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언더볼팅 꺼져!! 노트북 발열제어, 최고의 방법!! 온도는 낮고, 성능은 그대로!! 초보자도 따라만 하세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여름이면 게이밍 노트북 발열은 관리해줘야죠!! 완벽한 방법을 가지고 왔습니다.
    CPUID HWmonitor 다운로드
    download.cpuid...
    참고로 인텔 12세대 엘더레이크의 경우 영상의 방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12세대는
    • [4K] 12세대 엘더레이크 노트북 발열...
    위 영상으로 가셔야 합니다.
    레지스트리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Control\Power\PowerSettings\54533251-82be-4824-96c1-47b60b740d00\75b0ae3f-bce0-45a7-8c89-c9611c25e100

КОМЕНТАРІ • 828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3

    몇몇 분둘이 르누아르에 TEST를 하고 계신거 같네요. 피드백 주셔서 감사합니다. 르누아르 시리즈(AMD -4000대 CPU)는 적용이 되지 않는듯합니다.
    르누아르 발열제어 방법인 ua-cam.com/video/Z-jMdXs5954/v-deo.html 이 영상의 방법 밖에는 아직 없는듯 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dhk7225 안되는거 같더라구요

    • @김규민-v4v
      @김규민-v4v 3 роки тому

      으 어쩐지,,, 라이젠7 4800h으로 설정 적용은 할 수 있는데 효과는 없더라고요...ㅠ

    • @금호랑이
      @금호랑이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12세대는 e코어 p코어 따로 있는데 어떻게 접근해야할지 헷갈리네요

  • @gethyper4880
    @gethyper4880 2 роки тому +6

    요약하자면
    1. 설명된 레지스트리 주소의 파일 값을 수정하여 전원옵션에 클럭 상하한 조절 옵션 활성화.
    2. HWInfo 프로그램으로 수정 전 클럭 평균값을 확인.
    3. 전원관리 설정의 최대 클럭을 2번에서 확인 한 평균값과 근접한 수치를 입력.
    4. 원한다면 벤치마크 툴로 테스트를 거쳐, 최적의 값을 찾아 설정.
    생각보다 괜찮네요. 가끔 노트북이 필요치도 않은데 클럭을 최대치까지 올려버리더라구요.

  • @allday4693
    @allday4693 Місяць тому +1

    5600h 적용 전 최대클럭 4240 온도 98도 시네멀티 9772점
    클럭3800 적용 후 최대클럭 3740 온도 85도 시네멀티 9231점
    클럭3750 적용 후 최대클럭 3718 온도 83도 시네멀티 9217점
    3750으로 확정!! 벤치 시 온도 -15도, 게임 시 온도 -18도(70>52) 떨어졌네요.
    그동안 불안해서 게임 오래 안돌렸는데 마음놓고 돌리고 있습니다!
    좋은 거 하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Місяць тому

      신세계 입성을 축하드립니다.

  • @TTaboong
    @TTaboong 3 роки тому +10

    와...이거 진짜 대박 95도 까지 치솟았는데 온도가 확실히 내려갔고 게임 할 때 프레임드랍도 거의 없어짐!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신세계를 맛보고 계시는군요

  • @ecob8370
    @ecob8370 2 роки тому

    서피스 프로 사용자입니다. 쓰로틀스탑이 얼마전에 막혀서 이것저것 다 해봤는데도 소용이 없길래 그냥 쓰다가.. 올려주신 영상 보고 설정 해보니 게임할때 쓰로틀링도 안 걸리고 매우 쾌적해졌어요. 매우 해결하고 싶었던 문제였는데 덕분에 해결하니 너무 좋네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신세계로 입성하셨군요^^

  • @도돌이표-i6r
    @도돌이표-i6r 4 місяці тому

    Xps 9710 사용자 입니다 선생님덕에 1년이상 괴롭히던 스로틀링을 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4 місяці тому

      신세계 입성을 축하드립니다.

  • @ansantricolor
    @ansantricolor 3 роки тому +1

    노트북 쿨링팬이 마치 비행기가 이륙할 것 같이 풀로드로 돌아가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 영상대로 셋팅 잡았더니 한결 살 것 같네요 ㅋㅋㅋ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비행기는 착륙시키셨나요??
      아마 쭉 사용하시면 상당히 만족할 겁니다. ^^

  • @millmill8263
    @millmill8263 3 місяці тому

    이 영상보구 해결했습니다...너무나 감사합니다 MSI 노트북인데 씨퓨 사양은 영상과 동일하구요.....
    대부분 웹서핑,영화,유튜브 정도 작업인데요 그래픽은 3060 달려있지만 게임은 전혀 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작업 관리자에서 씨퓨 로드율이 높지 않은데도 모니터링 해보니까 온도가 간헐적으로 96도 풀로 찍더라구요
    특이한건 쓰레딩 코어 두개만 일을 하더군요 다른 코어는 클럭에 크게 변화가 없구요
    레지스터리는 건들지 않고 전원 옵션만 영상처럼 건드리니 45~50도 정도 유지해주고 있습니다
    이젠 쿨러는 거의 돌지 않고 있습니다 ...다시한번 정말 감사드립니다
    원인은 최근 업데이트 때문인것 같습니다 전에는 이렇게 쿨러가 시끄럽지 않았거든요
    이거 계속 방치하면 나중에 온도차로 인한 칩기판에 냉간(납땜이 갈라지거 아예 떨어지는 ) 현상이 발생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місяці тому

      신세계 입성을 축하드립니다

  • @Dubardin
    @Dubardin 2 роки тому +2

    아무것도 안 해도 노트북 온도가 70도를 찍었었는데 이 영상보고 대충 99에 3800으로 맞추니 40도 후반에서 50도 초중반까지 나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고생하셨습니다.^^

  • @sclee807
    @sclee807 2 місяці тому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13세대 인텔에서도 잘 적용되고 최대주파수 4200설정해놨는데도 온도가 70도 이상 안올라가네요. 만족해요!!!! 13세대 i7, 4070 랩탑입니다

    • @PARK6997
      @PARK6997  2 місяці тому

      신세계 입성을 축하드립니다.

  • @jyc0818
    @jyc0818 3 роки тому +1

    진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알레스카에서 게임중입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ㅋㅋㅋ 너무 춥지 않도록^^ 하세요

  • @alphaonlee6569
    @alphaonlee6569 Місяць тому +1

    Asus tuf gaming a16사용하고 있습니다 4년전에올려준영상인 윈도우스 균형모드 레지스트리설정이랑 이번 영상이랑 둘 다 해야 될까요?? 아니면 어떻게하는것이 좋을지 추천부탁드립니다

    • @PARK6997
      @PARK6997  Місяць тому

      둘중에 하나만 하는겁니다

    • @alphaonlee6569
      @alphaonlee6569 Місяць тому

      @PARK6997 최신영상방법대로하는것이 더 효과적일까요..??

    • @PARK6997
      @PARK6997  Місяць тому

      @ 네^^

    • @alphaonlee6569
      @alphaonlee6569 Місяць тому

      처음엔 영상대로 효과가있었으나 게임을 실행하고나서부터는 무슨문제가생긴건지게임중에는92도정도고 게임끄고 다시 시네벤치 해보니까 코어들이 일정하게 작동하지 않네요ㅠㅠ 다른방법이 있을까요..?

  • @ko5022
    @ko5022 2 роки тому

    cpu 87~93도에서 놀다가 최대 74도를 찍는 확실한 효과를 봤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bca-vb8zj
    @bca-vb8zj Рік тому

    g15 5900hs 3070 유저입니다. 작년부터 사용해서 거의 늘 90도 이상을 찍고 있었는데 영상 한방으로 70후반~80초반으로 온도찍네요 ㅋㅋ.. 쓰로틀링도 안걸려서 점수도 잘나오고요~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신세계 입성을 축하드립니다.^^

  • @모개짜
    @모개짜 6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게이밍 노트북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6 місяців тому

      신세계 입성을 축하드립니다.

  • @dmin9053
    @dmin9053 3 роки тому +1

    정말 좋은 방법이네요
    노트북 자체 성능도 꽤 오래동안 관리해 줄 수 있겠네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네 발열이 적어지니까 아무래도 수명도 길어지겠죠^^

  • @parkkevin11
    @parkkevin11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이걸로 온도와 성능 다잡았습니다 !!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신세계 입성을 축하드립니다.

  • @오뚱-z2q
    @오뚱-z2q 2 роки тому

    와우...지니어스님 너무 감사드립니다. 이놈의 온도때문에 몇날 몇일을 마음고생했는데 이 영상과 가르침 한번으로 풀로드시 81도 아이들시 52도 나옵니다... 이영상대로 하기전엔 아이들시 71도 풀로드시 96도 나왔습니다. 모델은 레노버 y540 17irh blade 이 모델 i7-9750h 입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신세계를 맛보고 계시는군요

    • @오뚱-z2q
      @오뚱-z2q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좋은영상에 좋은도움을 주셔서 가능한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해요..번창하십시요!

  • @김선호-k6q
    @김선호-k6q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6900hs 사용 중인데 맨날 게임할 때 90까지 찍어서 불안했는데 벤치 점수는 900이 낮아졌지만 온도는 15도 정도 잡아서 70후로 많이 좋아졌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내용으로 영상 만들어주세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경쮸
    @경쮸 6 місяців тому

    복받으십쇼....선생님 저도 일주일 전에 ASUS TUF F15 / AMD RYZEN 7 / Geforce RTX 4060 / TDW 140W 짜리 겜트북을 구매했는데...와우를 돌려도 CPU가 최대 94도 씩 찍히던게....이제 72도로 내려오고 풀옵으로 팬소음 없이 안정적이게 돌아갑니다 진짜 선생님 복받으십쇼 감사합니다...

  • @woobobn
    @woobobn 2 роки тому +1

    덕분에 노트북 오래오래 쓸수있을것같아요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1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sungyounlee8239
    @sungyounlee8239 2 роки тому

    게임만 키면 95도 넘어가서 게임을 못하고 있었는데 조정하니까 800점정도 떨어졌지만 게임을 해도 85도 이상 안올라가서 정말 만족합니다. 정말 유익한 정보네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김장호-k5p
    @김장호-k5p 18 днів тому

    수고하십니다, 본 영상의 안내는 노트북의 전력소모보다 성능에 중점을 둔 설정인가요? 성능모드와 평소 인터넷 서치할 때의 모드를 구분하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 @PARK6997
      @PARK6997  17 днів тому

      발열제어에 중점을 둔 설정이죠

  • @이근범-r8d
    @이근범-r8d 3 роки тому

    노트북 초기화하고 방황했었는데 보고 깔끔하게 해결했네요.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그렇군요^^ 해결되었다니 다행이네요

  • @사과껍질-l1b
    @사과껍질-l1b 2 роки тому

    진짜 노트북 바꾸고 까먹고 있다가 또 다시 테스트 해봐도 이방법은 기가 막히네요
    intel 11세대 인데 발열제어 미쳤습니다
    파스 돌려보니 물리학 점수가 2천점 정도 낮지만 그만큼 온도제어에서 훌륭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최고온도가 75도 그후 70도 아래로 안정적인 모습이네요
    굿굿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송파사는주민
    @송파사는주민 2 роки тому

    진짜 최고의방법입니다. 5900HX쓰고있는데요 게임프레임140FPS 나오는데 뚝뚝끊기길래 뭐때문인가 하고 봤는데 CPU온도가 86~90도사이를찍어서 쓰로틀링걸리는거더라고요. 말씀하신데로 제한을 거니 70대 중반에서 80대 초반이 가장높게나올정도로 괜찮아졌습니다. 쓰로틀링도 안걸리고 게임 잘하고있습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1

      신세계를 맛보고 계시는 군요

  • @MK_JD
    @MK_JD 3 роки тому +1

    도움 많이 받고 갑니다 이해하기 쉽고 간결해서 정말 좋습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한꽃두레
    @한꽃두레 2 роки тому

    와 지린다...이게되네요ㅠ 정말 감사해요 구독박습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1

      신세계를 맛보셨군요

    • @한꽃두레
      @한꽃두레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올해 8월생산한 주연테크 겜놑 쓰는데 게임은 롤밖에 안합니다.
      롤 완전 최최최저옵션으로 해도 cpu100도 찍고 막 온도가 널뛰기해서ㅠㅠ써멀재도포 해야하나 고민하며...영상 찾아보던중 지니어스님 영상보고 따라해서 극락을 맛봤습니다.
      시네벤치 돌리자마자 100도 찍고 주파수 3100 나오길래
      2950으로 설정했습니다.
      롤 완전최죄최최고 옵션으로 해도 cpu최대온도 62도에 렉 정말 하나도 안걸리고 부드럽게 잘돌아갑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한꽃두레
      @한꽃두레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2500으로 설정하고 벤치 10분돌리니까 7895점 나왔습니다
      2950으로 설정하고 11700점?정도 나왔는데
      혹시 게이밍노트북 적정온도가 몇도인지 궁금합니다!!!
      조금씩 주파수 올려서 사용해보려구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1

      @@한꽃두레 일반적으로 80고 후반대면 착한 온도 입니다

  • @jun9618
    @jun9618 3 роки тому

    이런 방법도 있군요
    레지스트리 건드는거만 아니면 해볼만한 방법같네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건드려도 큭게 해가 될부분이 없습니다. ^^ 간단해요

  • @GODPAGANI
    @GODPAGANI 2 роки тому

    정말 유익한 동영상 입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시청 감사합니다.

  • @Rinaldi-u9v
    @Rinaldi-u9v 3 роки тому

    가즈아! 감사합니다 수퍼 지니어스님!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KimHans-un2qu
    @KimHans-un2qu 2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місяці тому

      시청 감사합니다.

  • @lololololollolololol674
    @lololololollolololol674 3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용. 좋은정보감사용ㅋㅋ 리전5i프로 이번에 구매해서 뱅가드 하는데 cpu 100도 찍었는데 이거보고 했더니 90 도 안넘어가고 성능차이는 체감못할정도니 꿀정보!! 또한번 감사용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신세계를 맛보고 계시는군요^^

  • @jegukyu9128
    @jegukyu9128 Рік тому +1

    댓글 잘 안다는데 와~ 정말 감사드립니다. 발열 잘 잡히내요 ^^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TYT-r3q
    @TYT-r3q 2 роки тому

    이 영상 보고 세팅해본 결과 ROG Strix 17 G713에 달린 R7-6800H에서 3.5 GHz로 세팅했습니다. 3.6 GHz부턴 좀 비효율적으로 소비전력 온도 둘다 올라가고 4.0 GHz 부턴 답이 없네요.. 4.2 세팅시 93도에 80W, 3.5 세팅시 64도 38 W로 무조건 했어야 됬네요. 좋은 방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이렇게 적용을 해도 성능의 변화는 거의 없을 겁니다 .^^

  • @seru8316
    @seru8316 2 роки тому

    현 GE76 쓰고있습니다. 씨퓨는 본 리뷰의 11세대와 스펙이 같아서 똑같아서,,,,, 근데 하라는대로 했는데 와,,, 그냥 켜놓고 아무것도안해도 96도 였는데 4000설정하고 50대로 떨어졌네요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1

      아무래도 11세대가 발열이 심하고, msi가 발열제어가 잘 안되다 보니까 체감이 더 많이 될겁니다.^^

    • @seru8316
      @seru8316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근데 한번씩 온도가 다시 치솟는경우가 있는데 이럴땐 어떻게해야할꺼요? 그리고 msi는 아머리처럼 확인하는 전용프로그램이 따로있을까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1

      @@seru8316 클럭을 조금 더 낮춰 주시면 조금 나을거구요. msi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seru8316
      @seru8316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그럼 아머리를 사용해도될까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seru8316 타사 제품에는 설치가 안되죠^^

  • @이군-m5w
    @이군-m5w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덕분에 10도나떨어져서 깜짝 놀랐어요 굿굿!!!!!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oo0847
    @oo0847 3 роки тому +2

    온도 진짜 10도 이상 줄었네요ㅎ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pyeong_agun
    @pyeong_agun 3 роки тому

    전에 쓰던 쓰로틀링 스탑 프로그램에서 언더클럭이 더이상 안되길래 방법 찾고있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시청 감사합니다.^^

  • @liespace-layiso1948
    @liespace-layiso1948 3 роки тому

    Cpu다운클럭 효과가 엄청좋으네요. 온도가 확 내려가버리네요 ㅋㅋ80후반에서 100정도 나오던게 50후반에서70정도로 나오더라구요(게임가동기준)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신세계죠 ㅋㅋㅋ

  • @두유노_유노
    @두유노_유노 Рік тому +1

    안녕하세요, 덕분에 메인PC랑 서브 노트북 발열 잘 잡아주고 있기에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둘다 90 > 75로 낮춤)
    다만, 한가지 문의드립니다.
    서서브 노트북 (친구들 놀러와서 배그게임 스쿼드용이나 자주 놀러옴..) 사양이 i5-9300h / 1660ti입니다.
    얘는 원래 cpu온도가 78~88도정도(배그 중) 나오는 애인데, 3000hz으로 제한 걸었더니 72이상 올라가진 않지만, 배그가 너무버벅거리는 느낌이 심해서(옵션 : 랜더링80, 올 매우낮음...) 다시 역순으로 순정으로 돌아왔습니다.
    아무래도 9300의 cpu 한계가 너무 힘든 것 같은데 (심지어 노트북), 항상 노트북 클링패드는 깔고 하고있기에, 78~88정도면 적당할까요? 아니면 3500HZ정도로 조금이라도 제한을 걸어서 ~79도로 맞추는게 나을까요?
    노트북이야 소모품이니 적당히 쓰다 바꾸자라고 생각을 하고 순정으로 바꾸긴 했는데 막상 바꾸고 나니 평균 85도면 너무 높은가.. 하고 급 걱정이 되어서요 ㅠ.ㅠ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지금 날씨에 85도 정도면 괜찮습니다.

    • @두유노_유노
      @두유노_유노 Рік тому

      @@PARK6997 빠르게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ㅠㅠ 걱정했거든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XD

  • @김동주-l9j
    @김동주-l9j 3 роки тому +2

    언제나 믿고 봅니다^^ 감사해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기몽상
    @기몽상 3 роки тому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artcompany165
    @artcompany165 3 роки тому

    진짜 감사합니다 이것덕분에 노트북
    바하8 60프레임고정할땐 70~79도
    90~100fps일땐 80~86까지 갔는데 둘다 70~79도 까지 됬고
    리틀나이트메어2는 60프레님고정 66~69도
    120~144fps 일때는 86~90까지 갔는데 놀랍게도 66~69도 까지 떨어졌어요
    세키로는 86도였는데 76~79까지 떨어졌구요 ㅠㅠ
    이정도면 모든 게임 돌려도 70~79도는 안전할것같아요 진짜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신세계를 맛보고 계시는군요^^

    • @artcompany165
      @artcompany165 2 роки тому

      포르자4는 왜 온도가 85도나 될까요...ㅠㅠ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artcompany165 그래픽의 온도가 많이 높아서 그럴겁니다. 그정도면 만족할 수준일텐데요 ^^

  • @조우진-v9z
    @조우진-v9z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10 місяців тому

      도움이 되셨군요^^

  • @므오웅
    @므오웅 2 роки тому

    에이수스 fx504ge사용자입니다. 온갖 씨름을하다가 알아낸점이 최신bios사용하시는분들은 2020년이전의 bios로 다운그레이드 하셔야합니다. 바이오스 자체로 다운클럭자체를 막아놓아서 어떤 설정을하여도 계속 최대치 오버클럭을 사용한거였습니다. 저는2019년bios로 다운그레이드후 성공하였습니다..하..ㅠㅠ

  • @yohank1195
    @yohank1195 3 роки тому

    스로틀링도 스로틀링이고, 발열로 인한 팬 소음도 스트레스여서 리퀴드프로를 쓸까 고민했는데요(위험성은 알지만 이미 이전 노트북도 꼼꼼히 누액방지 시공 후 4년 넘게 무탈히 썼던지라)
    워낙 고스펙 노트북인지라 부스트 클럭 사용 안한다 생각하고 정규클럭인 3.3기가헤르츠로 제한해버리니까 배그를 돌리는데도 온도가 70도 언저리에서 머물러 주네요
    옵션을 높이면 어지럽고 그래서 원체 텍스처 외에는 저옵으로 맞추는지라 불편함도 못느꼈구요
    덕분에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 사용 시에는 어차피 유튜브 보거나 문서작업 하거나 하는 정도라 아예 2200으로 맞춰놨더니 팬 자체가 돌지를 않는 것 같네요 ㅋㅋ
    그런데 이상태에서 리퀴드프로로 자체 쿨링까지 향상시키면 어떻게 되는거지?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리퀴드… 그상태면 차이 없을겁니다

  • @woone0828
    @woone0828 3 роки тому

    설명을 꼼꼼히 잘해주셔서 잘봐습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TV-bt2yv
    @TV-bt2yv 3 роки тому

    이번에 구매한 게이밍 노트북으로 게임 할 때 평균 90도였는데 80도로 낮아졌어요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설정을 잘 하신 모양이네요^^

    • @jeongcharlie3565
      @jeongcharlie3565 3 роки тому

      혹시 제품이름이....무엇인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 @hibixbisiri
    @hibixbisiri 2 роки тому

    이 영상을 보면 쿨링이 완벽하지 않으면 4.0GHZ 이상의 고성능 CPU는 노트북에서 의미없다는 말일까요.
    비싼가격을 주고 I7CPU를 구입하는 이유는 최대클럭의 효과를 통한 성능향상을 위한건데, 저렇게 클럭제한을 해서 사용해야만 CPU를 오래 쓸수 있다는게 아쉽네요.
    영상은 너무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시청 감사합니다.

  • @양천동
    @양천동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씨네벤치 최고온도 101도씩 찍히고 그랬는데 91도까지 줄었네요
    게임할때 쾌적해질거 같습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잘 잡으신거 같네요^^

  • @인랑-d6m
    @인랑-d6m 3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언더볼팅 때문에 너무 고생하다가 결국은 실패하고 디폴트 값으로 그냥 쓰고있는 노트북 초보 였는대
    덕분에 이거 보고 온도 좀 안정화 시켯네요
    레노버 y540 i5 9300hf 기준 주파수값 3200 에서 온도 80~87 도 까지 왔다갔다 하는대 이정도면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박고 갑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약간 더 낮춰도 될듯합니다.

    • @TTaboong
      @TTaboong 3 роки тому

      오 저랑 같은 노트북인데 저는 3000으로 했어요. 근데 3000에서 3200사이로 조정 해봤는데 온도는 비슷하더라구요.

  • @오이는싫어요-p6c
    @오이는싫어요-p6c 3 роки тому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저도 10단위 까지 미세조정 하면서 약 400점 정도 차이나면서 96도를 86도까지 낮췄네요 ㅎㅎ 아 그리고 저번에 조언해주신(flow제품) 방법 다 해봤는데 외부모니터에서도 화면이 나가는거 보면 뭔가 모를 문제가 있나봅니다 ㅜㅜ 로얄클럽에 다시 질문하던가 걍 모드 변경 안하면서 안억울해질때까지 노트북 굴려야겠습니다 ㅎㅎ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외부모니터로 출력이 되는게 맞으면 호환에 대한 부분입니다.
      Egpu를 연결한 상태에서 윈도우를 재설치하면 해결이 될겁니다.

    • @오이는싫어요-p6c
      @오이는싫어요-p6c 3 роки тому

      @@PARK6997 아...외부모니터에서도 모드 변경하면 화면이 나가서 아무것도 안뜬다는 말이었습니다! 일딴 그럼 알려주신대로 EGPU 연결한 상태에서 윈도우 재설치도 해보겠습니다 :)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오이는싫어요-p6c 네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오이는싫어요-p6c
      @오이는싫어요-p6c 3 роки тому +2

      @@PARK6997 와....말씀대로 EGPU 물린상태에서 윈도우 다시 까니까 증상이 사라졌습니다...게임을 설치할때 EGPU 연결했든 안했든 상관없이 증상 자체가 완전히 사라졌네요...로얄클럽에서 실망한거 지니어스PARK 님 덖에 회복하고 갑니다 :)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2

      @@오이는싫어요-p6c 해결하셨다니 다행입니다.^^

  • @googleriam
    @googleriam 3 роки тому +3

    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밴트 쪽 튜닝 후 4.2에서도 온도유지가 80대라 지금까지 잘 쓰고 있습니다만, 그때 시절 이걸 알았다면 하판수정 외에 여러가지 작업보다는 이것을 선택했을 것입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시청 감사합니다.^^

  • @jaeseoyang7670
    @jaeseoyang7670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15도나 낮아졌내요 좋은 영상 보고 갑니다 ㅎ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시청 감사합니다.

  • @톡톡톡-b3x
    @톡톡톡-b3x 3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5800h 에이서 3060 모델입니다..영상보고 따라해봤습니다.배그 인게임 풀fd 레임 제한 3800mhz 시 최소33.
    최대 74나옵니다.성능보다.발열이 걱정이었는대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잘되니까 다행이네요

  • @초록송아지-t7u
    @초록송아지-t7u 3 роки тому

    클럭설정 대박이네요ㄷㄷ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네 대박 맞습니다. ㅋㅋㅋ

  • @Condition_Kim
    @Condition_Kim 11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시네벤치 CPU 멀티코어 돌리면 clock core 밸류 값들이 2400Mhz정도로 내려가는데 정상인가요..? 가만히 있으면 4000Mhz정도 나옵니다.
    삼성 오디세이 nt850
    i7 - 9750H 사용중입니다

    • @PARK6997
      @PARK6997  11 місяців тому

      발열제어가 안된다는 이야기인거죠

  • @kimsajang007
    @kimsajang007 3 роки тому

    이제야 이런 좋은 영상을 보고 따라 해보는데 잘 안되길래
    혹시나 하고 AMD라고 검색 해보니 "르누아르"는 안된다는 충격적인 고정 댓글을 봤네요 ㅠ
    함께 적어주신 링크를 보고 따라해서 성공 하긴 했습니다.
    그런데 혹시 이후 버전들은 모두 적용 가능 한가요?
    영상에서는 인텔로 다뤄 주셨는데..
    이번 CES 발표를 보면 (그전 부터 갓사 수 누님 이었지만) AMD가 뭔가 격차를 더 벌리고 있는 중인 것 같아서
    다음 노트북도 AMD로 구매 할까 하거든요
    원래 지니어스님 , HB노트님 영상 보고 제피러스 G15로 구매 하려다가.
    CES 보고 잠시 대기 상태 입니다. ㅋㅋ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일단 신제품 AMD CPU가 장착된 노트북이 출시되는 것은 4월 이후 입니다.
      많이 기다리셔야 할거구요
      르누아르는 일단 안되고 나머지는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추후에 나오는 CPU들은.... 아직 해보지를 않아서^^ 지켜봐야 알수있겠죠^^

    • @kimsajang007
      @kimsajang007 3 роки тому

      @@PARK6997
      올해 상반기 안에만 탑재된 제품들의 출시와
      출시되는 제품의 정보가 많이 나오길 기대하는 중입니다
      존버는 승리한다!!! 가 됐으면 좋겠네요 ㅎㅎ
      새로운 CPU가 탑재된 노트북들이 출시 되면
      지니어스님의 빠른 리뷰 기대 하면서 알람 설정 해두고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kimsajang007 넵 감사합니다.^^

  • @SmileMan-g6m
    @SmileMan-g6m 2 роки тому

    노트북 온도가 너무 높아서 고민이었는데 완벽한 영상 감사해요. 몇 가지 질문드리고 싶은게 있어 댓글 남깁니다.
    cpu 온도를 어디까지 잡는 게 좋은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 분들은 시네벤치 점수가 5% 하락하는 수준으로만 제한해도 온도가 80초중반으로 잡히는 것 같은데, 제 노트북은 동일한 수준으로 제한해도 80중후반이더군요. 온도가 여전히 높은 거 같아서 온도를 80초중반으로 잡으려 하니 점수는 7~10% 하락했구요. 이럴 경우에 노트북을 오래 쓰고 싶으면 성능 타협을 보는 것이 맞는 건가요?
    또 asus는 모드마다 조정을 할 수 있다는 댓글을 봤습니다. 충전기를 꼽지 않았을 때 쓸 모드의 클럭을 제한해서 발열, 소음을 확 잡으려고 하는데, 배터리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 맞나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충전기를 연결하지 않았을때는 따로 제한을 할 필요도 없고, 제한이 먹지도 않습니다.
      저는 온도를 잡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Valencia-orange
    @Valencia-orange 3 роки тому +1

    영상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점이 있는데 앞전영상에 윈도우즈모드에서 설정하여 사용하는것과 이번영상에서 처럼 터보모드에서 설정하여 사용하는것중 어떤걸 더 추천하시나요?? 제품은 TUF FX706HE HX011제품이고 주로 게임용으로 사용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2

      이번게 더 좋을겁니다.

    • @Valencia-orange
      @Valencia-orange 3 роки тому

      @@PARK6997 답변감사합니다. 그럼 혹시 윈도우즈모드에서 바꾼 레지스트리 설정을 다시 원상태로 바꾸지 않고 이번영상처럼 설정을 해도 될가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Valencia-orange 아니요 원상복귀 한 다음에 하셔야 합니다.

  • @봉봉-b8l7r
    @봉봉-b8l7r 3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제가 정말 여기저기 알아볼수있는곳을 돌아다녀봐도여쭤보고 답을 얻을수있겠다 싶은게 여기 지니어스박님 인거 같아서 여쭤볼려고합니다. ㅠ
    지금 제가 제피러스 G15 3070 을 사용중인데 위 영상대로 한다음 로스트아크,디아블로2레저렉션 플레이시 온도를 확인해보니
    CPU 80도 이하 GPU 70도 언저리 인데 문제는 부분부분 팬이 팡팡돌다 멈추고
    정말 문제는 F5번키 위에 손을 가져대보면 진짜 손이 데일만큼 뜨겁습니다. 제가 무슨 설정을 잘못한건지 아니면 원래 이정도 뜨거운건지 드라이버를 잘못깔았나
    해도 지니어스박님 영상말고는 정말 찾아볼곳이 없네요
    제가 드라이버를 잘 깔았는지 아니면 원래 이정도인건지 확인할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일단 70~80도 사이라면 온도는 안정적으로 작동하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열에 대한 부분은 각자 사용자마다 느낌이 약간씩 다를 수는 있는데.....
      제품이 많이 뜨거워지고 문제가 생길 정도라면, 전원이 꺼져버리는게 정상입니다.
      그렇지 않은것으로 봐서는 일반적인 게이밍 노트북의 발열 정도라고 보시는게 맞을듯 합니다.
      게이밍 노트북들이 원래 뜨거워요^^
      아머리 크레이트 내에 온도를 모니터랑 하는 프로그램들이 있으니까 그걸 한번 확인해보시면 될듯 합니다.

  • @밖있새-z1r
    @밖있새-z1r 3 роки тому +1

    유익한 정보 너무 감사합니당 ~ ^______^b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jh6680
    @sjh6680 6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선생닝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제가 오래전 구매한 15gd870이라는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이게 cpu는 i7-7700hq이고 그래픽 카드는 1060을 사용합니다.
    1. 영상 속의 내용을 따라한다면 전력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까요??
    2. 언더볼팅과 영상속 내용중 어떤 것이 전력 사용량을 더 줄일 수 있을까요??
    답변 주신다면 정말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PARK6997
      @PARK6997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가능합니다.
      2. 영상의 내용을 참고하시는게 더 좋아요

    • @sjh6680
      @sjh6680 6 місяців тому

      @@PARK6997 감사합니다 선생님
      근데 혹시 맨첨에 실행시키는 컨트롤 프로그램은 제가 lg게이밍 노트북인데 저런 프로그램을 따로 찾아서 받아줘야하는 것이죠?

    • @PARK6997
      @PARK6997  6 місяців тому

      @@sjh6680 네 영상을 천천히 보시면 모든 내용이 다 있습니다.

    • @sjh6680
      @sjh6680 6 місяців тому

      @@PARK6997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ㅜㅜ
      울트라기어 노트북들은 저런 컨트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lg에서 제 노트북에 대한 컨트롤 프로그램은 제공하지 않는 것 같네요 ㅠㅠ
      혹시 저런 컨트롤 프로그램이 없을 때는 그냥 없는대로 하면 될까요?

    • @sjh6680
      @sjh6680 6 місяців тому

      전원관리 옵션에서 그냥 균형으로 놓고 하면 될까요?

  • @user-kf3rz9kz7d
    @user-kf3rz9kz7d 2 роки тому +1

    지금도 답변을 해주실지는 잘 모르겠지만 궁금한게 있습니다. 클럭을 3800으로 고정해놓아도 게임만 키면 4400다 쓰는데 원래 이런걸까요? 시네벤치만 쓸때는 안 그러는데 게임만 하면 그러네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뭔가 다른 설정이 잘못된 것이 있을겁니다.

  • @고다은-r9m
    @고다은-r9m 2 роки тому +2

    온도 10도 내려가고 게임에서 리듬있는 프레임 드랍도 해결 되었네요 짱이에요..

  • @DAYA07150
    @DAYA07150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이 영상보고 제 노트북(msi gs66 i7-10750h) 온도를 잘잡았습니다~
    (전원관리옵션에서 전원관리옵션만들기 한다음에 영상처럼 설정변경에서 최대프로세서 전원사용부분 주파수 변경하면서 잘잡았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쓰는 노트북도 온도가 높아서 변경하려고,
    똑같은 방법으로 하는데,
    주파수변경을 하고 돌려보는데 온도가 안떨어져서 보니 hwmonitor에 클럭이 변경한 클럭으로 고정(변경)이 안되고 있더라고요...혹시 제가 뭘 놓치고 있는것인지 잘모르겠어서.. 도움 요청드리게 되었습니다...^^;;
    영상에서는 8세대, 9세대도 다 가능하다고 되있어서..
    아이들 노트북은
    1대는 msi gp73 leopard 8re(i7-8750h) 윈도우11프로
    다른 한대는 msi gf75 thin 9sc(i7-9750h) 윈도우10프로
    입니다..
    msi 드레곤 센터가 깔려있기는한데 위에서 보는 영상처럼 터보, 성능, 조용 같이 성능변경 부분을 눌러도 전원옵션에서 변경되는 항목이 없어서 그냥 임의로 이름 설정해서 전원관리옵션만들기를 했습니다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지금 사용하는 전원관리 옵션에 설정된 값이 정확히 적용이 되지 않았을 겁니다.
      임의로 이름을 설정한곳에 하지 마시고, 균형조정이라는 항목에 해보시기 바랍니다.

  • @cupkaesnake
    @cupkaesnake 2 роки тому

    라이젠9 로 해봤는데 대충 90도에서 70도까지 떨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younghan_lee
    @younghan_lee 3 роки тому +1

    유튜브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주제랑 관련없지만 믿을만한 분이 지니어스님 밖에 없어서 의견을 조금 여쭤보고 싶습니다.
    6월 중순쯤에 델에서 에일리언웨어 M17 R4를 구매해서 사용중이었는데,
    구매후 몇일 뒤 디스플레이 관련 문제 (게임 중 발열이 심해지면 화면이 블랙이 되서 돌아오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서비스센터에서 기술자를 보내 노트북 팬을 교체해 주었습니다.
    교체 후에도 문제는 지속되었고, 교체할때 조립에서의 문제인지 AS받은날 이후로 LAN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안되었습니다.
    (랜선 꽂는 부분이 헐거워져서 접촉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
    서비스 센터에 환불/새제품 교환을 문의했으나 위 과정에서 구매후 30일이 지나버려서 교환은 불가하고 대신 마더보드, 힛싱크, 팬 등을 교체해주겠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이 후에 센터에서 주문한 마더보드가 배송되려면 1달이상이 소요될 것 같다고 하며 같은 사양의 리퍼비시 제품으로 교환해주겠다고 하는데,
    구매한 지 두달도 안되는 제품을 리퍼 제품으로 교환하는게 맞는 일인지 여쭤봅니다..
    아니면 한달정도 기다리더라도 부품을 교체하는 게 나을까요?
    도와주세요!! ㅠㅠ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2

      리퍼비시 교체는 아닌듯합니다. 그렇게 진행하면 손해가 너무 심할듯합니다.
      에일리언웨어 제품이라면 가격이 상당히 있는제품인데....
      기다리시더라도 무조건 메인보드 교체를 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 @younghan_lee
      @younghan_lee 3 роки тому

      @@PARK6997 그렇군요! 답변 정말 감사드려요!!

  • @neverdiexian
    @neverdiexian 3 роки тому

    파스할 때는 이 방법으로 하면 피직스와 컴바인 스코어가 많이 깎여버리네요.
    파스 총점(그래픽 말고 총점)이 제약 없을 땐 24000점인데, 이 방법으로 하면 22000점 이하가 나오네요.
    게임 실사용 하면서 테스트 해봐야 할 것 같아요.
    다른 유튜브 보니 언더클럭 이외에도 프로세서 최대 99% 방식으로도 사용하는 방법이 있더라구요.
    생각보다 전원 옵션에서 타협보면 최적화할 거리가 많을 것 같네요.
    잘 보고 갑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시청 감사합니다.

  • @m3unie
    @m3unie 2 роки тому +1

    옛날에 쓰던 8750H cpu에도 유효한가용?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네 가능합니다.

  • @naraland7068
    @naraland7068 3 роки тому

    르누아르 4900H로는 주파수 2000대밖에 안나오네요....하지만 이정도로도 고성능 게임도 잘 돌아가네요...온도도 많이 낮아지고....게임 할때만 적용해야겠네요...ㅎㅎ 좀 머랄까...손해 보는 느낌은 지울 수가 없네요...ㅋㅋㅋㅋ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완전히 부스트를 제한한것보다는 조금 더 나은 상황이 될겁니다.^^

  • @한규종-t4r
    @한규종-t4r 3 роки тому +8

    하라는대로 하니까 최고온도가 16도가 떨어지고 시네벤치 차이도 100미만으로 미미해서 너무 만족스럽습니다. 좋은 지식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3

      시청 감사합니다.^^

  • @ljjpoo
    @ljjpoo 3 роки тому

    델 보스트로 7510이 디아2레저렉션 돌리면 최고온도 93~95도 찍어서 3950Mhz로 설정해서 적용했더니 최고온도 82도 나오네요! 너무 감사합니당

  • @절아세요-c1o
    @절아세요-c1o 3 роки тому

    GA503QS 사용하고 있는데 터보 모드로 r23 실행시 93도까지 육박했는데 알려주신대로 클럭을 3800으로 낮추고 다시 돌리니 온도도 78도가 최대로 찍히고 점수 차이도 없네요 파이어 스트라이크까지 돌려보니 cpu가 전력을 덜 먹어서 gpu 전력 100w까지 부스트 들어가서 gpu 클럭도 상승하고 점수도 상승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신세계를 경험하고 계시는군요^^

  • @김범수-g1t
    @김범수-g1t 3 роки тому

    도움 감사드립니다
    4800H 2.9G고정이었는데
    변경해보겠습니다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고정했던 설정은 풀고 해야합니다^^

  • @juntaek63
    @juntaek63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시간이 많이 지났지만 여쭤봅니다
    I7 11800h에 3080인 gp66모델 쓰고있는데 씨네벤치 돌렸을 때 cpu 온도가 영상처럼 균일하지 않고 어떤건 90도 어떤건 60도 나오고
    클럭도 3100~3200사이에서 노네요
    노트북마다 차이가 있다고는 하셨는데 생각보다 차이가 커서 질문드립니다
    이 노트북에서도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설정을 2000mhz대로 잡아야 하는걸까요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일단 MSI 제품은 원래 발열제어가 그리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고, 사용하신지가 조금된 모델이니까... 써멀 작업을 한번 하신 후에 영상대로 해주시면 효과가 있을거라고 봅니다. CPU온도가 그렇게 크게 차이가 나는건 뭔가 문제가 있는겁니다.

  • @user-lw5pi2oe4n
    @user-lw5pi2oe4n 2 роки тому

    예전에도 이 방법을 사용했었을 때는 제가 3800로 설정해두었는데, 요 근래에 갑자기 그냥 켜두고 아무것도 안해도 기본 온도 70~80을 유지해서 밖에서 충전선이 없으면 켜두고 유튜브 1시간도 못볼 정도에 절전모드를 켜두고 단순 워드 작업만 해도 2시간도 잘 못써요... 크게 한건 없는데 롤이라는 게임을 하다가 갑작스레 심각해진것 같아서 3400으로 설정해두고 96도에서 86도까지 떨어트렸네요...
    학생이라 밖에서 써야하는데 제피러스 g15 1년 넘게 잘 쓰다 항상 온도 발열 문제로 힘든거만 빼면 ㅎㅎ.. 버틸만합니다!
    써보고 효과가 없거나 밖에서 2시간도 못쓴다면 3400보다 내려보려고 하는데 그래도 괜찮을까요? 300이나 200정도로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요근래 갑자기 그렇게 된거라면 소프트웨어적인 문제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윈도우를 재설치 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user-lw5pi2oe4n
      @user-lw5pi2oe4n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제가 노트북 샀을 때 지니어스님께 설치까지 모두 받은 상태로 아마 영구적인게 아니라 pc 1회? 1대만 가능한 옵션+설치로 구매했었던 것 같습니다. 이 경우에도 윈도우 재설치가 가능할까요? 그때 cd는 남아있습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user-lw5pi2oe4n 윈도우 라이센스는 노트북에 귀속이 되어 있기 때문에 재설치를 하면 바로 인증이 됩니다.

    • @user-lw5pi2oe4n
      @user-lw5pi2oe4n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감사합니다! 혹시 노트북 팬에 쌓인 먼지나 안에 판 청소같은 경우도 비용을 지불하고 as로 맡겨도괜찮을까요? 사용한지 1년 반정도 되어서 청소하고싶은데 제가 안에 뜯었다가 큰일날까봐 맡기고 싶습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네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 직접하시는 것은 절대 권장하지 않구요. 저희쪽으로 제품을 보내주시면 됩니다.

  • @glaveglave7000
    @glaveglave7000 2 роки тому

    i7-10750h에 rtx 2070 maxq 사용중입니다. cpu의 베이스 클럭이 2.6ghz에 최대클럭 5ghz인데 클럭을 3.0ghz로 두어도 cpu에 별 무리 없겠지요? 클럭이 너무 낮아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말이 있던데 이것이 사실인지도 궁금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너무 낮아도 무리가 간다는 것은 아니구요 3.0정도 문제 없습니다.

  • @simbasim9165
    @simbasim9165 Рік тому

    에이수스 로그 스트릭스 g18 g814ji 제품인데 3일전에 사서 디아4를 돌리는데 CPU 코어 대부분 최대온도기준 95~100도를 찍어버리네요
    제품이 문제가 있는지...기본상태가 이래도 되는지..
    언더볼팅 필수 인거죠?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정상의 범주라고 보셔도 되구요. 원래 언더볼팅이 필요한 시리즈죠...

  • @jhp4085
    @jhp4085 9 місяців тому

    시네벤치만 돌렸을땐 최고온도가 80도 정도인데 게임할땐 80도 후반까지도 올라가는데 괜찮나요? 최고온도를 시네벤치기준으로 할지 게임기준으로 할지 모르겠어요. 최대한 오래 사용하고싶은 노트북인데... 기종은 터프 대쉬 f15, i7 11370h입니다. 주파수를 3150까지 내려보았을때 기준입니다.

    • @PARK6997
      @PARK6997  9 місяців тому

      약간 더 내려도 될듯합니다.

  • @김태현-f8w9b
    @김태현-f8w9b 2 роки тому

    게임 돌리면 최고온도 97도였는데 70대까지 내려갔네요.ㄷㄷ 감사합니다.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이동면-n3n
    @이동면-n3n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Gs66모델(i7-10750h)로 언더볼팅해서 어느정도 온도(max 90도)를 잡긴했는데
    위 방법을 추가로 해도 되는건지 언더볼팅 없에고 해야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언더볼팅을 원상복구 하시고 영상의 방법대로 하세요
      둘다 하시면 안됩니다.

    • @DAYA07150
      @DAYA07150 Рік тому

      @@PARK6997 혹시나 해서 여쭤봤는데~ 큰일 날 뻔했네요~~ 너무 감사드립니다~~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DAYA07150 말씀하신 모델이라면 영상대로 하는게 만족도가 더 높을겁니다.

  • @임임임-w3w
    @임임임-w3w 3 роки тому

    혹시 늦었지만 답변 될까요..
    Hp오멘 16 (i7-11800H , rtx3060)입니다
    이노트북은 전원관리옵션이 HP권장밖에없는데요 자체 오멘게이밍허브에서 성능모드(성능,균형 두가지임)로 둔채로 클럭 변경을 했는데 3900으로 맞추니 씨네벤치를 돌릴때는 3890에서 얌전히있던 글럭이 벤치가 끝나면 다시 4400으로 치솟습니다
    고정시킬수 있는방법이 없는건가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그러면 뭔가 설정을 잘못맞추신듯 한데요

    • @임임임-w3w
      @임임임-w3w 3 роки тому

      @@PARK6997 하하.. 이 오멘게이밍허브 이녀석이 문제였네요.. 작업관리자에서 꺼버리니깐 지맘대로 클럭을 안바꿉니다.
      오멘 유저분들 참고하십쇼.
      Gta5에서 프레임10가량떨어지고 온도는 10도가량 잡아주네요 만족합니다 감사해요!

  • @gamzachipnaedwie
    @gamzachipnaedwie 24 дні тому

    이번에 에이서 프레데터 헬리오스 네오 16 구매하고, 발열이 심해서 따라 하는데 전원 관리 옵션에 균형 조정 하나밖에 없습니다.. predetorsense에서 모드 바꿔도 turbo 이런게 생기지 않습니다.. 이거 어떻게 하나요? i9 14900hx, rtx 4070, 64ram이에요. 윈도우 11입니다.

    • @PARK6997
      @PARK6997  24 дні тому

      그러면 균형조정에 하시면 됩니다.

  • @BDKTVing
    @BDKTVing 3 роки тому

    오랜만에 다시 옵니다ㅎ
    s17 11세대 사면서 세팅을 해야하는데 이 영상보고 따라해봐야겠네요 ㅎ
    혹시 cpu말고 gpu는 이런 방식으로 발열 제어 하는 법은 없을까요? 아니면 cpu 클럭만 만져도 gpu 성능도 같이 최적화가 되는지 궁금하네요ㅎ
    예전 gx501 때는 cpu클럭 조정만으로도 전체적으로 성능이 올랐던 기억이 있네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GPU는 별도의 셋팅방법이 없습니다.
      대신 CPU의 발열이 줄어들기 때문에 GPU의 발열도 같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 @BDKTVing
      @BDKTVing 3 роки тому

      @@PARK6997 감사합니다!

  • @찌륵
    @찌륵 3 роки тому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한성 tfg176 cpu 8750h 사용중인데 클럭수 제한을 걸어도 제한이 안걸리더군요 혹 놓친게있나 차근차근 다시해보고 해도 걸리지가 않습니다 특정 브랜드나 cpu세대는 안걸리는 경우가 있나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아니요 다 됩니다.

    • @뀨잉앙
      @뀨잉앙 3 роки тому

      저도 한성 tfg155인데 안되요 미치겠네요

  • @jinliqueru2643
    @jinliqueru2643 3 роки тому

    다이소에서 5천언 따리 쿨링스텐드 사서 쓰고 있어요 ㅎㅎㅎ 나름 만족 ㅋ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1

      본인이 만족하시는게 가장 중요하죠^^

  • @윳투브
    @윳투브 2 роки тому

    영상 잘 봣어요! 도움되어 구독했습니당 ㅎㅎ
    질문 있는데 5900hs도 저것과 비슷하게 셋팅하면 될까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네 가능합니다.

    • @윳투브
      @윳투브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감사합니다 ~

  • @CHO-i5r
    @CHO-i5r 2 роки тому

    초보아재 입니다
    엘지노트북 cpu: i5-1135g7 / 1650ti 사용중입니다
    몇으로 맞쳐야되는. . . 조언구합니다
    3800이 적당한건지 여쭤봅니다
    도와주세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해당CPU는 저전력입니다. 저전력은 하지마세요

    • @CHO-i5r
      @CHO-i5r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네!! 말씀감사합니다

  • @tjpke7889
    @tjpke7889 2 роки тому

    제피러스 g15 5900hs cpu로 씨네벤치 터보에서 돌리면 시작하자마자 바로 3.6까지 떨어지고 클럭이 들쭉날쭉하고 온도는 96도에서 움직이지 않습니다. 전력을 50와트도 못먹네요. 윈도우 11 홈이고 말씀하신 방법으로 3.5까지 고정하면 88도까지 떨어지긴 하는데 이거 아무리 봐도 비정상인거 같아 의견 어쭙습니다. 센터에 들고가서 점검 받아야 할까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말씀하신 것만 가지고는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이유가 없다고 보입니다.
      그래도 점검을 원한다면 센터를 방문하셔서 점검을 받아보시는 게 좋을 수는 있을듯 하네요
      찝찝한 마음을 가지고 사용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 @수피아-p1v
    @수피아-p1v 3 роки тому

    제피러스 G15는 테스트 해봤는데 안되네요. 터보모드에서 클럭을 낮추면서 온도확인했는데 최고 온도 97도에서 내려가지를 않습니다.
    클럭을 3천 미만으로 내리는건 기존에 올리셨던 르누아르 발열 제어 방법을 이미 쓰고 있기에 의미가 없어서 테스트 중단했네요.
    G15를 쓰면서 에이수스 노트북 신제품 출시될떄 느끼는 거지만 발열 진짜 잘잡히네요.제가 쓰는 G15 하판 벤트를 떼버리면 터보모드에서
    80대의 온도를 볼수 있을까 생각하지만 AS가 남아 있어서 그건 불가능하고 ㅠㅠ 이런 영상보면 진짜 노트북 교체하고 싶은 마음이 많이 들어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르누아르는 안되는게 맞는듯 하네요 ㅠㅠ
      항상 시청 감사합니다. ^^

  • @peter_park777
    @peter_park777 3 роки тому

    최근에 게이밍 노트북을 샀는데 너무 유익한 정보 잘 보고 있습니다. 아수스 제품인데 롤이나 피파 정도면 원도우 모드로 해도 되는 거죠? 그리고 터보모드나 성능모드는 온도를 낮추기 위해 주파수를 만져서 온도가 낮아졌는데 윈도우 모드는 테스트 결과 온도가 안정적이라 안거드는게 좋겠죠?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네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

  • @차콜-y8i
    @차콜-y8i 3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다름이아니라 한가지만 여쭤볼수있을까요!
    이 방법말고 노트북 전원옵션 -> 프로세서 전원관리 들어가서 1. 최소 프로세서 상태
    2.시스템 냉각 정책
    3.최대 프로세서 상태 < 이 3가지 부분을 건들여서 발열이랑 온도를 낮추었는데 이 방법이 게이밍노트북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나요?
    참고로 시스템 냉각 정책은 수동으로,
    최대 프로세서 상태는 99% 로 설정하였습니다!
    그랬더니 온도가 10도 조금 넘게 떨어졌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10도가 넘게 떨어졌다는게 시스템에 무리가는 것일까봐 불안해서요..!
    문제없는것인지.. 아니면 노트북에 무리가 가는것인지요..!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이걸 건드리는 것은 별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 @차콜-y8i
      @차콜-y8i 3 роки тому

      @@PARK6997 앗 그렇군요.. 제가 이미 저렇게 설정을 해놓고 안그래두 1시간정도 게임돌렸다가 뭔가 불안하다 싶어서 원래 상태로 다시 되돌려놓긴했습니다만.. 혹시 그렇게 위험한 것이라면 1시간 정도를 저렇게 프로세서 전원옵션 설정해놓고 게임했던게 이미 노트북에 큰 무리가 가거나 그럴수도 있나요? 1시간정도만 하고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려놓았거든요 ..!

    • @PARK6997
      @PARK6997  3 роки тому

      @@차콜-y8i 그정도로 무리를 주는 설정은 아닙니다만
      제가 영상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저는 레지스트리를 건드리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를 않아서요^^
      사용하시는데 무리 없을겁니다. ^^

  • @꼬마-x3m
    @꼬마-x3m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최근에 노트북 사서 소개로 이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제가 아직 컴맹이라 그런가 아니면 잘 다운 한건지는 모르겠지만 만약에 콘트롤프로그램이 없이 언더볼팅을 해도 크게 문제가 없을까요 ?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음.... 영상의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신듯 합니다..... 직접하시기 힘들다면...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더 좋습니다.

  • @Kuryem
    @Kuryem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혹시 cpu온도는 괜찮은데
    gpu온도가 높아서 쿨링이 빨리 돌아도 이방법이 괜찮나요?
    cpu온도는 40~60도인데
    그래픽카드 온도만 70~89를 왔따리갔다리 하네요..
    게임은 메이플입니다...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그래픽카드는 제한하는 방법이 없습니다.

    • @Kuryem
      @Kuryem Рік тому

      @@PARK6997 감사합니다

  • @소시-q4z
    @소시-q4z Рік тому

    저도 5600h 시피유인데 따라했는데 처음에 그냥했을당시 3700~3600 왔다갔다하고 온도가 91도 이렇게 약 1분돌렸을시 나외서 저는 3600으로 낮췄다가 그래도 약 3분간 돌렸을시 85도 맥스로 찍히더라구요 그래서 조금더 하고싶어서 3500으로했는데 온도 확실히 잡히메요 다만 게임하는데 차이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ㅠ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게임을 해보시면 아마도 프레임의 차이는 없을거구요. 온도는 확실히 좋아졌을겁니다.

    • @소시-q4z
      @소시-q4z Рік тому

      @@PARK6997 외람된 질문이지만 게이밍노트북 사용시 12시간씩 사용하면 수명이 1~2년 밖에안되나요?

    • @PARK6997
      @PARK6997  Рік тому

      @@소시-q4z 그건 아니죠~~ 보통 3~4년 정도로 보구요... 발열이 심한 경우에는 좀 짧아질 수 있죠

  • @이재창-v1d
    @이재창-v1d 2 роки тому

    지니어스님 안녕하세요
    MSI GF65 Thin 9SEXR 노트북 사용중입니다.
    CPU i7 9750H 인데요
    아무리 최대프로세서 주파수를 떨어뜨려봐도 설정값이 먹히질 않아요ㅜㅜ 4000~2000까지 하다가 안되서 200까지도 설정 해봤지만 Clock이 제한 걸리지 않고 3400~3500왔다 갔다 해요. 12세대처럼 9세대도 먹히질 않나요?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9세대는 잘 되는데요.... 뭔가 설정을 잘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 @이재창-v1d
      @이재창-v1d 2 роки тому

      무엇이 잘못 되었을까요? 레지스트리 2로 바꾸는거 하고 최대주파수설정 가능하게 만들고 주파주 설정했는데 추가로 더 해야될게 있는가요? 너무 답답합니다.ㅜㅜ구글에 검색해도 딱히 적용 안될때 해결방법은 안나오네요

    • @이재창-v1d
      @이재창-v1d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지니어스님 제가 좀 의심 되는것이 전원옵션 라이오 버튼 선택 할때 저의 경우 MSI Draron Center Program과 연동되지 않아서 그냥 고성능에 라이오 버튼 선택했거든요.. 혹시 이것 때문에 안될 수가 있나요? 영상 처럼 Dragon Center와 전원옵션 연동 할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이것때문에 밤낮 없이 이틀째 고생 중입니다. 좀 도와세요..ㅠ

    • @PARK6997
      @PARK6997  2 роки тому

      @@이재창-v1d Dragon Center와 전원옵션 연동
      이 부분은 msi 서비스로 문의하셔야 할듯합니다.

    • @이재창-v1d
      @이재창-v1d 2 роки тому

      @@PARK6997 일단 연동이 안되면 안되는것이 맞는 것이죠?

  • @OhsungKwon-u8h
    @OhsungKwon-u8h 7 місяців тому

    지니어스 팍 형님 저는 왜 레지스트리도 설명하신대로 다 하고 변경도 잘된듯한데 전원관리편집에서 주파수를 낮춰도 왜 적용이 안될까요..?ㅠㅠi7 7700hq 입니다

    • @PARK6997
      @PARK6997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생각하는 것보다 클럭을 많이 낮춰야 할겁니다.

    • @OhsungKwon-u8h
      @OhsungKwon-u8h 7 місяців тому

      @@PARK6997 3800~4000까지 오르던데 ㅠ3300으로 해도 동일하더라구요

  • @charliekim8007
    @charliekim8007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저는 원도우 10 Home 영문 버전인데 Maximum process state 부분이 퍼센트 단위로 표시가 되네요 ㅎㅎ 마이크로에서 살짝 바꾼것 같네요