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점포개발팀 부장의 편의점 창업 노하우 (2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сер 2021
  • 편의점이 5만개를 넘어 우리 국민 1000명당 1개꼴로 포화도가 높아졌습니다.
    상당수 편의점 점주가 알바보다 못 버는 와중에도 약 5%는 고매출을 올리며 수억원의 권리금을 받고 있다는데요.
    편의점 창업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은 바로 입지!
    어떻게 하면 편의점에 최적화된 황금입지를 구할 수 있을까요.
    지금 편의점을 창업해도 괜찮을까요?
    CU에서 24년 근무하며 2000여개 편의점을 오픈한 탁현욱 CU 개발1부장에게 직접 들어보시죠~!
    * BGF리테일의 광고나 협찬을 받지 않고 촬영한 영상입니다. 편의점 본부 입장임을 감안해서 시청해주시기 바랍니다.
  • Навчання та стиль

КОМЕНТАРІ • 68

  • @Chang-Talk
    @Chang-Talk  Рік тому +2

    장사 어려우시죠? 장사 고수와 1:1 창업 컨설팅을 받고 싶다면 '창톡(changtalk.kr)'을 이용해보세요. 창톡은 프랜차이즈 대표, 1등 점주, 다점포 점주, 미슐랭 셰프 등 장사 고수들과 1:1 상담을 받는 서비스입니다. 지금 가입하시는 예비창업자, 초보 자영업자 분들은 얼리버드 20%할인 해드립니다. 많은 이용 바랍니다!^^

  • @user-eo1cu4rv8s
    @user-eo1cu4rv8s 2 роки тому +2

    제 질문을 선택해 주셔서 감사 합니다 궁금한점 해결해 주셔서 고맙구요. 앞으로도 좋은 방송 부탁드려요...

    • @Chang-Talk
      @Chang-Talk  2 роки тому

      좋은 질문 해주신 덕분에 저희도 구독자 분들도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저희가 감사합니다. 계속 정진하겠습니다! ^^

  • @jjai2002
    @jjai2002 2 роки тому +2

    현실적이고 디테일한설명 잘봤습니다
    저도 편의점16년했는데 공감가는부분이
    많네요 창업직썰 잘보고있습니다~!!

    • @Chang-Talk
      @Chang-Talk  2 роки тому

      와 장수 점주님이시네요~! 다음에 기회 되면 이런저런 노하우도 공유해주셔요.ㅎ 시청 감사합니다! ^^

  • @user-mg8ed4xg4h
    @user-mg8ed4xg4h 3 місяці тому

    명쾌한답변 감사합니다

  • @wntkd83
    @wntkd83 Рік тому +5

    지방 면단위 동네도 메이저 편의점 3개씩 들어가는 중 입니다. ... 말 다했죠 ...

  • @user-mw7lq3ks3i
    @user-mw7lq3ks3i 2 роки тому +11

    일매출 100만원도 힘들어여ᆢ ㅠ

  • @user-mi5hu9wt4v
    @user-mi5hu9wt4v 2 роки тому +8

    영업관리직의 전형적인 이론이네요.과연 현실도 그럴까요?저도 편의점운영중인데 자리가 80%라고 봅니다.아무리 열실히 해도 점주로인해 매출이 변동되는거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10%~20%이상 변화없다고 봅니다.600에서 기본 운영비(폐기,세무대행,카드수수료 등등)250정도 더빠지는것도…일매 150이상 안나오면 최저임금도 못건집니다.

  • @Asrin0112
    @Asrin0112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역시 전문인에게 듣는것과 주변에 알음알음듣는건 차이가 있네요.

    • @Chang-Talk
      @Chang-Talk  2 роки тому

      상품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입지라고 합니다. 근데 요즘 상권이 너무 포화돼서,, 본사들이 그동안 강남은 점포 개발 담당 직원을 2명씩 배치했는데 요즘은 1명만 배치할 만큼 물건이나 입지가 많이 줄었다고 하네요.ㅜ
      아스린님 코로나 좀 지나면 함 봬요~!^^

  • @TV-sq5gm
    @TV-sq5gm Рік тому +3

    최저임금이 많이오르고 좋은자린 이미 선점돼있음.
    편의점으로만 수익내긴 힘든구조입니다.
    월순익 200도 힘들것 같네요...~

  • @worldp95
    @worldp95 2 роки тому +3

    점포개발업무에 제일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 @Jihoon933
    @Jihoon933 2 роки тому +2

    편의점 6만개 시대라 이브랜드 저브랜드 다 개발팀 축소한다고 하던데 위기 안 느끼시나요?

  • @Chang-Talk
    @Chang-Talk  2 роки тому +4

    순서
    0:18 신상품 발주가 중요한 이유
    1:25 편의점 독점 운영 가능한 입지
    3:12 배후세대는 몇 세대 이상 돼야?
    4:27 아파트와 오피스텔 상권 차이
    5:15 편의점 손익분기점 매출은 얼마?
    6:55 CU 홍보타임(출연료 대신..ㅠ)
    본 영상은 BGF리테일의 광고나 협찬을 받지 않은 순수 취재 인터뷰입니다. 편의점 본부 입장임을 감안하고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편의점 관련 다른 창업직썰 취재 영상도 참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1. [최초 공개] 24년차 CU 점포개발팀 부장이 요즘 편의점 오픈시키는 방식(1부)
    ua-cam.com/video/B6tb2Gyumzg/v-deo.html
    2. 점포개발 8년 후 9개 다점포 성공한 김진우 제스트리테일 대표의 편의점 창업 노하우(1부)
    ua-cam.com/video/Dv6p-AWNFMc/v-deo.html
    3. 최소 700세대 독점하는 신도시 상권 노려라! 편의점 9개 다점포 점주의 입지 분석 노하우(2부)
    ua-cam.com/video/K5ao8YIi02c/v-deo.html
    4. 편의점 매일 10개씩 늘어 5만개 넘자, 혼자 17개 운영하던 점주가 한 놀라운 선택(1부)
    ua-cam.com/video/kAnKlbZJ0ao/v-deo.html
    5. 창업 뽀개기①편의점 - 이종업태 매출을 뺏어야 산다!(2부)
    ua-cam.com/video/-GZpC65sOug/v-deo.html

  • @ur1541
    @ur1541 2 роки тому +10

    편의점은 50대이상 은퇴자들의 용돈벌이 내지는 노후대비 소사업으로 남겨두시고, 젊은이들은 취직을 하든가 알바를 하세요. 그게 훨씬 낫구요.
    아무튼 편의점은 젊은이가 창업할 아이템도 아니고 할짓이 아닙니다.
    물론 하루종일 혼자도 가게 지키면서 새우깡 봉지만 쳐다보고 싶다면야 누가 말립니까.

  • @user-gu3zk2uc8r
    @user-gu3zk2uc8r 6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부장님께 개별적으로 문의드리고 싶은 사항이 있는데 연락할 수 있는 채널을 알 수 있을까요?

  • @user-hi5uo1ns6c
    @user-hi5uo1ns6c 2 роки тому +4

    솔직 개발담당 말대로한다면 씨유 몇점포도 생존할 수 있는지 아이러니하네!! 개발담당 그런식으로 따지면서 점포열지않잖아!! 일단 일매출 100만원이상이면 여는거로!!ㅠ

    • @user-rx5dz2fq5m
      @user-rx5dz2fq5m 10 місяців тому

      요즘 100이면 오픈하는것 같아요.

  • @user-sp3pz2wb3p
    @user-sp3pz2wb3p 2 роки тому +27

    편의점 창업은 불행의시작입니다

  • @user-vc1oc9pg6o
    @user-vc1oc9pg6o Рік тому +9

    편의점 힘든건 맞음 근데 편의점으로 잘먹고 잘사는 분들도 많음 다 죽어가는 소리하는 사람들이 운영하는 방식들 보면 점주든 알바든 둘다 불친절하거나 한쪽이 불친절함 그리고 신상품 중요한데 이걸 모르는 분들 많음 fc님들이 돌아다니면서 발주 넣어달라고 해도 안넣는 점주들 많음 초반엔 반응 없어도 매주 새로운 상품들이 매장에 배치되면 사람들이 궁금해서라도 찾아옴 특히 학생들은 에너지가 넘치기 때문에 멀어도 찾아오는 학생들이 있음 또 요즘 학생들은 유튜브나 틱톡 그리고 인스타 인증샷을 엄청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아서 너도 나도 남들 다 먹고 다 갖고있는 신상 간식들과 용품들 얻기위해 온동네 돌아다님 또 내 기준에서 생필품이든 조미료든 이게 팔릴까? 싶은 것들 웬만하면 하나씩은 준비해놓는게 좋음 언젠간 찾는 손님 나타남 다른 곳은 다 없는데 우리매장에는 있어 드뎌 찾았다는 표정으로 행복해하는 손님을 보며 그렇게 단골한분을 또 만들게 됌 그리고 어린애들이 좋아할 상품들 어느정도 구비해놓아야 됌 엄마아빠들은 싫어해도 애기들은 쫄라서라도 장난감 많고 이쁜게 많은 편의점에 가려고 함 부모님이 일부러 다른 편의점 델꼬가도 만족 못하고 장난감많은 우리 편의점에 오려고 함
    또 할머니분들은 노인정이든 할머님들끼리 모이시게 되면 온동네 얘기를 다함 할머니분들에게 친절만 잘 베풀어도 동네 소문 금방나서 다리가 아프셔도 집앞 편의점 나두고 여기까지 와주심(대신 불친절하면 그것도 소문 잘남) 그리고
    주변 식당이든 카센터든 사람들이 왔다갔다하는 가게 사장님들과 친해지면 좋음 그 사장님들의 단골 손님들을 우리 편의점으로 직접 모시고 오시거나 가게끔 유도해주심
    매장진열도 자주는 아니더라도 계절 바뀔때마다 조금씩 변화를 주는게 좋음 그럼 손님들도 편의점에 쉽게 질리지않고 매번 새로워함 청결한건 당연한거고 또 1+1.2+1 상품들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쫘르륵 깔아놓고 한곳에 모아 두는게 좋음 진짜 필요한 물건을 사러온게 아닌 이상 행사 상품들이 제일 많이 팔리는건 모든 점주들이 알거임 난 매달 말에 행사책자 오면 스캔 다 해놓고 발주넣을 것들 체크 다 해놓음 또 자리배치 어떻게 할건지 구상도 해놓고 달 바뀌자마자 쫘르륵 깔아줌 그럼 손님들도 새로운 물건과 새로운 행사 상품들 구경에 눈이 바쁨 진짜 상권이 안좋거나 사람 없는 곳에 편의점이 있는게 아닌 이상 평타이상 무조건 감
    학생들 오면 추팝츄스 하나라도 손에 쥐어주세요 그 사탕하나가 가져오는 파급력 장난아닙니다(참고로 학생들성격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저같은 경우는 250원 사탕하나로 중고등학생 손님들이 1.5배로 늘어났어요 진짜 상권이 사장도 알바도 싸가지없어도 사람이 많아 장사 잘되는 곳이 아닌 이상 많은 노력이 필요함 근데 이 노력 좀 하면 매출상승과 앞으로의 매장운영이 편해짐 참고로 저는 현재 20대후반이고 편의점 2개운영중인 점주입니다~!

    • @user-up1zt4zm1r
      @user-up1zt4zm1r 10 місяців тому

      궤변이다

    • @Ai_k_bot
      @Ai_k_bot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장사를 잘 아시는 분 같네요ㅎ
      저는 피씨방을 3년 했었는데 완전 망한 가게 그대로 인수해서 피씨 크게 안 바꾸고 전략 엄청 다양화 해서 매출 3배까지 올렸었죠.
      장사는 고객이 질리지 않게 하는 게 가장 중요하고 청결과 작지만 큰 효과 보는 서비스가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특히나 알바는 주휴수당 때문에 6명으로 쪼개서 썼는데 한 두명 빵구나도 대타 하면 시급 1.5배 주고 식대도 6명 모두 기본 알바비 포함해서 주고 하니 서로 대타 하려고 하고 제가 좀 뭐라고 해도 절대 안 그만두려 하고 열심히 하더라구요ㅎ
      피씨방 넘길 때 알바생들이 이렇게 잘 챙겨 주신 사장님은 처음 봤다고 장문의 카톡과 편지도 주더라구요.
      그리고 장사 잘 되는 피씨방 바쁜 와중에도 거리 상관 없이 엄청 찾아 다녔습니다.
      결론적으론 장사 잘 하려면 남들과는 다른 멘탈과 특징이 있어야 합니다.
      잘 되는 사장님들과 안 되는 사장님들 만나보면 확실히 다릅니다.

    • @King_Cider
      @King_Cider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냥 차려서 문열어 놓으면 손님 알아서 찾아 올꺼라는 발상을 가진 사람들은 절대 장사해서는 안됨!
      그게 음식점이든 프랜차이즈든 뭐든간에~

    • @user-qx6xo7kc9v
      @user-qx6xo7kc9v 3 місяці тому

      맞음 ㅋㅋㅋ 발주도 진짜 중요하고 진열도 진짜 중요함 자리빨 이러면서 다 포기하고 안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러면 뭘 하던 망하지

  • @user-hg5oq1hs6s
    @user-hg5oq1hs6s 2 роки тому

    0:50 에 cu1등점주 인터뷰 영상은 어디서 볼수있을까요 ?

    • @Chang-Talk
      @Chang-Talk  2 роки тому +1

      영상은 없고 기사 링크 드립니다
      [1등 점주 노하우] (2) 고객 서비스 | GS25, 와인·맥주에 손수 만든 소개표…피자헛, 고객에 손편지·무료 우산 대여
      n.news.naver.com/article/024/0000064582

  • @user-jp6jd5id2n
    @user-jp6jd5id2n Рік тому

    근데 대학은 방학이5-6개월인데 이때매출 어떻하나요?

  • @user-hf2wc2jm7h
    @user-hf2wc2jm7h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장사잘되도....건물주가 먹는경우도 많대요ㅠ

  • @cosmicxsooa
    @cosmicxsooa 2 роки тому +22

    편의점 절때 하지마요. (현경영주)
    임금상승 가속화
    월세상승
    본사지원감소
    이익배분하면 남는게 없습니다.
    일이 생각보다 많이 힘들어요

    • @somurphy3895
      @somurphy3895 2 роки тому +2

      편의점하면 가족들까지 고생하는경우가 많죠

    • @user-kt2kp3ek7t
      @user-kt2kp3ek7t 9 місяців тому

      알려주세요
      어디서 어찌 하시길래 이런 말씀을
      죽기살기가 아닌 죽는다 하고 해보심

  • @hi7353
    @hi7353 Рік тому +3

    600세대 오피이면 1일 매출이 300만원? *.*
    어마어마 하네요 ㅎㅎ

  • @user-un9qz4ug6b
    @user-un9qz4ug6b Рік тому +3

    현실은 오픈하면 대략적으로 도 생각대로 매출이 안나온다는거 ㅋㅋ
    지금은 잘 되는 점포가 없다고 보면 됩니다
    타브랜드 중.고매출 점포 뺏고 뺏기는 그런 양상으로 가는거죠
    이젠 점주임차 재계약 점포 얼마나 뺏어오냐가 회사가 살아나가거

  • @dooeung
    @dooeung 2 роки тому +4

    아파트독점이라했는데 아할치고 들어와 무인밀키트 치고들어와ㅋ

  • @user-jx6pl4kz9q
    @user-jx6pl4kz9q Рік тому +3

    본부에서 일매출얼마얼마나올것이다라는말은 추정이지 정확한게아닙니다. 편의점창업 다시생각해보세요 지옥길로들어가는곳입니다

  • @gombanga
    @gombanga Рік тому

    아파트는 세대당 3000원 잡으셨는데 편의점 크기 기준으로 말씀해주세요ㅠ

    • @user-xo6zj9wu4v
      @user-xo6zj9wu4v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파트는 세대수도 중요하지만
      가구원수와 평수가 중요합니다.
      매주1~2회 장을보는 안정형 주거환경,
      고급형 평수에 가구원수는 편의점 매출이 기대 이하인 경우가 많지만
      반면 안정형 가구원 세대수 인근에
      학원상권은 학생들 매출이 좋은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청년주택형 이거나 작은평수 세대수 단지는 고정적으로 장을 보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마트나 편의점 매출이 안정적인 상권이 형성됩니다.
      시장 분석은 동선등 많은 요인을 분석하고 시간을 두고 확인해야 하기에
      전문가 에게 추천 받은후 다시 분석하여
      재차 확인후 점포 위치선정을
      하는것이 좋다고 봅니다.
      특히 4백세대 이상 주상복합 세대를 단독 으로 독점 하는게 가장 안전하며
      세대수가 많은 작은 평수를 기본시 해야합니다.
      여기서도 주변 먹자상권,유흥가 상권등
      20대부터 50대 까지 인구 집중 매출 증가 계절과 요일,시간대를 분석하여
      소비성 활동시간과 기간이 안정적 으로
      꾸준히 소비되는 상권 형성이 되어 있는지 확인 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코로나 전에는 특정 독점지역(해수욕장,스키장)이 고매출 인기 지역 으로 분석 되어 높은 권리금 이득이 가능 했지만 아시다시피
      코로나가 일상 감기화된 지금은
      기피지역이 된점을 볼때 향후 5~10년
      계약 연장 기간 까지 매출 안정 유지가
      가능한지 꼼꼼히 분석후 투자하시는게
      중요합니다.(순익점유지,만료권리금보장)
      편의점 큰돈 안든다고 하는데
      직접 하려고 알아보면 임대보증금등 기본 1억은 들어갑니다.
      일매출180만 이상 나와야 하며
      (담배일매출60~80,학교앞은 담배매출이
      주거환경지보다 40%낮음)
      180만×30일*월매출-부가세10%-물품원가65%-본사배분30%-
      (카드수수료,통신비,등등 생략)*
      이익정산금에서-월세-전기세-폐기-24년도최저임금
      을 빼면 점주 순이익금이 나옵니다.
      일매출190만 이하는 마이너스 일겁니다.
      점주근무 또는 가족2~3인 근무로
      운영하면 인권비 정도는 수익으로
      볼 수 있습니다.
      편의점 이제는 점주가 근무하여
      본인 임금 챙기는 수준입니다.
      이윤이 적다보니 알바들 시급도
      법정임금 못주는곳 허다하고요
      주60시간 안채우려고 알바들 여럿써서
      운영합니다.
      줄거 다주고 법 준수하면 마이너스...
      전국에 울면서 폐점 못하고 버티는
      사장님들 또는 회생 파산 하시는분들
      많다고 합니다.

  • @user-ut8zn4yd1t
    @user-ut8zn4yd1t 2 роки тому +2

    나 지금 씨유한다 구구절절 그래 상품 중요하지 근데 평수작은데 큰매장 경쟁점 들어오면 장사 안된다 상품경쟁이 기본적으로 될수없고 본사랑나랑 수익이 좀 줄더라도 뭔가 손님끌수있는 행사를 하든 뭐라도 해야되는데 안해 없어 그리고 본사가 임대차 가지고있으면 그냥 월세 얼마되든 다 맞춰줘 지들은 수수료남으면 상관없으니까 이번에 월세도 30깎아줬는데 다른데보다 아직 100만원차이나 능력이 존나없어 다른데도 그런가 내가 알아봤는데 같은상권에 매장은 1/2크기인데 월세가 2배차이더라 본인이 임대차계약해서 할꺼 아니면 절대 하지마라

  • @user-mf3fr6ul4c
    @user-mf3fr6ul4c Рік тому +7

    700세대가 무슨 일매210이냐 웃기네

  • @user-ud6yj1zl6x
    @user-ud6yj1zl6x 3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 우리 남편이 오픈 전에 이걸 봤더라면 ㅜㅜㅜ

  • @you-ks9bs
    @you-ks9bs 2 роки тому +7

    일매출100은 건물주도하는거 아닙니다
    150이요? 부가세 제하고 남는것도없어요
    건물주입니다 편의점 11년차고요ㅎㅎ 제건물과 임대건물2곳운영중입니다

    • @hallfinalzone6727
      @hallfinalzone6727 2 роки тому

      일매출일텐데요

    • @hallfinalzone6727
      @hallfinalzone6727 2 роки тому

      월매출이아니라

    • @Jihoon933
      @Jihoon933 2 роки тому

      @@hallfinalzone6727 오타겠죠. 일매출 100짜리 하면 ㅈ돼요 ㅋㅋㅋㅋㅋㅋㅋㅋ

    • @nokbbang_Han
      @nokbbang_Han Рік тому

      흠 그래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you-ks9bs
      @you-ks9bs Рік тому +2

      오해의 소지가 있었네요 일매출요😅
      300이 넘는점포도 20대에 운영해봤고
      이것저것 3사 다 해보면서 다양한 점포들의 매출 특수점포 휴게소 바다 대학교 유흥상가 기업내 점포 매출수익 구조들을 다 봐왔는데 우리가 생각하는것만큼의 수익구조는 아니다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대학은 방학이라는 걸
      생각하고 들어가야합니다 실제 학기 얼마 안되요 바다도 딱2달인데 비오면 그해 장사는 날라가구요 경쟁도 심하고
      기업내 입점하는 점포들은 보통 입찰계약식이라 투자금도 비싸고 보통 2년 하고재입찰이라 다시 할수 있을지도 미지수고 재계약시 권리형태의 일시금도 받기힘들죠 지금까지 13년정도하며
      3개 브랜드 3개의점포를 운영하며
      제가 느낀건 편의점을 쉽게보고 접근하면 안된다는겁니다

  • @nokbbang_Han
    @nokbbang_Han Рік тому

    건물주인데.. 월매출 100이 안되는데..100되는걸 목표로.. 창업하자하면 ..어떻게 할까요
    월세는 오히려 지원해준다고 하네요 따로

    • @Chang-Talk
      @Chang-Talk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장사 관련 고민 있으시면 창톡을 이용해 보시겠어요? 점포 개발 출신에 편의점 여럿 운영하시는 현직 찐고수님들과 1:1로 만나서 컨설팅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월17일 오픈이고 지금 사전등록 하시면 20% 할인해드립니다
      changtalk.kr

  • @user-im1hy6yp2w
    @user-im1hy6yp2w 2 роки тому +3

    인건비때문이라도 야간운영은 안하는 조건으로 해야됨 ㄹㅇ ㅋㅋㅋㅋ 더손해임

  • @user-zq2qm9dw7m
    @user-zq2qm9dw7m 7 місяців тому

    인근에 편의점 생기면 둘다 망할수도 있음
    나줘 먹기에 더이상 수요가 없어므로

  • @dwh67
    @dwh67 Рік тому +2

    일매 180이하 건물주만 하라~ 면서 창업시키잖아

  • @user-tv4sf7lv3i
    @user-tv4sf7lv3i 2 роки тому +1

    씨우편의점
    차리는데보통
    얼마들어가나요

  • @user-dl5mv9hy1x
    @user-dl5mv9hy1x 3 місяці тому +1

    개발팀이돈도안되는데다 점포오픈하고 같은라인 점포 월세120인데 편의점만 300받음 ㅎㅎ개호구임

  • @user-jj2iz4ym9c
    @user-jj2iz4ym9c 2 роки тому +2

    위험하고 쓰잘떼기없는이야기는안하니깔끔하고
    부장으로써는 부하직원이 상당히 실수하면 나락보내는스타일의 부장이다. 누구나그렇지만 무서운종류인간

  • @user-sp3pz2wb3p
    @user-sp3pz2wb3p 2 роки тому +5

    편의점 창업은 불행의 시작입니다

    • @Chang-Talk
      @Chang-Talk  2 роки тому

      네 편의점 뿐만 아닙니다. 무슨 창업이든 준비 안된 창업은 불행의 시작입니다

    • @user-sp3pz2wb3p
      @user-sp3pz2wb3p 2 роки тому

      @@Chang-Talk 50% 이상이 알바비도 못버는 현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