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글자, 하지만 사투리에 남아 있는 발음, 그리고 옛글자로 영어발음 표현 쌍히읗은 경상북도 일부에서 형을 '히야'라고 하는데 이것의 첫소리가 쌍히읗입니다. 히야에서 히를 된소리로(쌍자음) 발음해보세요 그러면 경상도의 ᅘᅵ야 발음을 제연할 수 있습니다. 경상도에서 2와 e를 구분하는데, e는 쌍이응입니다. ㄱ을 되게발음하면 ㄲ, ㄷ를 되게 발음하면 ㄸ, '이'를 되게 발음하면 쌍이응, 즉 e가 된소리(쌍자음)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ar'는 "ᅇᅵ어ퟝ', 'year'는 'ᅙᅵ어ퟝ'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ua-cam.com/video/K3R8VZSEla4/v-deo.html 에서 year와 ear의 발음을 들어 보세요 ᅇ(쌍이응) 과 ᅙ(여린히읗) 발음을 구분하실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어부바'에서 부는 유성음이므로 '어ᄫᅮ바'라고 적을 수 있습니다. 옛글자로 표현할 수 있는 영어 발음들: 여린히읏은 영어사전의 j 발음기호와 같은 발음입니다. 영어에서 j를 반자음이라고 하는데 사실 자음 ᅙ과 모음 ㅣ가 합쳐젔기 때문이죠. ᅙ발음은 '이' 발음을 하는 것에서 더 힘을 주고 유성음으로 발음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year가 첫소리가 ᅙ(여린히읗)에 해당합니다. year는 'ᅙᅵ어ퟝ'로 발음합니다. year의 첫소리는 '이'를 힘을 주어 유성음으로 발음해야 합니다. 미국 영어 awesome 의 첫음절이 아래아 발음입니다. awesome의 미국 발음은 'ᄋᆞᆞ썸' 입니다. ua-cam.com/video/WUZ8ndtxlp0/v-deo.html 여기 동영상에서 소리를 들어 보세요. 아래아 발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일부에서 형을 ‘히야’라고하는데 히야의 첫소리는 쌍히읗 발음, 경상도의 e는 쌍이응 소리를 냅니다. 영어발음기호 j(ㅈ 발음 아님)가 ᅙ(여린히읗)에 해당합니다. 추가적으로, 영어를 옛글자를 이용해서 발음을 표현한 예시를 더 들어 보겠습니다. Z: ᅀ F : ꥺ R : ᄛ V: ᄫ ear : ᅇᅵ어ퟝ | iər | year : ᅙᅵ어ퟝ | jiər | yes : ᅙᅨㅅ | jes | yaw : ᅙᅭ(영국). ᅙᆡ(미국) | jɔː | (발음듣기: ua-cam.com/video/2evd1UduuJQ/v-deo.html) awesome : ᄋᆞ썸 | ɔ́ːsəm | (발음듣기: ua-cam.com/video/WUZ8ndtxlp0/v-deo.html) work: 워ퟝㅋ | wəːrk | walk: ᄋᆠㅋ | wɔːk | boss : ᄇᆞㅅ | bɔːs | zoo: ᅀᅮ | zuː | rice: ᄛᅡ이ㅅ van: ᄫᅢᆫ street : ᄹᄛᅵᇀ your : ᅙᅲ어ퟝ father: ꥺᅡᄹᅥퟝ think : ᄯᅵᇰㅋ
@@kingsejonghangul 감사드립니다. 외국어공부할때 활용하고싶네요 영어 한글로가끔 표기해놓는데 유용하게 쓰일것같습니다. 혹시 일본어 つ같은 설치음 같은것 표기법은 없나요? 혀끝을아랫이 뒤에 붙이고 혀윗면을 입천장에 대고하는 소리요. 혹시 아시면 알려주세요 ㅜㅜ 중국어에 s z c 와 비슷한 소리인데 분명 있을법도 한데 지금 한글소리는 없는것같아서요
@@kingsejonghangul 선생님 오늘 조선시대 영어교재 아학편 도착했습니다 놀라운것은 그책에 중국어 권설음 r 발음에 반시옷 ㅿ을 일률적으로 사용하고 있단것이었습니다. 과연 훈민정음 창제당시 소리일지 모르지만 최소 이당시 , 아니면 최소 이 책의 지은이는 ㅿ을 중국어 권설음 r 표기용으로 사용한것은 확실해보입니다. 전 중국어를 약간할수있고 중국어 발음은 정확히 알고있습니다
중국어를 하신다니 아학편의 중국어표기가 눈에 들어오셨나봅니다. 하지만 반치음이 /z/계열의 소리라는 것이 주류학설 인듯 합니다. 오태주님이 말씀하신대로 아학편은 훈민정음 당시의 표기법과는 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유성음 /g/를 ㅅㄱ로 표현한다든가 등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반치음이 꼭 중국어의 권설음 r 이라기보다는, 우리나라에 없는 발음 r을 이 책에서는 이렇게 표기하자는 약속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으로 보여요.
사라진 글자, 하지만 사투리에 남아 있는 발음, 그리고 옛글자로 영어발음 표현
쌍히읗은 경상북도 일부에서 형을 '히야'라고 하는데 이것의 첫소리가 쌍히읗입니다. 히야에서 히를 된소리로(쌍자음) 발음해보세요 그러면 경상도의 ᅘᅵ야 발음을 제연할 수 있습니다.
경상도에서 2와 e를 구분하는데, e는 쌍이응입니다. ㄱ을 되게발음하면 ㄲ, ㄷ를 되게 발음하면 ㄸ, '이'를 되게 발음하면 쌍이응, 즉 e가 된소리(쌍자음)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ar'는 "ᅇᅵ어ퟝ', 'year'는 'ᅙᅵ어ퟝ'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ua-cam.com/video/K3R8VZSEla4/v-deo.html 에서 year와 ear의 발음을 들어 보세요 ᅇ(쌍이응) 과 ᅙ(여린히읗) 발음을 구분하실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어부바'에서 부는 유성음이므로 '어ᄫᅮ바'라고 적을 수 있습니다.
옛글자로 표현할 수 있는 영어 발음들:
여린히읏은 영어사전의 j 발음기호와 같은 발음입니다. 영어에서 j를 반자음이라고 하는데 사실 자음 ᅙ과 모음 ㅣ가 합쳐젔기 때문이죠. ᅙ발음은 '이' 발음을 하는 것에서 더 힘을 주고 유성음으로 발음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year가 첫소리가 ᅙ(여린히읗)에 해당합니다. year는 'ᅙᅵ어ퟝ'로 발음합니다. year의 첫소리는 '이'를 힘을 주어 유성음으로 발음해야 합니다.
미국 영어 awesome 의 첫음절이 아래아 발음입니다. awesome의 미국 발음은 'ᄋᆞᆞ썸' 입니다. ua-cam.com/video/WUZ8ndtxlp0/v-deo.html 여기 동영상에서 소리를 들어 보세요. 아래아 발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일부에서 형을 ‘히야’라고하는데 히야의 첫소리는 쌍히읗 발음, 경상도의 e는 쌍이응 소리를 냅니다. 영어발음기호 j(ㅈ 발음 아님)가 ᅙ(여린히읗)에 해당합니다.
추가적으로, 영어를 옛글자를 이용해서 발음을 표현한 예시를 더 들어 보겠습니다.
Z: ᅀ
F : ꥺ
R : ᄛ
V: ᄫ
ear : ᅇᅵ어ퟝ | iər |
year : ᅙᅵ어ퟝ | jiər |
yes : ᅙᅨㅅ | jes |
yaw : ᅙᅭ(영국). ᅙᆡ(미국) | jɔː |
(발음듣기: ua-cam.com/video/2evd1UduuJQ/v-deo.html)
awesome : ᄋᆞ썸 | ɔ́ːsəm |
(발음듣기: ua-cam.com/video/WUZ8ndtxlp0/v-deo.html)
work: 워ퟝㅋ | wəːrk |
walk: ᄋᆠㅋ | wɔːk |
boss : ᄇᆞㅅ | bɔːs |
zoo: ᅀᅮ | zuː |
rice: ᄛᅡ이ㅅ
van: ᄫᅢᆫ
street : ᄹᄛᅵᇀ
your : ᅙᅲ어ퟝ
father: ꥺᅡᄹᅥퟝ
think : ᄯᅵᇰㅋ
선생님 잘들었습니다. 저 발음법에 대한 근거는 어디서 찾으신건가요? F, V발음이 있었단게 놀랍네요
관심 감사드립니다.
한국어에는 /f /,/v/가 잘 쓰였던 발음은 아니었던거 같구요.
외국어나 사투리를 표기하기 위해 ㅂ과 ㅍ 밑에 ㅇ을 표기하여 사용하였던 거로 알고 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 , 국립한글박물관의 논문들, 다큐멘터리 아래아의 소리 등을 참고했습니다.
@@kingsejonghangul 감사드립니다. 외국어공부할때 활용하고싶네요 영어 한글로가끔 표기해놓는데 유용하게 쓰일것같습니다. 혹시 일본어 つ같은 설치음 같은것 표기법은 없나요? 혀끝을아랫이 뒤에 붙이고 혀윗면을 입천장에 대고하는 소리요. 혹시 아시면 알려주세요 ㅜㅜ 중국어에 s z c 와 비슷한 소리인데 분명 있을법도 한데 지금 한글소리는 없는것같아서요
@@kingsejonghangul 선생님 덕분에 조선시대영어교재 아학편 발견했네요 흥미롭게 볼 수 있을것같습니다~^^감사합니다
@@kingsejonghangul 선생님 오늘 조선시대 영어교재 아학편 도착했습니다 놀라운것은 그책에 중국어 권설음 r 발음에 반시옷 ㅿ을 일률적으로 사용하고 있단것이었습니다. 과연 훈민정음 창제당시 소리일지 모르지만 최소 이당시 , 아니면 최소 이 책의 지은이는 ㅿ을 중국어 권설음 r 표기용으로 사용한것은 확실해보입니다. 전 중국어를 약간할수있고 중국어 발음은 정확히 알고있습니다
중국어를 하신다니 아학편의 중국어표기가 눈에 들어오셨나봅니다.
하지만 반치음이 /z/계열의 소리라는 것이 주류학설 인듯 합니다.
오태주님이 말씀하신대로 아학편은 훈민정음 당시의 표기법과는 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유성음 /g/를 ㅅㄱ로 표현한다든가 등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반치음이 꼭 중국어의 권설음 r 이라기보다는, 우리나라에 없는 발음 r을 이 책에서는 이렇게 표기하자는 약속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으로 보여요.
안뇽!♥♥
에이그.. 애기가 어려운 모양이네.. 😂
응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