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AT 너무쉬운 테샛 39강] 케인즈의 국민소득결정이론 (교재p 181~190)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교재구입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할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
질문의 아래의 저희 카페에 올려 주시면 여러분의 지식을 카페회원 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카페에는 경영과 회계 동영상강좌가 있습니다. 카페에 회원가입만 하시면 누구나 들을 수 있습니다.
cafe.naver.com...
밴드가입주소는 입니다.
band.us/@easy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메일이나 문자보내주세요.
휴대폰 : 010-3029-8180
메일 : tcheryoon@daum.net
#TESAT#테샛#테셋
재밌당 선생님 케인즈 너무 좋아하는거 티나요 미소가 떠나질 않네요
이 영상이 잘 이해 안되서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쉽게 해결이 되었어요
입장차이를 생각하지 않고 그래프를 보면 엥?? 하는 것 같아요
저도 개념을 정립할 겸, 다른분들 이해에 도움되시길 바라며 적어볼게요
영상에서
30:01 그래프가 두개 나오는데
24:41 한번은 실제로 물건이 팔린것만 따져서 그린 그래프고
27:04 한번은 (물건이 팔리든 말든) 물건을 만든 양에 따라 그린 그래프에요
각 그래프를 그릴 때 마다
'국민'의 입장과 '기업'의 입장.
두가지 관점이 존재해요
두가지 관점을 생각하지 않으면 혼란스러워요
24:41 에서 그린 그래프는
실제로 물건이 팔린 경우에요.
①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X축 : 내가 벌어들인 소득(Y)에 비해서
Y축 : '물건을 구매한 양'으로 볼 수 있어요(=물건에 소비한 금액=총지출=유효수요=AE)
풀이) 그래프 기울기가 낮을 수록 돈은 벌었는데 물건은 안사는 경우(모두 저축)
풀이) 여기서 AE라고 말하는건 국민의 입장에서 말하는거에요
②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X축 : 물건을 만든 양에 비해서
Y축 : '물건을 판매한 양' (=물건을 팔아 벌어들인 수입=총매출)
풀이) 그래프 기울기가 낮을수록 생산은 많이 하는데 너무 안팔는 경우
한숨 고르고..
다음으로
27:04 에서 그린 그래프
실제 판매는 고려하지 않고
물건을 만드는 경우의 그래프에요
①국민의 입장으로 보면
X축 : 내가 벌어들인 소득이(=Y=국민소득)
Y축 : 내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
풀이) 내가 번 금액 만큼 통장에 들어오죠? 그러니 X축=Y축
②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X축 : 물건을 생산한 만큼(=GDP)
Y축 : 시장에 던져진 물건 (=총생산량=국민총생산량=GDP)
풀이) 생산하면 시장에 내놓죠? 그러니 Y축=X축이에요
Y라고 할 때는 국민입장에서 말하는 거에요
GDP라고 할 때는 기업 입장에서 말하는거에요
이렇게 입장차이를 놓고 보면
30:01 각각 그래프를 겹쳤을 때에도 두가지 해석이 나올 수 있어요
①국민입장에서 보면
소득이 Y2일때,
통장에 돈을 C만큼 받았는데
실제 물건을 하고 지출한 돈은 D
②기업입장에서 보면
Y2만큼 물건을 생산했는데
시장에 내놓은 물건은 C만큼이고
실제로 팔린 양인 D만큼.
괜히 쓴다고 시작했다가 너무 길어졌네요!
이렇게 길게 쓸 생각은 1도 없었는데..
다들 꼭 이해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굿입니다.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ㅠㅠ 조번에 문자 드렸는데 바로 전화해주셔서 넘 감사했습니당 ㅠㅠ 항상 감사합니다! 행복만 가득하시길 바랄게요!
이번강의는 조금 헷갈리고 어렵네요ㅠㅜ 다시 들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ㅎㅎ
개념↓
1. 총지출곡선 도출 15:59
2. 케인즈모형의 균형국민소득의 개념 34:30
3. 승수효과 39:44
4. 균형재정승수 44:47
문제 32:59
지금까지 잘 따라왔는데 ㅜㅜ 이번 강의 소화하면서 머리가 아파요 ..
힘내세요!. 이 부분이 좀 까다롭습니다. 완전 이해가 안가더라도 그냥 넘어가시고 끝까지 완강을 한 후에 다시 들어보세요. ^^
철학 경제학자 탄생. 존경합니다. 계속 가시길.
15:05 총지출에 팔리지않은 재고투자는 포함X
처음 들었을 땐 되게 헷갈렸는데 두번째 들으니 완전히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ㅎㅎ
이번 강의는 저를 시험에 들게 하네요... 어려워서 너무 화가난다 ㅜㅜㅠㅡ
너무 어려우면 그냥 건너 뛰시고 완강 후에 다시 보십시오. 힘내세요. 화이팅!!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강의를 듣는 두번째 날입니다! 이렇게 양질의 컨텐츠를 올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는 조금 헷갈려서 따라가기가 어려웠네요
완강한 후에 꼭 다시 들어봐야겠습니다
케인즈 이야기 엄청 재밌어요ㅎㅎ
철학자여 경제학자가 아니라. 선생님 크게되세요.
코로나의 시기가 완전 저축의역설 일어나기 딱 좋네요 ㄷㄷ
결국 안쓰는 만큼 우리의 소득이 줄어든다라...
경제학은 정말 심오하네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수업 너무 잘듣고있습니다! 케인즈의 AE 개념에서 나온 소득 Y는 앞시간에 배운 지출의GDP의 Y와 같은건가요?? 만약 같다면 정부지출+투자지출+순수출+소비지출의 합이 Y에서 단지 T를 제한것이 가계가 실제 다 쓸수있는 가처분소득이라는 것이 이해가 되지않습니다...ㅜㅜㅜㅠ
교재 구입했습니다.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29:41 복습용
34:45 총수요 측면을 강조한 것이 곧 총 지출을 강조했다는 건가요?? 총지출은 물가를 고려하지 않지만 총수요는 물가를 고려한다고 설명해주셔서 조금 헷갈리네요ㅠㅠ
총지출 = 총수요입니다. 다만 , 총지출은 단기에서 물가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분석을 할 때 쓰이죠.
@@soeasytv 감사합니다:)
분명 한국말인데 외국어를 듣는 기분... 이번 강의는 무제한 반복해야 할거 같어요ㅠㅠㅠ 혹시 이부분 이해 못하고 넘어가면 다음 수업에 지장이 클까요??
그냥 넘어가십시오. 완강하시는게 더 중요합니다. 화이팅!!
총공급곡선에서 삼면등가의 법칙이 적용되서 곡선이 45도여야하고, 총지출 곡선 역시 삼면등가의 법칙이 적용되지만 총지출곡선의 식은 한계소비성향을 포함함으로
총지출 곡선의 기울기는 한계소비성향이 0~1사이라 45도 미만이여야 한다는 것은 알겠습니다.
삼면등가라면 생산=지출=소득이 같으므로 총공급에서도 똑같이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요??
식이 다르게 도출되는 것이 잘 이해가 가지않습니다!! ㅠㅠ
복습하다가 하나 질문드려요
한계소비성향때매 승수효과가 일어난다고 보는데
만약 한계소비성향이 1이라면 저축을 안하고 모두 쓴다는 가정을 한다면 AE는 무한대로 늘어나지 않나요?
한계소비성향이 1이면 기울기가 45도가 될 것 입니다.
@@soeasytv 아 그러면 한계소비성향은 0~1사이의 값이라고 할 수 있으나 0과 1이 될순 없는거네요.
20:24 39:15
와 어렵다…
균형재정승수는 문제나오면 무조건 1이다 생각하면 맞나요??
예. 맞습니다.
선생님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한계소비성향이 높다는 것은
처분가능한 소득이 많고
저축가능한 소득이 적은건가요??
cYd에서 d가 뭔가요?
전에도 이렇게 큰 알파벳 옆에 작은 알파벳 나오는데 이런 거 뭔 말인지 모르겠어요 ㅜ
강의감사함니다 ㅜㅜ
혹시 총지출=국민소득GDP=총수요 인가요?? 그렇다면 셋 다 재고투자가 포함되는것 아닌가요..?아니면 유효수요를 고려할때만 총지출에서 재고가 빠지는것인가요??
총지출과 총수요는 재고투자가 포함이 안된 것이고, GDP는 재고투자가 포함된 것입니다. 균형에서는 총수요=총지출 =GDP가 되는 것이죠^^
미시보다 거시가 어렵고 이해하기 힘드네요 ㅜㅜㅜㅜ
14:00
선생님 책ㅇ랑 ppt랑 조금 다른 것같아요.. 저만 그런가요..????
책이랑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ppt 가 잘 못 된 경우가 있어서 책에서는 수정을 했습니다.
23:00
15:21 소비지출은 I가 아니라 C인거죠??
I는 투자지출이고 C가 소비지출입니다. 오타가 났네요^^
쭉 진도 빼다가 케인즈에서 막혀버렸습니다.. 선생님, 총지출 곡선을 왜 일종의 수요곡선이라고 보는건가요? ㅠㅠ
좀 더 강의를 들어보시면 알겠지만, 총지출곡선이 곧 총수요곡선입니다. 그래서 수요곡선과 유사하다고 한 것입니다.
선생님 이번강의중 핵심예제1에서 0.8y와 0.1y를 넘겼는데 왜 다시 0.1y가 되는지요?
0.9y가 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 잘모르겠어서 질뮨드립니다^^
0.8y하고 0.1y는 서로 더하는 것이라서 0.9y가 되는 것입니다. 교재 188쪽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녀농 넘겨서 Y에서 0.9y를 빼니 0.1y가 되는거죠
오른쪽에있는 y가 1생략된 1y입니다~
으악!!
25:03 45도 일때 1이라는게 어떻게 나온건가요??
45도 각도를 기울기의 수로 나타내면 기울기가 1이 됩니다.
저도 궁금해서 질문하려고 했는데,, 11개월전에 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케인즈는 총수요를 강조했는데 이애 총수요=생산량의 조정으로 균형을 이뤘다는것과 동일한 개념인가요?
균형은 총수요= 생산량인데, 생산량보다는 총수요가 균형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아... 어렵다 ㅠㅠ
조세가 왜 한계소비성향의 영향을 받나요? 잘듣고 있습니다.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조세의 크기에 따라서 가처분소득이 달라지니까 소비에 영향을 주고, 소비에 의해 소득의 크기가 바뀌니까 상호간에 영향을 준다고 봐야 합니다.
한계소비성항이 0~1사이라고하셨는데 대출받아서 자기 소득이상으로 소비하는사람은 1보다 큰거아닌가요?
그건 아주 예외적인 것이니까 고려하지 마세요. ^^
감사히 열심히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 케인즈가 신이라고 빨아준 비트겐슈타인은....
비트겐슈타인은 동성애자였습니다.(응?)
수강
이해하지맠ㅋㅋㅋㅋㅋ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오요....... ㅠㅠ 나만 이해못하는건가 ㅠㅠ 부끄럽네용
강의랑 크게 관련은 없지만...ㅎ 대공황 당시 주가폭락은 검은 목요일입니다!
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