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영상] KBS 추적60분_끝나지 않은 라돈의 공포 아파트를 덮치다_20190419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KBS [추적60분]
    2019년 4월 19일 밤 10시 50분 KBS1
    끝나지 않은 라돈의 공포 아파트를 덮치다

КОМЕНТАРІ • 75

  • @조대영-q8d
    @조대영-q8d 5 років тому +35

    우리나라 대기업들 반성해라.
    니들 집이어도 그냥 살겠냐??

  • @B-hurricane
    @B-hurricane 5 років тому +12

    신축 아파트 10곳 중 6곳 라돈 검출이라는데 암걸린 이유도 모르고 죽는겨...
    아파트값 떨어진다 쉿.

  • @micheljo3728
    @micheljo3728 3 роки тому +4

    감사합니다.
    몇년전 kbs추적 60분에도 나오고 국립 암센 에서도 한국비흡연 폐암이 심각하다고 나오는데
    주택 뿐만 아니라 아파트 건축 시멘트,벽면석고 마감재등에서도 주택 보다 더많이 나오는 아파트가 대부분이라고
    추적60분에서 라돈전문가와 함께 실험을 했는데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못하고 있는것 같아요

  • @ovememan
    @ovememan 4 роки тому +4

    왜 담배를 피지 않는 주부들이 페암 1위인지 알게 해주는 영상이네요

  • @이대원-n7f
    @이대원-n7f 5 років тому +22

    아파트 만의 문제는 아니다 빌라. 원룸. 주택. 상가.. 모두 건축 자제 대리석 석고보드 라돈이 시공 되었다.
    시중에 라돈 석고 보드 다 어디로 갔을까 생각해바라 ??

  • @황세연-u1w
    @황세연-u1w 5 років тому +13

    기밀은 필수이고 폐열환수장치를 통해 내부를 환기시켜야 한다.폐열환수장치 비용이 비싼게 아니다.폐열환수장치 배관을 하게 되면 2~30 센티 공간이 필요하고 그 높이면 아파트를 몇층 더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수십만원 돌값이 아까워 벌벌떠는 넘들한테 평당 천만원넘게 주고 아파트를 사는 사람도 문제가 있다.대기업이 예쁜 배우 내세워 선전하는데 넘어가지 말고 품질을 보자.실내공기질을 의무사항으로 법제화 시켜야 한다.

  • @이긍선-f3m
    @이긍선-f3m 5 років тому +10

    국회의원들과 정부 관료들은 뭐하고 있나 라돈이 문제가 있다(2013년에 추적60)고 나온게 언제인데 아직도 관리가 안되고 있나 한심들하다...

  • @xanaduz76
    @xanaduz76 5 років тому +7

    년식이 오래된 아파트에 거주하고있어서 고급스럽진 못하지만 이사가려고 했던 마음이 바뀌네요.
    마음 편하게 살아야지 몇억씩 주고 이사한 아파트가 저런 환경이라면 전혀....
    모자이크되어있지만 어느 아파트란건 다 알수있죠.

  • @koreaone3275
    @koreaone3275 5 років тому +6

    매일매일 살인이 일어나는구나 썩을 건설사 썩을 시멘트 회사 이 적폐들도 처내야 한다. 반드시

  • @zwalzwal
    @zwalzwal 2 роки тому +2

    일본산 산업 쓰레기를 돈받고 들고와 시멘트에 갈아 넣으니 문제죠

  • @황세연-u1w
    @황세연-u1w 5 років тому +36

    건설사 이름을 공개해야 전체가 피해를 안봅니다.아파트값 떨어질까 무서워 공개 안하면 전체국민,우리의 미래인 어린이들이 병에 걸립니다.

    • @Mechender
      @Mechender 5 років тому +3

      psc 건설입니다

    • @예수님a
      @예수님a 5 років тому +1

      쉬버럼들..조금이라도 줄이려고 떨어뜨리라카네 ㅋㅋ

    • @허파란빤쑤
      @허파란빤쑤 4 роки тому

      자이는요?

    • @하얀세상의추억
      @하얀세상의추억 4 роки тому

      정부를 뜨더고쳐야죠
      국민들이 이런결과를 만든건데

    • @강아지-i2h
      @강아지-i2h 3 роки тому

      @@허파란빤쑤 위례포레자이.과천자이.영종자이

  • @jungyoungpark4499
    @jungyoungpark4499 5 років тому +4

    선분양 제도부터 뜯어 고쳐야겠다. 집 계약하기 전에 라돈 측정기 들고 가서 확인만 할 수 있다면 이런 일은 생길 수가 없지.

  • @해야나
    @해야나 3 роки тому +2

    라돈아파트 라돈 시멘트 전국에신축아파트

  • @romeroyoel4164
    @romeroyoel4164 5 років тому +7

    아무것도 하지말고 기다리라 사기꾼 나라에서는 다 뒤집어져야 정상으로 돌아온다.

  • @산초-f3f
    @산초-f3f 5 років тому +20

    전국라돈 지도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화강임석지역 라돈 엄청많이 나오는데요

  • @로블록스하고싶은사람
    @로블록스하고싶은사람 5 років тому +9

    라돈아파트라니 ...있어도 암소리 안하지 층간소음있어도 암소리안해 어짜피 내가 살집아니고 투자목적이니문제없다

  • @박미자-i4m
    @박미자-i4m 3 роки тому +1

    집갑 떨어진다
    라돈 이라니 이게왠말인가 ㅠㅠ

  • @오리목살구이
    @오리목살구이 5 років тому +6

    2011년도에 이후에 지어진 집은 들어가지 않는게 나을듯

  • @노랑새-r5i
    @노랑새-r5i 4 роки тому

    지은지 6년된 아파트16층에 살고있는데 문을 모두 닫고 측정하면 15피코큐리 이상 나온다.기준이 4피코큐리 이하다. 1피코큐리는 37베크렐.
    안방 화장대 선반이 60x80cm의 화강석인데 이걸 분리해서 아무것도 없는 빈방에 두고 수건으로 방문틈을 틀어마고 측정했는데 화장대가 있으나 없으나 라돈 농도는 줄지 않았다. 건축자재 자체에서 라돈이 방출된다고 나름 결론지었다.
    대책이 없기에 베란다 문을 30cm 정도 열어 바깥공기가 바로 집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 후 측정하면 0.5피코큐리 이하로 수치가 떨어진다.
    베란다 문을 열고 환기시키면 수치를 낮출 수 있다. 그런데 겨울에는 문을 열 수 없으므로 환기장치를 가동시켜야 한다. 2008년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는 열손실을 줄이는 환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를 교체해야 하고 전기세도 부담이긴 하지만.
    화장실 젠다, 화분의 돌 이것들의 문제가 확실하다면 교체를 고려해 볼 문제이나 이들을 제거해도 라돈이 발생한다.
    해결방법은 환기, 환기가 가장 확실한 방법임을 알았다.
    그리고 집을 구입할 때 라돈 측정기를 구입하거나 민원센터에서 빌려 측정을 해보고 구입하라고 권한다.

  • @박미자-i4m
    @박미자-i4m 3 роки тому

    아니 왜 세상에 이런일이 문제가
    건설회사 는 책임을 지고 져야한다

  • @임형기-k2l
    @임형기-k2l 5 років тому +8

    건설사 관계자와 그 가족까지 라돈옷 만들어서 평생 입고 다니게 해주고싶다
    시멘트를 쓰레기하고 같이 썩어 만드는데 방사능이 안나올수가 있나
    정부는 돈있는 건설사가 망할까봐 걱정인가 권고사항이 머야?
    후분양제하면 다 알아보고 들어가라
    돈 날리고 가족들 다 병원에서 지낼수 있다

  • @bipolarman9246
    @bipolarman9246 5 років тому +4

    선진국 특히 스캔디나비아국들은 조금이라도 국민들의 불평이 나오면 최고의 전문가들 동원시켜 민생의 안정과 문제해결에 최선을 다합니다. 우리 공공기관에서는 왜 그럴 수 없을까요? 다들 각자 생활하기가 바쁘고 책임지고 이슈화되는 부분을 싫어하는지 궁금할 따름입니다.

  • @sktel
    @sktel 5 років тому +5

    신규아파트 좋을지 알지.. 신규아파트 사는사람들.. 피부한번 보세요. 날리 나셨죠.. 라돈만 있다면 천만다행입니다. 행복하셔야 합니다.

  • @이진용-j9w
    @이진용-j9w 5 років тому +4

    아파트는 집합주택이라 단체로 대응이나 하지..아파트 외에 주거지들이 진짜 불쌍한거지..

  • @stonebedtv
    @stonebedtv 5 років тому +1

    라돈은 이제 검출하는 장비도 잘 되어져 있고 국가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많이 개선되고 조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침대를 만드는 원자재로 장난을 치고 그 원자재에서 라돈 보다 더 심각한 것들이 만들어져서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는데 너무나도 미약합니다, 정말 꼭 한번 봐주세요, 어쩌면 라돈 보다 더 심각한 상황입니다. 건강침대 쪽은 규제도 견제도 없이 지금 마구잡이로 저희가 알려드리는 이런 제품들이 대형마트로 가구점으로 유통되어 소비자에게 갑니다. 눈가리고 이윤을 위해 더 저렴하고 쓰면 안되는 것들이 사용되어지는 것을 소비자 분들이 알고 막아주셔야 합니다. 건강침대 업계는 일반 가구보다 더 심각합니다~

  • @youngmanchake
    @youngmanchake 5 років тому +4

    이런 자료를 주셔서, 추적60분에 감사 드립니다. 국가기관이 해야 할 일인데... 그나저나 콘크리트 자체가 라돈을 뿜어내는 경우엔 해결할 방법이 없네요. 아파트 분양비를 정부가 입주민에게 되돌려 주는 수밖에...

  • @bdchoi4884
    @bdchoi4884 4 роки тому +2

    라돈은 없앨 수는 없지만 막을 수 있는 건축마감자재가 2020년도 상반기부터 시판됩니다. 대한민국에서 세계유일 하게 라돈을 방어할 수 있는 도료와 벽지가 개발되어 생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새집증후군과 병행하여 시공 또는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loves-life
    @loves-life 5 років тому +9

    저런 자는 라돈과 일심동체하라..

  • @Cheonzo
    @Cheonzo 5 років тому +5

    저는 상생페인트 대표 입니다. 라돈 저감 도료를 하는 사람으로서 모래, 자갈 등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라돈을 건설사는 피해나가려만 합니다. 왜냐구요? 막을 방법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자금이 더 들어가니까 안할려고 합니다. 하지만 최대치로 줄일 방법은 충분히 있습니다. 제가 건설관계자에게 들었던 말 중 제일 어이없었던 말은 벽지로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말을하는데 말 다했다.... 휴 이런 말만 듣고 있다가 날새겠다.. 피식피식 웃고만 있더라.... 이런 모습을 보면 아파트 입주민들이 라돈에 피폭되어 암에 걸려도 전혀 신경 안쓴다는 이야기로 보였습니다. 라돈에 관련된 자재를 최대한 쓰지 말아야 된다..... 하지만 콘크리트를 안쓸순 없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라돈 저감 도료를 쓰면 되는데 이것도 제대로 만드는 곳이 많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대기업 제품이라고 해서 더욱 기능이 높을까? 그것도 아니다. 대기업은 유통구조 마진이 있기에 비싼자재로 제대로된 제품을 만들기 쉽지 않다... 대리점에서 판매되는 제품이 있기에 3배 마진을 봐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 오히려 중소기업 제품이 기능성과 장기간에 유지력은 높은 것 같습니다. 저는 모든 제품을 시공을 하며 사용해 보았고 이젠 내가 만든 제품을 시공을 하여 아파트 전체 공사를 맞으며 점점 건설사와 입주민들에게 라돈도 저감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현재 상황 건설사들이 입주민 보다 모든 상황면에서 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몇몇 건설사들은 제대로 기능이 발휘되는 라돈 저감 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사용하는 곳을 보지 못했습니다. 그 부분도 문제 입니다. 라돈은 50 베크렐 만 넘어도 어린아이에겐 위협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50베크렐이 계속 50베크렐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50~100~200 점점 기간이 지날 수록 그리고 높은 고층일 수록 높아진다. 처음에 건설사들은 화강석이 사용된 곳만들 지적하였다... 하지만 화강석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화강석, 콘크리트, 석고보드 가 제일 문제가 크고 그중에 제일 장기적으로 빈도가 높은 것은 제일 많이 사용된 콘크리트 입니다.

  • @autocollimator
    @autocollimator 5 років тому +3

    결론은 법이 문제 였다는 거군요, 이노무 국회의원들

  • @포세이든-d9u
    @포세이든-d9u 3 роки тому +1

    라돈콘크리트

  • @kv2kv3
    @kv2kv3 4 роки тому

    빌라2층은 안전하다!

  • @canshirou
    @canshirou 9 місяців тому

    발암아파트

  • @연광희
    @연광희 5 років тому +1

    시골집 가도 라돈 나올거 같은데
    기존에는 신경을 안써서 더 무섭기도 하네요
    지금 제가 사는곳도 나올듯 ㄷ ㄷ

  • @foolishman2586
    @foolishman2586 5 років тому +6

    시멘트 제조업체에서 시중에 판매중인 시멘트의 유해성을 검사해서 시멘트공장을 제재해야 할듯요
    시멘트 만드는데 각종 유해물질을 섞는다고 하는말도 들었는데
    그래서 한때는 중국산 시멘트가 오히려 품질이 좋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면 품질문제가 있는거 같음
    일본산 폐타이어 섞고 이러면 폐기물로 돈벌고 처리로 벌고 시멘트 팔아서 벌고
    피해는 소비자가 뒤집어쓰고

  • @alliswell8811
    @alliswell8811 5 років тому +1

    2000년대 이후 명품 아파트라는 이미지 마케팅과 고급스러운 외관 이미지를 통해 비싼 분양가를 통해 막대한 폭리를 취해온 게 1군 건설사들임. 그러니까 얼마나 한국인들이 개돼지로 보이겠어 ㅋㅋ 그냥 막 지어도 좋다고, 브랜드 아파트라고, 좋아서 입이 찢어지는꼴을 보고 있으면 얼마나 재밌을까.ㅋㅋ 지금 한국에서 건설사는 지난 10여년간 엄청난 이익을 얻었고 그를 통해 너무나 막대한 힘을 갖고 있어서 아무리 소비자 권익이 증대되었다고 해도 건설사 앞에서는 씨 알도 안 맥힘. 이게 현실임. 소송해도 다 짐. 하자 소송 그딴거 다 무의미함. 건설사가 괜히 배짱으로 나오고 말도 안되는 소리 하고 소비자 민원 다 개무시하고 괜히 그러는게 아님. 이미 그럴만한 위치에 올라왔고 앞으로도 그러하기 때문이지.
    이 방송 보고 브랜드 건설사 막 욕하다가도, 지금도 뭐 어디 브랜드 아파트 분양한다치면 죄다 달려가서 청약하고 프리미엄 몇 천 몇 억 받아가며 거래할 생각에 들뜰 개돼지 국민들인데 뭐 ㅋㅋ 그걸 건설사가 너무나 잘 알고있다고. 한국인들의 내 집 마련에 대한 열망, 아파트 투기에 대한 욕심,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집착, 그것을 이용해 폭리를 취해온 게 1군 브랜드 건설사들임. 그렇게 날개를 달아준 게 한국인들이고.

  • @ROKBAPTISTJOHN
    @ROKBAPTISTJOHN 5 років тому +1

    선진국으로 가려면 아직 멀었네. 국민이 어떤 책임부서에 해결을 의뢰해야 하는지도 헤매게 만드는 우리 나라 제도에 큰 문제가 있다고 본다. 원인이 무엇일까? 건설사에 대해서 눈 감아버리는 관료들이다. 관련 책임 공무원 퇴진하거나 문제 조속히 해결하거나…해당 건설사는 세무조사 비리에 대한 압수 수색해야 한다.

  • @목사사냥
    @목사사냥 5 років тому +7

    관계 공무원 말 그곳에서 살아요 꾹민 들아

  • @younghee7411
    @younghee7411 5 років тому +6

    석면은 굉장히 위험한 발암성 물질입니다. 라돈은 게임도 안 되죠

  • @김대용-g2e
    @김대용-g2e 5 років тому +3

    투자목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니까
    문제가 발생하지

  • @sonnykim2388
    @sonnykim2388 5 років тому +11

    최근 폐암환자 급증에는 원인이 있었던거군...

  • @bdchoi4884
    @bdchoi4884 5 років тому

    우연치 않게 보았는데 2020년 5월쯤에 라돈 잡는 친환경 페이트와 벽지를 시판한다고 합니다.국내 기업에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 @tjw133-l3i
    @tjw133-l3i 5 років тому +3

    건설사 어디죠? 어떤 아파트죠?

    • @내동생-g9q
      @내동생-g9q 5 років тому

      포스코 동2라 알고 있어요

  • @놀지s
    @놀지s 5 років тому +2

    면접도 서면으로보고 회의도 서면으로하나? 집도 서면이니?

  • @곽베리-h6e
    @곽베리-h6e 5 років тому +3

    경기도 어디 아파트냐?

  • @suktaeyoun6654
    @suktaeyoun6654 5 років тому +2

    권고? 왜죠? 강제규정이 아니고 왜 권고 입니까? WTO 1급 발암물질 지정이 우스워 보입니까?

  • @허파란빤쑤
    @허파란빤쑤 4 роки тому

    궁금한게 라돈이슈화는 된거같은데 집안 대리석 말고도 콘크리트에서 라돈 수치가 높게나오면 저감 어떻게하나요? 코팅이나 이런걸로 저감이 되나요?

  • @홍반장-k2k
    @홍반장-k2k 5 років тому +2

    그놈의 아이들.. 지겹다.. 아이들만 중요하니? 너와 나는 안중요하니.. 애들쫌 끌어들이지마라

  • @신리니
    @신리니 5 років тому +5

    최지워 당신잇개에 행복 합니다

  • @tv-rh8qb
    @tv-rh8qb 5 років тому

    욕실 라돈은 요즘은 시공으로 차단이 가능 합니다 단지 비용이들뿐 ... 보통 대리석 자재들 현관 화장대 화장실에서 많이 나옵니다.

  • @부건-v1o
    @부건-v1o 5 років тому

    라돈이 나오지 않는곳은 없다 현대건축뿐이 아니라 흙에서도 라돈이 검출된다 시멘트 석고보드 자연석제 황토등에 라돈검출 하루이틀예기도 아닌데
    인조석제에 들어가는 유독접합제는 두렵지 않은가 ? 깊은 산속에 들어가서 자연인이 되어라~~

    • @적폐청살-x4h
      @적폐청살-x4h 5 років тому +1

      접합제는 포름알데히드인데 10년이면 사라짐 . 방사능은 안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