㅋㅋ

    • @불편러프로-o3m
      @불편러프로-o3m 6 років тому +82

      박재영 오우 쉣 물리..

    • @이브-y1w
      @이브-y1w 6 років тому +190

      ㅇㅈ 우리가 알던 그 화학을 하려면 화공보단 생공에 더 가까워요

    • @귀귀구귀귁
      @귀귀구귀귁 6 років тому +150

      열역학은 이미 내가 알던 열역학이 아니었죠... ㅋㅋㅋ 유체역학 열역학 단위조작 반응공학... 개인적으로 잘 안 맞아서 진짜 다 때려치고 싶었음 ㅠㅠ

    • @Bubu2-g2k
      @Bubu2-g2k 6 років тому +62

      화학 배우지만 양적관계하고 엔트로피 몰분율 계산같은 수학, 물리를 주로 하는건가ㅠㅠ 거의 유사화학인데

    • @suhyunkim3581
      @suhyunkim3581 6 років тому +3

      고체물리 ㅅㅅㅅ

  • @user-pl2gt5ip9m
    @user-pl2gt5ip9m 5 років тому +974

    과학학원 쌤이 자기 대학원 다닐 때, 신문 나온 적 있는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사 내용이 “추석에도 집에는 못가지만, 그래도 배울 게 많아 좋아요!” 이런 거였다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쌤이 자기 설거지 진짜 잘 한댔음. 화학과 나오면 설거지 장인 된다고

    • @mlbkbo
      @mlbkbo 5 років тому +137

      설거지를 잘하는 수준이 아니게 됨

    • @김진현-u9w
      @김진현-u9w 5 років тому +7

      꼭 그런것도 아닌듯요... 전 초자류들을 왕수처리함... (연구원

    • @폴라베어-n9u
      @폴라베어-n9u 4 роки тому +20

      아? 그래서 화학과인 혈육이 자기 설거지 잘한다고 한거였나.

    • @Mistiik21
      @Mistiik21 4 роки тому +61

      초자 닦는것도 연구실마다 다릅니다 유기화학 같은 화합물 주로 쓰는 방은 설거지 잘해야되는데 금속쓰는 연구실은 왕수로 녹여버립니다ㅋㅋㅋ 설거지 노필요 개꿀!

    • @최재혁-z2s
      @최재혁-z2s 3 роки тому +1

      캬 내가 그래서 설거지 장인이지 ㅈㄴ 잘해

  • @eesdwe2980
    @eesdwe2980 6 років тому +3756

    학교 물리 화학 선생님들 보니까 다 윗머리 없든데 스트레스 받아서 그러나ㅜㅜ

    • @jinpark4003
      @jinpark4003 6 років тому +621

      저는 미국에서 학교 다니는데 ... 저도 공대계열 교수님들중 머리 안벗겨진분 단 한분도 못봤어요 ...

    • @꽃개-n6c
      @꽃개-n6c 6 років тому +259

      이진우 진짜 밤을 ㅈㄴ 새서 그럼 ㅋㅋㅋㅋㅋ

    • @c.ronaldo8022
      @c.ronaldo8022 6 років тому +68

      Zzzzzzzㅅㅂ팩트 개웃기네

    • @사랑꾼-c1u
      @사랑꾼-c1u 6 років тому +19

      ㅆㅇㅈㅋㅋ미친ㅋㅋㅋ머지

    • @beatzcollection
      @beatzcollection 6 років тому +160

      와 과학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kinoor_3460
    @kkinoor_3460 6 років тому +2465

    기계공학과4학년입니다 나무그늘밑이나 벤치에 앉아본적이 없네요.
    여친이 없어서겠죠.

    • @추대-e5o
      @추대-e5o 6 років тому +90

      저 지나가는 기계공학과인데 공감합니다

    • @ilkhg9902
      @ilkhg9902 6 років тому +16

      @@3213-z9u 적성에 맞는 안맞든 그건 너가 걱정할바가 아니고 넌 너 앞가림만 잘하면된다. 서울대 문사철이면 그래도 자기관리는 다 되는 사람들이기때문에 자기 앞가림은 알아서 잘해

    • @되다만공학자
      @되다만공학자 6 років тому +12

      @시스루의아가씨 서울대 입사관이 서울대 문과는 서울대 이름값 기대하지 말라는데 요즘 졸업해도 설대 이름으로 취업못하고 본인이 노력해야된다는 뜻임. (직접들음..) 어쨋든 현 사회에서 이과>문과는 부정할수 없는 사실이고 인문계는 서울대 미만잡인듯 여기서 인문과학계열 졸업자 프리랜서수 비교해보셈
      m.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343 나도 고대물리하고 경희대 전기전자 넣을건데 붙어서 물리학과가면 먹고사는거 가능한가 걱정임

    • @kongsurf
      @kongsurf 6 років тому +7

      @아가씨 시스루의 인서울 문과

    • @kevinhan3869
      @kevinhan3869 6 років тому

      ㅋㅋㅋㅋ샤르피시험이나 메크로검사 등등 금방끝나서 좋음 다만 역학문제 풀고이론 공부하는게 빡세ㅅ유체 ㅠ 동 ㅠ 그나마 고체랑 정역학 열역학이 쉽지 ㅜ

  • @한지아-p8h
    @한지아-p8h 3 роки тому +117

    화학과 장점 육각형을 누구보다 빠르게 그릴수있음 화학과 나온 내 유일한 장점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urimmmmm
      @yurimmmmm 3 роки тому +3

      벤젠ㅋㅋㅋㅋㅋㅋ

    • @rosie5817
      @rosie5817 3 роки тому +1

      유기 ㅠㅠㅋㅋㅋ

    • @아이차차
      @아이차차 3 роки тому

      지나가던 약준입니다 마저 지나가겠습니다 ㅋㅋㅋ

    • @세원안-s9h
      @세원안-s9h 3 роки тому

      유기 ㅋㅋㅋㅋㅋㅋㅋㅋㅇㅈ이요

  • @15xxrcn
    @15xxrcn 6 років тому +920

    문과생이 공대생만큼 공부하면 좋은 데 취업합니다. 공대생 수준으로 공부하면 학점관리 + 상경계열 복전 성공 + 자격증 + 어학 등등 스팩 다 갖출 가능성이 크니까요.

    • @brrr9260
      @brrr9260 5 років тому +13

      식광 공대생은 어느 수준으로 공부하는데요..? 저는 문과라ㅠㅠ

    • @faust1808
      @faust1808 5 років тому +303

      @@brrr9260
      그냥 종일 한다고보면됨.
      문과생이 공대생만큼하면 학점4도나올거라는게 정설.

    • @user-qj3wb9tp6e
      @user-qj3wb9tp6e 5 років тому +400

      문과에서 컴공으로 전과한 학생입니다 문과시절 학점 4.2 받고 공대로 전과하고 문과때보다 2배 열심히 공부했는데 3.5 겨우나왔습니다

    • @김상진sangjin
      @김상진sangjin 4 роки тому +26

      @@user-qj3wb9tp6e 기존 공부량과 2배 공부량 시간을 말해주셔야 말씀에 타당성이 잇을듯요

    • @Jiuwvriusrvonusor-ml8vj
      @Jiuwvriusrvonusor-ml8vj 4 роки тому +10

      문과대학에서 어케하면 공대로 전과할수 있나요??

  • @스트빠감
    @스트빠감 5 років тому +419

    결국엔 자기가 좋아하는 전공으로 대학을 가야한다고 봄. 어느 전공이든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를 파서 상위클라스만 되면 성공함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5

      ㅇㄱㄹㅇ

    • @shc845
      @shc845 5 років тому +48

      그게 어려워서 그렇지..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25

      @@shc845 뭐 어느 전공이든간에 그 분야에서 진짜 최고가 되려면 다 어려운거 아닌가요?

    • @kmj1324
      @kmj1324 5 років тому +9

      공감하는 멘트입니다..... 대신 어느정도의 길은 있는 곳으로 바이오나 철학과는 좀

    • @jandrozhov3245
      @jandrozhov3245 5 років тому +5

      @@kmj1324 본인이 하고싶은거면 외국으로 나가서라도 하면 되지 않나요??

  • @minhobono
    @minhobono 4 роки тому +39

    축제 때 누구 오나 궁금해하지마, 너는 그 시간에 유기화학실험 하느라 집에도 못가고 있을거야

  • @mujin2886
    @mujin2886 6 років тому +860

    화공 졸업자입니다. 화학 좋아서 왔지만 실상은 역학에 화학이라는 조미료 조금 뿌린 정도였고, 재밌던 화학실험은 대학오면 노가다로 느껴집니다 ㅜㅜ

    • @resonanceheart2960
      @resonanceheart2960 6 років тому +3

      ㄹㅇ ㅇㅈ

    • @gjl4180
      @gjl4180 5 років тому +53

      화공은 화학 조미료 수준임... 원래 기반이 기공인지라...

    • @버터-e2m
      @버터-e2m 5 років тому

      하 노가다 ㅇㅈ

    • @양파볶음-r1d
      @양파볶음-r1d 3 роки тому +9

      그래서 화공과인 어떤 분이 울과(화학과) 수업 듣고, 실험 수업도 듣더라ㅋㅋㅋㅋㅋ결국에 3학년으로 전과하시고ㅋㅋㅋㅋ올a+ 받아간 전설의 선배가 됬음

    • @장혁-o2q
      @장혁-o2q 3 роки тому +7

      양론 : 음..할만한데?
      열역학 : …? 조금 빡센데..?
      유체역학 : ??!!??!?!?!???

  • @썩가라히어-i5e
    @썩가라히어-i5e 6 років тому +618

    지들 과가 제일 힘들다 콘테스트열ㄴ렸네ㅋㅋㅋ

    • @기진-n9s
      @기진-n9s 5 років тому +334

      @coen 20 이과가 문과보단 힘든거 맞잖아

    • @앙기목-r5n
      @앙기목-r5n 5 років тому +359

      의대생입니다 아가리 다닥쳐주세요

    • @기진-n9s
      @기진-n9s 5 років тому +131

      @@앙기목-r5n 공부량 respect합니다

    • @name-dh4fv
      @name-dh4fv 5 років тому +47

      고딩은 아가리쌉치겟습니다

    • @보이스-b6t
      @보이스-b6t 5 років тому +12

      중딩에 씹덕은 디질게요(뇌ㅡㅡ절 인감?)

  • @shorts-mc1sp
    @shorts-mc1sp 4 роки тому +50

    저는 화공과로 입학해서 복수전공으로 컴공과 했습니다. 진짜 기절도 몇번 해보고 탈모도 겪었습니다. 근ㄷㅔ 졸업하니 나만한 놈이 없어 취업은 쉽더라고요 ㅌㅌ + 탈모는 졸업하니 새 머리카락이 송송 올라옵니당~

    • @oz-tp7pt
      @oz-tp7pt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이-g5o4j
    @이이-g5o4j 5 років тому +53

    괜히 전화기가 아님 대학생활을 도서관에 보내는것을 담보로 취업을 얻는거임

  • @dyl4292
    @dyl4292 6 років тому +91

    건강상의 이유인줄 알고 봤다...
    성공하니 하는 말이 가지 말라는...

  • @edificiooo8622
    @edificiooo8622 6 років тому +487

    맞는말 ㅋㅋ 화학과 졸업자로서 동감. 전공실험은 2학점밖에 안되는데 3학점 이상인 느낌. 레포트만 10장 이상 빼곡하게 써야하고 ㅋㅋ

    • @슈프림-x2p
      @슈프림-x2p 4 роки тому +14

      보통 3학점짜리 전공과목이 일주일에 3시간인데 2학점인 실험은 명시된시간만 4시간에 실제 실험준비, 정리시간만 해도 다 합하면 6시간에 육박하죠 실험을 하기전에 자료조사해서 ppt작성해 교수와 조교들 앞에서 발표해야하고 실험 후 결과보고서 작성할때 많은 참고문헌들을 보고 토의를 작성해야하는데 학점에 비해 너무 많은 노력과 시간을 쏟아야 하는게 진짜 엿같습니다
      실험 도중 유해시약들로 인해 머리가 지끈거리는건 다반사고 결과가 안좋게 나올까봐 한시도 방심도 못하고 사고 방지 때문에 조교들도 예민해져있어 그자리가 너무 불편합니다 ㅜㅜ

    • @Mistiik21
      @Mistiik21 4 роки тому +15

      저흰 1학점이었는데 부럽네요... 3학점 같은 1학점 과목이있다? 뿌슝빠슝뽀슝^^

    • @IIlIIlIlllIlIlll
      @IIlIIlIlllIlIlll 4 роки тому +3

      @@Mistiik21 우리도 1학점..ㅜㅜ 심지어 영어로 수업하고 레포트도 다 영어로 써야 했음

    • @hyenym
      @hyenym 4 роки тому

      저희학굔 전공실험 1학점이었어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필수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예비레포트 겁나 토나오는데 결과레포트도 써야하는거 너무... 게다가 무조건 수기작성.........

    • @hyenym
      @hyenym 4 роки тому

      아니 도대체 6시에 시작하는 실험수업 들었는데 11시에 조교님이랑 같이 나와야하는 실험을 왜 1학점짜리에 짜는건지 모르겠음...ㅠㅠㅠㅠ

  • @hihi0724
    @hihi0724 4 роки тому +33

    이미 화학과인데요.. 흑흑
    다 떠나서 코로나 때문에 실험 싸강으로 듣는 슬픔을 아세요ㅜㅜㅜㅜㅜㅜㅜ 보고서 쓰기 싫었지만 그런다고 이론 영상 1시간 반 보고 싶진 않았다고ㅜㅜㅜㅜㅜㅜㅜ

  • @개구리꼬륵
    @개구리꼬륵 5 років тому +23

    화학공학과인데 백퍼 공감임... 왜 이 영상을 실험이 다 끝난 지금 보게 된 걸까... 수시 지원 전에 이 영상을 봤다면 가는 길이 달랐을텐데.. 매주 레포트 4개도 힘들고, 무엇보다 실험이 이상하게 결과값이 나오면 더 힘들다... 그래도 나보다 조교님이 더 짠함... 걍 노예임... 분명 수강 과목 교수명은 교수님 성함인데, 수업 때 교수님 뵌 적 한 번도 없고, 조교님밖에 못 봄... 조교님들, 그리고 화학 관련 과 대학생들 모두 화이팅 임돠..!!!

    • @지연-h2c
      @지연-h2c Місяць тому

      화공과 가서 제약회사 연구원하고싶었는데,
      많이 힘든가요?

  • @glass_gorilla
    @glass_gorilla 4 роки тому +50

    화공과 2학년인데 이제 슬슬 뭔가 이상해지기 시작한다.. 탈주각 잡아야해..

  • @친환경토마토
    @친환경토마토 6 років тому +44

    ㅋㅋㅋㅋ 예비보고서 결과보고서 무한반복 -> 졸업 ㅋㅋㅋㅋㅋ

  • @jihochoi_cs
    @jihochoi_cs 6 років тому +153

    솔까 나 컴공과고 코딩하느라 워크로드 많은 편인데, 화공과 워크로드 더 많은거 인정한다. 오지게 똑같은 실험들 하는데 오지게 똑같이 보고서 매번 써야 하는 부분 인정

  • @soo6830
    @soo6830 5 років тому +178

    4:50 와 나저렇게 그래프나왔다가 자퇴서넣고싶었는데 ㅁㅊ...

    • @양파볶음-r1d
      @양파볶음-r1d 3 роки тому +1

      근데 토욜도 실패해서 일욜도 나와서 한 내 동기 생도 있음ㅋㅋㅋㅋ 원래 토욜에 한 번 더 해서 끝내려고 해도 조교가 집 가야 된다고 그래서 빽당하고, 일욜은 실험실 박사과정 중이신 분이 검사했다고 그럼ㅋㅋㅋ

  • @favorites8873
    @favorites8873 6 років тому +157

    화학과? 와봤자 대학원 가서 공부하고 싶어도 현실은 주위에서 약대 준비하라고 난리칠거다 그럼 학교의 예렢 결렢 실험 중간기말 시험은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느껴질거임 학점따는게 세상에서 제일 쉬운 일이라 생각하면서.

    • @teramotoyogopa5230
      @teramotoyogopa5230 5 років тому

      peet 조만간 폐지 ㅋ

    • @teramotoyogopa5230
      @teramotoyogopa5230 5 років тому +9

      @@빵장사 뭔소리에요 이미 폐지 확정됐는데요

    • @saranam9581
      @saranam9581 5 років тому +1

      저만 학점따기 힘든건가요?ㅜㅜㅜㅜ

    • @Pharmacist_Damien
      @Pharmacist_Damien 4 роки тому +2

      지나가던 현직 약사입니다. 아직은 PEET가 폐지되지는 않았구요, 2022년부터 수능으로 들어오는 친구들이 3학년이 될 때 까지는 PEET로 약대정원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MEET 제도를 유지하는 몇몇 의전처럼 PEET로 신입생을 뽑는 학교가 남아있다면 시험 자체는 계속 남아있을 수 있겠네요.

    • @슈프림-x2p
      @슈프림-x2p 4 роки тому +4

      @@saranam9581 다 힘듭니다 약대 의전원 준비때문에 1학년때부터 경쟁이 엄청나요 심지어 지방대 화학 및 생명 계열 학과들도 그런다 합니다
      다만 명문대일수록 기본적인 학생들의 수준이 더 높으니 유명 약대등에서도 PEET성적이 좀 모자라도 대학이름을 고려하는것 이겠죠?

  • @ssaktoong
    @ssaktoong 6 років тому +438

    화학 관련 전공 출신으로 화학 관련 업계에 일하는중인데 진짜 공감됨, 학교생활보다 직장 생활이 더 지옥임, 무슨 실험 하나하라고 시키는데 꼭 당일 오후에 시켜놓고 다음날 아침까지 결과 내라고함!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하면 간단한 실험인데 뭐가 그렇게 힘드냐고 하는게, 실험전 준비과정이 얼마나 시간이 오래걸리는지 100날 설명해줘도 이해를 못함 결국 밤늦게 야근하고 집에들어가서 서너시간만 자고 남들보다 두세시간 일찍 출근해서 보고서 작성하는경우 허다함

    • @kanbaya6721
      @kanbaya6721 5 років тому +9

      근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모르면
      반대로 간단한 실험도 오래 끌어도 되는거아님? 처음엔 깨지겠지만 반복되면 그러려니 하겠지

    • @minjae92
      @minjae92 5 років тому +1

      이거 학부때부터 이어져내려오는건가...?

    • @minjae92
      @minjae92 5 років тому +152

      @@kanbaya6721 반복되면 해고 순서가 올라가겠죠.

    • @아우아오야
      @아우아오야 5 років тому +24

      연구직 존경합니다. 대한민국을 빛내주세요.
      영하 동절기에 타설해도 되는 콘크리트 개발하시면 돈 많이 버실겁니다.

    • @nolboo4k943
      @nolboo4k943 5 років тому

      @@아우아오야 현장은 영하 10도에도 콘크리트 타설하는 놈들 널렸습니다.

  • @pchem_log
    @pchem_log 3 роки тому +23

    화학 박사과정을 하는 입장으로서 (참고로 저는 물리화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실험에 대해서는 학부 때 배운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1. 실험 관련 쪽을 들어가면 설거지를 잘 하는 법을 배운다는 팩트인 것 같습니다. (전공 실험 수업에서 이런 것을 요구할 수도 있지만, 보통 '학부 연구생' 혹은 '대학원생 초기' 때 요구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2. 화학에서 실험을 안 하는 쪽이 있는가? -> 이론화학, 또는 계산화학을 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두 분야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화학 분야 (즉, 실질적인 실험 [시약을 섞고, 반응을 몇 시간 시키는 것]으로 결과를 내는 것) 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3. 최근 화학의 동향을 봤을 때, 많은 세부적인 분야가 있겠지만 , 짧은 소견으로는 기계학습 , 즉 AI을 이용한 화학 반응 예측 (4차 산업 혁명), 아니면 특정 질병 및 물질 진단 키트 개발 (코로나 등의 진단), 혹은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복잡한 물질 생성 (탄소 배출 감소), 기타 빛 혹은 친환경 물질을 이용한 유기화합물 생성 등이 활발한 분야인 것 같습니다.
    연구비 지원 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로 봤을 때, 결국 나라에서 지원하는 사업 자체가 화학 등의 학문 발전을 유도하는 방향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4. 취업이 목적이신 분들은 좋은 대학교에 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혹시라도 (고등학생 때 이런 생각을 가지긴 매우 어렵지만) 진정한 과학자가 되는 것에 관심이 있다면, 각 학교의 교수진이 어떤 연구를 수행하는지 관심을 가져 보는 것도 좋습니다. [(비록 본인이 연구에 관심이 있더라도, 결국 지도 교수의 학풍에 따라갈 수 없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사실 이 조언은 고등학생들보다는 대학원에 진학할 생각이 있는 분들한테 더 맞는 조언인 것 같긴 하네요.)
    Case by case 이긴 하지만, 제가 다니는 학교의 화학과 에서는 현실적으로 이렇습니다.
    1) 학사 졸업: 취업을 하실 수 있지만, 성공하더라도 전공을 살리기는 어렵습니다. 보통 영업직으로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경우, 공부를 더 하고 싶으면 외국으로 유학을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외국 유학만이 정답이 아니라는 것이 정설이긴 합니다.
    2) 석사 졸업: 취업을 하면 전공 관련 (연구원) 직업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박사 학위를 가지신 분들이 주로 연구의 주도권을 쥐고 계시기 때문에, 보통 보조적인 일을 많이 하게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간혹 회사를 그만두시고, 박사 과정을 하시러 오시는 분들이 계신데, 남이 시키는 일을 해야 하는 것에 대해서 불만을 느끼시거나, 자기 주도적인 것을 하고 싶으신 분들이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박사 졸업: 취업을 하면 일명 선임연구원 등으로 취업이 가능하고, 박사 후 연구원 과정을 거친 후 좋은 기업이나 (정말 운이 좋으면) 대학 교수가 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박사 학위 자체가 취업을 보장해주는 수표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본인이 화학에 정말 관심이 있지 않는 이상 추천하고 싶진 않습니다.
    사실 어떤 길을 선택하든지 간에, 결국 자기가 원하는 길을 선택해야 가장 스트레스도 덜 받고, 그 선택에 대한 후회가 없는 것 같습니다.
    이 영상을 보는 많은 사람들도 본인이 원하는 일을 잘 선택하고, 슬기롭게 대처하시고, 즐거운 생활을 하실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 @전형준-z1s
      @전형준-z1s Рік тому

      계산화학 가우시안 돌리는데 컴퓨터 부셔버리고 싶던데 ㅋㅋ

  • @포카칩-u3f
    @포카칩-u3f 6 років тому +486

    화공뿐이니라 대부분의 공대가 그렇죠...

    • @user-alwkdjchxkksms
      @user-alwkdjchxkksms 4 роки тому

      생공도 그렇나요??

    • @문연아-r9v
      @문연아-r9v 4 роки тому +1

      생공도 그렇나요??

    • @harugagilda
      @harugagilda 4 роки тому +16

      생공은 공대라 햐기 좀 그래요

    • @user-en5vw2xo3l
      @user-en5vw2xo3l 3 роки тому +1

      @@harugagilda 그건 맞지 ㅋㅋㅋㅋㅋㅋ
      근데 나름 생공도 빡세더라 전화기다음이니까

    • @안치윤-o7h
      @안치윤-o7h 3 роки тому +1

      원래 대부분의 제대로된 공대는 2학년때부턴 고삼 느낌 납니다. 저도 공대가 고삼보다 힘들다고 썻던 일기가 있네요.

  • @hyun2839
    @hyun2839 6 років тому +333

    10년전 고2때 화학에 눈뜬게 고석용쌤 덕분이었는데 제마음속에는 화학원탑강사였습니다 ㅠㅠ 지금도 잘계시는군요..!!

  • @밍키-q8j
    @밍키-q8j 4 роки тому +337

    이제 겨우 진로 정한듯한 고2한테 알고리즘이 이런 짓을 ㅅㅂ;; 머한민국에선 뭘 하고살라는 거임 ㅠ

    • @Zzz-gh6tn
      @Zzz-gh6tn 4 роки тому +11

      ㅇㅈ ㅅㅂ 그럼 어딜가란거임

    • @음치킨-m9x
      @음치킨-m9x 4 роки тому +51

      진로라면서 힘들다고 포기하면 그게 진로냐? 꺼져 그냥 문과처럼 놀든가

    • @mss102-n1t
      @mss102-n1t 4 роки тому +22

      @@음치킨-m9x 이게 맞지. 꿀빨고 싶은 미래가 무슨 진로임.

    • @황재성-d9q
      @황재성-d9q 4 роки тому +100

      @@음치킨-m9x 왤케 쳐 꼬였노

    • @ys-cp9vj
      @ys-cp9vj 4 роки тому +16

      @@황재성-d9q 뭐가 꼬인거임 팩트를 말한건데 영상 하나 정도로 바뀔 진로와 의지였으면 그게 정했다고 말할 수 있음? ㅋㅋㅋㅋㅋㅋ

  • @GloriaXD1104
    @GloriaXD1104 6 років тому +32

    ㅋㅋㅋ화학과 학생인데 공감가는것도 있네요 그래도 화학 좋아하시는분 화학과로 가세요~고등학교랑은 다른 재밌는 내용도 많아요ㅎ 근데 제발 실험하고 결과그래프 그릴때 오차 줄인다고 결과값 고치지마세요ㅠㅠ 도움되는거 없고 점수 잘받아봤자 재실험해서 제대로 구하는게 본인에게 젤 좋습니다!!

    • @gjl4180
      @gjl4180 5 років тому +12

      야! 그럼 집에는 언제가란 말이냐~~!!!! ㅋㅋㅋ

  • @Thaumiel타우미엘
    @Thaumiel타우미엘 6 років тому +18

    화공과 졸업생입니다.
    화학공학과는 화학관련 과이긴 합니다만, 실체는 물리입니다. 플랜트(화학공장) 설계에서 원하는 물리량을 얻을 수 있도록 이리저리 설계하는 것이 화학공학입니다. (보통 화학공학하면 Chemical Engineering 이라 하지만, 정확히는 Chemical Process Engineering이라 보시면 됩니다.)
    강사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은 화공도 어느정도 해당되긴 합니다만, 화학과에 더 가깝습니다. 그래서 화학 좋아한다고 하는 분들이 화공과 오고 나서 후회하는 사람도 엄청 많기도 하구요..ㅎㅎ
    그리고 화학관련 과에 낭만이 없다고 하는 건 화학관련과 뿐만 아니라 모든 공대가 다 그렇습니다. 퀴즈나 시험, 실험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저것도 힘들지만, 진정한 공대의 꽃은 전공 프로젝트...

  • @나라유-g1b
    @나라유-g1b 3 роки тому +18

    진짜 레알임. 실험을 매주해서 주말마다 실험보고서 쓰느냐 주말을 즐겨본적이 없음. 이주마다 시험을 봐서 시험공부하고 영어로 된 논문자료를 해석하고 내가 의대생도 아닌데 왜
    이래야하나싶음.

  • @wendy-wk4hx
    @wendy-wk4hx 4 роки тому +96

    고딩 때는 그냥 웃으면서 봤는데 ㅋㅋㅋㅋㅋㅋ 대학 다녀보니 실험 전 후 레포트 때문에 도서관 여러 번 가는 거 너무 공감된다

  • @koko-hv8js
    @koko-hv8js 6 років тому +157

    자유낙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채만송
    @채만송 Рік тому +8

    고3때는 에이 설마ㅋㅋ 이랬는데 지금은 한 학기 내내 피눈물 흘리면서 레포트랑 과제 하다가 밤 새우고 보니 기말고사 전날임ㅋㅋ 더 강력하게 말려주셨어야죠……….

  • @oneoffool0
    @oneoffool0 5 років тому +210

    0:50 이미 수리 가형을 선택한 사람들 두고 그런소리 해봐야 시간 못 되돌려양...

  • @우루사-l9x
    @우루사-l9x 5 років тому +74

    화학은 실험이 할만한 대신 겁나 오래걸리고 물리쪽은 실험이 빨리 끝나는 대신 내용이 오지게 어렵습니다 빨리 유학가야겠다

    • @Spongepop1357
      @Spongepop1357 4 роки тому +30

      엄준식 유학가면 그 내용을 영어로 배웁니다 ^_^

    • @sngmnshn
      @sngmnshn 4 роки тому +2

      ㅇㅈ 용어정리해가면서 배워야됨 개고통임

    • @데레냥-g6v
      @데레냥-g6v 3 роки тому

      ㅇㅈ.. 실험 하나 하는데 2주걸려...

  • @fierce.fierce
    @fierce.fierce 5 років тому +52

    맨날 퀴즈나 시험ㅋㅋㅋㅋㅋㅋ 개 공감 남들 중간 기말 볼때 n차고사 보고 그 n차 합쳐서 성적나옴 ㅋㅋㅋㅋㅋ 생물학과인 친구한테 말했더니 왤케 시험 많이 보냐 함 ㅋㅋㅋㅋㅋㅋ 같은 단과대도 공감 못하는 시험 횟수...

    • @dohyeon8211
      @dohyeon8211 3 роки тому

      참고 ) 생물학과도 n차시험봄

  • @junkang9104
    @junkang9104 6 років тому +246

    화학 학사 석사 졸업하고 화학회사 연구소에서 7년째 근무중인 사람인데, 100퍼 다 맞진 않지만 상당히 공감가고 재밌는 설명이네요ㅎㅎ 그래도 전 화학이 아직 좋아서 계속 하고 싶네용ㅎㅎㅎ

    • @늘행복하자-b7q
      @늘행복하자-b7q 6 років тому +1

      궁금한게 있는데요 제가 지금 화학과 휴학중이거든요! (3학년1학기상태)취직을 목적으로 하려면... 화공과로 복전하는게 나을까요... 실험방 가는게 나을까요?? 사실 실험방 가고싶은 마음이 거의 없어서요..ㅠㅠㅠ

    • @yiramkim8674
      @yiramkim8674 5 років тому +15

      @늘행복하자 화학과 학부 그리고 같은과 대학원생으로써 감히 말하자면, 도망치세요. 실험이 싫으면 최대한 빨리 도망치셔야 합니다.

  • @beanh3592
    @beanh3592 5 років тому +89

    화공과 합격하고 기다리는 새내기에게 이걸 추천한 유튜브 알고리즘은...대체.....

    • @히히-l6i
      @히히-l6i 5 років тому +1

      BEAN H 아 나도 ㅅㅂ

  • @serfhh1004
    @serfhh1004 2 роки тому +10

    화학과고 기숙사 경영 등 문과생들이랑 방같이써보니까 시험기간에 나만 밤샘.. 경영학원론 교양으로 그냥 들었는데 하루벼락치기로 비쁠나오고 화학 생화학 미적이랑 공부량 차이 너무 많이 남. 실험레포트는 노가다라 정성만 있으면 점수는 잘받을 수 있음. 우리학교 입결은 문과가 더 높을텐데 공부량 차이 극심해서 이공계 취업이 잘되는게 아닐까ㅎ
    1학년 1학기만까지 놀거나 첨부터 공부열심히 하면 취업잘할 수 있음. 화학올거면 방학때 화2 예습꼭하고오세요. 생1,2만 했어서 화1도 ㅂㅅ인데 1학년꺼 다 재수강하고 너무 힘들었음. 동기 절반 이상은 화학 좋아해서 화2도 한번씩 공부하고 온 애들이 대부분이었음. 그리고 연구직할거면 학부때 학석사 하거나 좋은학교 교수 컨텍해서 꼭꼭 석사하세요. 연봉도 달라지고 취업도 수월합니다. 학점안좋으면 더더욱 자대 석사라도 하세요. 이렇게 조언해준 사람있었다면 너무 좋았을거같아서..ㅜㅜㅜ 스무살부터는 각자도생이니 놀지말고 파이팅

  • @gausscauchy6795
    @gausscauchy6795 6 років тому +24

    흠 이과 공부는 다 나름의 고충이 있어. 근데 수학은 진짜 조심해라... 다른건 실용성이라도 있고 뭔가 feasible한 면이라도 있는데 수학은... 니들이 아는 이과과목보다 널널하게 하지도 않으면서 존나 추상적이다

  • @김장희-h6q
    @김장희-h6q 6 років тому +82

    기계공입니다. 다음주 목요일 물리시험이고, 다다음주 전공 쪽지시험이고, 3주후 전공 조별과제 레포트입니다. 아, 지금 도서관이에요ㅋ

    • @P1eyades
      @P1eyades 4 роки тому

      살아계신가요?

    • @beckqq
      @beckqq 4 роки тому +1

      무난하네요. 한 주에 한개 시험이면

  • @hoony9100
    @hoony9100 4 роки тому +39

    기계공학과와 전자공학과는 실험이 짧은대신 프로젝트..ㅠㅠ
    이론->퀴즈->실험->이론+프로젝트->퀴즈+프로젝트->실험+프로젝트->시험+프로젝트->종강전 프로젝트 시연
    보통 6과목을 들으면 한 2,3과목은 프젝..
    이론과목만 있는건 그야말로 천상의하모니..겠지만 시험난이도 헬

  • @Lydia1748
    @Lydia1748 4 роки тому +112

    오랜만에 유튭 알고리즘으로 고석용쌤을 뵙네용...♡
    고3 6평때 20점대받고 충격받아서
    7월부터 고석용쌤 강의듣고
    고3 재수 둘다 화학 두번 다 1등급 받았습니다 ㅜㅜ
    진짜 갓석용쌤 강의듣고 무슨 이벤트 당첨되서
    갤탭도 공짜로 받고 그랬는데 벌써 4학년 임고생이 되었네요...ㅠㅠ
    석용쌤 덕분에 정시로 교대 합격했습니다 ♡♡
    진짜 화학은 고석용쌤이 짱이에요!!
    선생님 항상 건강하세용 넘 감사합니다 ♡♡

  • @kamin-q3w
    @kamin-q3w 5 років тому +54

    캐나다 토론토대학에서 수사과학이랑 생물 복수전공이라 생물, 화학, 물리, 세포학, 환경학 실험 다 해본 사람으로써 진짜 공감되네요 ㅋㅋㅋㅋㅋㅋㅋ
    물론 과목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물리랑 환경학은 웬만해서는 빨리 끝나고 두시간 넘어가지 않아요. 1학년때 물리, 화학, 기본 생물 실험이 한학기에 3개 걸려서 평소에 시험 공부아니면 레포트만 쓰던 기억밖에 ㅋㅋㅋㅋㅋㅋ
    물론 문과처럼 논문쓰거나 그런건 없지만 시험폭탄인것도 맞구요. 고등학교 당시 몇몇 선생님들께서 대학가면 시간 너무 많고 진짜 널널하고 고등학교보다 훨씬 더 행복할꺼야라 말씀하셨던 쌤들 생각해보니 다 문과 ㅋㅋㅋㅋ 생각해보면 이과쌤들은 지금이 좋은거야라고만 하셨네요. 아 그렇다고 문과를 무시하는건 아닙니다 - 각과마다 특성이 있는거죠. 그렇다고해서 사람이 못할 정도도 아닙니다. 제 과 특성상 학기 12주 중 첫 3주 빼고 시험이 하나도 없는주가 없긴한데 그래도 열심히하고 적성에 맞으면 또 하게 돼 있어요. 지금도 살아는 있으니 이 글 쓰고 있는거겠죠 ㅋㅋㅋ
    글이 길어졌는데 혹시 글 보시는 예비대학생 분들. 남들이 뭐라하던 너무 흔들리지 마세요. 본인이 하면 하게 돼 있습니다. 세상이 쉬운거 없지만 그래도 못할것도 없어요. 하다보면 요령도 생기고 사람이란게 원래 적응의 동물이잖아요. 꿈은 크게 꾸라는말 괜히 있는게 아니에요. 하기전부터 겁내고 시도조차 안하니까 많은 사람들이 꿈을 "못 이룬다"라 말하지 차근차근 하나씩하다보면 어느 순간 꿈을 이룰 수 있어요. 용기 잃지 마세요. 결국에 가장 중요한건 본인이 본인 마음을 잘 다스리고 포기하지 않는 의지입니다

    • @가을-g5f
      @가을-g5f 5 років тому

      와 유학가신건가요??

    • @kamin-q3w
      @kamin-q3w 5 років тому

      @@가을-g5f 네! 사실 유치원때부터 이민 온거지만요

    • @Dr_brown-h9n
      @Dr_brown-h9n 3 роки тому

      토론토 대학 화학과 석사 어떤가요..? 캐나다로 석사 가고싶네요.

  • @User-doridodododo
    @User-doridodododo 6 років тому +12

    화공과가 취업깡패가 되는 데는 다 이런 고난의 시간이 필수인거죠

  • @하루살이-m4o
    @하루살이-m4o 3 роки тому +25

    저희 교수님은 식품공학과신데 두부 보존액에 대한 실험이었나.. 어쨌든 두부의 미생물이 증식하면 수용액에 pH가 떨어지니까 그걸 지표로 실험하는데 몇번을 실험해도 수용액 pH가 천천히 하강하다 중간에 멈춘채 유지되다 갑자기 뚝 떨어지더래요.
    그래서 두부의 단백질이 녹아서 완충작용을 하는것 같다고 지도교수님께 말했는데 지도교수님이 니가 조건을 잘못맞췄겠지 하셔서(선행연구는 모두 천천히 pH가 떨어졌음= 이 논문을 내면 모든 선행연구를 부정하게 됨) 결국 그걸 포기하셨는데 반년인가 후에 교수님이 타 대학에서 그렇게 논문 냈고 인정이 됐다고 하셨다는데..
    늘 교수님이 미웠지만 그때만큼 미웠던 적이 없다고 하십니다.

    • @자차유-h1o
      @자차유-h1o 3 роки тому +5

      니가 조건을 잘못맞췄겠지... 진짜 지도교수님의 치트키...

  • @ooo1025
    @ooo1025 4 роки тому +91

    1:32 점선 원을 어떻게 이렇게 빨리 그리지

    • @wherewerocky8608
      @wherewerocky8608 3 роки тому +5

      드르륵 가로세로곡선 마스터했는데 원은 도대체 어떻게함?? 말이안돼

    • @김동휘-i8y
      @김동휘-i8y 3 роки тому +19

      고석용 주특기ㅋㅋㅋㅋㅋㅋㅋㅋㅋ

    • @Omuyunsong33
      @Omuyunsong33 3 роки тому

      ㅈㄴ게 연습해야함

  • @kjunsoo99
    @kjunsoo99 4 роки тому +45

    이건 화학과 뿐만이 아니라 이공계 학생들은 다 해당되는내용 ㅋㅋㅋㅋ 저는 화공다니는데 미국 박사준비한다고 학점 따야해서 전공공부를 하는데.. 교수님들은 그냥 훅훅 ppt 읽고 넘어가시니 복습할때 공식 일일이 하나하나 다 유도해보고 연습문제 풀다보면 몇시간은 우습게 지나가있죠.. ㅠㅠ 공대의 현실입니다.. 그래서 정말 맞는분야 가는게 중요합니다 ㅋㅋ 저는 화공에서 정말 하고싶은것도 있고 반응공학, 열물전 등등 수학으로 유도하는게 괜찮으니까 시간가는줄 모르고 공부하지만 전기전자, 컴퓨터 이런데는 아무리 취업이 잘되도 저랑 너무 안맞는 분야라 보내줘도 안갑니다.. 공대를 갈거면 전화기컴 가는게 맞긴한데 사실 전화기는 제조업이라 정말 해마다 인력수요가 어찌될지 아무도 예상 못해요. 지금 반도체 호황이니 무조건 전전 갈것도 아니라는겁니다 ㅋㅋ 여러분이 취업할땐 아무도 몰라요.. 그렇다고 컴을 가라? 거긴 정말 재능빨 타는 학과입니다. 그리고 거기도 엄밀히 말하면 미래에는 아무도 모릅니다. 결론은 과 선택할때 취업 어디가 잘되는지 현상황 보고 판단하는건 아무 의미가 없으니 전화기컴이면 무조건 본인에게 맞는과 가셔야 나중에 취업이 조금 안되도 대학원 가서 차라리 더 깊게 공부할 기회도 생기고, 힘들때도 남들보다 더 열심히 움직일 수 있어요

  • @user-ic7qx5pl6e
    @user-ic7qx5pl6e 6 років тому +243

    쌤 진짜 양적관계 ㄹㅇ 쉽게 푸시고 풀이 직관적이고 좋은데... 체화시키기가 너무 어려워서 갈아탐 ㅠㅠ

  • @참사랑-v1w
    @참사랑-v1w 6 років тому +175

    차라리 실험이 더 좋던데 ㅋㅋㅋ 이론공부가 ㅈ같지 진심
    화학공학: 물리 수학 잘하는 사람이 화학물질 반응 다루는것

    • @samssoh448
      @samssoh448 5 років тому +26

      실험 결과 안 나올때 자괴감 미침 이론공부는 차분히 앉아서 시간 갈아넣으면 되는 데 랩실에서 나혼자 결과 못 뽑고 있으면 혼자 있고 싶어져 학부때하는 좁밥 실험은 실험도 아니야

    • @hyenym
      @hyenym 4 роки тому +4

      @@samssoh448 아ㅠㅠㅠㅠ ㄹㅇ이요ㅠㅠㅠㅠ 아니 정설이라고 알려진 실험방법을 변형해서 더 나은 결과를 뽑아보라는데 그럼 그게 왜 정설이겠어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하나둘셋하나둘셋-o4r
    @하나둘셋하나둘셋-o4r 5 років тому +25

    4:52 드르륵좌

  • @몽몽-y9l1e
    @몽몽-y9l1e 5 років тому +40

    화학과 - 힘든데 취업은 그럭저럭 되는편.
    생물학과 - 힘들고 취업도 힘든편.

  • @불금치킨-h2w
    @불금치킨-h2w 6 років тому +29

    화학과인데 1학년때부터 실험이랑 레포트 지져스..

  • @김은혜-f4h2x
    @김은혜-f4h2x 6 років тому +294

    화공과인데 진짜 ㄹㅇ이고 일주일에 레포트가 아오.....

    • @bokwonlee6828
      @bokwonlee6828 6 років тому +7

      저는 졸업은 했지만.. 진작에 알았더라면 삶이 달라졌겠죠? ㅠㅠㅋㅋㅋ

    • @히동-k1f
      @히동-k1f 6 років тому +8

      화공과 가고싶은 고2인데요.. 물리 안배우고 가면 어떻게 되나요..?

    • @bokwonlee6828
      @bokwonlee6828 6 років тому +29

      김희선 사실 화학보다는 물리가 더 많이 필요해요.. 실제로 역학에는 물리가 더 많이 사용되더라구요

    • @히동-k1f
      @히동-k1f 6 років тому +2

      그럼 따로 1학년 때 물리 배우는 수업 없이 바로 적용 들어가나요???

    • @김은혜-f4h2x
      @김은혜-f4h2x 6 років тому +29

      바로 적용을 들어가지는 않아요. 1학년때는 일반물리학이라고 수업이 따로 있습니다. 이때 이제 물리 1,2에서 배웠던 내용과 조금 심도있게 배운다고 생각하면 될거같아요. 사실 화공을 설명할때 화학의 탈을 쓴 물리와 수학이라고 합니다. 비중은 화학 50%, 물리 30%, 생물 20% 이예요! 공대는 물리가 거의 필수이죠

  • @김현우-i2e3v
    @김현우-i2e3v 6 років тому +53

    그런데 자기 전공을 선택한 거라면 그런 것도 재밌어할 줄 알아야 하죠ㅋ. 요즘도 캠퍼스의 낭만을 꿈꾸며 대학을 오는진 모르겠지만 전공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이라면 그런 여유는 정말 어쩌다 한번씩 있습니다ㅋㅋㅋㅋ 아예 없진 않으니 힘내세요! 조금 더 현실적인 조언으로는 나는 전공공부는 별로 관심없지만 취업하고 싶어서 이공계에 진학했다는 분들... 제가 별로 좋아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진지하게 전공공부를 하는 분들 못지않게 취업이 잘 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이런분들께 조언하자면 '취업에 집중하라!'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오히려 이런분들의 경우 사회성이 좋은 경우도 있고, 전공 외 활동을 하는 경우도 많아서, 취업관련 정보만 미리 알아보고 준비한다면 정말 미련하게 전공공부만 깊게 하다가 취업 준비를 뒤늦게 하는 성실한 바보(ㅠㅜ 개인적으로 많이 안타깝습니다.)를 보다 취업이 잘 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하지만 취업 이후에는 또 모르겠네요ㅎ. 전 개인적으로 진지하게 학업을 하는 사람들을 좋아하는 편인데 본인이 성실한 바보가 되었다 하더라도 그게 또 전화위복일 수도 있으니 모든 분들께 힘내라고 말하고 싶네요! 이상 지나가는 기계공 대학원생이었습니다.ㅎ

  • @GHK-g2n
    @GHK-g2n 4 роки тому +8

    이것조차 교육의 문제다. ㅋㅋㅋㅋ 개개인의 꿈이나 적성을 찾아주고 그에대한 길을 찾아주는게 아닌 ㅋㅋㅋㅋ과가 힘들고 과목이 힘들고 그런게 중요한게 아니다. 사회에 나와서 본인이 하고싶은 일에 대해 뭘 배워야하는지 어느학교 어느과를 가야 하는지 그런걸 알려줘야지 ㅋㅋㅋ 무슨ㅋㅋㅋ 사회나와서 사회생활 하니 제일 아쉬운게 이런거였다. 아무도 그런 것에 대해 알려주지 않고 그저 점수에만 맞고 학교 네임밸류만 따지는... 시대가 변해서 이제 그런게 크게 중요하지 않게 되어가는 것도 모르고... 그러니 전부다 공무원이나 하려고하지.

  • @jhshin1752
    @jhshin1752 6 років тому +75

    대학 졸업한지 1년 넘어 직장 다닌지도 1년 되가는데 진심 공감되네요..특히 3~4학년때는 공강날에도 실험실에서 하루종일 있었던 기억이ㅠㅠ 고학년들 힘내세요~

    • @rudhakma
      @rudhakma 3 роки тому

      지금 고1인 화학과 지망 학생인데 현재 진로가 혹시 어떻게 되시나요🥺🥺 화학과를 가고싶은데 나중에 취업이 어떻게 되는지 잘모르겠어서요.. ㅠㅠ🥺

    • @동그리-y1d
      @동그리-y1d 3 роки тому

      @@rudhakma 전 화공인데 반도체 쪽

  • @bhl9852
    @bhl9852 4 роки тому +7

    화공 : 2학년 물리화학부터 시작된 브레이크 고장난 수학의 시작 >> 물리화학2 열역학을 들어가며 일정하다 가정하였던 친구들이 마구잡이로 변화하기 시작 >> 사망년(3학년) 2학기 이동현상론 반응공학2 공정제어등에서 나오는 폴리매스 등의 프로그램을 돌리지 않으면 계산이 되지 않는 항목, 라플라스 변환을 당연하게 모두가 알거라 생각하는 교수님들, 이제는 한글이 보이지 않기 시작한 시험문제와 유도공식들 당신이 원하던 화학은 여기에 없습니다.

    • @bhl9852
      @bhl9852 4 роки тому

      추가로 대학에서의 실험은 결국 장치가 좋아질 수록 사람이 할 일은 조립정도입니다. 대부분의 시간을 기다리는데 사용하죠, 다만 여러분들은 이 장치를 어떻게 써야되는지 왜 실험을 하는지 실험방법과 이론을 쓰고 실험결과에 따른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는데 졸업논문의 연습단계랍시고, 교수님들의 센서가 불타는 단계이죠. 게다가 3학년1학기에 졸업논물을 위해 교수님 연구실에 배치되어 석박사 님들과 함께 즐거운 실험을 1년간 하게 되는데 이게 또 아주 기분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배운걸 하나도 안쓰거든요 ^오^

  • @이용현-l8e
    @이용현-l8e 6 років тому +63

    이거 현역때 들었을 때랑 내용도 똑같네ㅋㅋㅋㅋ 지금은 지구과학으로 도망쳤었습니다 선생님 ㅈㅅ요

  • @iNakmj
    @iNakmj 6 років тому +68

    화공과 학생인데, 실험실에서 기계 운전돌리고 소음과 진동속에서 4시간 있고(화공실험경우), 화학실험은 약냄새 맡고, 노즐마개 꼼꼼히 막고 끓이고, 분석하고, 스펙트럼기에 넣고 돌리고 그렇게 하고 수득율 20%나오고 오차율 폭발하고... 화학과는 확실히 화학을 많이 배우고 질리도록 배우긴하는데 화공과는 사실 2학년(아마 유무기 끝나면) 이후는 그냥 물리학(특히 유체,물질전달 등)과 수학과의 끝없는 싸움입니다. 물리학, 수학 잘하는 친구들 오면 적응하기 괜찮을거에요.

    • @eastsky4378
      @eastsky4378 6 років тому +4

      한국도 똑같나요ㅋㅋㅋ저희도 실험 4시간. 사실 기다리는것만 3시간, 중간중간 기계 만져줌...

    • @사슴벌레-e4o
      @사슴벌레-e4o 4 роки тому +1

      ㅈ됨 ㅠ 나 수학 물리 못하는데 화공왓는디

    • @flarezz1
      @flarezz1 3 роки тому +2

      화공과는 화학의 탈을 쓴 물리입니다

  • @User-h2d4n
    @User-h2d4n 6 років тому +178

    조교는 저짓을 매일 한다는것.. ㅋㅋ

  • @cfdaadggytesdxfgu
    @cfdaadggytesdxfgu 6 років тому +6

    5일 뒤 시험보는 화학과가 고개를 끄덕이고갑니다...

  • @llilil77787
    @llilil77787 2 роки тому +12

    석용쌤 덕분에 2등급 극초반까지간 학생입니다...ㅠㅠ 선생님 덕분에 성적 많이 올랐습니다 특히 몰은 지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milkcat
    @user-milkcat 4 роки тому +5

    화학과입니다. 전공실험 실시간 강의인데 밤 9시에 끝납니다. 퀴즈보느라 실험 원리, 방법 다 외우고, 레포트 5장 이상 쓰느라 일부로 오차 만들어 원인을 씁니다,, 마저 레포트 쓰러 가겠습니다.

  • @MJ_quokka
    @MJ_quokka 5 років тому +57

    화학과 2학년입니다 1학년때 1년내내 일주일에 레포트 6개 썼습니다^^예비까지요 그리고 다른수업도 과제 더있습니다^^

  • @kevin_oh627
    @kevin_oh627 2 роки тому +7

    고2 때 딱 석용쌤 인강 들으면서 수능공부 하면서 'ㅋㅋㅋㅋㅋ 화학과는 가면 안되겠당' 이 생각했었는데 어쩌다 돌고 돌아 현재 독일 공대 화학생물과로 2학년 재학중이네여 ㅠ.. (역시 인생 어찌 될 지 몰라요) 진짜 매일 아침 일찍부터 학교 - 실험실 - 도서관 - 집이 루틴이라 몸과 마음이 지치고 힘들었는데 오랜만에 이런 영상보고 공감하고 선배(?)로써의 석용쌤 말을 들으니 조금 기운이 솟는 것 같네요 ㅎㅎㅎ 4년 전 영상이지만 사라지지 않고 힘들 때 마다 힘들어서 크게는 못 웃어도 피식하면서 계속 보고싶네요! 석용쌤 수능공부할 때 신세 많이 지어서 화학 기초를 튼튼하게 했습니다! 하핳... 제가 다니는 과에 한국인이 한 명도 없고 모두 독일인 뿐이지만 한국인의 저력을 똑똑히 보여주겠습니다!

    • @kevin_oh627
      @kevin_oh627 Рік тому

      @@Yupitrrt 처음에는 교수님이 설명하면 10초? 20초 뒤에 이해하능 것처럼 버퍼링이 걸렸는데 지금은 수업 들을 때 그리 엄청 이해 안되진 않아요! 근데... 처음 배우는 내용을 독일어로 독일어 단어로 공부하는것이 많이 힘들었어요..

  • @화학실험-h5i
    @화학실험-h5i 3 роки тому +4

    석용쌤...당신이 옳았어....

    • @대박-c2s
      @대박-c2s 3 роки тому

      공대 가셧나요??

    • @화학실험-h5i
      @화학실험-h5i 3 роки тому +2

      @@대박-c2s 자연대 갔어요...그것도 화학과... 레포트...실험...하루만에 안끝날때도 있어여...오지마...Stay...

  • @Angdoo1102
    @Angdoo1102 4 роки тому +11

    저는 생명과학과인데도 이 말씀 공감갑니다 이 영상을 고딩때 봤을때 으음..?? 했는데 올해 대학입학하고 아...했습니다.. 특히 도서관 강의실이ㅋㅋㅋ 리얼 실험실 도서관 집 실험실 도서관 집 집에서도 레포트 ㅋㅋㅋㅋㅋㅋ 화학실험도 했어서 저 그래프 완전 공감..

  • @swe7271
    @swe7271 6 років тому +52

    강의실 실험실 학실 도서관 ㄹㅇ

  • @Mistiik21
    @Mistiik21 4 роки тому +80

    화학과 대학원생입니다. 화학관데 세포키웁니다. 마저 지나가겠습니다

  • @nalsgur
    @nalsgur 5 років тому +6

    베테랑의 개념완성, 킬러특강, 3450, 두근두근, 파이널 모의고사까지 들었지만
    이 클립이 가장 도움이 됐다

  • @다람-b7s
    @다람-b7s 6 років тому +81

    자연대 : 탐구,실험,발견
    공과대 : 개발,연구,창의

    • @user-qj8hd3tf7r
      @user-qj8hd3tf7r 4 роки тому +21

      사실 연구도 자연대... 공과대는 뭔가 자대에서 발견한 이론을 바탕으로 뭔가 발명한다는 느낌이 강함. 자대는 발견 및 토대 생성, 공대는 발명 및 응용

    • @kjw_0610
      @kjw_0610 4 роки тому

      비슷한듯 다르다...

  • @mrknowmyself
    @mrknowmyself 3 роки тому +26

    어딜 가나 힘든 건 사실임….
    하지만 그것을 지났을 때 엄청 요긴하게 쓰이는 과가 있고
    아닌 과가 있는데
    내 생각엔 그래도 STEM 분야를 전공하면 그걸 바탕으로
    여러 지식을 살을 붙일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STEM 분야는 대부분 유용한 거 같아요 🙂

  • @rxkim3910
    @rxkim3910 5 років тому +10

    전자공학과, 반도체공학과 와도 똑같습니다ㅎ
    화학을 덜배우고 그 빈자리를 물리가 채웁니다
    그리고 설계로 넘어가면 화학공학과 실험 노가다랑 똑같아져요ㅋㅋ
    전자공학과나 화공과나 뭐...ㅋㅋㅋㅋㅋ
    그래도 화공과는 여학생들이 많아서 좋은 곳입니다
    전자공학과 다 남자야 ㅅㅂㅠㅠ.....

    • @user-et3sy4ec5f
      @user-et3sy4ec5f 4 роки тому

      반도체공학과 가고 싶은데 보통 정시로 가려면 몇등급정도 해야되나요???

  • @김k-r2d
    @김k-r2d 6 років тому +254

    기계과입니다 다들 조용히 해주세요 도서관에서 삽니다..

    • @다이리닉
      @다이리닉 6 років тому +196

      김콘샐 도서관에서 유튜브 보는군

    • @honghong-y7p
      @honghong-y7p 6 років тому +3

      김콘샐 기계 ㅇㅈ...

    • @Dylan_rail
      @Dylan_rail 6 років тому +121

      안녕 도서관에서 살다보면 기계과 전자과 전기과 토목과 화공과 딱 5개 애들만 밤새서 공부함

    • @왕꿈틀이-m7n
      @왕꿈틀이-m7n 6 років тому +8

      중도 현황판 보면 공대생은 다 꽉채워져 있던데.
      다 도서관에서 살죠.

    • @hyun2839
      @hyun2839 6 років тому +26

      저도 기계과인데 학기시작하면 한달에 3일정도 쉬네요 주말포함해서 핰핰핰

  • @resonanceheart2960
    @resonanceheart2960 6 років тому +125

    현 화학공학 4학년입니다. 화공자체가 꼭 필요한 산업이긴하나 인력이 많이 필요로 하지 않아서 취업시 학벌 그지같으면 힘듭니다. 게다가 학부생일때 역하고 위험한 실험(특히 유기물합성실험)오지게 해대서 엿같습니다 . 실험과목이 말이 3학점이지 ...보통 2시에 시작하면 7시에 해산하는 경우도 많고 실험전에 레포트 작성 ,실험후에 실험결과밑 고찰 정리 해서 평일은 걍 과제만 하다가 시간 다가요 ...
    일반 이론과목도 매주마다 레포트 써서 제출하라고 지랄하지 않나 ... 시험은 한학기에 2~4번봐요
    ㅡㅡ
    가뜩이나 화공취업 티어가 낮아지면서 신소재랑 비등해지려고 하는데 뭐하러 화공가여?
    전자공학이나 기계공학으로 가세요... 전화기 공부량 다 ㅈ같지만 적어도 취업은 화공찌끄레기보단 잘되요.
    정유사만 보고 화공들어 올거면, 서울대 =포항공대 >연고대 나 아니 적지만 부산대나 경북대 (지역비율체워서 뽑느냐 메인지저국이 깡패가됨) 가세요 . 수도권 대학에서 서강대 밑으론 정유사 갈 확률이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아요 .(정유사가 학벌 오지게 보고 공정자체가 인력을 적게 필요로함)
    여성분들 화장품(Batch공정 )가고싶어서 화공가는거면 개 비추입니다. 화공(연속공정)에서 많이 안뽑아요 . 화장품만 노릴꺼면 화학과가세요 .화장품은 화공공정이랑 전혀달라요 .
    그리고 에너지플렌트쪽 가시려는분 한번더 생각해보세요 . 예전에야 짱짱했지만 지금은 핵망했습니다.
    반도체가실분들은 걍 전자공학이나 신소재 가세요 . 아무리 하청업체 급이라도 화공 소수인원만 필요로 합니다.
    유기소재나 촉매쪽은 걍 평타치거나 그이하...

  • @cobobae
    @cobobae 6 років тому +32

    화학과인데 실험수업 재밌고 레포트 쓸때마다 희열을 느끼는 전,.

    • @erin.p1732
      @erin.p1732 4 роки тому +8

      지금도 그런가요?

    • @Sellion1103
      @Sellion1103 3 роки тому +6

      이젠....어떠셔요...?

  • @33333333338797
    @33333333338797 6 років тому +43

    일단 이공계인데 모르겠다 싶으면 전화기,
    그중에서 전자공학 추천합니다~
    요즘 우리나라 미래 산업이 어떻게 개편될 지 불확실한 상황인데,
    취업시장에서 IT-전자-반도체-자동차 능동적으로 대처가 잘 되는 과라고 생각이 되네요.

  • @TOR-CAN
    @TOR-CAN 3 роки тому +6

    전자공학 전공에 영어영문학과 복수전공 했던 사람으로써 공대공부가 뻥 안치고 10배는 더 어려움. 전자기학 하나면 영문과 전공 6~7개 합친 것보다 더 토나오지… 영작수업에서 영문 에세이 10개 쓰는게 전자기학 중간고사 보는 것보다 훨씬 훨씬 쉬움.

  • @danieltv392
    @danieltv392 6 років тому +108

    그래프 점찍는거 보고 욕나옴ㄲㅋㅋㅋㅋㅋㅋ

  • @나지인-y2q
    @나지인-y2q 6 років тому +3

    밑의 문이과 분쟁 댓글 정말 많은데 고등학교는 몰라도 대학가면 문이과 분쟁하는게 의미가 없음. 고등학생 때는 다들 똑같이 5지선다형 객관식 문제만 주구장창 풀어댔지만 대학가면 문이과가 가진 능력이 서로 뭐가 다른지를 급격하게 느끼게 될 거임.
    대학가면 인문교양 특히 글쓰기 교양 무조건 들어야 하는데 만일 문이과가 한 반에 섞여있다면 문과 애들이 더 강세를 보일 거임. 확실히 문과는 이과에 비해 작문실력과 토론 발표능력이 더 높은 반면 이과애들은 수학적 머리가 더 잘 돌아가는 차이가 있음.
    내 주위 이과 애한테 "난 문과가 더 편하다."고 이야기 한 적 있는데 걔가 그말 듣고는 "문과는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데 이과는 답이 딱 정해져 있잖아 그래서 나는 이과가 더 편하다." 라고 답했음. 이렇게 대답했다는 것부터가 둘은 너무 다르고 비교될만한 대상이 아니라는 거임. 그러니 문이과 가지고 그만 좀 싸웠으면 좋겠음.

  • @yeolEyeolE
    @yeolEyeolE 3 роки тому +4

    화공과 4학년입니다.. 실험 전에 미리 실험순서, 뭐할지만 알고와도 양반인겁니다.. 실험은 팀플인데 일단 실험시작하고 실험알고온 학생이랑 뭐하는지도 모르고 프린트만 보고 얼타는 학생들의 기싸움이 끝나고(알고온 학생은 어차피 혼자하면 늦게끝나니 한숨쉬며 뭐하라고알려줌) 실험 얼렁뚱땅 노가다 끝내면 다 같은 실험 결과로 얼마나 길고 깔끔하고 완벽하게 결레쓰는지가 학점의 관건입니다.. +(족보가 가장중요) 또 얼타던 학생들이 실험후에 족보로 결레 삐까번쩍하게 써서 학점가져감; 현타와요

  • @okgreen22
    @okgreen22 3 роки тому +4

    현직 화학자 입니다. 이 선생님 말씀 꼬옥 꼬옥 꼬오옥 잘 들으셔야합니다.
    저는 화학과도 갔고 화학회사도 갔습니다. 왜냐면 이런 선생님이 없었기 때문 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사실, 역설적으로, 이런 학문이고 이런 직업이여서, 화학의 길을 들어오시면 굶을 일도 없습니다 ㅋㅋㅋ
    저 퇴직했다는 소문만 나가면 여기저기서 불러요 ㅋㅋㅋ

    • @최준혁-y4y
      @최준혁-y4y Рік тому

      헉 실례지만.. 연봉이 얼마..이신가요??

    • @okgreen22
      @okgreen22 Рік тому

      @@최준혁-y4y 소싯적엔 평균 아래였다가 지금 40 초중반 상위권 정도 이네유

    • @최준혁-y4y
      @최준혁-y4y Рік тому

      ​@@okgreen22감사합니다... 선생님.. 고3인데 선생님 말씀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ao-jo7bp
    @ao-jo7bp 5 років тому +7

    화학 물리 수학 진짜 ㅈㄴㅈㄴㅈㄴ 극혐하면서도 되고싶은 직업이 화공과.화학과 라서 영상 몇개만 찾아봤는데 벌써 스트레스받는기분...ㅎ
    너무 빡셀거같아서 꿈 접었습니다..

    • @kmj1324
      @kmj1324 5 років тому +4

      막상 또 하면은 해요 본인이 흥미만 있으면 충분함.. 흥미 없는 사람들도 이를 악물고 버티면 버텨집니다. 대신 탈인간급 재능충들 보면 힘이 빠지긴해요. 제가 4~5시간 끙끙대며 열심히 이해해내서 뿌듯해하고 있을 때 재능충들은 수업시간에 그냥 이해를 하고 넘어가더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돼지삭기-f6o
    @돼지삭기-f6o 6 років тому +29

    ㅋㅋㅋㅋㅋ 이미 결과를 알고있음 ㅋㅋㅋ ㅇㅈ ㅋㅋㅋㅋㅋ

  • @kihunchou2422
    @kihunchou2422 6 років тому +108

    내 주위는 다 자기 학과 오지 마래 심지어 의대 다니는 형도 차라리 치대 가란다

    • @wraithlop9699
      @wraithlop9699 4 роки тому +3

      ㅋㅋㅋㅋ 의대생 입장에서는 치대가 부러울수도 있겠네

    • @Geometry364
      @Geometry364 4 роки тому +3

      @@wraithlop9699 근데 졸업후에는 입장 바뀌지 않나??

    • @문정석-l6c
      @문정석-l6c 4 роки тому

      @@Geometry364 메이저 치대면 다를수도 ㅋㅋㅋㅋ 연치랑 삼룡의랑 입결 다이 깜

    • @2338-g3n
      @2338-g3n 4 роки тому +60

      @@Geometry364 치대가 꿀리는게 있음 의대생들이 이빨용접공이라고 놀리고 ㅋㅋㅋ 물론 치대의대 둘다 못가는 나같은 버러지가 입에 담을 소리는 아님 ㅋㅋ

    • @paleblueeye-s
      @paleblueeye-s 4 роки тому +5

      포동포동이 이빨용접공 ㅅㅂㅋㅌㅌㅋㅌㅋㅋㅋㅌㅋㅋㅋ

  • @nowthen_
    @nowthen_ 6 років тому +5

    화공과(공대) 전공은 시험 3번 보는데도 있어요 그치만 수강과목중엔 중간기말만 보는 과목도 있잖아요? 그럼 한학기가 개강-1차시험-중간-2차-3차+기말-종강으로 흘러가구요 물론 여기에 중간중간 퀴즈도 당연히 봅니다 거기다 교수님이 시험이나 퀴즈일정따위 신경쓰지않고 쏟아내는 실험레포트 과제레포트 산더미구요... 전공책 겁나비싸고 겁나무겁고ㅜㅜ

    • @양파볶음-r1d
      @양파볶음-r1d 6 років тому +1

      STH SPECIAL 전 2주마다 셤침. 주기율표 영어로 통째로 다외웠음. 양자화학 배운 후로는 전이금속 전자배치도 또한 다 외움...

    • @안녕-d6e7m
      @안녕-d6e7m 6 років тому

      STH SPECIAL 대학생활 즐길시간이나 동아리활동할 시간은있나요?? 1,2학년땐 시간좀 나다가 3,4학년부턴 걍 가끔씩 시간나면 노는건가..

  • @chorong6703
    @chorong6703 6 років тому +28

    다 인정! 힘들고, 유해물질때문에 건강에 안좋은 것도 맞음. 나도 화학과 나왔고 석사까지 해서 연구원에서 실험하면서 실험에 질린것도 맞음. 따라서 연구개발 때려침. 하지만 화학 전공 살려서 현재는 특허사무소에서 사무직 종사중임. 주 업무는 기업 대상으로 니즈 조사하고 특허분석해서 연구개발 컨설팅하는 업무임. 이 업무를 하면서 나름 만족하고 살고 있어서요. 화학을 전공하기 위해서 힘들지만 거쳐야하는거면 충분히 해볼만한 일인데 아이들 진로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강사라는 분이 저런말하는거 듣다보니..사실 좀 안타깝네요.

    • @waterpure421
      @waterpure421 6 років тому

      Chorong 변리사따셨나요..

    • @chorong6703
      @chorong6703 6 років тому

      아뇨. 변리사자격증은 없어요^ ^ 능력이 안될것 같아요 ㅎㅎ

  • @카랑코에7
    @카랑코에7 Місяць тому +1

    일타선생님마다 다 자기 전공 하지 말라셔서 너무 웃겨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